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343A - 병렬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유도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병렬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유도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343A
KR19990032343A KR1019970053358A KR19970053358A KR19990032343A KR 19990032343 A KR19990032343 A KR 19990032343A KR 1019970053358 A KR1019970053358 A KR 1019970053358A KR 19970053358 A KR19970053358 A KR 19970053358A KR 19990032343 A KR19990032343 A KR 19990032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sonant
induction heating
parallel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8713B1 (ko
Inventor
정용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53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713B1/ko
Publication of KR1999003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02M1/0054Transistor switching losses
    • H02M1/0058Transistor switching losses by employing soft switching techniques, i.e. commutation of transistors when applied voltage is zero or when current flow is zer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에 걸리는 전압 스트레스(stress)를 입력 전압으로 클램핑하여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병렬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유도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평활되어 입력되는 전압을 분기시키고 역률을 향상시키는 제 1, 제 2 캐패시터(Cf1)(Cf2)로 구성된 전압 분기부(101)와, 공진 캐패시터(Cr) 및 워킹 코일(Lr)이 공진회로를 이뤄 상기 전압 분기부(101)에 의하여 분기된 입력전압을 공진시켜 가열판을 가열하는 가열부(102)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1, 제 2 스위치(S1)(S2)에 제 1, 제 2 댐핑 다이오드(D1)(D2)가 각각 역 병렬 연결되어 스위칭 작용에 따라 상기 가열부(102)가 가열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스위칭부(103)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병렬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유도가열 조리기
본 발명은 병렬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유도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치에 걸리는 전압 스트레스(stress)를 입력 전압으로 클램핑하여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병렬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유도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병렬 공진형 유도가열 조리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교류 전원(AC Source)을 정류하여 전원 주파수의 두배의 주파수를 갖는 맥동 전원으로 출력하는 정류부(1)와, 상기 정류부(1)를 통해 정류된 맥동 전원을 역률 개선용 필터 인턱터(Lf) 및 캐패시터(Cf)로 맥동 전원을 전달하는 필터부(2)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필터부(2)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으로 해서 부하를 공진시키고 그 공진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장에 기인한 전자기 유도 효과로 원하는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유도가열 코일(Lr)과 그 유도가열 코일(Lr)과 일련의 공진회로를 이루는 공진 캐패시터(Cr)와 댐핑다이오드(D1) 및 스위칭소자(S1)로 이루어진 인버터부(3)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병렬공진형 유도가열 조리기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의 인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하나의 인버터 회로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용 교류전원(AC)이 정류부(1)를 통해 맥동 전압으로 정류된 다음 필터부(2)의 인덕터(Lf) 및 캐패시터(Cf)를 통해 맥동 전압이 인버터부(3)에 입력된다.
이때, 인버터부(3)내의 공진 캐패시터(Cr)에 입력전압(Vd)이 충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치(S1)를 영전압의 조건에서 온시킨다.
그러면, 유도가열 코일(Lr)과 공진 캐패시터(Cr)는 일련의 공진회로를 이뤄 전류는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이후, 유도가열 코일(Lr)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설정된 값에 이르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스위치(S1)가 영전압의 조건으로 오프되면 유도가열 코일(Lr)과 공진 캐패시터(Cr)가 공진을 하여 공진 캐패시터(Cr)의 전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Vd에서 -Vpeak까지 공진을 통하여 떨어졌다가 다시 입력전압(Vd)으로 상승한다.
이때, 유도가열 코일(Lr)의 전류는 공진에 의해 약간 증가했다가 제로(Zero)점을 지나 반대방향으로 증가한다.
한편, 공진 캐패시터(Cr)의 전압이 입력전압(Vd)과 같아지면 다이오드(D1)가 도통하여 워킹코일(Lr)의 전류는 다이어드(D1)-유도가열 코일(Lr)-캐패시터(Cr)의 패스(Path)로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이때, 다이오드(D1)가 도통하고 있을 때 스위치(S1)를 영전압의 조건으로 온시킨다.
이전류가 영이되면 한 주기가 종료되고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전류에 의해서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는 자계가 발생하고 이 자계가 가열판(도시 생략됨) 위의 가열 용기(도시 생략됨)와 쇄교하여 가열 용기의 바닥에는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 와전류에 의한 주울(Joule)열에 의하여 가열 용기가 가열된다.
한편, 용기에 가해지는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주파수를 제어하면 되는데 주파수를 제어하면 각 주파수에 따라서 전류의 크기가 정해진다.
즉, 주파수가 커지면 전류의 크기는 작아지고 부하용기에는 낮은 출력을 전달하고 주파수가 낮아지면 전류의 크기는 커져서 부하용기에는 높은 출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병렬 공진형 유도가열 조리기는 스위치에 걸리는 전압 스트레스(Stress)가 너무 큼으로 인해 일정량의(약 1200W)의 출력밖에 얻을 수 없으며, 또한 공진 캐패시터에 걸리는 전압도 커서 부품 개발도 어렵고, 아울러 제조 원가도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위치에 걸리는 전압 스트레스(stress)를 입력 전압으로 클램핑하여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병렬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유도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맥동되어 입력되는 전압을 분기시키고 역률을 향상시키는 전압 분기수단과, 공진회로를 이뤄 상기 전압 분기수단에 의하여 분기된 입력전압을 공진시켜 가열판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개별적으로 스위칭되어 상기 가열수단을 가열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병렬 공진형 유도가열 조리기의 회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도가열 조리기의 동작에 따른 전류 전압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병렬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유도가열 조리기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도가열 조리기의 동작에 따른 전류 전압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전압 분기부 102 : 가열부
103 : 스위칭부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병렬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유도가열 조리기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동작에 따른 전류 전압 파형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맥동되어 입력되는 전압을 분기시키고 역률을 향상시키는 제 1, 제 2 캐패시터(Cf1)(Cf2)로 구성된 전압 분기부(101)와, 공진 캐패시터(Cr) 및 워킹 코일(Lr)이 공진회로를 이뤄 상기 전압 분기부(101)에 의하여 분기된 입력전압을 공진시켜 가열판을 가열하는 가열부(102)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1, 제 2 스위치(S1)(S2)에 제 1, 제 2 댐핑 다이오드(D1)(D2)가 각각 역 병렬 연결되어 스위칭 작용에 따라 상기 가열부(102)가 가열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스위칭부(103)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류전원(AC Source)이 브리지 정류회로(도시 생략됨)에 의하여 맥동 전압으로 정류되어 역률을 개선하기 위한 LC 필터회로(도시 생략됨)를 통하여 입력되면 전압 분기부(101)의 제 1, 제 2 필터 캐패시터(Cf1)(Cf2)는 입력전압을 분기시키게 된다.
이때, 워킹 코일(Lr)과 공진 캐패시터(Cr)로 이루어진 공진회로를 이용하여 가열판(도시 생략됨)을 가열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제 1, 제 2 스위치(S1)(S2)의 스위칭 상태 및 전류 전압 파형도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스위칭부(103)의 제 1 스위치(S1)는 온됨과 동시에 제 2 스위치(S2)가 오프되면 워킹 코일(Lr)과 공진 캐패시터(Cr)는 일련의 공진회로를 이뤄 입력 전압의 반(Vd/2)이 인가됨과 아울러 워킹 코일(Lr)에 흐르는 전류가 선형적으로 상승된다.
이후, 워킹 코일(Lr)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설정된 값에 이르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 1 스위치(S1)가 영전압의 조건으로 오프되면 워킹 코일(Lr)과 공진 캐패시터(Cr)가 공진을 하여 공진 캐패시터(Cr)의 전압이 +Vd/2에서 -Vd/2로 공진을 통하여 떨어진다.
그리고, 공진 캐패시터(Cr)의 전압이 -Vd/2가 되면 제 2 스위치(S2)에 역 병렬 연결된 제 2 댐핑 다이오드(D2)는 온됨과 아울러 워킹 코일(Lr1)에 흐르는 전류가 선형적으로 감소된다.
이때,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 2 스위치(S2)가 영전압의 조건으로 온되면 워킹 코일(Lr)에 흐르는 전류는 영까지 떨어졌다가 다음에는 반대 방향으로 증가된다.
그리고, 이 전류가 설정치에 이르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 2 스위치(S2)가 영전압의 조건으로 오프된다.
그러면, 다시 워킹 코일(Lr)과 공진 캐패시터(Cr)가 공진을 하여 공진 캐패시터(Cr)의 전압이 -Vd/2에서 +Vd/2로 공진을 통하여 증가된다.
또한, 공진 캐패시터(Cr)의 전압이 +Vd/2가 되면 제 1 스위치(S2)에 역 병렬 연결된 제 1 댐핑 다이오드(D1)는 온됨과 아울러 워킹 코일(Lr)에 흐르는 전류가 선형적으로 증가된다.
그리고, 이 전류가 영이 되면 한 공진 주기가 끝나고 상술한 공진 동작이 반복된다.
이와 같이, 워킹 코일(Lr)에 유기된 전류에 의하여 자속이 발생되고, 이 자속이 가열판(도시 생략됨) 위의 가열 용기(도시 생략됨)와 쇄교하여 가열 용기의 바닥에는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 와전류에 의한 주울(Joule)열에 의하여 가열 용기가 가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위치의 전압 스트레스(Stress)가 큰 것을 입력전압(Vd)으로 클램핑함으로서 제조 원가가 저렴한 전압 용량의 스위치를 사용할 수가 있고, 또한 공진 캐패시터에 걸리는 전압도 Peak-to-Peak로 입력전압(Vd)으로 클램핑되어 제조 원가가 저렴한 전압 용량의 캐패시터를 사용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측면에서 보면 기존의 병렬공진형 유도가열 조리기는 영전압 조건을 센싱해서 거기에 맞게 한 포인트에서 스위칭을 해주어야 하므로 제어가 어렵고 모든 범위에서의 영전압 조건을 맞추기도 어렵지만 본 발명에서 제어한 방식은 영전압 스위칭 구간이 길기 때문에 제어가 매우 손쉬어 제어회로를 간략화할 수 있어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맥동되어 입력되는 전압을 분기시키고 역률을 향상시키는 전압 분기수단과,
    공진회로를 이뤄 상기 전압 분기수단에 의하여 분기된 입력전압을 공진시켜 가열판을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개별적으로 스위칭되어 상기 가열수단을 가열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유도가열 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기수단은 제 1 캐패시터(Cf1)와 제 2 캐패시터(Cf2)가 병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유도가열 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워킹코일(Lr)과 공진 캐패시터(Cr)가 병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유도가열 조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스위칭수단은 제 1 또는 제 2 댐핑 다이오드(D1)(D2)가 각각 역 병렬 연결된 제 1 스위치(S1)와 제 2 스위치(S2)가 직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유도가열 조리기.
KR1019970053358A 1997-10-17 1997-10-17 병렬공진형소프트스위칭유도가열조리기 KR100248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358A KR100248713B1 (ko) 1997-10-17 1997-10-17 병렬공진형소프트스위칭유도가열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358A KR100248713B1 (ko) 1997-10-17 1997-10-17 병렬공진형소프트스위칭유도가열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343A true KR19990032343A (ko) 1999-05-15
KR100248713B1 KR100248713B1 (ko) 2000-04-01

Family

ID=19522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358A KR100248713B1 (ko) 1997-10-17 1997-10-17 병렬공진형소프트스위칭유도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87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874B1 (ko) * 2008-11-21 2009-04-15 (주)알지비테크놀러지 전계 발광 시트용 저 소음 구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874B1 (ko) * 2008-11-21 2009-04-15 (주)알지비테크놀러지 전계 발광 시트용 저 소음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8713B1 (ko) 200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3732A (en) Power circuit for induction cooking
EP0571372B1 (en) Dc/dc-converter
KR100248713B1 (ko) 병렬공진형소프트스위칭유도가열조리기
KR0179529B1 (ko) 다출력 제어를 위한 듀얼 할프 브리지형 전자 유도 가열 조리 장치
KR100253550B1 (ko) 자성 및 비자성 겸용 유도가열 조리기
KR100248712B1 (ko) 자성및비자성겸용유도가열조리기
KR100214614B1 (ko) 자성 및 비자성 겸용가열 전자유도가열조리기
KR100261520B1 (ko) 자성및비자성겸용풀브리지유도가열조리기
KR100261519B1 (ko) 대출력소프트스위칭풀브릿지유도가열조리기
KR0176903B1 (ko) 하프-브릿지형 다출력 전자 유도 가열장치
KR100246418B1 (ko) 대출력 소프트 스위칭 자성 및 비자성 겸용 유도가열 조리기
KR100198302B1 (ko)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KR100186482B1 (ko) 유도 가열 조리기의 인버터
KR100253548B1 (ko) 유도가열 조리기
KR100253558B1 (ko) 자성 및 비자성 겸용 유도가열 조리기
KR100229716B1 (ko) 병렬공진형 유도가열 조리기
KR100218449B1 (ko) 자성 및 비자성 겸용가열 전자유도가열조리기
KR100229715B1 (ko) 다부하를 갖는 병렬 공진형 영전압 스위칭 유도 가열 조리기
KR0179537B1 (ko) 다출력 제어를 위한 공진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 장치
KR100186425B1 (ko) 자성/비자성용기 겸용 유도가열용 인버터
KR0179536B1 (ko) 다출력 제어를 위한 듀얼 할프 브리지형 전자유도 가열 조리장치
KR100301963B1 (ko) 정출력형고압방전등용전자식안정기
KR19990032341A (ko) 다부하를 갖는 병렬 공진형 소프트 스위칭 유도 가열 조리기
KR100239364B1 (ko) 다부하를 갖는 하프 브릿지 유도가열조리기
CA2211467C (en) Inverter for the power supply of discharge lamp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power f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