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676U - 도어정지수단이형성된유압식도어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정지수단이형성된유압식도어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33676U KR19990033676U KR2019990008016U KR19990008016U KR19990033676U KR 19990033676 U KR19990033676 U KR 19990033676U KR 2019990008016 U KR2019990008016 U KR 2019990008016U KR 19990008016 U KR19990008016 U KR 19990008016U KR 19990033676 U KR19990033676 U KR 1999003367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closing device
- flow
- stopper
- stop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유체의 흐름에 따라 도어를 자동으로 폐쇄하는 유압식 도어 자동 폐쇄장치에 충진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여 폐쇄장치를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켜 도어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유압식 도어 자동 폐쇄장치는 정지장치가 없었고,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에 있어서는 도어의 폐쇄를 위하여 스토퍼(202)를 손 또는 발로 하측으로 꺽어야 하므로 그 작동이 번거로운 단점과 스토퍼(202)를 핀 유착하여 회전을 통하여 지면에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도어를 개방하므로 스토퍼(202)가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단점에 따라 문이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폐쇄장치 몸체(2)내에 주입된 오일을 유입하면서 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4)으 개폐에 의하여 관내에 흐르는 오일의 흐름을 차단하여 크랭크 장치(30)를 가동하는 실린더(20)의 제어를 통하여 도어를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도어 정지장치.
Description
본 고안은 도어 정지수단이 형성된 유압식 도어 자동 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개방 후 탄력 스프링의 복원력과 유체의 흐름에 따라 자동으로 폐쇄되는 폐쇄장치에 충진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여 폐쇄장치를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켜 도어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유압식 도어 자동 폐쇄장치의 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유압식 도어 폐쇄장치에 있어서는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밀폐되는 폐쇄장치 몸체(100)의 내공간에 외주면에 다줄나사(102)가 형성된 실린더(106)를 스프링(110)으로 탄지 시키고, 상기 다줄나사(102)에 가동기어(120)를 치합시켜 몸체(100) 내부의 체적에 따라 적당량의 오일을 주입한 후 상기 가동기어(120)에 크랭크장치를 설치하여 이를 도어와 벽면에 각각 고정하여 도어의 개폐시 크랭크장치의 선회에 따라 가동기어(120)를 작동시켜 이 가동기어(120)에 치합된 실린더(106)를 일방으로 밀어 스프링(110)의 복원력과 유체의 흐름에 따라 문을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안은 도어의 개방시 사용자가 도어를 밀게되면 크랭크 장치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가동기어(120)가 회전하면서 상기 가동기어(120)에 치합된 다줄나사(102)를 직선운동으로 변화시켜 일방으로 밀어 실린더(106)에 의하여 타측에 있는 오일이 실린더(106)의 밸브구멍을 통하여 밀려지면서 스프링(110)을 압축하여 문을 개방시키고, 문이 폐쇄되면 압축된 스프링(110)이 복원되면서 실린더(106)를 밀어 오일이 원 위치되면서 다줄나사(102)에 치합된 가동기어(120)를 원 위치시켜 문을 폐쇄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문의 개방 후 스프링(110)과 오일의 변화에 따라 가동기어(120)가 원위치 되면서 문을 폐쇄하므로 도어를 안정적으로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도어의 개방 후 스프링(110)의 복원력에 의하여 실린더(106)를 밀어 크랭크 장치에 의하여 무조건적으로 문이 닫혀지게 되므로 도어를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폐쇄장치에 의하여 도어가 무조건적으로 닫혀지는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의 하측에 고정구(200)를 나사 고정한 후 상기 고정구(200)에 스토퍼(202)를 핀 유착하여 이의 회전을 통하여 스토퍼(202)의 하단을 지면에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도어를 소정 위치에서 닫혀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도어 정치장치 즉, 스토퍼(202)는 스토퍼(202)의 하측에 설치된 고무재(204)를 지면에 마찰시켜 도어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나 도어의 폐쇄를 위하여 스토퍼(202)를 손 또는 발로 하측으로 꺽어야 하므로 그 작동이 번거로운 단점과 부주의에 의하여 손이 손상되는 우려가 있으며 스토퍼(202)를 핀 유착하여 회전을 통하여 지면에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도어를 개방하므로 스토퍼(202)가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단점에 따라 문이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스토퍼(202)는 하단에 설치된 고무재(204)를 지면에 접촉지지 시켜 도어를 정지시키므로 장시간 사용시 고무재(204)가 손쉽게 닳아 없어지게 되어 스토퍼(202)가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개방 후 탄력 스프링의 복원력과 유체의 흐름에 따라 자동으로 폐쇄되는 폐쇄장치에 충진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폐쇄장치를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켜 도어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 자동 폐쇄장치의 정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를 폐쇄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자동폐쇄장치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5는 종래의 도어 스토퍼의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 몸체 4: 제어밸브
6: 유로 8: 볼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제 1도 내지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공지의 유압식 도어 자동 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쇄장치 몸체(2)의 일측에 몸체(2)내에 주입된 오일을 유입하면서 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4)를 설치하여 관내에 흐르는 오일의 흐름을 차단하여 크랭크 장치(30)를 가동하는 실린더(20)의 제어를 통하여 도어를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한 구성인 것이다.
상기 제어밸브(4)는 폐쇄장치 몸체(2)내에 주입된 오일의 체적을 증대시키면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볼(8)의 중심에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유로(6)를 형성하여 볼(8)에 결합된 손잡이(40)의 회전을 통하여 회전시켜 유체를 흐르게 하거나 또는 밀폐토록 하여 몸체(2)내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밸브(4)는 유니언 결합에 의한 방식으로 폐쇄장치 몸체(2)에 결합하여 기밀성을 유지함은 물론 오일의 흐름이 수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통상의 유압식 도어 자동 폐쇄장치 몸체(2)를 형성한 후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덮개를 제거하고 제어밸브(4)를 설치하면 도어를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하기 위한 수단이 형성되므로 기 설치된 폐쇄장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도어 정지장치의 설치가 간편한 것이다.
이와 같이 도어 정지장치를 설치한 폐쇄장치를 통상의 도어에 설치하면 되는 것이고 설치 후 사용자가 도어를 열게 되면 통상의 도어 폐쇄장치와 마찬가지로 실린더(20)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측방으로 이동되면서 이에 치합된 가동기어를 회전시켜 크랭크장치(30)를 회전시켜 주므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다
이때 폐쇄장치 몸체(2)내에 충진된 오일은 제어밸브(4)가 개방된 상태 즉, 제 2도에 도시한 상태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제어밸브(4)로 압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유로(6)를 통하여 오일이 진행하게 되므로 도어가 부드럽게 개폐되는 것이고, 도어를 열다가 임의의 위치에서 도어를 정지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밸브(4)에 형성된 손잡이(40)를 회전시키면 볼(8)이 회전하게 되면서 유로(6)를 폐쇄하므로 폐쇄장치 몸체(2)내에 있던 오일의 흐름이 순간적으로 차단되므로 몸체(2)의 체적 변화가 없어지게 되므로 결국 실린더(20)의 진행이 멈추게 되어 도어를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폐쇄하기 위하여는 손잡이(4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유로(6)를 개방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어밸브(4)로 오일이 흐르게 되므로 크랭크 장치(30)가 동작되어 도어를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밀폐된 공간내에 주입된 오일의 흐름을 차단하여 도어를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켜 도어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 유압식 도어 자동 폐쇄장치에 있어서, 압력 스프링의 탄력과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폐쇄하도록 한 유압식 도어 폐쇄장치의 관내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밸브수단에 의하여 그 흐름을 차단하여 도어를 임의의 위치에서 열려진 상태로 정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정지수단이 형성된 유압식 도어 자동 폐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8016U KR200291396Y1 (ko) | 1999-05-12 | 1999-05-12 | 도어 정지수단이 형성된 유압식 도어 자동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8016U KR200291396Y1 (ko) | 1999-05-12 | 1999-05-12 | 도어 정지수단이 형성된 유압식 도어 자동 개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3676U true KR19990033676U (ko) | 1999-08-16 |
KR200291396Y1 KR200291396Y1 (ko) | 2002-10-11 |
Family
ID=5475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08016U KR200291396Y1 (ko) | 1999-05-12 | 1999-05-12 | 도어 정지수단이 형성된 유압식 도어 자동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1396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1658B1 (ko) | 2007-01-10 | 2007-09-27 | 김기환 | 정지형 도어클로저 |
KR101047611B1 (ko) * | 2009-01-11 | 2011-07-07 | 김기환 | 정지형 도어클로저 |
-
1999
- 1999-05-12 KR KR2019990008016U patent/KR20029139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1396Y1 (ko) | 2002-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32462Y1 (ko) | 양식변기의 뚜껑이나 앉는자리 등의 개폐장치 | |
US4007500A (en) | Bathtub stopper | |
JPS63243575A (ja) | マイクロエレクトロバルブ | |
CA2604947A1 (en) | Fluid flow control valve with composition seal | |
KR970078537A (ko) | 냉장고용 급수장치 | |
CA2378367A1 (en) | Urine drain assembly with tube clamp valve | |
CA2301932C (en) | Combined directional and flow control valve | |
US7607453B2 (en) | Non-freeze wall hydrant | |
KR101784173B1 (ko) | 회전식 도어 구동 장치 | |
KR101027020B1 (ko) | 밸브 개폐기 | |
US3964728A (en) | Self closing safety gate valve for viscous fluids | |
EP1975479A2 (en) | Tap or butterfly valve, in particular for containers. | |
KR19990033676U (ko) | 도어정지수단이형성된유압식도어자동개폐장치 | |
KR200191907Y1 (ko) | 수전금구용 자폐식 절수장치 | |
US8662107B2 (en) | Switch device for water conduit valve | |
KR102126768B1 (ko) |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 |
EP0735206A1 (en) | Closure device, particularly for drains | |
KR200388434Y1 (ko) | 핸들 스톱퍼가 구비된 개폐밸브 | |
CN115005651B (zh) | 一种掀盖式杯盖及应用该杯盖的容器 | |
KR200262510Y1 (ko) | 유압식 플로어 힌지의 유압조절구조 | |
US6164330A (en) | Valve having a flow blocking rotary body | |
GB2149065A (en) | Valve | |
KR102091472B1 (ko) |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 |
KR200264338Y1 (ko) | 파이프용 슬라이드식 차단밸브 | |
KR970005507Y1 (ko) | 댐퍼 부착힌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005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