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127U - 전류차단 여부 확인이 가능한 전선퓨즈 - Google Patents

전류차단 여부 확인이 가능한 전선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127U
KR19990034127U KR2019980000366U KR19980000366U KR19990034127U KR 19990034127 U KR19990034127 U KR 19990034127U KR 2019980000366 U KR2019980000366 U KR 2019980000366U KR 19980000366 U KR19980000366 U KR 19980000366U KR 19990034127 U KR19990034127 U KR 199900341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wire
fuse
fault
over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수
Original Assignee
전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인수 filed Critical 전인수
Priority to KR2019980000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127U/ko
Publication of KR199900341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127U/ko

Link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의 도중에 설치되어 전선에 과전류나 고장전류등 이상전류가 도통되게 되면 자동적으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전선퓨즈를 2중 엘레멘트 구조로 구성하여 순간적으로 전선에 이상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상전류의 흐름을 차단함과 동시에 내부의 온도퓨즈가 발열하여 명판을 태움으로서 이상전류가 흘러 퓨즈에 의해 전류의 흐름이 차단상태임을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외통(1)으로 둘러 싸이는 내통(2)내부에는 분할판(24)과 분할핀(23)을 사이에 두고 구분 설치되는 과전류차단부(21)와 고장전류차단부(22)의 일단을 양단의 접속단자(3)(4)에 각각 연결 설치하되 상기 고장전류차단부(22)주위에는 소호재(25)를 충진하고, 상기 과전류차단부(21) 및 고장전류차단부(22)에는 각각 저항선(5)의 양단을 각각 접속하고 상기 저항선(5)의 도중에는 온도퓨즈(6)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차단 여부 확인이 가능한 전선퓨즈이다.

Description

전류차단여부 확인이 가능한 전선퓨즈
제1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선퓨즈의 내통부를 제외한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2 : 내통
3, 4 : 접속단자5 : 저항선
6 : 온도퓨즈21 : 과전류차단부
22 : 고장전류차단부23 : 분할핀
24 : 분할판25 : 소호재
본 고안은 전류차단 여부 확인이 가능한 전선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의 도중에 설치되어 전선에 과전류나 고장전류등 이상전류가 도통되게 되면 자동적으로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전선퓨즈를 2중 엘레멘트 구조로 구성하여 순간적으로 전선에 이상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상전류의 흐름을 차단함과 동시에 내부의 온도퓨즈가 발열하여 명판을 태움으로써 이상전류가 흘러 퓨즈에 의해 전류의 흐름이 차단상태임을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전압의 전류가 흐르는 전선의 도중에는 순간적으로 과전류나 고장전류등의 이상전류가 흐르게 되어 발생될 수 있는 피해를 사전에 막기 위해 전선 퓨즈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바, 이와같이 전선도중에 설치되는 종래 전선퓨즈의 경우에는 전선에 이상전류가 도통되게 되면 전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는 하지만 과전류에 의해 퓨즈가 손상되었음을 외부에 알리기 위한 별도의 표시수단을 구비하고 있지않기 때문에 전선도중에 설치된 퓨즈에 대한 손상여부, 즉 일시적으로 이상전류가 흘렀는지의 여부에 대해 외부에서 전혀 알 수 없는 상태이므로 전선이 전류가 흐를 수 없는 상태로 장기간에 걸쳐 방지될 수 밖에 없게 되는 동시에 어느전선의 어느퓨즈가 차단되었는지를 정확하게 알수없게 되므로 해당전선에 대한 신속한 보수유지가 불가능하게 되어 그에 따른 전력수요가들의 불편은 물론 산업현장에까지도 그 영향을 끼치게 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선도중에 설치되어 일시적으로 전선에 이상전류가 흐를 경우 전류의 흐름을 자동으로 차단토록 하는 종래 전선퓨즈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전선퓨즈의 구조를 2중 엘레멘트 구조로 하여 전선의 도중에 설치된 상태에서 돌발적으로 전선에 과전류 또는 고장전류 등의 비정상적인 이상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와같은 이상전류를 차단함과 동시에 내부의 온도퓨즈가 발열하면서 외부의 명판을 태움으로써 퓨즈의 상태를 보아 전선에 대한 전류의 차단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여 과전류나 고장전류등의 이상 전류에 의해 피해를 본 해당전선의 신속한 보수유지가 가능하게 한 전류차단여부 확인이 가능한 전선퓨즈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통(1)으로 둘러 싸이는 내통(2)내부에는 분할판(24)과 분할핀(23)을 사이에 두고 구분 설치되는 과전류차단부(21)와 고장전류차단부(22)의 일단을 양단의 접속단자(3)(4)에 각각 연결 설치하되 상기 고장전류차단부(22)주위에는 소호재(25)를 충진하고, 상기 과전류차단부(21) 및 고장전류차단부(22)에는 각각 저항선(5)의 양단을 각각 접속하고 상기 저항선(5)의 도중에는 온도퓨즈(6)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차단 여부 확인이 가능한 전선퓨즈(A)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7은 외통(1)의 양단에 설치되는 방수캡, 8은 접속단자(3)(4)외부 및 방수캡(7)을 감싸설치되는 단자캡, 9는 접속단자(3)(4) 및 단자캡(8)외면을 감싸는 단자커버, 10은 전선, 11은 상기 내통(2)내의 접속단자(4)외주에 설치되는 접속핀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의한 전류차단 여부 확인이 가능한 전선퓨즈(A)의 실시사용상태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선퓨즈(A)는 전선퓨즈(A) 양단의 접속단자(3)(4)내부로 전선(10)의 심선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전용 압착고정구로 강하게 압착함으로써 전선(10)도중에 퓨즈(A)를 고정설치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전선(10)의 도중에 설치된 퓨즈(A)는 설정된 적정전압의 전류가 전선(10)을 통해 정상적으로 흐르도록 한다.
이렇게 전선(10)도중에 전선퓨즈(A)가 설치된 상태에서 일정전압의 전류가 흐르다가 일시적으로 전선(10)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선퓨즈(A)내로 과전류가 유입되게 되면 내통(2)내에 설치된 과전류차단부(21)가 용융되면서 일차적으로 과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고 차단된 전류는 저항선(5)을 타고 흐르면서 저항선(5)도중에 설치된 온도퓨즈(6)를 발열시켜 외통(1)의 명판으로 하여금 저항선(5)이 감긴방향에 따라 태워지게 함으로써 과전류가 흘렀음을 퓨즈외부에 표시되게 하여 전선에 대한 전류의 차단상태를 외부에서 알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전선(10)에 고장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류는 그대로 내통(2)내로 유입되면서 고장전류차단부(22)가 용융되면서 고장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고 차단된 전류는 역시 저항선(5)을 타고 흐르면서 저항선(5)도중에 설치된 온도퓨즈(6)를 발열시켜 외통(1)의 명판으로 하여금 저항선(5)이 감긴 방향에 따라 태워지게 함으로써 고장전류가 흘렀음을 퓨즈외부로 표시되게 하여 전선이 전류차단 상태에 있음을 알리게 된다.
이때 내통(2)의 고장전류차단부(22) 주위에는 소호재(25)를 충진함으로써 고장전류 차단시 발생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소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전류차단여부 확인이 가능한 전선퓨즈에 의하면, 전선도중에 설치되어 전선에 과전류나 고장전류등 이상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동적으로 이상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전선퓨즈의 구성을 2중 엘레멘트 구조로 하여 순간적으로 전선에 이상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상전류의 흐름을 차단함과 동시에 퓨즈의 차단상태를 외부에서 신속하게 알 수 있게 함으로써 이상전류에 의해 소손된 해당전선을 신속하게 보수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류의 흐름을 신속히 재개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전류차단 여부 확인이 가능한 전선퓨즈(A)를 구성함에 있어서,
    외통(1)으로 둘러 싸이는 내통(2)내부에는 분할판(24)과 분할핀(23)을 사이에 두고 구분 설치되는 과전류차단부(21)와 고장전류차단부(22)의 일단을 양단의 접속단자(3)(4)에 각각 연결 설치하되 상기 고장전류차단부(22)주위에는 소호재(25)를 충진하고, 상기 과전류차단부(21) 및 고장 전류차단부(22)에는 각각 저항선(5)의 양단을 각각 접속하고 상기 저항선(5)의 도중에는 온도퓨즈(6)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차단 여부 확인이 가능한 전선퓨즈.
KR2019980000366U 1998-01-15 1998-01-15 전류차단 여부 확인이 가능한 전선퓨즈 KR199900341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366U KR19990034127U (ko) 1998-01-15 1998-01-15 전류차단 여부 확인이 가능한 전선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366U KR19990034127U (ko) 1998-01-15 1998-01-15 전류차단 여부 확인이 가능한 전선퓨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127U true KR19990034127U (ko) 1999-08-25

Family

ID=6971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366U KR19990034127U (ko) 1998-01-15 1998-01-15 전류차단 여부 확인이 가능한 전선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412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093B1 (ko) * 2000-12-27 2003-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류 과부하 테스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093B1 (ko) * 2000-12-27 2003-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류 과부하 테스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2496B (fi) Suojakytkentä ja suojapistoke tietoliikennelaitteissa
EP3244437A1 (en) High-voltage direct-current temperature fuse
RU2407122C1 (ru) Вставной разрядник защиты от перенапряжения
ES2268602T5 (es) Conjunto para protección de sobretensiones debidas a los rayos
JPS59169029A (ja) 高温技術電流遮断器
CN105103393A (zh) 用于过电压保护器的过载保护的布置
KR101799954B1 (ko) 과열로 인한 사고 확산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ITBG20090031A1 (it) Trasformatore di corrente, dispositivo di protezione comprendente tale trasformatore, e relativo interruttore.
US20080191833A1 (en) Thermal Protection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and Fittings
KR890002940A (ko) 고전압회로용 휴즈
KR19990034127U (ko) 전류차단 여부 확인이 가능한 전선퓨즈
CA1285308C (en) Alternating current power circuit and fuse therefor
CN209912827U (zh) 一种能承载电流和电弧的气体放电结构
US20160189904A1 (en) Protection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Vacuum Fuses
CN101038806B (zh) 具有简化设计和增加的可靠性的过压保护装置
US6619990B2 (en) Short-circuit current limiter
US3587024A (en) High voltage power vacuum fuse
KR200264636Y1 (ko) 한류형 전력퓨즈
ES2396726T3 (es) Dispositivo de protección contra sobretensiones con seguridad mejorada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correspondiente
KR20040065462A (ko) 누전 차단기
CN219873387U (zh) 断路器
KR200386128Y1 (ko) 누전차단기능을 갖는 분기콘센트
CN108604518A (zh) 具有内部开关元件的负载电流保险丝
JPS6228040Y2 (ko)
SU604051A1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