KR19990036727U - Building materials with double air layers - Google Patents

Building materials with double air lay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727U
KR19990036727U KR2019980002696U KR19980002696U KR19990036727U KR 19990036727 U KR19990036727 U KR 19990036727U KR 2019980002696 U KR2019980002696 U KR 2019980002696U KR 19980002696 U KR19980002696 U KR 19980002696U KR 19990036727 U KR19990036727 U KR 199900367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double
air layer
building material
fil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69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완
Original Assignee
김재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완 filed Critical 김재완
Priority to KR2019980002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6727U/en
Publication of KR199900367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727U/en

Links

Landscapes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재료에 있어서 두장의 필름 사이에 공기층을 만들어 단열효과, 밀폐효과, 및 방음효과를 얻을 수 있는 2중 공기층을 갖는 건축용 재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ilding material having a double air layer that can obtain an insulation effect, a sealing effect, and a sound insulation effect by making an air layer between two films in a building material.

본 고안의 2중 공기층을 갖는 건축용 재료는 두장의 필름 사이에 지그재그형으로 접힌 필름이 삽입되어 있되, 이들이 접촉하는 면은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열접합 되어 있고, 상기 두장의 필름과 지그재그형으로 접힌 필름 사이에는 공기가 충전되는 관모양의 공간이 2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struction material having a double air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zigzag-folded film is inserted between two films, and the contacting surfaces thereof are thermally bonded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and the two films and the zigzag-folded film are fol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ular space in which air is filled between the films is formed in double.

본 고안에 따른 2중 공기층을 갖는 건축용 재료는 농업용, 공업용, 산업용 건축 재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반영구적인 설치가 가능하고, 단열효과, 밀폐효과 및 방음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Building material having a double ai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gricultural, industrial, industrial building materials, semi-permanent installation, can be expected heat insulation effect, sealing effect and sound insulation effect.

Description

2중 공기층을 갖는 건축용 재료Building materials with double air layers

본 고안은 2중 공기층을 갖는 건축용 재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두장의 필름 사이에 공기층을 만들어 단열효과, 밀폐효과, 및 방음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2중 공기층을 갖는 건축용 재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material having a double air lay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material having a double air layer, which can create an air layer between two films to simultaneously obtain an insulating effect, a sealing effect, and a soundproofing effect.

일반적으로 대지와 대기의 열교환은 지표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데, 대낮의 대지는 대지 자체가 방출하는 열보다 많은 양의 열을 흡수하여 그 온도를 높이지만, 밤에는 이와 반대가 되어 차가워진다. 이같은 기온의 변화는 두께 30 내지 40㎝의 토층에서 주로 나타나고, 이층에 나타난 온도가 지표에 접한 대기의 온도를 결정한다. 대낮에 지표에 흡수된 열 가운데 21%는 직접 접촉의 방법으로 대기로 전해지고, 24%는 열전도에 의해서, 지중으로 55%는 증발되어 소비된다고 한다. 같은 장소에서 야간의 경우, 열방출량( 낮에 흡수한 양의 약 90% )중 43%는 대기온도의 접촉으로 얻은 열이고, 50%는 땅속에서 끌어낸 것이며, 7%는 수증기의 응결에서 얻은 것이다.In general,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earth and the atmosphere depends on the surface conditions. In the daytime, the earth absorbs more heat than the heat itself emits and raises its temperature, but at night it is the opposite and cold. This change in temperature occurs mainly in soil layers of 30 to 40 cm in thickness, and the temperature shown in the upper layers determines the temperature of the atmospher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In the daytime, 21% of the heat absorbed by the surface is transmitted to the atmosphere by direct contact, and 24% is evaporated and consumed by 55% in the ground due to heat conduction. In the same place at night, 43% of the heat released (about 90% of the amount absorbed during the day) is heat obtained by contact with the ambient temperature, 50% is drawn from the ground, and 7% is obtained by condensation of water vapor. will be.

비닐 하우스는 위와 같은 기온변화를 인위적으로 제어하여 추울때는 덥게, 더울때는 시원하게 작물의 환경 변화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The plastic house artificially controls the above-mentioned temperature change to produce a change in the environment of crops hot in the cold and cool in the hot.

작물의 생산 증대 및 기상 장해의 차단을 목적으로 하는 비닐하우스는 최근에 급속도로 국내에 보급되어 많은 농가들이 효과적으로 작물을 생산하고, 용이하게 계획 생산을 하며, 계절의 영향을 받던 생산 방식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함으로써 농촌의 소득향상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The vinyl house, which aims to increase crop production and prevent meteorological disturbances, has recently been rapidly distributed in Korea, where many farmers can effectively produce crops, easily plan production, and get away from seasonally affected production methods. By doing so, it contributes a lot to rural incomes.

종래의 비닐 하우스는 건축용 재료로 대부분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와 달리 경질판 하우스는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염화 비닐 요소, 아크릴판 등을 사용한다. 경질판 하우스는 설치 비용이 고가이기 때문에 거의 실용화 되지 않고 있다. 또한, 유리 온실은 내구성은 있으나, 설치 비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온실효과가 미흡하다.Conventional vinyl houses mostly use polyethylene film as a building material, whereas hard plate houses use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vinyl chloride elements, acrylic plates, and the like. Hard plate houses are rarely put to practical use because of the high installation costs. In addition, the glass greenhouse is durable, but the installation cost is expensive and the greenhouse effect is insufficient.

종래의 비닐 하우스의 가장 큰 문제점은 기온이 급강하하는 야간에 많은 양의 열이 외부로 방출된다는 점이다. 투명한 비닐을 사용하기 때문에 열전도에 대해 매우 약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동계기간 또는 야간에는 비닐하우스 내의 온도강하를 막기 위해 폴리에틸렌 필름을 2중 또는 3중으로 피복하거나, 인공적인 가열을 하거나, 단열용 커튼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들도 2중, 3중의 피복에 필요한 별도의 철골 구조물의 설치에 따른 비용, 거적이나 보온 덮개를 개폐하는데 따른 번거로움 등의 문제가 있고, 또한 커튼의 경우 완전한 밀폐가 안되면 열이 밖으로 빠져나가고, 거적을 사용하는 대형 비닐 하우스는 강풍이 부는 날은 설치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The biggest problem of the conventional vinyl house is that a large amount of heat is released to the outside at night when the temperature drops sharply. Since transparent vinyl is used, it is very weak against heat conduction. Therefore, in winter or at night, polyethylene film is covered with double or triple, or artificial heating or insulation curtain is used to prevent the temperature drop in the plastic house. However, these methods also have problems such as the cost of installing a separate steel structure required for double and triple coating, the hassle of opening and closing a stack or a thermal insulation cover, and in the case of a curtain, heat is not completely sealed. Large vinyl houses that go outside and use giants have the disadvantage that they cannot be installed on days with strong winds.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관모양의 2중 공기층에 의해 단열효과, 밀폐효과 및 방음효과를 얻을 수 있는 2중 공기층을 갖는 건축용 재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to provide a building material having a double air layer that can obtain a heat insulating effect, a sealing effect and a sound insulation effect by the double-shaped air layer of the tubular shap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2중 공기층을 갖는 건축용 재료의 부분 사시도이다.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material having a double ai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I-I 선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본 고안의 2중 공기층을 갖는 건축용 재료는 두장의 필름 사이에 지그재그형으로 접힌 필름이 삽입되어 있되, 이들이 접촉하는 면은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열접합 되어 있고, 상기 두장의 필름과 지그재그형으로 접힌 필름 사이에는 공기가 충전될 수 있는 관모양의 공간이 2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struction material having a double air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zigzag-folded film is inserted between two films, and the contacting surfaces thereof are thermally bonded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and the two films and the zigzag-folded film are folded. Between the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ubular space that can be filled with air is formed in double.

본 고안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2중 공기층을 갖는 건축용 재료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이다.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material having a double ai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도 1에서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충전식 비닐하우스는 두장의 비닐 또는 직물(10, 11) 사이에 지그재그형으로 접힌 비닐 또는 직물(12)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비닐 또는 직물(10, 11)과 지그재그형으로 접힌 비닐 또는 직물(12)이 만나는 부분은 관 형태로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열접합법으로 접합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13)에는 공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In the air-filled vinyl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1 is a zigzag folded vinyl or fabric 12 is inserted between the two sheets of vinyl or fabric (10, 11). The portion where the vinyl or fabric (10, 11) and the zigzag-folded vinyl or fabric (12) meet is joined by heat bonding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the tubular form, the space 13 formed between them It can fill air.

상기 건축용 재료의 한쪽에 공기 주입구를 설치하여 공기를 충전 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마개를 장착할 수 있다.An air inlet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uilding material to fill the air, and a plastic stopper may be installed to prevent air leakage.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이다. 상기 건축용 재료에 공기를, 예를들면 관모양의 공간(13b1)로 주입하면, 공기는 다음 관모양의 공간(13b2)으로 통하고, 이어서 그 다음 관모양의 공간(13b3)으로 통하게 되어 건축용 재료의 공간(13)에는 첫번째 공기층이 만들어지게 된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Injecting air into the building material, for example into the tubular space 13b 1 , causes the air to pass into the next tubular space 13b 2 and then into the next tubular space 13b 3 . Thus, the first air layer is made in the space 13 of the building material.

또한, 공기를, 예를들면 관모양의 공간(13a1)로 주입하면, 공기가 다음 관모양의 공간(13a2)으로 통하고, 이어서 그 다음 관모양의 공간(13a3)으로 통하고, 계속해서 그 다음 관모양의 공간(13a4)로 통하게 되어 건축용 재료의 공간(13)에는 두번째 공기층이 만들어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air is injected into, for example, the tubular space 13a 1 , the air passes through the next tubular space 13a 2 , and then through the next tubular space 13a 3 , Subsequently it leads to the tubular space 13a 4 where a second air layer is created in the space 13 of the building material.

따라서, 본 고안의 건축용 재료는 2중 공기층을 갖게 된다.Thus, the build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ouble air layer.

상기한 두장의 필름 및 지그재그형으로 접힌 필름으로는 비닐 또는 직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above two sheets of film and a film folded in a zigzag shape, vinyl or fabric may be used.

본 고안에 따른 2중 공기층을 갖는 건축용 재료는 태양열과 지열에 의존하여 내부 온도를 유지시키는 비닐 하우스 및 인공적으로 난방을 한 비닐 하우스에 모두 사용될 수 있다.The building material having a double ai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both a plastic house and an artificially heated vinyl house which maintains the internal temperature depending on solar and geothermal hea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중 공기층을 갖는 건축용 재료는 농업용, 공업용 및 산업용으로 비닐 하우스 뿐만 아니라 항공기 격납고, 창고, 전시장 및 비닐 콘센트 하우스 등에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ilding material having a double ai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gricultural, industrial and industrial use as well as aircraft hangars, warehouses, exhibition halls and vinyl outlet houses.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 및 비교예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실시예Example

본 고안에 따른 2중 공기층을 갖는 건축용 재료로 비닐 하우스를 설치하여 저온기인 12월 부터 2월까지는 비닐하우스를 폐쇄하여 온도를 측정하고, 고온기인 7월과 8월에는 비닐하우스를 개방하여 온도를 측정하였다. 하루중 최고 실내온도 및 최저 실내온도를 측정하여 그 평균온도를 표 1에 나타내었다.By installing a vinyl house as a building material with a double ai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is measured by closing the vinyl house from December to February, which is a low temperature period, and opening the vinyl house in July and August, which is a high temperature period. Measured. The highest room temperature and the lowest room temperature of the day were measured and the average temperature is shown in Table 1.

비교예 1 내지 3Comparative Examples 1 to 3

종래의 양지붕형 비닐 하우스(비교예 1), 포장마차형 비닐 하우스(비교예 2), 2중터널 포장마차형 비닐 하우스(비교예 3)를 실시예와 동일한 장소에 설치하고, 같은 기간동안 같은 방법으로 실내온도를 측정하여 그 평균온도를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A conventional double-roof vinyl house (Comparative Example 1), a stall-type vinyl house (Comparative Example 2), and a double-tunnel stall-type vinyl house (Comparative Example 3) are installed in the same place as in the embodiment, The room temperature was measured by the method, and the average temperature thereof is shown in Table 1.

표 1 단위 : ℃Table 1 Unit: ℃

조사 기간Survey period 실내온도관리Indoor temperature management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Example 최고온도Temperature 최저온도Temperature 최고온도Temperature 최저온도Temperature 최고온도Temperature 최저온도Temperature 최고온도Temperature 최저온도Temperature 저온기평균12/15-2/28Average low temperature 폐쇄Closure 24.924.9 -0.8-0.8 22.522.5 -1.2-1.2 2121 -0.3-0.3 20.620.6 4.34.3 고온기평균7/1-8/28High temperature average 7 / 1-8 / 28 개방Opening 32.832.8 22.622.6 34.234.2 24.724.7 31.631.6 23.523.5 29.729.7 24.124.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2중 공기층을 갖는 건축용 재료를 사용한 비닐하우스는 저온기인 12월 부터 2월까지 최고온도는 비교예보다는 좀 낮지만 약 20℃ 정도로 높고, 최저온도는 약 4℃ 정도로 높게 유지되어, 비교예에 비해 최고온도와 최저온도의 차이가 작다.As shown in Table 1, the vinyl house using the building material having a double ai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 temperature from December to February, the maximum temperature is slightly lower than the comparative example, but high as about 20 ℃, the minimum temperature is It is kept as high as about 4 degreeC, and the difference of the highest temperature and the minimum temperature is small compared with a comparative example.

또한, 고온기인 7월 부터 8월 까지는 최고온도는 비교예보다 낮고, 최저온도는 비슷한 정도로 유지된다.In addition, from July to August, the high temperature, the maximum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comparative example, the minimum temperature is maintained to a similar degree.

이와 같은 비닐 하우스안의 온도 상승은 태양의 복사열 때문에 발생한다. 밀폐된 하우스의 실내온도는 밤과 낮의 온도차가 많고, 하우스내의 기온 분포가 항상 고르지 않다. 대낮의 경우, 노천에는 천정이 없으므로 태양에 의해 더워진 공기는 계속해서 상승 발산해 버리지만, 비닐 하우스 내부는 가열된 공기의 유출이 차단되어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지표면 위의 열이 지면으로 전도되어 지온이 높아진다.This rise in temperature is due to the sun's radiant heat. The indoor temperature of a closed house has a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night and day, an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house is always uneven. In daylight, there is no ceiling in the open air, so the air warmed by the sun continues to rise and diverge, but inside the plastic house, the outflow of heated air is blocked and the temperature inside is increased. In addition, heat on the earth's surface is conducted to the ground, resulting in high geothermal temperatures.

반대로 일몰이 시작되면, 바깥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고, 비닐 하우스내의 열이 비닐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나, 열전도에 의한 온도 하강은 외부보다 서서히 일어나고, 낮에 보관되었던 땅 속의 열이 비닐 하우스 내부로 옮겨지면서, 바깥 기온보다는 보통 2-3℃ 정도 높게 유지된다. 여기에 보온 덮개를 덮어주면 2-6℃ 정도 보온력이 향상된다.On the contrary, when sunset begins, the outside temperature drops sharply, and the heat in the plastic house is forced out through the vinyl. However, the temperature drop due to heat conduction occurs more slowly than outside, and heat in the ground stored during the day i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plastic house, and is usually maintained at about 2-3 ° C higher than the outside temperature. Covering the insulation cover here improves the insulation of about 2-6 ℃.

본 고안에 따른 2중 공기층을 갖는 건축용 재료를 사용한 비닐 하우스는 이와 같이 야간에 밖으로 빠져나가는 열을 열전도도가 작은 공기층으로 차단하여 약 10-14℃ 정도로 온도를 높게 유지시킨다.The vinyl house using the building material having a double ai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keeps the temperature high at about 10-14 ° C. by blocking the heat that escapes outside at night with a low thermal conductivity air layer.

본 고안에 따른 2중 공기층을 갖는 건축용 재료를 사용한 비닐 하우스는 건물의 최고온도는 낮게, 최저온도는 높게 유지함으로써 온도변화를 최소화하여, 고온 장애 및 저온 장애를 방지하고, 반영구적인 설치가 가능하여 비용 및 노동력을 아낄 수 있으며, 자연식 비닐 하우스 및 인공 가열식 비닐 하우스에서 효과적으로 열효율을 향상시켜 난방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The vinyl house using the building material having the double ai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temperature change by keeping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building low and the minimum temperature high, thereby preventing high and low temperature obstacles, and semi-permanent installation is possible. It can save cost and labor, and can greatly reduce heating cost by effectively improving thermal efficiency in natural and artificial heated vinyl houses.

Claims (1)

두장의 필름(10, 11) 사이에 지그재그형으로 접힌 필름(12)이 삽입되어 있되, 이들이 접촉하는 면은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열접합 되어 있고, 상기 두장의 필름(10, 11)과 지그재그형으로 접힌 필름(12) 사이에는 가스가 충전될 수 있는 관모양의 공간(13)이 2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공기층을 갖는 건축용 재료.A zigzag-folded film 12 is inserted between the two films 10 and 11, and the contact surface thereof is thermally bonded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and the two films 10 and 11 are zigzag-shaped. Building material having a double air layer,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folded film 12, the tubular space (13) that can be filled with gas is formed in double.
KR2019980002696U 1998-02-27 1998-02-27 Building materials with double air layers KR1999003672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696U KR19990036727U (en) 1998-02-27 1998-02-27 Building materials with double air lay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696U KR19990036727U (en) 1998-02-27 1998-02-27 Building materials with double air lay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727U true KR19990036727U (en) 1999-09-27

Family

ID=69712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696U KR19990036727U (en) 1998-02-27 1998-02-27 Building materials with double air lay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6727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461B1 (en) * 2013-04-09 2013-11-20 유익현 Double vinyl sheet for vinyl hous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461B1 (en) * 2013-04-09 2013-11-20 유익현 Double vinyl sheet for vinyl house
WO2014168417A1 (en) * 2013-04-09 2014-10-16 Yoo Ik Hyeon Dual vinyl sheet for vinyl greenhouse
CN105120652A (en) * 2013-04-09 2015-12-02 柳翼铉 Dual vinyl sheet for vinyl green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pta et al. Review of passive heating/cooling systems of buildings
US3450192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odulating the temperature within enclosures
US5524381A (en) Solar heated building designs for cloudy winters
US8595998B2 (en) Geosolar temperature control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of
US20140299120A1 (en) Solar Heat Collection and Storage System
Anderson et al. Passive solar design
KR101138018B1 (en) Extensive green roof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Hachem-Vermette Solar Buildings and Neighborhoods: Design Considerations for High Energy Performance
Tatarestaghi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passive design features/elements in Malaysia and passive house criteria in the tropics
Inusa et al. Application of passive cooling techniques in residential buildings: A case study of Northern Nigeria
US20110232213A1 (en) Solar roofing assembly
CN103563683B (en) Airtight air parcel green house
Vukadinović et al. Sunspaces as passive design elements for energy efficient and environmentally sustainable housing
KR19990036727U (en) Building materials with double air layers
Mohammad Alinezhad Energy Saving through Connection of Sunken Garden with Nature and Passive Cooling in Traditional Buildings of Hot and Dry Climate of Iran
Gorjian et al. Solar Powered Greenhouses
Givoni Earth-integrated buildings—an overview
JP2002233235A (en) Greening thermal insulation building material and method for working the same
US4353353A (en) Low temperature solar furnace and method
Etzion A bio-climatic approach to desert architecture
KR100430790B1 (en) Regenerative vinyl house
RU2207752C1 (en) Greenhouse
JPH08140491A (en) Greenhouse
Parker et al. Passive Solar Heating
Santra et al. NEW INDIA PUBLISHING AG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