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784A - 전력계통 사고파급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전력계통 사고파급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784A
KR19990033784A KR1019970055203A KR19970055203A KR19990033784A KR 19990033784 A KR19990033784 A KR 19990033784A KR 1019970055203 A KR1019970055203 A KR 1019970055203A KR 19970055203 A KR19970055203 A KR 19970055203A KR 19990033784 A KR19990033784 A KR 1999003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data
station
control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8156B1 (ko
Inventor
김일동
추진부
김영주
Original Assignee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이종훈
Priority to KR1019970055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156B1/ko
Publication of KR1999003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5Fault detection or status ind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02H7/261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stations
    • H02H7/262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stations involving transmissions of switching or blocking orders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전력계통에서 관련 발ㆍ변전소의 상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취득(25mS : 모장치, 자국2, 12.5mS : 자국1)하여 모국에서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태를 감시하고 안정화 방안을 결정하여 주요송전선로 사고발생시 결정돤 안정화제어를 실행하여 대규모 정전과 설비피해를 방지한다.
사고판정을 신속ㆍ정확하게 하기위해 두 개의 입력요소(송전선로 순시전류, 차단기 트립전류 검출)를 추가하여 사고인식 시간을 50mS, 제어부를 개선하여 19mS, 소요시간을 총 69mS 단축시켜 기존의 안정화 장치로는 구현이 불가능 했던 계통절환 제어를 가능하게 하였을 뿐만아니라 빠른속도로 인한 안정화 효율 증대로 차단발전기 대수를 줄일 수 있어 효과적인 사고파급방지를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계통 사고파급방지장치
본 발명은, 특정지역계통에서 몇 개소의 발.변전소 계통 데이터를 취득하여 사고를 인식하고, 조류 상황을 파악하여 그 사고의 파급을 억제하는 조치를 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장인식, 안정화 알고리즘 및 차단기 제어를 위한 전력계통 사고 파급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전력계통은 입지 확보 어려움으로 인하여 발전소의 대단지 및 대용량화가 이루어지는 추세이고, 이에따라 발전소 관련 송전선로도 대용량 선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력계통 운용은 계통의 대형화와 다중연계운전에 따른 고장용량 증가로 일부 발변전소의 모선분리 및 송전선로에 의한 계통분리 운전과 특정 송전선로의 전력수송 밀도 증가로 이러한 계통에서 송전선로 고장이 발생되면, 발전기 탈조 및 대 지역 정전을 초래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대단위 발전기 군이 속해 있는 전력계통에서 주요 송전선로 고장이 발생하면 이로 인해 전력계통이 불안정해지고 해당 계통의 발전기가 동기탈조하여 대규모 정전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전력계통에서 주요 발변전소에 전력계통 사고파급 방지장치의 모국 또는 자국을 설치하여 계통데이터를 취득,취합하여 송전선로 사고 발생시 250mS내에 계통을 안정화 시킬 수 있는 최소의 발전기 대수를 선정하여 차단, 계통절환 또는 계통절환과 전원제한을 병행하는 방안중 한 방안의 제어를 실행하여 해당계통에 속해있는 발전기들의 동기탈조를 방지하여 대규모 정전과 전력설비의 피해를 방지한다.
종래의 사고파급 방지 장치에 의하면, 취득데이터는 보호계전기 동작정보, 차단기 상태(on/off), 발전량, 송전선로 조류이며 송전선로의 고장인식은 이를 근거로 한다.
고장의 최종적인 판정은 송전선로 차단기의 차단이 종료된 후에 확인이 가능하다. 고장발생에서 차단기 트립확인 까지는 100mS(보호계전기 동작시간 50mS + 차단기 동작 시간 50mS )가 소요되며 데이터 전송 및 알고리즘 수행시간 50mS, 안정화 알고리즘 수행후 차단기를 제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제어부에서의 보조계전기의 지연시간 20mS, 차단기 차단시간 50mS, 차단기 투입 시간150mS 로 총 소요시간은, 즉 사고발생으로부터 차단기제어 완료 까지는 차단제어가 220mS, 투입(계통절환)제어가 320mS 이다. 이는 종래 시스템으로 발전기 차단에 의한 안정화 제어는 가능하나 차단기 투입에 의한 계통절환은 제어시간 과다 소요로 계통 안정화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식하고 제어부에서의 보조계전기의 지연시간을 줄여 250mS이내에 안정화제어(계통절환, 전원제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입력요소(송전선로순시전류, 차단기 트립전류 검출)를 추가하여 사고지속시간중에 사고를 판정하여 사고인식 소요시간을 최대 50mS 정도 감소시키며, 제어부의 코일형 보조계전기를 전력용 반도체스위치 소자로 대체시켜 20mS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력계통 사고파급방지 시스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계통 사고파급 방지 시스템의 동작 타이밍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사고 형태 분류 논리도를 표시한 설명도.
도 4a, 4b는 종래와 본 발명의 제어부에서의 스위치 수단의 소자를 비교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력계통 사고파급방지 시스템의 모국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력계통 사고파급방지 시스템의 자국1의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력계통 사고파급방지 시스템의 자국2의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력계통 사고파급방지 시스템의 예를보인 계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모국 111 : 모국의 데이터 취득부
112 : 연산부 113 : 통신부
114 : 표시부 200,300 : 자국1, 자국2
211, 311 : 자국의 데이터 취득부
212, 312 : 자국의 연산부 213, 313 : 자국의 통신부
214, 314 : 자국의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사고 파급 방지 장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고 파급 방지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국(100)과, 자국 1(200), 자국 2(300)로 구성된다.
자국1, 2(200)(300)는, 자국의 계통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부(211)(311)와, 데이터를 가공하는 연산부(212)(312)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13)(313)와, 차단기(CB)를 차단/투입하는 제어부(214)(314)로 구성되어진다. 특히 자국1(200)은, 자체 취득 데이터만 가지고 계통절환 제어를 할 수 있도록 자체의 별도 안정화 알고리즘을 수행토록 구성한다.
상기 모국(100)은, 모국의 계통데이타를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부(111)와, 취득된 데이터를 연산하는 연산부(112)와, 자국들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13) 및 모국과 자국을 포함한 계통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4)로 구성 되어지며, 자국 1, 2(200)(300)와 모국(100) 자체의 취득데이터를 근거로 안정화 연산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자국 1, 2(200)(300)에 전송한다. 취득하는 계통데이터는 송전선로 조류(전력: 430mS 이상 시간지연), 송전선로 전류(시간지연 없음), 보호 계전기 동작정보, 차단기 트립전류 유무 정보, 차단기 상태(on/off) 정보를 취득하며, 자국에서는 상기 데이터외에 발전기 발전량를 취득한다.
도 2는 계통보호설비 및 본 장치의 동작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계통에서 사고가 발생되면, 선로 전류는 (a)와같이 급상승되고, 그 선로 전류가 상승함에 의해서 사고 발생후 50mS 후에 보호계전기가 (c)와같이 동작 하고, 차단기 트립코일(Trip Coil)에 차단 전압(DC 125V 10A)이 (d)와 같이 50mS 동안 인가 된다.
차단기는 전압인가 후 (e)와 같이 50mS시점에서 차단되며 차단과 동시에 인가전압도 오프(Off)된다. 발전기 및 송전선로의 전력은 T/D 의 지연응답특성(430mS이상) 때문에 차단기 개방후에도 계속적으로 취득된다. 송 전선로 전류 T/D는 지연응답특성을 없앴기 때문에 차단기 개방과 동시에 "0"으로 떨어진다. 또한 응답지연이 없기 때문에 송전선로 사고시 사고전류값에 순시로 비례하여 나타나 사고징후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단기 트립용 전원 인가 유무 체크 요소와 송전선로 전류T/D 로 사고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식 할 수 있게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사고인식 논리도를 나타내고 있다.
논리도 A는 보호계전기동작과 차단기 트립전압 인가 및 송전선로 전류변화폭 일정량 이상시 사고 발생 50mS 시점에서 사고로 확정.
논리도 B는 보호계전기동작과 차단기 트립 전압인가시 사고 발생 50mS 시점에서 사고로 확정.
논리도 C는 차단기 트립 전압인가 및 송전선로 전류 변화폭 일정량 이상시 사고로 판정.
논리도 D는 보호계전기 동작(직전 데이터 기준) 및 차단기 개방상태시 사고로 판정.
논리도 E는 차단기 개방 상태 및 전류 "0" (직전 데이터 > "0")시 사고 또는 인적 실수에 의한 오조작으로 판정.
논리도 F는 차단기 Trip 전압인가( 직전 데이터) 및 전류 "0" (직전 데이터 > "0")시 사고 또는 인적 실수에 의한 오조작으로 판정.
논리도 G는 전류 "0"(직전 데이터 > "0") 및 타선로 전류변화량 해당선로 감소분과 비례시 사고로 판정( 상대단(사고파급방지장치 미설치 변전소)에서만 동작된 경우).
논리도 A, B, C는 사고지속 및 차단기 차단진행 상태로 계통절환의 제어를 필 요로하는 사고시 고장으로 확정하고 제어를 실행함을 나타내고, 논리도 D, E, F, G는 모선절환 제어가 포함되지 않은 전원제한만을 필요로 하는 경우 사고 또는 오조작을 확정하고 제어를 실행하며, 또한 논리도 G는 상대단 변전소에서의 오조작 및 사고를 검출하는 논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국의 제어부를 나타낸다. 기존은 코일형 보조계전기(2)를 사용하였기에 지연 동작 및 초기동작시 써어지를 유발시켜 시스템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었으나, 이를 전력용 반도체 스위치 소자인 MOSFET(13)로 대체하여 지연시간을 20mS 줄여 즉시 차단기에 차단전압을 인가할 수 있게 하고, 동작초기에 발생하는 써어지를 제거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고 파급 방지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S1-S3)로서, 데이터 취득은 0, 1.5, 3 mS 시점에서 취득한다. 취득된 데이터를 합하여 평균값을 구하는 단계(S4)로서, 아날로그 입력값은 3회 취득값 합계후 평균값을 구하며, 디지탈 상태정보는 3회중 2회이상의 상태를 최종상태 데이터로 적용한다.
모국(100)에서는 모국데이터와 자국 1, 2(200),(300) 데이터를 수신받아 취합하고(S5), 상태변화를 체크(S6)하여 사고유무를 확인한다.
상태변화가 있는 사고 발생시에는, 사고 형태분류(S7)를 하여 해당 사고에 따른 제어를 하게된다. 사고형태 분류(S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은 논리도 A 내지 논리도 G에 의해 각각의 계통 데이터를 취득하여 논리 결과에 따라 사고를 분류한다.
그리고, 사고 발생시 제어조치에 해당(S8) 하면, 적정한 제어조치(S9)를 전송하여 자국에서 발전기를 차단토록하고, 제어조치에 해당하지 않으면, 계통 구성 상태 정정 및 안정화 방안을 재결정(S10)해 놓는다. 정상상태인 경우는 그 데이터를 기준하여 안정화 방안을 결정한다. 운휴중인 송전선로 또는 사고선로가 재 투입 될시는 차단기 ON 상태이고(S12), 송전선로 전류가 일정값 이상일 때( i>0 & i<k(사고전류))(S13), 투입으로 간주하여 계통구성 상태정정 및 안정화 방안을 재결정한다(S14). 그리고, 사고유무를 판단(S15)하여 사고가 아닌 경우 상정사고에 대한 안정화 방안을 결정(S16)하고, 결정된 안정화 방안들을 데이터로 저장한다(S11).
도 6은 자국 1의 제어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회에 걸쳐 데이터를 취득(S101 - S103)하고, 아날로그는 3회 평균을, 디지탈은 2회 이상 취득상태로 데이터를 가공(S104)한다. 그 가공된 데이터를 모국(100)에 전송(S105)하고, 모국(100)과 연결된 송전선로 2회선이 차단되고, 전류 i = 0 이며, 발전량>0 인 경우(S106), 모선을 절환하며(S107), 기타의 경우는, 모국(100)의 제어명령이 수신(S108)되는지를 판단하여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그 제어명령을 이행(S109)한다,
만약, 1차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모국에 전송하였을 때 모선절환을 시켜야 하는 상태(S106)가 아니고, 모국으로부터 제어명령이 수신(S108)되지 않으며, 다시 3회에 걸쳐 2차로 데이터를 취득(S110 - S112)하여 데이터를 가공(S113)하고, 모국과 연결된 송전선로 2회선이 차단되고, 전류 i=0, 발전량>0 인 경우(S114) 모선절환(S115)을 실시한다. 2차 데이터는 모국에 전송하지 않으며 1차 데이터를 취득하여 제어내용과 함께 모국에 전송한다.
도 7은 자국 2의 제어흐름도로서, 먼저 3회에 걸쳐 데이터를 취득(S201 -S203)하고, 아날로그는 3회평균을, 디지탈은 2회이상 취득상태로 데이터를 가공(S204)한후, 이 데이터를 모국(100)에 전송(S205)한다. 그리고, 모국(100)으로부터 제어명령이 수신(S206)되면, 해당 명령을 이행(S207)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자국1(200)에서는 2회에 걸쳐서 데이터를 가공하여 1회는 모국(100)에 전송하고 2회분은 모국(100)에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데이터로 자국1(200) 전용 안정화 알고리즘 연산을 수행한다. 모국(100)과 연결 운전되는 송전선로 2회선 모두가 차단시 자국1(200)의 차단기가 개방됨을 확인후 계통절환의 제어를 실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고파급 방지장치 적용 대상 계통이다. 자국1(200)은 4대의 발전기가 운전중이며 2회선 송전선로로 모국(200)과 연결되어 있다. 자국 2(200)도 4기의 발전기가 운전중이며 한 변전소를 경유하여 2회선 송전선로로 모국과 연결되어 있다. 모국(100)은 자국 1, 2 외에 다른 변전소를 통하여 본 계통과 연결되어 있으며 345/154KV변압기를 통해 154KV 변전소 및 타 계통과 연결되어 있다.
전력계통에서 주요 송전선로 사고발생시 빠른 시간내에 사고제거 및 안정화 제어가 수반되어야 계통을 안정시킬 수 있게된다. 기존의 안정화장치를 본 전력계통에 적용하여 운전시는 안정화제어 종료 시한인 250mS내에 전원제한의 한 방안만이 실행 가능 하였으나, 신속한 사고판정을 위해 두 가지 입력요소를 추가하여 적용하고 적정한 로직을 구현시켜 사고판정 시간을 50mS 감소시켰고, 제어부에서의 소요시간을 20mS 감소시켜 계통절환 제어를 가능하게 하였다.
본 전력계통에서는 계통절환에 의한 제어가 병행될시 안정화 효율이 가장 좋을 뿐만 아니라 발전기 차단대수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원제한에 의한 안정화제어시 제어속도에 비례하여 계통의 안정성을 증대 시킨다.

Claims (7)

  1. 모국(100)과, 자국 1(200), 자국 2(300)로 구성되고,
    상기 자국1, 2(200)(300)는,
    자국의 계통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부(211)(311)와, 데이터를 가공하는 연산부(212)(312)와, 모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13)(313)와, 차단기(CB)를 차단/투입하는 제어부(214)(314)로 구성되며,
    상기 자국1(200)의 제어부(214)는, 모국으로부터 제어데이타가 없는 경우 자체 취득 데이터만 가지고 계통절환 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국(100)은,
    모국의 계통데이타를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부(111)와, 취득된 데이터에 따른 안정화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사고판정을 위해 정해진 소정의 논리도에 의해 연산하여 사고판정을 하는 연산부(112)와, 자국들로부터 정보를 수신받고 아울러 사고판정에 따른 제어데이타를 자국에 송신하기 위한 통신부(113) 및 제어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4)로 구성 되어, 2개의 자국과 모국 자체의 취득데이터를 근거로 안정화 연산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자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국(100)과 자국1(200), 자국 2(300)이 취득하는 계통데이타는, 송전선로 조류(전력: 430mS 이상 시간지연), 송전선로 전류(시간지연 없음), 보호 계전기 동작정보, 차단기 트립전류 유무 정보, 차단기 상태(on/off) 정보를 취득하며, 자국에서는 상기 데이터외에 발전기 발전량를 취득하여 보호계전기 동작 직후에 사고를 판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사고 파급 방지 시스템.
  2. 상기 모국(100)의 연산부에서 수행하는 사고판정 논리는,
    논리도 A는 보호계전기동작과 차단기 트립전압 인가 및 송전선로 전류변화폭 일정량 이상시 사고 발생 50mS 시점에서 사고로 확정.
    논리도 B는 보호계전기동작과 차단기 트립 전압인가시 사고 발생 50mS 시점에서 사고로 확정.
    논리도 C는 차단기 트립 전압인가 및 송전선로 전류 변화폭 일정량 이상시 사고로 판정.
    논리도 D는 보호계전기 동작(직전 데이터 기준) 및 차단기 개방상태시 사고로 판정.
    논리도 E는 차단기 개방 상태 및 전류 "0" (직전 데이터 > "0")시 사고 또는 인적 실수에 의한 오조작으로 판정.
    논리도 F는 차단기 Trip 전압인가( 직전 데이터) 및 전류 "0" (직전 데이터 > "0")시 사고 또는 인적 실수에 의한 오조작으로 판정.
    논리도 G는 전류 "0"(직전 데이터 > "0") 및 타선로 전류변화량 해당선로 감소분과 비례시 사고로 판정( 상대단(사고파급방지장치 미설치 변전소)에서만 동작된 경우).
    상기 7개의 논리도중,
    상기 논리도 A, B, C는 사고지속 및 차단기 차단진행 상태로 계통절환의 제어를 필요로하는 사고시 고장으로 확정하고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논리도 D, E, F, G는 모선절환 제어가 포함되지 않은 전원제한만을 필요로 하는 경우 사고 또는 오조작 사고로 확정하고 제어를 실행하며,
    상기 논리도 G는 상대단 변전소에서의 오조작 및 사고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논리도 A 내지 논리도 G에 의한 7개의 사고판정 논리로 사고의 빠른 판정, 오조작에 의한 선로차단 감시 및 데이터 취득장치 미 설치 변전소에서의 오조작과 선로사고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사고 파급 방지 시스템.
  3. 상기 자국 1, 자국2의 제어부는,
    동작 초기에 발생되는 서어지를 없애고 속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모선절환 및 전원 차단제어용 스위치수단을 전력용 반도체 스위치 소자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사고 파급 방지 시스템.
  4. 모국과 자국1 및 자국2를 구비하여 모국과 자국의 계통데이타를 취득하고, 자국에서 취득된 계통데이타를 모국에 전송하여 모국에서 취합된 데이터를 연산 알고리즘을 통해 연산하여 사고판단을 하고 그 사고판단 데이터를 자국에 전송하여 차단기를 제어토록하는 전력계통 사고 파급 방지 방법에 있어서,
    계통 데이터를 소정 시간을 주기로해서 각 주기마다 데이터를 1.5mS 간격으로 3회 취득하되, 순시전류, 차단기 트립전류 검출을 포함하여 계통데이타를 취득하는 단계(S1-S3)와,
    아날로그 입력값은 3회 취득값 합계후 평균값을 구하며, 디지탈 상태정보는 3회중 2회이상의 상태를 최종상태 데이터로 적용하여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S5)와,
    자국에서는 가공된 데이터를 모국에 전송하고, 모국에서는 모국의 취득된 계통데이터와 자국 1, 2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받아 취합하는 단계(S5)와,
    모국에서 상기 취합된 데이터의 상태변화를 체크하여(S6) 미리 정해둔 논리도에 따라 사고 형태를 분류하는 단계(S7)와,
    사고형태가 제어조치에 해당되는 경우(S8), 제어명령을 자국1,자국2에 전송하여 자국1, 자국2에서 해당 조치를 취하게 하는 제어명령 전송단계(S9)와,
    사고 형태가 제어조치에 해당되지 않거나 제어명령 전송후, 계통 구성 상태 정정 및 안정화 방안을 재결정(S10)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11)와,
    상기 상태변화 판단(S6)에서 정상상태인 휴중인 송전선로 또는 사고선로가 재 투입 될시는, 차단기 ON 상태이고(S12), 송전선로 전류(i)가 일정값 이상일 때( i>0 & i<k(사고전류))(S13), 투입으로 간주하여 계통구성 상태정정 및 안정화 방안을 재결정하는 단계(S14)와
    상기 단계(S14)이후에 사고유무를 판단(S15)하여 사고가 아닌 경우 상정사고에 대한 안정화 방안을 결정(S16)하고, 상기 단계S14)와 상기 단계(S16)의 결과의 데이터를 저장(S11)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사고 파급 방지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 1은,
    일정한 주기마다 3회에 걸쳐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S101 - S103)와,
    아날로그는 3회 평균을, 디지탈은 2회 이상 취득상태로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S104)와,
    그 가공된 데이터를 모국에 전송(S105)하고, 모국(100)과 연결된 2회선의 상태가 차단기 오프이고, 전류 i = 0 이며, 발전량>0 인 경우(S106), 모선을 절환하는 단계(S107)와,
    상기 S106단계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모국의 제어명령이 수신(S108)되는지를 판단하여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그 제어명령을 이행하는 단계(S109)와,
    상기 S108단계에서 제어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다시 3회에 걸쳐 2차로 데이터를 취득(S110 - S112)하여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S113)와,
    모국과 연결된 2회선의 상태가 차단기 오프, 전류 i=0, 발전량>0 인 경우(S114), 모국에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서 모선절환 하는 단계(S115)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사고 파급 방지 제어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 2는,
    일정한 주기마다 3회에 걸쳐 데이터를 취득(S201 -S203)하고, 아날로그는 3회평균을, 디지탈은 2회이상 취득상태로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S204)와,
    이 가공된 데이터를 모국(100)에 전송하는 단계(S205)와,
    모국(100)으로부터 제어명령이 수신(S206)되면, 해당 명령을 이행하는 단계(S207)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사고 파급 방지 제어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둔 논리도에 따라 사고 형태를 분류하는 단계(S7)는,
    논리도 A는 보호계전기동작과 차단기 트립전압 인가 및 송전선로 전류변화폭 일정량 이상시 사고 발생 50mS 시점에서 사고로 확정.
    논리도 B는 보호계전기동작과 차단기 트립 전압인가시 사고 발생 50mS 시점에서 사고로 확정.
    논리도 C는 차단기 트립 전압인가 및 송전선로 전류 변화폭 일정량 이상시 사고로 판정.
    논리도 D는 보호계전기 동작(직전 데이터 기준) 및 차단기 개방상태시 사고로 판정.
    논리도 E는 차단기 개방 상태 및 전류 "0" (직전 데이터 > "0")시 사고 또는 인적 실수에 의한 오조작으로 판정.
    논리도 F는 차단기 Trip 전압인가( 직전 데이터) 및 전류 "0" (직전 데이터 > "0")시 사고 또는 인적 실수에 의한 오조작으로 판정.
    논리도 G는 전류 "0"(직전 데이터 > "0") 및 타선로 전류변화량 해당선로 감소분과 비례시 사고로 판정( 상대단(사고파급방지장치 미설치 변전소)에서만 동작된 경우).
    상기 7개의 논리도 중,
    상기 논리도 A, B, C는 사고지속 및 차단기 차단진행 상태로 계통절환의 제어를 필 요로하는 사고시 고장으로 확정하고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논리도 A, B, C는 사고지속 및 차단기 차단진행 상태로 계통절환의 제어를 필요로하는 사고시 고장으로 확정하고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논리도 D, E, F, G는 모선절환 제어가 포함되지 않은 전원제한만을 필요로 하는 경우 사고 또는 오조작 사고로 확정하고 제어를 실행하며,
    상기 논리도 G는 상대단 변전소에서의 오조작 및 사고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논리도 A 내지 논리도 G에 의한 7개의 사고판정 논리로 사고의 빠른 판정, 오조작에 의한 선로차단 감시 및 데이터 취득장치 미 설치 변전소에서의 오조작과 선로사고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 사고 파급 방지 제어방법.
KR1019970055203A 1997-10-27 1997-10-27 전력계통 사고파급방지장치 KR100288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203A KR100288156B1 (ko) 1997-10-27 1997-10-27 전력계통 사고파급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203A KR100288156B1 (ko) 1997-10-27 1997-10-27 전력계통 사고파급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784A true KR19990033784A (ko) 1999-05-15
KR100288156B1 KR100288156B1 (ko) 2001-05-02

Family

ID=3751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203A KR100288156B1 (ko) 1997-10-27 1997-10-27 전력계통 사고파급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1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442A (ko) * 2000-05-10 2001-11-23 이종훈 송전선로 자동 절체시스템
KR100413196B1 (ko) * 1999-12-07 2003-12-31 한국전력공사 변발전소용 전압절환스위치
KR101602060B1 (ko) * 2014-09-30 2016-03-09 한국전력공사 보호 계전기를 이용한 고장점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N111817429A (zh) * 2020-07-23 2020-10-23 西门子股份公司 用于电力系统中电源切换的方法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212A (ko) * 2002-11-08 2004-05-17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전력 블랙 박스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3196B1 (ko) * 1999-12-07 2003-12-31 한국전력공사 변발전소용 전압절환스위치
KR20010103442A (ko) * 2000-05-10 2001-11-23 이종훈 송전선로 자동 절체시스템
KR101602060B1 (ko) * 2014-09-30 2016-03-09 한국전력공사 보호 계전기를 이용한 고장점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CN111817429A (zh) * 2020-07-23 2020-10-23 西门子股份公司 用于电力系统中电源切换的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8156B1 (ko) 200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105B1 (ko) 컨버터 기반 dc 배전 시스템들에서의 폴트 보호
US6008971A (en) Fault protection arrangement for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s
CN107394897A (zh) 一种基于拓扑图的配电网智能自愈方法及系统
CN103490392B (zh) 含分布式电源或微网的配电网的故障处理方法
CN102299563B (zh) 一种智能配电网da保护方法
CN103872660B (zh) 基于电力网络闭环模式运行的网络式保护方法
CN108347092A (zh) 一种变电站多端备用电源投入控制的方法
CN111707906A (zh) 一种实现地铁直流牵引供电系统故障定位的方法
CN111431057A (zh) 一体化智能环网柜系统、智能配电网及故障定位方法
CN103683228A (zh) 一种断路器失灵保护及自动重合闸装置的控制方法
CN108134376B (zh) 一种高压母线故障快速保护装置及保护方法
KR101735200B1 (ko) 실시간 정전정보 전송용 전자식 전력량계 및 실시간 정전정보 전송 방법
CN109638793A (zh) 一种适用于小电流接地系统的单相接地故障处理方法
CN108258660B (zh) 一种柔性直流电网直流侧故障的处理方法
CN109802364B (zh) 一种变电站自适应倒闸的母线保护方法及系统
KR100288156B1 (ko) 전력계통 사고파급방지장치
CN107230970A (zh) 一种就地型馈线自动化的单相接地故障处理方法
KR20130047316A (ko) 배전용 변압기 부하 자동 절체 계전기
CN107910855A (zh) 一种应用于智能变电站的联切小电源装置及联切方法
CN108512203B (zh) 一种配网保护装置和方法
CN111786383B (zh) 一种用于实现多条电源进线互备的备自投装置及方法
CN110932244B (zh) 变电站全站保护出口压板均未投的继电保护方法
KR19990083046A (ko) 스폿네트워크 수전설비의 모선보호 시스템
CN114899944B (zh) 通讯管理机
CN114498898B (zh) 一种供电线路电源属性的识别判断方法、自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