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228U - A Water Supplying Device For Water Tank In A Toilet Bowl - Google Patents

A Water Supplying Device For Water Tank In A Toilet Bow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228U
KR19990033228U KR2019990004808U KR19990004808U KR19990033228U KR 19990033228 U KR19990033228 U KR 19990033228U KR 2019990004808 U KR2019990004808 U KR 2019990004808U KR 19990004808 U KR19990004808 U KR 19990004808U KR 19990033228 U KR19990033228 U KR 199900332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tank
water supply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80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2019990004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228U/en
Publication of KR199900332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228U/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의 수조에 설치되어 수조에 물을 공급시켜주는 좌변기수조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조(2)에 설치되어 수조(2)에 공급되는 물을 제어 시켜 주는 급수장치(1)가 관의 형태로 이루어진 하나의 몸체(7)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 의해, 수조(2)내부에 설치되는 급수장치(1)의 설치와 교체가 하나의 몸체(7)로 이루어져 있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하나의 몸체(7)에서 수조(2)에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수조(2)내부의 구성이 간단하게 이루어 지게 되어 그에 따른 수조(2)내부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과 급수장치(1)의 구성이 간단함에 따라 비교적 고장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수조(2)내부의 구성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있게 되어 수조(2)의 내부에 용기에 수납된 살균제 등을 용이하게 수납시켜 수조(2)나 수조(2)에 수납된 물을 청결한 상태로 사용을 하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device for a toilet bowl installed in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seat to supply water to the tank, the water supply device (1)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2) to control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2) By being composed of a single body (7) in the form of a tube, the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2) is made of a single body (7) is made easily, one In the body (7) of the water tank (2) by supplying or blocking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2) is made simple, so that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 can be easily cleaned and that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As the configuration is simple, trouble does not occur relatively,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ter tank 2 is made simple so that the disinfectant or the like stored in the container can be easily stored in the water tank 2 and the water tank 2 or the water tank. We wash water stored in (2) It is adapted to the use in the state.

Description

좌변기수조의 급수장치{A Water Supplying Device For Water Tank In A Toilet Bowl}A water supply device for water tank in a toilet bowl

본 고안은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 하게는, 좌변기의 수조에 설치되어 수조에 물을 공급시켜주는 좌변기수조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device for a toilet bowl installed in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seat to supply water to the tank.

일반적으로 좌변기에는 일측에 물이 수납되는 수조가 설치되어 변기의 사용 후 변기 내부의 배설물을 배수시켜주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the left toilet is provided with a water tank in which water is stored at one side to drain the waste inside the toilet after use of the toilet.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급수장치(1)는 수조(2)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하단부가 외부의 급수관(6)과 연결되어 있고, 상단에는 회동편(100)에 의해 상, 하로 회동되는 부구(200)가 연결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device 1 is installed at one inner side of the water tank 2,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water supply pipe 6, and the upper end is connected by the rotating piece 100. , The buoy 200 is rotated downward.

또한, 상기 수조(2)의 외부에는 작동레버(5)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작동레버(5)는 수조(2)의 내부에 구비되어 배수구(3)를 개폐시켜주는 마개(4)와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an operating lever 5 is installed outside of the water tank 2, which is connected to a stopper 4 provided inside the water tank 2 to open and close the drain port 3. have.

이에 따르면, 외부에서 상기 작동레버(5)를 작동시키면 상기 배수구(3)를 막아주고 있던 마개(4)가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수조(2)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배수구(3)를 통하여 변기로 배수가 되게 된다.According to this, when the operation lever 5 is operated from the outside, the stopper 4 blocking the drain port 3 is rotated upwards, and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 is transferred through the drain port 3. The toilet is drained.

이때, 상기 수조(2)의 내부에서 저장되어 있던 물이 배수구(3)를 통하여 배출 됨에 따라 상기 부구(200)가 배출되는 물의 수면을 따라서 하측방으로 회동되게 되고, 상기 부구(200)가 일정거리만큼 회동되게 되면 상기 급수장치(1)로부터 물이 수조(2)로 공급되어 상기 부구(200)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일정거리만큼 부구(200)가 상측으로 회동되게 되면 급수장치(1)로부터 물의 공급이 제어가 되게 되어 있다.At this time, as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ort 3, the float 200 is rotated downward along the water surface of the discharged water, and the float 200 is fixed. When the water is rotated by the distance from the water supply device 1,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2, the float 200 is moved upwards and the float 200 is rotated up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ter supply device 1 The supply of water is to be controlled.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급수장치(1)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급수장치(1)가 회동편(100)에 의해 연결되는 부구(200)와 함께 설치되어 부구(200)의 작동에 의해 수조(2)의 내부에 물을 공급시키거나 차단시켜 주는 것으로 급수장치(1)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편(100)과 회동편(100)에 구비된 부구(200)가 수조(2) 내부의 부피를 많이 차지하게 되어 수조(2) 내부가 복잡하게 구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device 1 is installed with the float 200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device 1 by the rotating piece 100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tank 2 by the operation of the float 200 By supplying or blocking water in the interior of the rotating piece 100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device 1 and the mouthpiece 200 provided in the rotating piece 100 occupies a large volume inside the water tank 2.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side of the tank (2) is complicated.

또한, 장기간 사용을 하다가 보면은 상기 회동편(10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지 않게 되어 급수장치(1)의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long-term use ha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piece 100 is not made smoothly, the failure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is frequently generated.

또한, 상기와 같이 회동편(100)과 부구(200)가 수조(2)의 부피를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수조(2) 내부를 청소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rotating piece 100 and the float 200 occupy a large volume of the water tank 2 as described abov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clean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

또한, 최근에는 수조(2) 내부의 청결상태를 위지하기 위해 수조(2)의 내부에 용기에 수납된 살균제 등을 수납시켜 청결한 상태를 위지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동편(100)과 부구(200)에 의해 수조(2)의 내부에 살균제 등을 수납시키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keep the clean state of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 in recent years to accommodate the sterilizers, etc. stored in the container inside the water tank (2) for the clean state at this time, the rotating piece (100) and the mouth (200) ),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accommodate a disinfectant or the like inside the tank (2).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급수장치의 설치와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급수장치가 자체적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수조 내부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그에 따른 수조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된 좌변기수조의 급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of the water supply device installed inside the tank is made easily, the water supply device to supply or cut off the water tank itself It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device of the toilet bowl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and thereby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inside of the tank.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급수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있어서 비교적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 좌변기수조의 급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device for a toilet bowl in which the water supply device is made simple so that a relatively failure does not occur.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조 내부의 구성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있게 되어 수조의 내부에 용기에 수납된 살균제 등을 용이하게 수납시켜 청결한 상태로 수조나 수조에 수납된 물을 사용 할 수있도록 된 좌변기수조의 급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configuration of the inside of the tank simply to easily accommodate the sterilizers, etc. stored in the container inside the tank to be able to use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or the tank in a clean state To provide a water supply of.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와 연결된 작동레버가 외부가 설치되어 좌변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급수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조에 물을 공급시켜주는 급수장치에 있어서, 밑면에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어 있고, 외주면에 다수의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의 상측방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 하측방에 유입실을 형성시켜 주는 격판과; 상기 격판의 윗면에 하단이 결합되어 상기 유입실과 연통되어 있고, 상단부가 하측방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절곡된 단부 중앙에 상, 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개폐구가 구비되어 있는 공급관과; 상기 몸체에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내부에 삽입되어 윗면에 가이드축이 상측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밑면에 상기 공급관의 개폐구와 마주하는 개폐축이 형성되어 있는 부력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일측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몸체에 결합시 상기 부력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축이 접하는 외주면으로부터 윗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회동편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rainage opening and closing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topper, the operation lever connected to the stopper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ilet seat is provided with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A water supply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to a water tank, the water supply apparatus comprising: a body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t the bottom thereof,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plate provided in an upper side of an inlet formed in the body to form an inlet chamber in an inner lower side of the body; A supply pipe having a lower end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flow chamber, an upper end bent downward, and an opening and closing port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ent end to move upward and downward; A buoyancy body inserted into the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having a guide shaft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ide thereof, and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shaft fac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of the supply pipe at a bottom thereof; It is hinged rotatably in one side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and when coupled to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ie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shaft formed in the buoyancy body in contact with.

도 1 - 종래 일반적인 좌변기수조의 급수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1-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supply apparatus of a conventional toilet seat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수조의 급수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이는 단면도Figure 2-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ater supply device of the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본 고안에 따른 확대 단면도Figure 3-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 본 고안에 따른 도 3의 분리사시도Figure 4-Separate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 본 고안에 따른 작용상태 단면도Figure 5-Cross section of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급수장치2 ; 수조One ; Water supply device 2; water tank

3 ; 배수구4 ; 마개3; Drain 4; stopper

5 ; 작동레버6 ; 급수관5; Operating lever 6; feed pipe

7 ; 몸체8 ; 유입구7; Body 8; Inlet

9 ; 배출구멍10 ; 개방홈9; Outlet hole 10; Open groove

11 ; 격판12 ; 유입실11; 12; Inflow room

13 ; 공급관14 ; 결합구멍13; Supply pipe 14; Coupling hole

15 ; 배출구16 ; 개폐구15; Outlet 16; Opening and closing

17 ; 부력체18 ; 가이드축17; Buoyant body 18; Guide shaft

19 ; 개폐축20 ; 회동편19; Opening and closing shaft 20; Meeting

21 ; 힌지22, 22' ; 가이드홈21; Hinges 22, 22 '; Guide

23 ; 걸림턱23; Jam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일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a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mbodiment as follow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수조의 급수장치(1)의 설치상태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3의 분리사시도로서 도 2내지 도 4에 의하면 본 고안의 좌변기수조의 급수장치(1)는 좌변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조(2)에 설치가 되는데 이 수조(2)는 일반적인 수조(2)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of the toilet bow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According to FIG. 4, the water supply device 1 of the toilet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ank 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oilet bowl. The tank 2 has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tank 2.

즉, 상기 수조(2)는 좌변기와 연통되는 배수구(3)가 형성되어 배수구(3)에는 마개(4)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4)는 수조(2)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레버(5)에 연결되어 작동레버(5)의 작동에 따라 마개(4)가 배수구(3)를 개폐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That is, the water tank 2 is formed with a drain hole (3) in communication with the toilet seat is coupled to the drain hole (3), the stopper (4) is an operation that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2) The stopper 4 is connected to the lever 5 to open and close the drain port 3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lever 5.

상기 수조(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3)의 일측에는 급수장치(1)가 설치되는데 이 급수장치(1)는 외부로부터 수조(2)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6)과 연결되는 몸체(7)가 구비되어 있다.The water supply device 1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rain port 3 formed in the water tank 2, which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6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tank 2 from the outside. The body 7 is provided.

상기 몸체(7)는 관의 형태로 되어 밑면에 유입구(8)가 형성되 상기 급수관(6)과 연결이 되어 있고, 외주면 둘레에는 다수의 배출구멍(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의 전방면 일부가 절개되어 개방홈(10)이 형성되어 있다.The body 7 is in the form of a pipe inlet 8 is formed on the bottom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6,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9) is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front part of the upper part Is cut open groove 10 is formed.

또한, 상기 몸체(7)에는 격판(11)이 구비되는데 이 격판(11)은, 몸체(7)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8)의 상측방에 구비되어 몸체(7)의 하측방에 밀폐된 유입실(12)을 형성시켜 주고 있다.In addition, the body (7) is provided with a diaphragm (11),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let (8) formed in the body (7) is cl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7) The inflow chamber 12 is formed.

상기 몸체(7)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격판(11)의 상측에는 공급관(13)이 결합되는데 이 공급관(13)은, 하단부가 격판(11)의 상측에 결합되어 몸체(7)의 하단 즉, 격판(11)의 하측방에 형성된 상기 유입실(12)과 연통되어 있다.A supply pipe 13 is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diaphragm 11 provided in the body 7. The supply tube 13 has a lower e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diaphragm 11, that is, a lower end of the body 7. And the inflow chamber 12 formed below the diaphragm 11.

또한, 격판(11)에 결합된 타 단부 즉, 상단부가 하측방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단부 중앙에는 결합구멍(14)이 형성되어 결합구멍(14)의 외측 방사상으로 배출구(15)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coupling hole 14 is formed at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diaphragm 11, that is, the upper end is bent downward, and the outlet opening 15 is formed radially outward of the coupling hole 14. .

상기 공급관(13)의 결합구멍(14)에는 개폐구(16)가 결합되는데 이 개폐구(16)는, 고무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결합구멍(13)에 상, 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hole 16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4 of the supply pipe 13, and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16 is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rubber and the like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to the coupling hole 13.

또한, 상기 몸체(7)의 내부에는 부력체(17)가 결합되는데 이 부력체(17)는, 윗면에 상측방으로 돌출된 가이드축(18)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에는 하측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공급관(13)에 결합되어 있는 개폐구(16)와 수직으로 마주하는 개폐축(19)이 형성되어 상기 격판(11)의 상측방에 위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uoyancy body 17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dy (7), the buoyancy body 17, the upper side is formed with a guide shaft 18 protruding upwards, the bottom surface protruding downward And an opening and closing shaft 19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16 coupled to the supply pipe 13 is formed and positioned above the diaphragm 11.

상기 몸체(7)의 상단에는 회동편(20)이 결합되는데 이 회동편(20)은, 몸체(7)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21)결합되어 상기 부력체(17)의 가이드축(18)과 접하고 가이드축(18)이 접하는 외주면에서부터 윗면까지 연결되는 가이드홈(22, 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22)의 상단에는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다.Rotating piece 2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7, the rotating piece 20, the hinge 21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7, the guide shaft of the buoyancy body 17 ( 18 and guide grooves 22 and 22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which the guide shaft 18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locking jaw 23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groove 2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is.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급수관(6)을 통하여 수조(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급수장치(1)에 물을 공급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몸체(7) 밑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8)를 통하여 몸체(7)의 내부 하측에 격판(11)에 의해 형성된 유입실(12)로 물이 공급이 되게 되고, 공급된 물은 격판(11)의 상측에 결합되어 있는 공급관(13)에 유입되어 공급관(13)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15)를 통하여 격판(11)의 상측 즉, 격판(11)에 의해 분리된 유입실(12)의 상측으로 배출이 되면서 몸체(7)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멍(9)을 통하여 외부 즉, 수조(2)에 물을 공급시켜 주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device 1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2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6, in which the inlet 8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dy 7. Water is supplied to the inlet chamber 12 formed by the diaphragm 11 in the lower side of the body 7 through the supplied water is supplied to the supply pipe 13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iaphragm 11 It is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of the diaphragm 11, that is, the upper side of the inlet chamber 12 separated by the diaphragm 11, through the outlet 15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ly pipe 13, an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7; Water is suppli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water tank 2 through the discharge hole 9 formed.

상기 공급관(13)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격판(11)과 부력체(17)의 사이에 공급되어 부력체(17)의 하측방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이 상측방으로 작용을 하게 되어 부력체(17)는 상측으로 이동이 되려는 힘을 받게 된다.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upply pipe 13 is supplied between the diaphragm 11 and the buoyancy body 17 so that the pressure acts upward as shown by the arrow from the lower side of the buoyancy body 17, so that the buoyancy force is increased. Sieve 17 is forced to move upward.

상기 부력체(17)가 상측으로 이동이 되려는 힘은 몸체(7)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회동편(20)에 의해 제어가 되게 되는데 이때, 부력체(17)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축(18)이 회동편(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22)에 삽입되어 홈(22)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3)에 가이드축(18)이 지지되어 있어서 부력체(17)가 상측으로 이동이 되려는 힘이 제어가 되게 된다.The force that the buoyancy body 17 is to be moved upward is controlled by the rotating piece 2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7), the guide shaft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oyancy body (17) The guide shaft 18 is supported by the engaging jaw 23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groove 22 so that 18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piece 20. The force at which 17 moves upward is controlled.

한편, 상기 몸체(7)의 배출구멍(9)을 통하여 수조(7)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일정한 량의 물이 수조(2)에 차게 되면 급수장치(1)로부터 물의 공급이 중단되게 되는데 이때, 수조(2)에 물이 상기 몸체(7)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홈(10)을 넘어서게 되면서 개방홈(10)을 통하여 몸체(7)에 힌지(21)결합되어 있는 회동편(20)의 하측으로 유입이 되면서 유입되는 물이 회동편(20)의 하측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을 상측방으로 가하여 회동편(20)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되게 되고, 회동편(20)의 회동과 함께 회동편(20)의 가이드홈(22)에 결합되어 있던 부력체(17)의 가이드축(18)이 가이드홈(22)을 따라서 회동편(20)의 윗면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22')으로 가이드가 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tank (7) through the discharge hole (9) of the body (7) is a supply of water from the water supply device (1) is stopped when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filled in the water tank (2) At this tim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 is over the open groove (10) formed on the top of the body (7) while the hinge (21) coupled to the body (7) through the open groove (10) As the water flowing into the lower side of 20) is applied to the upper side as shown by the arrow on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piece 20, the rotating piece 20 is rotated as shown in FIG. The guide shaft 18 of the buoyancy body 17 which was coupled to the guide groove 22 of the rotation piece 20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piece 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on piece 20 along the guide groove 22. The guide is formed by the guide groove 22 '.

이때, 상기 부력체(17)는 상기한 바와같이 하측방에서 수압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을 하려는 힘을 받고 있던 것으로 회동편(20)이 회동됨과 동시에 상측으로 이동이 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buoyancy body 17 is to receive the force to move upward by the hydraulic pressure from the lower side as described above is to be moved to the upper side at the same time the rotating piece 20 is rotated.

또한, 상기 부력체(20)가 상측으로 이동이 되면서 부력체(20)의 하측에 형성되어 공급관(13)의 개폐구(16)와 마주하던 개폐축(19)이 개폐구(16)를 밀어주게 되고, 개폐구(16)는 개폐축(19)에 의해 상측으로 밀리면서 공급관(13)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15)를 막아 주게 되고, 배출구(15)가 막힘에 따라 급수관(6)으로부터 물이 공급관(13)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 제어가 되어 수조(2)에 공급되는 물의 량이 적정수준으로 유입이 되면 물의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In addition, the buoyancy body 20 is moved to the upper sid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uoyancy body 20,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19 facing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16 of the supply pipe 13 is to push the opening and closing opening 16 The opening and closing port 16 blocks the discharge port 15 formed in the supply pipe 13 while being pushed upward by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19, and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6 as the discharge port 15 is blocked. The discharge through the (13) is controlled so that the supply of water is blocked whe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tank (2) is introduced to the appropriate level.

이때, 수조(2)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레버(5)를 누르게 되면 작동레버(5)와 연결되어 수조(2)의 배수구(3)를 막아주고 있던 마개(4)가 열리게 되면서 수조(2)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배수가 되게 되고, 수조(2)의 물이 배수됨에 따라 몸체(7)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회동된 회동편(20)이 자중에 의해 원상태로 회동되게 되고 회동편(20)이 원상태로 회동됨에 따라 부력체(17)도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어 공급관(13)의 배출구(15)가 개방되면서 급수관(6)을 통하여 공급관(13)에 물이 공급되어 다시 수조(2)에 물을 공급시키는 형태를 반복하면서 사용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operation lever 5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2 is pressed, the stopper 4 which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lever 5 and blocks the drain hole 3 of the water tank 2 is opened, and the water tank ( 2) the water stored in the inside is drained, and as the water in the tank 2 is drained, the rotating piece 20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7 and rotated upward is rotated to its original state by its own weight. As the rotating piece 20 is rotated to its original state, the buoyancy body 17 is also lowered to the lower side, and the water outlet is supplied to the supply pipe 13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6 while the outlet 15 of the supply pipe 13 is opened. The water tank 2 is used again while repeating the form of supplying water.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수조(2)에 설치되어 수조(2)에 공급되는 물을 제어 시켜 주는 급수장치(1)가 관의 형태로 이루어진 하나의 몸체(7)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 의해, 수조(2)내부에 설치되는 급수장치(1)의 설치와 교체가 하나의 몸체(7)로 이루어져 있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하나의 몸체(7)에서 수조(2)에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수조(2)내부의 구성이 간단하게 이루어 지게 되어 그에 따른 수조(2)내부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과 급수장치(1)의 구성이 간단함에 따라 비교적 고장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수조(2)내부의 구성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있게 되어 수조(2)의 내부에 용기에 수납된 살균제 등을 용이하게 수납시켜 수조(2)나 수조(2)에 수납된 물을 청결한 상태로 사용을 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supply device (1) installed in the water tank (2) to control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2) is composed of a single body (7) in the form of a tube , Installation and replacement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installed in the water tank (2) is made of a single body (7) is made easily, supplying or blocking water to the water tank (2) in one body (7) Therefor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ter tank 2 is made simple, so that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 is easily clean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1 is simple, so that the failure does not occur relatively, and the water tank 2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ter tank 2 allows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2 to be easily stored in the container,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 or the water tank 2 can be used in a clean state. There is a devise.

Claims (1)

내부에 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와 연결된 작동레버가 외부가 설치되어 좌변기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급수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조에 물을 공급시켜주는 급수장치에 있어서,The drainage opening and closing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stopper, the operation lever connected to the stopper is installed on the outside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ilet seat is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tank In the apparatus, 밑면에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8)가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6)과 연결되어 있고, 외주면에 다수의 배출구멍(9)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7)와;A body 7 having an inlet 8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t the bottom thereof,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6, and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9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몸체(7)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8)의 상측방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7)의 내부 하측방에 유입실(12)을 형성시켜 주는 격판(11)과;A diaphragm 11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inlet 8 formed in the body 7 to form an inlet chamber 12 in an inner lower side of the body 7; 상기 격판(11)의 윗면에 하단이 결합되어 상기 유입실(12)과 연통되어 있고, 상단부가 하측방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절곡된 단부 중앙에 상, 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개폐구(16)가 구비되어 있는 공급관(13)과;A low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aphragm 11 to communicate with the inflow chamber 12, the upper end is bent downwar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16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ent end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 supply pipe 13; 상기 몸체(7)에 상, 하로 이동가능하게 내부에 삽입되어 윗면에 가이드축(18)이 상측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밑면에 상기 공급관(13)의 개폐구(16)와 마주하는 개폐축(19)이 형성되어 있는 부력체(17)와;It is inserted into the body 7 so as to be moved up and down, the guide shaft 18 is protruded upward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 opening and closing shaft facing the opening and closing hole 16 of the supply pipe 13 on the bottom ( A buoyancy body (17) formed with 19); 상기 몸체(7)의 상단에 일측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21)결합되어 있고, 상기 몸체(7)에 결합시 상기 부력체(17)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축(18)이 접하는 외주면으로부터 윗면에 가이드홈(22, 22')이 형성되어 있는 회동편(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수조의 급수장치.The hinge 2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7 in one side, and when coupled to the body 7, the upper surfac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shaft 18 formed in the buoyancy body 17 abuts Water supply apparatus of the toilet seat tan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otating piece 20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22, 22 ').
KR2019990004808U 1999-03-25 1999-03-25 A Water Supplying Device For Water Tank In A Toilet Bowl KR1999003322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808U KR19990033228U (en) 1999-03-25 1999-03-25 A Water Supplying Device For Water Tank In A Toilet Bow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808U KR19990033228U (en) 1999-03-25 1999-03-25 A Water Supplying Device For Water Tank In A Toilet Bow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228U true KR19990033228U (en) 1999-08-05

Family

ID=5475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808U KR19990033228U (en) 1999-03-25 1999-03-25 A Water Supplying Device For Water Tank In A Toilet Bow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228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286A2 (en) * 2009-10-13 2011-04-21 주식회사 루트싸이언스 Drain val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286A2 (en) * 2009-10-13 2011-04-21 주식회사 루트싸이언스 Drain valve
WO2011046286A3 (en) * 2009-10-13 2011-06-16 주식회사 루트싸이언스 Drain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6952C (en) Adjustable fill valve assembly
KR200202253Y1 (en) A toilet stool for economize water
JP2006500496A (en) Water-saving Western-style toilet
KR100901186B1 (en) A toilet stool having a check valve for preventing backflowing between bowl and water tank
KR100663920B1 (en) Water supply device for cleansing of toilet stool
KR100408076B1 (en) A toilet stool for economize water
KR19990033228U (en) A Water Supplying Device For Water Tank In A Toilet Bowl
KR100736871B1 (en) device for rim washing of a toilet
KR100354527B1 (en) Toilet bowl of Water closet
KR200271548Y1 (en) Water saving toilet
KR20200137221A (en) Supplement water supply device of toilet water tank
KR200327321Y1 (en) Water saving apparatus for a toilet bowl
KR200190330Y1 (en) Device for water control in toilet
KR101582074B1 (en) a toilet bowl for saving water
KR200287466Y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drainage of a toilet
KR200212180Y1 (en) Supply container for washing liquid of toilet stool
KR200408973Y1 (en) water supply device of toilet stool cistern
KR102601393B1 (en) Backflow prevention device for low-tank toilet
JP3482777B2 (en) Toilet water supply structure
KR100942040B1 (en) Structure for guiding and discharging counter-flow in direct outlet typic toilet bowl
KR100899460B1 (en) Device for boring clogged drain for water closet
KR200283239Y1 (en) System control water level
KR102053362B1 (en) Water savable flash valve
KR200432084Y1 (en) water supply device for cleansing of toilet stool
KR200286818Y1 (en) Flushing Water Control Device For a Toilet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