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525U - Carrier truck. - Google Patents

Carrier tru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525U
KR19990034525U KR2019980000887U KR19980000887U KR19990034525U KR 19990034525 U KR19990034525 U KR 19990034525U KR 2019980000887 U KR2019980000887 U KR 2019980000887U KR 19980000887 U KR19980000887 U KR 19980000887U KR 19990034525 U KR19990034525 U KR 199900345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adjusting
rod
suppor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88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라재흠
Original Assignee
라재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재흠 filed Critical 라재흠
Priority to KR2019980000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525U/en
Publication of KR199900345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525U/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運搬)대차에 관한 것으로; 운반대차의 높이와 길이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운반대차를 매우 적은 부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병원의 운반용 침대나 성당에서 이루어지는 장례절차에서의 시신운구 수단은 물론 각종의 산업계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주안점을 두어 고안한 것이며; 마주하는 4조의 포스트내에 조절봉을 내삽시키고, 상기 포스트와 조절봉이 지지봉을 횡설시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포스트와 조절봉에 횡설되는 지지봉에 링크기구를 결합시켜 마주하는 포스트가 내측으로 절첩가능하도록 하고, 포스트상에 승강조절 수단을 결착시켜 포스트내에 내삽된 조절봉이 포스트상에 장착된 승강조절 수단에 의해 상하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운반대차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cart; The height and length of the trolley can be adjusted in multiple stage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use, and the trolley can be folded in a very small volume, so that the body can be transported in a funeral procedure in a hospital bed or in a cathedral. Of course, the invention is designed with the focus on making it useful in various industries; The adjustment rod is inserted in the four opposite posts so that the post and the adjustment rod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being rolled up, and the linking mechanism is coupled to the support rod that is laid by the post and the adjustment rod. And it is to provide a transport cart configured to bind the elevating control means on the post so that the adjustment rod embedded in the post can be adjusted up and down length by the elevating control means mounted on the post.

Description

운반대차Carriage

본 고안은 운반(運搬)대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높이와 길이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매우 적은 부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며, 병원용 운반침대나 성당의 장례용 시신운반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운반대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trolley,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and length in multiple stages, and to be able to fold in a very small volume for easy storage and carrying, and to carry a hospital bed or cathedral The invention relates to a carriage designed to be used as a funeral body for funerals.

통상의 운반대차는 대략적인 장방형을 이루도록 조합한 포스트상에 캐스터 및 기타 구동수단을 결착시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위 운반대차는 병원에서 운반용 침대로 사용되며 성당에서 이루어지는 장례시에는 시신운구수단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음은 물론 각종 산업계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carriage is fixed to the caster and other driving means on the post combined to form an approximate rectangle so that the movement is possible. The carriage is used as a carrying bed in the hospital and the body transport means at the funeral in the cathedral As well as being usefully used,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in various industries.

종래의 운반대차는 그 형상이 정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규격을 조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운반대차의 이용이 이루어지지 않을 시에는 보관되는 운반대차가 차지하는 공간이 지나치게 많다는 폐단이 있었다. 특히, 운반대차를 이용하여 응급환자 및 기타의 환자를 이송하는 병원의 경우에는 다량의 운반용 침대를 구비할 수 밖에 없는데 이들 운반침대를 보관하고 있는 상태는 외관상에도 보기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운반침대는 한정된 병원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저해하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성당 등에서는 시신운구수단으로 운반대차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도 비사용시에는 그 보관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 보기에 좋지 않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transport carts can not only adjust the specification if necessary because the shape is standardized, there was a waste of the excessive amount of space occupied by the transport cart is stored when the use of the transport cart is not made. In particular, hospitals that transport emergency patients and other patients by using a trolley cart have to have a large number of transport beds. The storage of these transport beds is not only good in appearance but also a lot of transport. Beds act as a direct factor that hinders the efficient use of limited hospital space. In addition, in the cathedral, etc. are used to transport the body as a means to transport the body, even in this case there was a problem such as not only inconvenient storage, but also unsightly appearance.

종래의 운반대차를 각 분야에서 이용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다수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바, 이들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운반대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When the conventional transport cart is used in each field, many problems as described above have been caused, and the need for a transport cart that can eliminate these problems is urgently needed.

본 고안은 종래 운반대차에서 발생되었던 제반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반대차의 높이와 길이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운반대차를 매우 적은 부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함에 주안점을 두어 고안한 것이며; 마주하는 4조의 포스트내에 조절봉을 내삽시켜 포스트와 조절봉에 횡설되는 지지봉에 링크기구를 결합시켜 마주하는 포스트가 내측으로 절첩가능하도록 하고, 포스트내에 내삽된 조절봉이 포스트상에 장착된 승강조절 수단에 의해 상하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운반대차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that occurred in the conventional transport cart; It is designed with the focus on allowing the height and length of the transport trolleys to be adjusted in multiple stages to maximize utilization efficiency and to fold the transport trolleys in very small volumes; Lifting means for interlocking the adjusting rod in the four opposite posts to couple the link mechanism to the post and the supporting rods which are laid on the adjusting rod so that the opposite posts can be folded inward, and the adjusting rod inserted in the post is mounted on the post. It provides a transport cart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by.

도 1은 본 고안인 운반대차의 일실시례를 도시한 정면도임.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arrier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인 운반대차의 측면도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carrier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조절 수단의 내부구조 및 해제상태를 도시한 획대단면도임.Figure 3 is a larg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and the release state of the lifting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조절 수단의 내부구조 및 잠김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임.Figure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and the locked state of the lift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인 운반대차의 절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임.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carrier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인 운반대차와 매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임.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transport cart and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인 운반대차와 매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임.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transport cart and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매트 및 슬라이드 수단과 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임.Figure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mat and the slide means and the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인 운반대차와 매트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절첩상태도임.Figure 9 is a state of folding in the state that the transport cart and the mat is designed.

도 10은 본 고안인 운반대차의 또다른 사용태양을 도시한 정면도임.Figure 10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arrier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 및 지지대의 결합상태와 지지대의 승강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임.Figure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clamp and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levated state of the support.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 및 지지대의 결합상태와 지지대의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임.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clamp and the support and the lowered state of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운반대차11 : 포스트10: carriage cart 11: post

12 : 승강조절 수단13 : 하우징12: lifting control means 13: housing

15 : 캡18 : 조절봉15: cap 18: adjusting rod

20,20A : 지지봉21 : 링크 수단20,20A: support rod 21: link means

23 : 지지편24 : 조절핀23: support piece 24: adjusting pin

25 : 조절손잡이27 : 매트25: adjusting knob 27: mat

29 : 슬라이드 수단30 : 슬라이더29: slide means 30: slider

33 : 브라켓35 : 클램프33 Bracket 35 Clamp

37 : 지지대38 : 지지프레임37: support 38: support frame

40 : 고정끈S : 탄발스프링40: fixing strap S: tan ball spring

"도 1"은 본 고안인 운반대차의 일실시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운반대차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를 통해 본 고안인 운반대차(10)는 상호 마주하며 지지봉(2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2조의 포스트(11)내에 조절봉(18)을 내삽시켜 그 상단에 합성수지의 재질로 성형되는 지지편(23)을 결착하고, 상기 조절봉(18)간에 지지공(20A)을 횡설하여 조절봉(18)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포스트(11)에 승강조절 수단(12)을 결착시켜 포스트(11)에 내삽된 조절봉(18)이 승강조절 수단(12)의 제어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고, 마주하는 포스트(11) 및 조절봉(18)을 지지하고 있는 각각의 지지봉(20,20A)이 다수의 링크바(22)를 조합한 링크 수단(21)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링크 수단(21)의 상부에 합성수지 등의 재질에 의해 성형된 지지편(23)을 결착시킨 것임을 알 수 있다."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rrier, "FIG. 2" is a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ier car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bar is shown to support each other is formed by the material of the synthetic resin on the upper end by interpolating the adjusting rod 18 in the two posts 11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rod 20 The piece 23 is fastened, the support rod 20A is rolled out between the adjusting rods 18 so that the adjusting rods 18 can be supported, and the lifting adjusting means 12 is attached to the posts 11. The adjusting rod 18 inserted into the post 11 can be moved up and down by the control of the elevating adjusting means 12, and supports the opposite post 11 and the adjusting rod 18. Each support rod 20, 20A is coupled to each other by a link means 21 combining a plurality of link bars 22, and a support piec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on top of the link means 21 ( 23) can be seen that the binding.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조절 수단(12)의 내부구조와 승강조절 수단(12)의 해제 및 잠금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1)에 고정공(11A)이 천공되도록 하고, 상기 포스트(11)에 내삽되는 각각의 조절봉(18)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개의 조절공(19)이 천공되도록 한다. 상기 포스트(11)상에 핀공(14)이 천공된 하우징(13)을 결착시켜 핀공(15)상에 탄발스프링(S)에 의해 탄지되도록 한 조절핀(24)을 내삽시킨다. 상기 하우징(13)에 구획된 외단연(16)과 경사면(17)을 구비하는 캡(15)을 결합시키고, 하우징(13)내에 탄지된 조절핀(24)의 단부에 캡(15)의 경사면(17)과 외단연(16)에 연접될 수 있도록 한 돌출편(26)이 형성된 조절손잡이(25)를 결합시켜 조절손잡이(25)의 회동에 따라 조절손잡이(25)에 결합된 조절핀(24)이 전.후진될 수 있도록 하고, 조절핀(24)의 단부는 포스트(11)에 천공된 핀공(11A)과 조절봉(18)에 천공된 조절봉(19)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하여 조절손잡이(25)의 회동에 의해 조절봉(18)의 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손잡이(25)이 형성된 돌출편(26)이 캡(15)의 외단연(16)에 연접하게 되면 조절핀(24)이 조절봉(18)에 천공된 조절공(19)으로부터 이탈되어 승강조절수단(12)의 해제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손잡이(25)에 형성된 돌출편(27)이 캡(15)의 경사면(17)에 연접하게 되면 조절핀(24)의 선단이 조절봉(18)에 천공된 다수의 조절공(19)중 선택된 하나의 조절공(19)에 끼워져 승강조절 수단(12)의 잠금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3 to 4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ifting control means 12 and the release and locking state of the lifting control means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hole 11A is drilled, and each of the adjusting rods 18 inserted into the post 11 is drilled with a plurality of adjusting holes 19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nterlock the housing 13 having the pin hole 14 drilled therein so that the adjusting pin 24 is held by the ball spring S on the pin hole 15. The outer edge partitioned in the housing 13 is inserted. The cap 15 including the inclined surface 17 and the inclined surface 17 are coupled to the inclined surface 17 and the outer edge 16 of the cap 15 at the end of the adjustment pin 24 held in the housing 13. Combination of the control knob 25 is formed with a protrusion 26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pin 24 coupled to the control knob 25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ontrol knob 25 is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end of the adjustment pin 24 has a length that can penetrate the pin hole (11A) perforated in the post 11 and the control rod (19) perforated in the control rod (18) adjustment knob (25) ) To adjust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adjusting rod 18.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protrusions 26 having the adjusting knob 25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ap 15. When it is in contact with the edge 16, the adjustment pin 24 is released from the control hole 19 punched in the control rod 18 so that the lifting control means 12 can be maintained in the released state, "Fig. 4"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protruding piece 27 formed on the adjusting knob 25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surface 17 of the cap 15, the tip of the adjusting pin 24 is drilled into the adjusting rod 18. The selected one of the balls 19 is fitted into the adjustment hole 19 so that the lift control means 12 can be maintained in a locked state.

"도 5"는 본 고안인 운반대차(10)의 절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the transport car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운반대차(10)는 승강조절 수단(12)의 조절손잡이(25)를 회동시켜 조절핀(24)의 단부가 조절봉(18)에 천공된 조절공(19)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상태에서 마주하는 포스트(11)를 내측으로 밀어 주면 링크 수단(21)이 세로방향으로 절첩되어 운반대차(10)의 길이가 대폭 축소되고, 상기와 같이 축소시킨 상태에서 승강조절 수단(12)의 조절손잡이(25)를 원복시켜 주면 조절핀(24)의 단부가 조절봉(18)에 천공된 조절공(19)에 끼워져 운반대차(10)의 축소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As shown, the carrier car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adjusting knob 25 of the lifting adjusting means 12 from the adjusting hole 19 where the end of the adjusting pin 24 is drilled in the adjusting rod 18. When the posts 11 facing each other are pushed inward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the link means 21 is fo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ength of the transport trolley 10 is greatly reduced, and the lifting control means (in the state as described above) is reduced. When the control knob 25 of 12) is undone, the end of the adjustment pin 24 is fitted into the adjustment hole 19 perforated in the control rod 18 to maintain a reduced state of the transport cart 10.

"도 6"은 본 고안인 운반대차(10)의 사용태양으로서 운반대차(10)와 매트(27)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운반대차(10)와 매트(27)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를 통해 본 사용태양에서는 운반대차(10)와, 절첩힌지(28)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의 다단계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한 매트(27)가 슬라이드 수단(29)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운반대차(10)를 병원용 침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transport cart 10 and the mat 27 as a usage mode of the transport car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the transport cart 10 and the mat 27. ) Is a sid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Through the bar shown in this use mode, the carriage cart 10 and the mat 27 which can be folded by the folding hinge 28 in the zigzag form in multiple stages are combined by the slide means 29, and the carriage cart ( It can be seen that 10) can be used as a hospital bed.

"도 8"은 본 고안인 운반대차(10)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수단(29) 및 매트(28)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일부 파절 확대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수단(29)은 양단에 스톱퍼(32)를 구비하는 슬라이더(30)의 저부에 가이드레일(31)을 형성시켜 상기 가이드레일(31)이 브라켓(33)에 구비되는 가이드홈(34)상에 내삽될 수 있도록 하여 슬라이더(30)가 브라켓(33)상에서 좌우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슬라이더(30)상에는 매트(27)가 착설되고, 브라켓(33)은 마주하고 지지봉(20A)의 양측에 회동가능토록 축설된다.FIG. 8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some fractures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transport cart 10 and the slide means 29 and the mat 2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slide means 29 forms guide rails 31 at the bottom of the slider 30 having stoppers 32 at both ends thereof, so that the guide rails 31 are provided on the bracket 33. In order to be interpolated on (34), the slider 30 can be transported from side to side on the bracket 33. On the slider 30, a mat 27 is installed, and the bracket 33 faces each other. It is arranged to be rotatable on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rod 20A.

"도 9"는 본 고안인 운반대차(10)와 매트(27)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절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대차(10)를 내측으로 절첩시킨 상태에서 매트(30)를 지그재그로 절첩시켜 매트(30)를 회동시켜 주면 슬라이더(30)의 가이드레일(31)이 브라켓(33)에 형성된 가이드홈(34)을 따라 하강하여 슬라이더(30)에 결착된 매트(30)가 포스트(11)와 수직으로 평행을 이루며 절첩되게 된다.9 is a folded state diagram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port cart 10 and the mat 27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transport trolley 10 is folded inward, the mat 30 is zigzag-folded to rotate the mat 30 so that the guide rail 31 of the slider 30 is formed on the bracket 33. The mat 30, which is lowered along the guide groove 34 and bound to the slider 30, is folded in parallel with the post 11.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인 운반대차(10)에 다단계로 절첩가능한 매트(27)를 착설시킨 것으로 운반대차(10)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매트(27)를 펼치면 구획된 각각의 매트(27)가 포스트(11)에 내삽된 조절봉(18)의 상부에 결착된 지지편(23)과 링크 수단(21)상에 결착된 지지편(23)상에 견고하게 거치되어 운반용 침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비사용 시에는 운반대차(10)의 길이를 축소시키고 매트(27)를 가단으로 절첩시켜 그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다량의 운반용 침대를 구비하여야 하는 병원 등에서 보다 적은 보관장소로 다량의 운반침대를 보관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t 27 that is foldable in multiple stages is installed on the transport car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mat 27 is unfolded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port cart 10 is extended, each of the partitioned mats 27 posts. It is firmly mounted on the support piece 23 boun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rol rod 18 inserted into the (11) and the support piece 23 bound to the link means 21, and can be used as a transport bed. When not in use, the length of the transport cart 10 can be reduced and the mat 27 can be folded by malleable to minimize its volume. Because it can be stored, the limited space can be used efficiently.

"도 10"은 본 고안인 운반대차(10)의 또다른 사용태양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를 통해 본 사용태양에서는 운반대차(10)를 구성하는 포스트(11)내에 내삽된 조절봉(18)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봉(20,20A))상에 상.하로 축중심의 승.하강을 할 수 있도록 한 지지프레임(38)을 결합시킨 것임을 알 수 있다.10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arriag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bar shown in the present use mode, the shaft is moved up and down on the support rods 20 and 20A supporting the control rods 18 inserted in the posts 11 constituting the carriage 10. It can be seen that the support frame 38 is combined to enable.

"도 11"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35) 및 지지대(37)의 결합상태와 지지대(37)의 승.하강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1)에 내삽된 각각의 조절봉(18)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봉(20,20A)상에 반원형의 걸림홈(36)이 형성된 클램프(35)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된 클램프(35)상에 지지대(37)를 회동가능토록 축설시키고, 상기 지지대(37)의 저부에는 클램프(35)에 형성된 걸림홈(36)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 강구(39)가 탄발스프링(S)에 의해 탄지되도록 하고, 상기 축설된 지지대(37)상에 지지프레임(38)을 결착시키고, 상기 결착된 양측의 지지프레임(38)에 잠금버클(41)를 구비하는 고정끈(40)을 체결시켜 지지프레임(38)의 승.하강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운반대차(10)를 소망하는 길이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8)을 승강시켜 지지대(37)의 저부에 탄설된 강구(39)가 클램프(35)에 형성된 걸림홈(36)에 끼워지도록 하여 지지프레임(37)이 승강위치를 유지토록 한 상태에서 양측의 지지프레임(37)에 체결된 고정끈(40)을 체결시켜 주면 지지프레임(37)의 승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8)간에 체결된 고정끈(40)을 해체시킨 상태에서 지지프레임(38)을 하강시켜 주면 지지대(37)의 저부에 탄설된 강구(39)가 클램프(35)에 형성된 걸림홈(36)으로부터 이탈되며 축중심으로 회동하여 지지프레임(38)이 포스트(11)와 수직으로 평행을 이루며 절첩될 수 있도록 한다.11 to 12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coupled state of the clamp 35 and the support 37 and the raised and lowered state of the support 3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lamp 35 having the semicircular locking grooves 36 is formed on the supporting rods 20 and 20A supporting the respective adjustment rods 18 inserted into the posts 11. Steel balls 39, which are arranged to be rotatably arranged on the clamp 35 so as to be rotatable, and to be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s 36 formed on the clamp 35,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37. Fixing strap 40 so as to be supported by S), and to bind the support frame 38 on the built-up support 37, and having a locking buckle 41 in the support frame 38 on both sides of the fixed support (40). Fasten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support frame 38 by fastening. That is, the steel balls 39, which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37 by lifting the support frame 38 as shown in FIG. 11 in the state in which the carriage cart 10 is elongated to a desired length, are clamped. The fastening straps 40 fastened to the support frames 37 on both sides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frame 37 is maintained at the lifted position so as to be fitted into the engaging grooves 36 formed in the support frame 37. The lifted state of the support can be maintained firmly, and as shown in Figure 12, the support frame 38 is lowered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strap 40 fastened between the support frames 38 is dismantled. The steel ball 39 coalesced at the bottom of the 37 is separated from the catching groove 36 formed in the clamp 35 and rotates axially so that the support frame 38 can be folded in parallel with the post 11 in a vertical direction. Make sure

상기와 같이 운반대차(10)에 지지프레임(38)이 결합되도록 구성하면 지지프레임(38)을 승강시켜 고정끈(40)을 체결한 상태에서 포스트(11)에 내삽된 조절봉(18)의 상부에 결착된 지지편(23)과 링크 수단(21)에 결착된 지지편(23)상에 관을 거치시키고 고정끈(40)상에 장막을 칠 수 있는 것으로 성당 등에서 이루어지는 장례절차에서 시신운구 수단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support frame 38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transport trolley 10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rod 38 is lifted to raise and lower the support frame 38 so that the fixing rod 40 is fastened to the post 11. The body can be mounted on the support piece 23 bound to the upper support piece 23 and the link means 21, and the curtain can be laid on the fixing strap 40.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mean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운반대차와 그에 부수적으로 착설되는 구성요소를 최소의 부피가 될 수 있게끔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에 따라 운반대차의 보관장소를 최소화시켜 한정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운반대차를 병원이나 성당등에서 운반침대나 시신운반 수단으로 등으로 사용할 시에는 그 비사용시의 보관공간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보관시에 외관상으로 드러나는 불쾌함도 해소할 수 있는 등의 다채로운 효과를 득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reduced to the minimum volume of the transport cart and the components installed there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use the limited space more efficiently by minimizing the storage location of the transport carts. Especially, when the transport cart is used as a transport bed or a body transport means in a hospital or a cathedral, there is a problem about the storage space when not in use It is a very advantageous design that can not only solve the problem but also obtain various effects such as eliminating the appearance of unpleasant appearance during storage.

Claims (5)

상호 마주하며 지지봉(20)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 2조의 포스트(11)에 고정공(11A)을 천공하고; 상기 포스트(11)내에 내삽되어 지지봉(20A)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각각의 조절봉(18)에 소정간격을 갖는 다수개의 조절공(19)을 천공하고; 상기 포스트(11)상에 승강조절 수단(12)을 결착시켜 조절봉(18)이 승강조절 수단(12)의 제어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포스트(11) 및 조절봉(18)을 지지하는 각각의 지지봉(20,20A)이 다수의 링크바(22)를 조합한 링크 수단(21)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조절봉(18)의 상단과 링크 수단(21)상에 지지편(23)을 결착시켜 구성되어짐을 그 특징으로 하는 운반대차.Perforating the fixing holes 11A in two sets of posts 11 facing each other and coupled by the supporting rods 20; Drilling a plurality of adjusting holes (19)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n each of the adjusting rods (18) inserted into the post (11)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ing rods (20A); Engaging the elevating adjusting means (12) on the post (11) so that the adjusting rod (18) can be moved up and down by the control of the elevating adjusting means (12); Each of the supporting rods 20 and 20A for supporting the post 11 and the adjusting rod 18 is coupled by the link means 21 in which the plurality of link bars 22 are combined. A carriage c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and the support piece (23) on the link means 21 is formed by binding. 상기한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조절봉(18)의 승하강 제어를 위한 승강조절 수단(12)은; 포스트(11)상에 핀공(14)이 천공된 하우징(13)을 결착시키고, 상기 하우징(13)의 핀공(14)상에 탄발스프링(S)에 탄지되도록 한 조절핀(24)을 내삽시켜 조절핀(24)의 단부가 포스트(11)에 천공된 핀공(11A)을 관통하여 조절봉(18)에 천공된 조절공(19)에 내삽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13)에 구획된 외단연(16)과 경사면(17)을 구비하는 캡(15)을 결합시키고, 하우징(13)내에 탄지된 조절핀(24)의 단부에 캡(15)의 경사면(17)과 외단연(16)에 연접될 수 있도록 한 돌출편(26)이 형성된 조절손잡이(25)를 결합시켜 구성되어짐을 그 특징으로하는 운반대차.Lift control means 12 for the lift control of the adjustment bar (18); The housing 13 having the pin hole 14 perforated on the post 11 is attached, and the adjusting pin 24 interposed between the pin spring 14 and the pin hole 14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The end of the adjusting pin 24 is inserted into the adjusting hole 19 punched in the adjusting rod 18 through the pin hole 11A punched in the post 11, and partitioned in the housing 13 The cap 15 having the outer edge 16 and the inclined surface 17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inclined surface 17 and the outer edge 16 of the cap 15 are connected to ends of the adjustment pins 24 held in the housing 13. Transport ca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by combining the adjustment knob 25 is formed with a projection piece 26 to be connected to the). 상기한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운반대차(10)를 구성하는 양측의 포스트(11)중 어느 일측의 포스트(11)에 내삽된 조절봉(18)에 횡설되는 지지봉(20A)에 슬라이드 수단(29)을 결합시키고;Engaging the slide means (29) to a support rod (20A) rolled over to an adjustment rod (18) interpolated in one of the posts (11) on either side of the carriage (10); 상기 슬라이드 수단(29)상에 절첩힌지(28)에 의해 지그재그형의 다단계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한 매트(27)를 착설시켜 구성되어짐을 그 특징으로 하는 운반대차.And a mat (27) mounted on the slide means (29) so as to be folded in a zigzag multi-stage by a folding hinge (28). 상기한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슬라이드 수단(29)은 양단에 스톱퍼(32)를 구비하는 슬라이더(30)의 저부에 가이드레일(31)을 형성시키고, 상기 가이드레일(31)이 브라켓(33)에 구비되는 가이드홈(34)상에 내삽될 수 있도록 하여 슬라이더(30)상에는 매트(27)를 착설시키고, 브라켓(33)은 지지봉(20A)의 양측에 회동가능토록 축설한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하는 운반대차.The slide means 29 forms guide rails 31 at the bottom of the slider 30 having stoppers 32 at both ends, and the guide grooves 34 having the guide rails 31 provided on the bracket 33. A mat (27) is installed on the slider (30) so as to be interpolated on the bracket, and the bracket (33)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rod (20A) so as to be rotatable. 상기한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포스트(11)에 내삽된 각각의 조절봉(18)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봉(20,20A)의 양측에 반원형의 걸림홈(36)이 형성된 클램프(35)를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된 클램프(35)상에 걸림홈(36)에 끼워지도록 한 강구(39)를 탄설시킨 지지대(37)를 회동가능케 축설하고, 상기 축설된 지지대(37)상에 지지프레임(38)을 결착하여 지지프레임(38)에 잠금버클(41)을 구비하는 고정끈(40)을 체결시켜 구성되어짐을 그 특징으로 하는 운반대차.The clamp 35 having the semicircular locking grooves 36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rods 20 and 20A supporting each of the adjustment rods 18 inserted into the post 11 is fixed. ) Pivotally supports a support (37) on which the steel balls (39) fitted to the locking groove (36) are pivotally mounted, and a support frame (38) is attached to the extended support (37). Carrying ca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asten the fixing strap 40 having a locking buckle (41).
KR2019980000887U 1998-01-21 1998-01-21 Carrier truck. KR1999003452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887U KR19990034525U (en) 1998-01-21 1998-01-21 Carrier tru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887U KR19990034525U (en) 1998-01-21 1998-01-21 Carrier tru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525U true KR19990034525U (en) 1999-08-25

Family

ID=6971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887U KR19990034525U (en) 1998-01-21 1998-01-21 Carrier tru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4525U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759A (en) * 2000-07-18 2002-01-29 박상호 Magic carrier
KR101484092B1 (en) * 2014-05-14 2015-01-19 선경신 stroller
KR102229718B1 (en) * 2020-07-06 2021-03-18 이용욱 Moving cart for carry coffi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759A (en) * 2000-07-18 2002-01-29 박상호 Magic carrier
KR101484092B1 (en) * 2014-05-14 2015-01-19 선경신 stroller
KR102229718B1 (en) * 2020-07-06 2021-03-18 이용욱 Moving cart for carry coff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6456A (en) Rail system for bed or stretcher
DE60013769T2 (en) Convertible multi-purpose multi-level stable
US3049726A (en) Mobile body lift
US4724555A (en) Hospital bed footboard
EP0991344B1 (en) Bed, specially a medical or care bed
US8051511B2 (en) Emergency stretcher
DE3313843C2 (en) Sickbed
JP3549093B2 (en) Retractable side fence in bed etc.
DE112014002016T5 (en) Multifunction hospital bassinet
US20030131409A1 (en) Infant sleeper
KR19990034525U (en) Carrier truck.
GB2559104A (en) Barrier for a bed
WO2006056146A1 (en) Sideboard of bed particularly for hospital bed
EP2644176B1 (en) Person-support apparatus with removable siderail
EP3075367B1 (en) Health care bed with variable width bed frame
GB2517311A (en) Folding and Unfolding Structure for Electric Folding Bed
DE3618526A1 (en) MEDICAL LIFE AND TRANSPORTATION DEVICE
JP2882519B2 (en) Side fences in beds with height adjustment function
JPS6015548Y2 (en) Side fence support mechanism
DE3319877C2 (en)
JP2927417B1 (en) Retractable side fence in beds etc.
EP1053735A2 (en) A side rail assembly for a bed or the like
JP3221662B2 (en) Elevating bed side guard mechanism
CN217660481U (en) Space-saving medical transfer trolley
CN219307212U (en) Nursing bed for child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