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261A -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펌핑 장치 - Google Patents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펌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261A
KR19990036261A KR1019980700929A KR19980700929A KR19990036261A KR 19990036261 A KR19990036261 A KR 19990036261A KR 1019980700929 A KR1019980700929 A KR 1019980700929A KR 19980700929 A KR19980700929 A KR 19980700929A KR 19990036261 A KR19990036261 A KR 19990036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gas
port
flui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8869B1 (ko
Inventor
사무엘 더럼
3세 가이 토마스 엘
Original Assignee
알프레드 에이. 쉬로에더
랜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레드 에이. 쉬로에더, 랜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알프레드 에이. 쉬로에더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95/010116 external-priority patent/WO1997006368A1/en
Publication of KR1999003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8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펌프는 나사 결합 부품 및/또는 클램프와 같은 접속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펌프를 장착할 수 있도록 임의의 음료 분배기에 부착되는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를 포함한다.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는 입구 포트(12) 및 출구 포트(13)를 갖는 하우징(11)을 포함한다.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 양자는 펌프가 제거될 때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제품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조절기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은 가스 공급원에 접속되어 펌프 내로 가스를 송출하는 가스 포트(14)를 포함한다. 가스 포트는 펌프가 제거될 때 공급원으로부터의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유동 조절기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펌프는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유체의 체적을 측정하는 계수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펌핑 장치
통상적으로, 음료 분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제품의 분배를 허용하는 개개의 구성 부품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제품을 분배하기 전에 이 제품을 냉각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냉각판 또는 냉각 유닛과 같은 냉각 장치를 보유한다. 또한, 하우징은 제품 공급원으로부터 냉각 장치로 제품을 송출하기 위해 냉각 장치 내로의 적어도 하나의 입구와 제품 공급원 사이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펌프를 보유한다. 냉각 장치는 출구를 하우징 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분배 밸브에 접속시킨다. 분배 밸브는 가동시에 냉각 장치로부터 냉각 제품을 흡인해서 그 출구로부터 냉각 제품을 송출한다. 또한, 분배 밸브가 가동되면 펌프가 가동되며 이에 의해 펌프는 제품 공급원으로부터 냉각 장치로 제품을 송출한다.
통상적으로, 제품 공급원으로부터 냉각 장치로 제품을 펌핑시키기 위해 채택되는 펌프는 가스 작동식 펌프이다. 가스 작동식 펌프는 별도의 펌프 챔버 내에 수납된 한 쌍의 상호 접속 다이아프램을 포함한다. 또한, 가스 작동식 펌프는 제품 공급원에 접속된 입구와, 냉각 장치에 접속된 출구와, 펌프 챔버 내로의 가스의 송출을 허용하기 위해 가스 공급원(예컨대, CO2병)에 접속되는 가스 입구를 포함한다. 가스 입구 내의 밸브는 다이아프램을 왕복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펌프 챔버로 가스를 교대로 송출한다. 다이아프램은 왕복 운동함에 따라서 교대로 제품 공급원으로부터 제품을 흡인한 다음 흡입된 제품을 냉각 장치로 송출한다.
가스 작동식 펌프의 제품 입구 및 출구는 나사 결합 부품 또는 클램프와 같은 접속 장치를 사용해서 제품 입구 및 출구에 부착되는 각각의 제품 라인을 거쳐 제품 공급원 및 냉각 장치와 연통한다. 마찬가지로, 가스 작동식 펌프의 제품 출구는 나사 결합 부품 또는 클램프와 같은 접속 장치를 사용해서 가스 입구에 부착되는 가스 라인을 거쳐 가스 공급원과 연통한다.
나사 결합 부품 또는 클램프를 사용한 가스 작동식 펌프의 부착은 음료 분배 시스템의 초기 제작 중에는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지만, 이들의 사용은 가스 작동식 펌프에 대한 임의의 후속 작업 또는 그 교체를 극히 곤란하게 한다. 예를 들어, 가스 작동식 펌프를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해 제거하여야 할 때 나사 결합 부품 또는 클램프를 각각 풀어야 한다. 나사 결합 부품 또는 클램프를 푸는 작업은 특히 가스 작동식 펌프가 음료 분배 시스템 내의 비교적 접근 불가능한 구역에 배치되어 있을 때 시간 낭비가 된다. 더욱이, 제품 라인들이 분리되면 이들 라인 내에 수용된 제품이 하우징 내로 유출되어 기술자로 하여금 엎질러진 제품을 말끔히 청소해야 하며, 제품이 건조되는 시럽인 경우에 기술자에 의한 하우징의 세척은 극히 시간 낭비적이고 곤란한 일이 된다. 부가적으로, 가스 라인이 분리되면 가스 라인 내의 임의의 가스는 손실되며, 라인에 첵 밸브가 끼워 맞추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가스 공급원 내의 모든 가스가 대기로 누출되게 된다.
제품 공급원으로부터 냉각 유닛으로 제품을 펌핑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펌프에서 부딪히는 다른 문제점은 펌프의 사용량의 판정, 다시 말해서 펌프가 실제로 얼마만큼의 제품을 송출했는지는 지와 관련된다. 펌프 사용은 기술자에게 펌프의 교체 시기를 표시해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어떠한 펌프 사용 표시가 없으면 펌프는 순전히 그 사용 연령에 기초해서 교체된다. 결과적으로, 완전한 기능을 발휘하는 펌프가 이들의 실제 사용은 비록 적었지만 이들의 사용 연령으로 인해 교체된다.
본 발명은 음료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펌프와 이 펌프의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의 신속하고 용이한 접속을 가능케 하는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quick connect interface)를 포함하는 펌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펌프와 본 발명의 펌핑 장치의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의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펌프와 본 발명의 펌핑 장치의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펌핑 장치의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펌핑 장치에 대한 유량 계수기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펌핑 장치는 펌프와, 나사와 같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해서 음료 분배 시스템 내에 장착하는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는 나사 결합 부품 및/또는 클램프와 같은 접속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음료 분배 시스템 내에 끼워 맞추어져 펌프용 장착대를 제공한다.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는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입구 포트는 제품 라인을 거쳐 제품 공급원에 접속되어 펌프 내로 제품을 송출한다. 마찬가지로, 출구 포트는 제품 라인을 거쳐 제품 분배 장치에 접속되어 펌프로부터 제품 분배 장치로 제품을 송출한다.
또한, 하우징은 가스 라인을 거쳐 가스 공급원에 접속되어 펌프 내로 가스를 송출하는 가스 포트를 포함한다. 신속 접속 밸브는 가스 동력식 펌프의 사용을 허용하는 가스 포트를 포함한다. 가스 포트를 포함하고는 있지만 이 포트는 펌프가 가스 동력식 펌프가 아닌 경우(예컨대, 전기 펌프)에는 필요치 않다.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 양자는 펌프가 신속 접속 커넥터로부터 제거될 때 제품 라인으로부터의 제품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 조절기를 포함한다. 또한, 가스 포트는 펌프가 제거될 때 가스 공급원으로부터의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유동 조절기를 포함한다.
입구 포트, 출구 포트 및 가스 포트는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 상으로 펌프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포트를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하우징은 입구 포트, 출구 포트 및 가스 포트가 펌프를 지지하는 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펌프 하우징의 공동부 내에 끼워 맞추어진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한다.
펌프 장치는 펌프에 의해 펌핑된 액체의 체적을 측정하는 계수기를 포함한다. 계수기는 펌프의 피스톤 로드의 행정과 펌프 로터의 회전을 측정해서 펌핑된 제품의 체적을 표시한다. 각각의 피스톤 로드 행정과 로터 회전에 대해 펌핑되는 체적은 공지된 양이기 때문에 펌프로부터 펌핑되는 모든 제품의 정확한 체적이 용이하게 계산되어 전체 펌프 사용량을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접속 장치의 필요성을 제거한 신속 접속 장치를 포함하는 펌핑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펌프가 제거될 때 제품 및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를 펌핑 장치에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펌프 상에 장착되어 전체 펌프 사용량을 표시하는 계수기를 펌핑 장치에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핑 장치(5)는 펌프(19)와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를 포함한다.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는 하우징(11)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은 다시 입구 포트(12), 출구 포트(13) 및 가스 포트(14)를 포함한다. 입구 포트(12), 출구 포트(13) 및 가스 포트(14)의 각각은 하우징(11)을 관통해서 연장되어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의 전방과 후방 사이의 연통을 허용하는 하나의 통로를 제공한다. 하우징(11)은 하우징(11)의 어떤 구조물 상으로의 장착을 허용하도록 관통해서 연장된 구멍(15 내지 18)을 포함함으로써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가 펌프(19)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은 입구 포트(12), 출구 포트(13) 및 가스 포트(14)가 펌프(19)를 하우징(11) 상에 지지시키는 것을 도와주는 돌기(20, 21)를 포함한다.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는 제품을 제품 공급원으로부터 냉각판 또는 냉각 유닛과 같은 냉각 장치로 펌핑시키기 위해 가스 구동식 펌프를 이용하는 음료 분배 시스템에서 주로 채택된다. 따라서, 입구 포트(12)는 마찰 또는 클램프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해서 입구 포트(12) 내에 유지되는 접속기(22)를 수용한다. 접속기(22)는 입구 포트(12)를 라인(23)을 거쳐 제품 공급원에 결합시킴으로써 펌프(19) 내로의 제품의 송출을 허용한다. 마찬가지로, 출구 포트(13)는 마찰 또는 클램프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해서 제 위치에 유지되는 접속기(24)를 수용한다. 접속기(24)는 출구 포트(13)를 라인(25)을 거쳐 냉각 장치에 결합시킴으로써 펌프(19)에 의해 제품 공급원으로부터 펌핑되는 제품이 냉각 장치 내로 송출될 수 있게 해준다.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는 본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펌프(19)가 가스 동력식 펌프이기 때문에 가스 포트(1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가스 포트(14)는 마찰 또는 클램프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해서 제 위치에 유지되는 접속기(26)를 수용한다. 접속기(26)는 가스 포트(14)를 가스 공급원(예를 들어, CO2병)에 결합시켜 펌프(19)에 가스를 제공함으로써 이 펌프에 동력을 공급한다. 펌프(19)가 가스 동력식인 것으로 설명되고는 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는 가스 동력식 펌프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가스 포트(14)가 제거되면 상이한 유형의 펌프(예컨대, 전동식 펌프)로 대체될 수 있다.
일단 입구 포트(12), 출구 포트(13) 및 가스 포트(14)가 제품 공급원, 냉각 장치 및 가스 공급원에 접속되고 나면, 하우징(11)은 음료 분배 시스템 내에 고정된다. 하우징(11)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해서 음료 분배 시스템 내에 장착될 수 있지만, 본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나사가 구멍(15 내지 18) 내에 설치되며 음료 분배 시스템 내에 장착된 브래킷에 나사 고정된다. 구멍(15 내지 18)은 하우징(11)을 음료 분배 시스템 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 나사의 머리부가 펌프(19)의 장착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우징(11)의 전방에 오목부를 포함한다.
실례를 목적으로 그리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펌프(19)를 실시하기에 적합한 펌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9)는 하우징(11)과 수납부(29, 30)를 포함한다. 각각의 수납부(29, 30)는 이 수납부를 제품 챔버와 가스 챔버로 분리하는 다이아프램을 포함한다. 수납부(29, 30) 내의 다이아프램은 링(32)을 포함하는 피스톤 로드(32)에 의해 접속된다.
하우징(28)은 수납부(29, 30)의 제품 챔버 내로의 양 입구와 연통하는 입구 채널(33)을 포함한다. 각 제품 챔버 내로의 입구는 일단 제품이 제품 챔버 내로 들어가고 나면 입구 채널(33) 내로 역류할 수 없도록 일방향 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28)은 각각의 제품 챔버로부터의 출구와 연통하는 출구 채널(34)을 포함한다. 이들 출구도 제품이 제품 챔버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방향 유동 밸브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하우징(28)은 수납부(29, 30) 내의 가스 챔버와 연통하는 가스 채널(35)을 포함한다. 가스 채널(35)로부터 가스 챔버로의 입구는 각각 가스를 가스 챔버 내로 도입하거나 또는 가스 챔버 내의 가스를 펌프(19)의 외부로 배기시키는 2방향 밸브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하우징(28)은 펌프(19)의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로의 부착을 도와주는 돌기(20, 21)를 수용하는 공동부(36, 37)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동 시에 음료 분배 시스템이 가동되면 가스 공급원은 가스를 가스 포트(14)를 거쳐서 가스 채널(35) 내로 송출한다. 임의의 소정 시간에 가스 채널(35) 내의 하나의 밸브는 가스를 펌프(19)의 외부로 배기시키며, 다른 밸브는 가스가 그 각각의 가스 챔버 내로 유동될 수 있게 해준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가스 챔버는 가스를 모두 펌프(19) 외부로 배기시키고, 다른 챔버는 가스를 수용해서 다이아프램을 제품 챔버 쪽으로 팽창시킨다. 다이아프램들은 상호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한 다이아프램을 제품 챔버 쪽으로 팽창시키면 다른 다이아프램은 제품 챔버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당겨내어지게 된다. 한 다이아프램이 제품 챔버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품 챔버는 크기가 팽창하며, 그 결과 압력차를 발생시키며 이 압력차는 제품을 제품 공급원으로부터 입구 포트(12) 및 입구 채널(33)을 거쳐 제품 챔버 내로 흡인한다. 역으로, 다른 다이아프램이 제품 챔버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품 챔버는 크기가 수축하게 되며, 그 결과 제품은 제품 챔버로부터 출구 채널(34) 및 출구 포트(13)를 거쳐 냉각 장치 내로 강제로 들어가게 된다. 한 가스 챔버로의 가스의 송출과 다른 가스 챔버로부터의 가스의 배기는 피스톤 로드(31)가 운동함으로써 링(32)이 2방향 밸브를 기동시킬 때까지 발생한다. 그 결과, 2방향 밸브의 위치는 배기된 가스 챔버가 가스를 수용하고 반대쪽 가스 챔버가 이전에 송출된 가스를 배기시키도록 전환된다.
가스 챔버에 대한 가스의 송출 및 배기의 교대는 수납부(29, 30) 내에서 다이아프램을 왕복 구동시킨다. 이러한 왕복 운동은 제품 공급원으로부터 제품 챔버로 제품을 교대로 흡인한 다음 제품을 냉각 장치로 방출한다. 이에 따라, 펌프(19)는 음료 분배 시스템에 의해 냉각 장치로부터 분배되는 제품을 보충하도록 냉각 장치로 제품을 펌핑시킨다. 펌프(19)는 음료 분배 시스템이 가동 중지될 때까지 제품을 냉각 장치로 송출한다. 음료 분배 시스템이 가동 중지됨과 동시에 가스 공급원은 더 이상 가스 포트(14)를 거쳐 펌프(19) 내로 가스를 송출하지 않는다.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는 펌프(19)가 펌프 접속 인터페이스 상으로 용이하게 활주되고 나사 결합 부품 및/또는 클램프가 채택되는 사용이 곤란한 접속 장치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존의 펌프 접속 방법에 비해서 향상된다. 펌프(19)는 입구 포트(12), 출구 포트(13), 가스 포트(14), 및 돌기(20, 21)에 의해 제 위치에 확고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접속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더욱이, 입구 포트(12), 출구 포트(13) 및 가스 포트(14)의 각각은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와 펌프(19) 사이의 접속 지점으로부터의 제품 또는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각각의 O링(41, 42, 43)을 수납하는 각각의 홈(38, 39, 40)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는 음료 분배 시스템으로부터의 펌프(19)의 제거 시에 기존에 경험했던 제품 및 가스의 누출을 제거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는 유동 제어기(80, 90)를 포함한다. 유동 제어기(80, 90)는 밸브(44, 45)를 각각 포함한다. 하우징(11)은 입구 포트(12) 내에서의 밸브(44)의 설치와 출구 포트(13) 내에서의 밸브(45)의 설치를 허용하도록 입구 포트(12) 및 출구 포트(13)와 각각 연통하는 채널(46, 47)을 포함한다. 즉, 밸브(44)는 유동 제어 볼(50)이 입구 포트(12)를 통과하는 통로 내에 위치하도록 채널(46)에 나사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밸브(45)는 유동 제어 볼(51)이 출구 포트(13)를 통과하는 통로 내에 위치하도록 채널(47)에 나사 부착된다.
유동 제어기(80, 90)는 입구 포트(12) 및 출구 포트(13)를 통과하는 통로들 내에 각각 위치하여 유동 제어 볼(50, 51)에 대한 안착부를 각각 제공하는 와셔(48, 49)를 포함한다. 또한, 유동 제어기(80, 90)는 밸브(44, 45) 둘레에 각각 끼워 맞추어져 각각의 채널(46, 47)을 유체 밀봉하는 O링(52, 53)을 포함한다. 밸브(44, 45)가 이들의 각각의 채널(46, 47) 내에 설치된 후에 리테이너(54)가 나사(55 내지 57)를 사용해서 하우징(11)에 연결되어 밸브(44, 45)의 제거를 방지한다.
유동 제어기(80, 90)는 입구 포트(12) 및 출구 포트(13)의 밀봉을 허용함으로써 펌프(19)가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로부터 제거될 때 제품의 누출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펌프(19)가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 상에 위치되면 밸브(44, 45)는 도1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되어 유동 제어 볼(50, 51)을 통과하는 통로와 입구 포트(12) 및 출구 포트(13)를 통과하는 통로를 각각 정렬시킨다. 결과적으로, 펌프(19)에 대한 제품의 유출입 유동이 발생된다. 그러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밸브(44, 45)는 약 4분의1 회전되며, 이러한 회전은 각각의 유동 제어 볼(50, 51)을 통과하는 통로를 선회시켜서 입구 포트(12) 및 출구 포트(13)를 통과하는 각각의 통로와 정렬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포트를 밀봉해서 제품의 유동을 방지한다.
또한,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는 펌프(19)가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로부터 제거될 때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유동 제어기(58)를 포함한다. 유동 제어기(58)는 포핏(poppet)(60)과 이 포핏(60)을 편의시키도록 가스 포트(14)를 통과하는 통로 내의 환형 돌기에 접촉해서 위치된 스프링(59)을 포함하는 밸브이다. O링(61)은 펌프(19)가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 상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가스에 대한 밀봉을 제공하도록 포핏(60)의 끝부분 둘레에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유동 제어기(58)는 출구 부분이 접착제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해서 가스 포트(14)로부터 밀봉되어 가스 포트(14) 내에 스프링(59), 포핏(60) 및 O링(61)을 유지하는 플러그(62)를 포함한다.
펌프(19)가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로부터 제거되면 스프링(59)은 O링(61)이 플러그(62) 내에 끼워 맞추어지고 포핏(60)의 끝부분이 플러그(62)의 개구(63)를 통해 돌출하도록 포핏(60)을 편의시킨다. 포핏(60) 및 O링(61)을 상기 위치로 편의시킨 결과, 가스 포트(14)는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된다. 그러나, 펌프(19)가 신속 접속 인터페이스(10) 상에 위치되면, 가스 채널(35)은 플러그(62)의 개구(63)로부터 포핏(60)을 추진시키는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가스 공급원으로부터 펌프(19) 내로의 가스 유동을 허용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9)에는 펌프를 통해 펌핑되는 유량을 가리키는 계수기(64)가 끼워 맞추어질 수 있다. 픽업(pick-up)(65)이 계수기(64)에 접속된 다음 계수기(64)는 픽업(65)이 대략 링(32)에 인접해서 위치하도록 하우징(28)에 장착된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31)가 전술한 바와 같이 왕복 운동함에 따라서 링(32)은 픽업(65)을 전후로 횡단해서 통과한다. 링(32)이 픽업(65)을 횡단할 때마다 픽업(65)은 계수기(64)를 기동시켜 그 계수를 하나씩 증대시킨다. 따라서, 픽업(65)은 피스톤 로드(31)의 각 행정을 기록하고 계수기(64)를 기동시켜 피스톤 로드 행정의 횟수에 대한 누적 계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31)의 각 행정 중에 펌프(19)로부터 펌핑되는 유량이 기지의 양이 되기 때문에 펌프(19)로부터 펌핑되는 전체 체적을, 계수기(64)에 측정 기록된 피스톤 로드(31)에 의해 수행된 행정의 총수를 사용함으로써 용이하게 계산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 사용이 용이하게 계산되어 펌프의 교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제까지 기계식 픽업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에 통상적으로 숙련된 자라면 전기식 픽업과 같은 임의 형태의 픽업으로 대체할 수도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전술한 실시예의 관점에서 설명하였지만 그와 같은 설명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명료한 바와 같이 많은 대안적 및 등가적 실시예와 다양한 정도의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범주는 어떠한 면에서도 전술한 실시예로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24)

  1.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를 구비한 펌프 인터페이스와,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를 구비한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 포트는 상기 유체 입구와 결합해서 상기 펌프를 지지하고 상기 펌프 내로 유체를 유입시키며, 상기 출구 포트는 상기 유체 출구와 결합해서 상기 펌프를 지지하고 상기 펌프로부터 유체를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인터페이스는 상기 펌프가 상기 펌프 인터페이스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입구 포트로부터의 유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인터페이스는 상기 펌프가 상기 펌프 인터페이스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출구 포트로부터의 유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가스 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인터페이스는 상기 가스 입구와 결합해서 상기 펌프를 지지하고 상기 펌프 내로 가스를 유입시키는 가스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인터페이스는 상기 펌프가 상기 펌프 인터페이스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가스 포트로부터의 가스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적어도 하나의 공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인터페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동부와 결합해서 상기 펌프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인터페이스는 장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포트용 유동 제어기는 상기 입구 포트 내에 위치된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입구 포트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입구 포트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용 유동 제어기는 상기 출구 포트 내에 위치된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출구 포트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출구 포트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포트용 유동 제어기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포트용 밸브는 상기 가스 포트 위에 위치된 개구를 포함하는 플러그와, 상기 가스 포트 내에 위치하는 편의 수단과, 상기 가스 포트 내에서 상기 편의 수단과 상기 플러그 사이에 위치하는 포핏을 포함하고, 상기 편의 수단은 상기 포핏을 상기 플러그의 개구 내로 편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 장치.
  14. 하우징과, 펌프를 지지하고 펌프 내로 유체를 유입시키기 위한 상기 하우징 상의 입구 포트와, 펌프를 지지하고 펌프로부터 유체를 유출시키기 위한 상기 하우징 상의 출구 포트와, 펌프가 제거될 때 입구 포트로부터의 유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 제어기와, 펌프가 제거될 때 출구 포트로부터의 유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접속 펌프 인터페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펌프를 지지하고 펌프 내로 가스를 유입시키기 위한 상기 하우징 상의 가스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접속 펌프 인터페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펌프가 제거될 때 상기 가스 포트로부터의 가스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접속 펌프 인터페이스.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펌프를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접속 펌프 인터페이스.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장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접속 펌프 인터페이스.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포트용 유동 제어기는 상기 입구 포트 내에 위치된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입구 포트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입구 포트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접속 펌프 인터페이스.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용 유동 제어기는 상기 출구 포트 내에 위치된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출구 포트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출구 포트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접속 펌프 인터페이스.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포트용 유동 제어기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접속 펌프 인터페이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포트용 밸브는 상기 가스 포트 위에 위치된 개구를 포함하는 플러그와, 상기 가스 포트 내에 위치하는 편의 수단과, 상기 가스 포트 내에서 상기 편의 수단과 상기 플러그 사이에 위치하는 포핏을 포함하고, 상기 편의 수단은 상기 포핏을 상기 플러그의 개구 내로 편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속 접속 펌프 인터페이스.
  23. 챔버와, 챔버 내로의 입구와, 챔버로부터의 출구와, 입구를 통해 챔버 내로 유체를 흡인하고 챔버로부터 출구를 통해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유체의 흡인 및 배출 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펌프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량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구동 수단에 근접해서 위치되고 구동 수단의 운동을 기록하는 픽업과,
    상기 픽업에 접속되고 상기 픽업이 구동 수단의 운동을 기록하는 것에 응답해서 증분되는 계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기는 구동 수단의 운동에 대한 누적 계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700929A 1995-08-09 1995-08-09 신속접속인터페이스를포함하는펌핑장치 KR100358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5/010116 WO1997006368A1 (en) 1994-06-23 1995-08-09 A pumping apparatus including a quick connect inte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261A true KR19990036261A (ko) 1999-05-25
KR100358869B1 KR100358869B1 (ko) 2003-01-24

Family

ID=2942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929A KR100358869B1 (ko) 1995-08-09 1995-08-09 신속접속인터페이스를포함하는펌핑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58869B1 (ko)
BR (1) BR95106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828B1 (ko) * 2010-01-14 2012-01-02 주식회사 프로텍 리니어 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828B1 (ko) * 2010-01-14 2012-01-02 주식회사 프로텍 리니어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8869B1 (ko) 2003-01-24
BR9510626A (pt) 1999-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3420A (en) Liquid chromatography system
US5492455A (en) Pumping apparatus including a quick connect interface
TWI413732B (zh) 用於具有減低形狀因數之幫浦之系統及方法
US20190054398A1 (en) Pump having an automated gas removal and fluid recovery system and method using a gas removal reservoir having an internal partition
US5477987A (en) Dispensing appliance for at least two components
TW201347855A (zh) 液體定量吐出裝置,其塗佈裝置及液體定量吐出方法
JP5085733B2 (ja) マルチヘッドを備えた精密ポンプ
JP4598377B2 (ja) 複数成分の計量及び分配装置
US5961299A (en) Fluid injector pump with interchangeable reservoir
KR100358869B1 (ko) 신속접속인터페이스를포함하는펌핑장치
JP3947569B2 (ja) 改良されたグラジエント・プロポーショニング・バルブ
WO2001011238A1 (en) Compact dual pump
EP1446272A1 (en) Pump with integral filter for a hot melt adhesive system
US10240591B2 (en) Air operated diaphragm pump
US5096392A (en) Apparatus for conveying paints
AU692918C (en) A pumping apparatus including a quick connect interface
US6244384B1 (en) Transmission fluid exchanger
JPH11510580A (ja) クイックコネクト連結部材を含むポンプ装置
RU215419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качивания, стык для быстрого соединения насос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индикации волюметрического потока жидкости
MXPA98001049A (en) Pumping apparatus including a rap connection interface
TW200413640A (en) Lubricant force feeding pump and method for supplying lubricant by using the force feeding pump
JP2004507693A (ja) モジュール型の双路逆止弁構造
US11835176B2 (en) Lubricating system
CN220982625U (zh) 一种吸阻测试工装
US20080087687A1 (en) Dispenser and fluid-driven proportioning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