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580U - 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580U
KR19990031580U KR2019970044325U KR19970044325U KR19990031580U KR 19990031580 U KR19990031580 U KR 19990031580U KR 2019970044325 U KR2019970044325 U KR 2019970044325U KR 19970044325 U KR19970044325 U KR 19970044325U KR 19990031580 U KR19990031580 U KR 199900315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unit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32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만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44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580U/en
Publication of KR199900315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580U/en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수시 세탁기를 이용한 자동 물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예약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설정부와 시간설정부에 입력된 데이터를 EEPROM에 저장하기 위한 시간저장부와 시계회로부와 시간저장부의 현재날짜 및 시간을 비교하여 시계회로부와 시간저장부의 현재날짜 및 시간이 일치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시계회로부와 시간저장부의 현재날짜 및 시간이 일치하지 않으면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급수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급수밸브구동신호부로 구성되고, 예정된 단수날짜 및 시간을 세탁기에 입력하고 단수날짜 및 시간이 도래하기 전에 세탁기의 세탁통내에 최대 수량을 저장할 수 있도록 동작하며, 단수예정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두고 사용자가 외출할 경우에도 자동으로 세탁기의 세탁기내에 최고수위의 물을 저장하여 급한 용무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for a single time, and a time storage unit and a clock for storing the data input to the EEPROM for a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a reservation time and a time setting unit by a user's selection. Compares the current date and time of the circuit part with the time storage part, and outputs a high signal if the current date and time of the clock circuit part and the time storage part coincide. It consists of a water supply valve drive signal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valve by a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ison unit and the comparison unit, and inputs the predetermined number of days and times into the washing machine and inputs the maximum quantity in the washing tub of the washing machine before the number of days and times arrives. It is operated to save, and even if the user goes out after setting the preset singular time To the effect that can be used for urgent business to save the maximum level of water in the washing machine of the washing machine.

Description

단수시 세탁기를 이용한 자동 물저장 장치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본 고안은 단수시 세탁기를 이용한 자동 물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예정된 단수날짜 및 시간을 세탁기에 입력하고 단수날짜 및 시간이 도래하기 전에 세탁기의 세탁통내에 최대 수량을 저장할 수 있는 단수시 세탁기를 이용한 자동 물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in the singular, and more specifically, to input the predetermined singular date and time into the washing machine and to store the maximum quantity in the washing machine of the washing machine before the singular date and time arriv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최근들어 세탁기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세탁물의 세탁, 헹굼 및 탈수과정 등의 세탁행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세탁세제 및 섬유유연제등도 자동으로 투입시킬 수 있는 세탁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크기도 대용량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Recently, a washing machine is not only capable of automatically performing laundry administration such as washing, rinsing and dehydrating laundry, but also automatically inserting laundry detergent and fabric softener as needed. It is widely used and its size is also becoming larger.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외관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내에는 세탁실(2)이 구비되어 있고 이 세탁실(2)내에는 세탁물을 소정량 수납하여 세탁하기 위한 교반날개(3a)가 구비된 세탁통(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1) 상부에는 도어(4)가 설치됨과 아울러 세탁코스 등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조작패널(5)이 구비되며, 세제를 자동으로 투입하는 세제투입장치(6)도 함께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세탁수를 급, 배수시키고 세탁통(3)과 교반날개(3a)등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이 구비되어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general washing machine. As shown in FIG. 1, a laundry room 2 is provided in a main body 1,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laundry is stored in the laundry room 2. The laundry container 3 provided with the stirring blade 3a for washing is provided. In addition, a door 4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1, and an operation panel 5 for selectively adjusting a washing course and the like is provided, and a detergent input device 6 for automatically introducing detergent is also installed. .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is provided with a driving means for supplying and draining the wash water and operating the washing tub 3 and the stirring blade (3a).

이와 같은 세탁기에 있어서 그 세탁용량은 일회 세탁할 수 있는 최대 세탁량으로 구분되는 바, 통상 5∼6kg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는 표준용량 세탁기와 6∼9kg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는 대용량 세탁기와 10kg이상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는 초대용량 세탁기로 대별된다.In such a washing machine, the washing capacity is divided into the maximum washing capacity that can be washed once. Usually, a standard washing machine capable of washing 5 to 6 kg of laundry and a large washing machine capable of washing 6 to 9 kg of laundry and 10 kg It is roughly classified into a super capacity washing machine which can wash the above laundry.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구조를 가진 세탁기에 급수이상이 발생하면 경보회로에 의해 수위에 따라 주파수의 범위를 달리하는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일정시간(예: 5분)후에 수도사정에 따른 세탁통내의 급수상황을 검출함으로써 세탁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급수를 중지하고, 경보 및 급수이상 표시를 하여 주어 급수이상을 조기에 경보할 수 있도록 한다.If a water supply error occurs in the washing machine having the genera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supply situation in the washing tub according to the water situat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 minutes) by using a water level sensor that varies the frequency rang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by an alarm circuit. If it is judged that it is not suitable for washing by stopping the water supply, the water supply is stopped and an alarm and a water supply error indication are given so that the water supply error can be alarmed early.

도 2는 종래의 세탁기 급수이상 경보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크로 컴퓨터인 제어수단(7)의 입력포트(PI)에는 저항(R1∼R5), 콘덴서(C1,C2), 코일(L), 인버터(I1,I2) 및 트랜지스터(Q1)등으로 구성된 통상의 수위감지수단(8)이 접속되어 세탁통(3)내의 수위 압력의 변화에 따라 고유발진주파수를 발생시키게 되어 있다. 즉, 세탁통(3)의 수위 압력에 따라 압력센서용 코일(L)의 철심이 이동되어 코일(L)의 리액턴스 값이 변화되므로 그 변화된 리액턴스 값과 콘덴서(C1,C2)의 값에 의해 고유의 LC 발진을 수행하게 되고, 이 발진신호는 저항(R3)을 거쳐 트랜지스터(Q1)을 단속적으로 턴 온시킴으로 해서 제어수단(7)의 포트에는 저항(R5)을 통하여 발진 구형파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수위 감지수단(8)에서는 세탁통(3)내의 수위에 따라 일정한 고유주파수가 발생되어 제어수단(7)의 포트(PI)로 입력되므로 제어수단(7)은 이 일정발진주파수를 읽어들여 수위를 판단하게 된다.Fig. 2 shows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alarm circuit diagram. The input ports PI of the control means 7, which are microcomputers with built-in programs, include resistors R1 to R5, capacitors C1 and C2, and coils L. Normal water level detecting means 8 composed of inverters I1, I2, transistors Q1, and the like are connected to generate a natural oscillation frequency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water level pressure in the washing tub 3. That is, the iron core of the pressure sensor coil (L)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pressure of the washing container (3), so that the reactance value of the coil (L) is changed, and according to the changed reactance value and the values of the condensers (C1, C2) LC oscillation is performed, and the oscillation signal is turned on intermittently by the transistor Q1 via the resistor R3, so that the oscillation square wave is input to the port of the control means 7 through the resistor R5. In this way, in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8, a certain natural frequency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the washing tub 3 and is input to the port PI of the control means 7, so that the control means 7 reads this constant oscillation frequency. Will be judged.

또한, 제어수단(7)의 출력포트에는 저항(R6∼R8), 트랜지스터(Q2), 트라이액(T), 콘덴서(C3) 및 급수밸브(V)로 구성된 급수밸브 구동수단(9)이 접속되어 포트로 출력된 로우신호는 저항(R6)을 통해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킨다. 동시에 트라이액(T)의 게이트에 트리거 신호를 인가하여 트라이액(T)이 도통하므로 급수밸브(V)에 전원이 인가되어 급수밸브(V)가 열리면서 세탁통(3)에 급수가 개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포트(PO1)의 출력신호는 급수밸브(V)의 개폐를 제어한다.The output port of the control means 7 is also connected to a water supply valve drive means 9 composed of resistors R6 to R8, transistors Q2, triac T, condenser C3 and feed water valve V. The low signal output to the port turns on the transistor Q2 through the resistor R6. At the same time, since the triac (T) conducts by applying a trigger signal to the gate of the triac (T), power is applied to the water supply valve (V) to open the water supply valve (V), and water supply is started in the washing tub (3). Therefore, the output signal of the port PO1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supply valve V.

출력포트(PO2)에는 저항(R8∼R11), 트랜지스터(Q3,Q4) 및 부저(B)로 구성된 경보발생수단(10)이 접속되어 급수이상시 포트(PO2)로 로우신호가 출력되어 저항(R8)을 통해 트랜지스터(Q3)를 턴오프시키며 이 트랜지스터(Q3)의 턴오프로 그 컬렉터단에는 저항(R10)을 통한 고전위가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되며 동시에 직류전원이 부저(B) 및 저항(R11)을 통해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 접지로 흐르게 되어 부저(B)는 비상경보를 발하는 것이다.Alarm output means 10 composed of resistors R8 to R11, transistors Q3 and Q4 and buzzer B is connected to output port PO2, and a low signal is output to port PO2 in case of water supply failure. Transistor Q3 is turned off through R8, and transistor Q4 is turned on because a high potential through resistor R10 is applied to the base of transistor Q4 at its collector end. At the same time, the DC power flows through the buzzer B and the resistor R11 to the emitter ground of the transistor Q4, and the buzzer B emits an emergency alarm.

또한, 제어수단(7)의 출력포트(PO3∼PO19)에는 통상의 표시수단(11)이 접속되어 이 포트(PO3∼PO19)를 통해 급수이상시 급수이상 신호를 출력하여 급수이상에 대한 코드표시를 디스플레이 해준다.In addition, the normal display means 11 is connected to the output ports PO3 to PO19 of the control means 7 to output a water supply failure signal in case of a water supply failure through the ports PO3 to PO19 to display a code for the water supply failure. Display.

도 3은 제어수단의 내부 구성도로써, 중앙처리장치(CPU)와 세탁기의 구동프로그램이 내장된 롬과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시키거나 독출할 수 있는 램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입력인터페이스의 포트(PI)에는 수위감지수단(8)의 출력이 입력되고, 출력 인터페이스의 포트(PO1∼PO19)에는 급수밸브 구동수단(9), 경보발생수단(10) 및 표시수단(11)이 접속되며 제어수단(7)의 내부구성부들의 정보 교환 및 제어는 각각 데이터 버스, 어드레스 버스 및 제어버스를 통해 제어된다.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means, compri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ROM in which a driving program of a washing machine is embedded, and a RAM and an input / output interface capable of temporarily storing or reading data (ports of an input interface) The output of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8 is input to PI, and the water supply valve driving means 9, the alarm generating means 10 and the display means 11 are connected to the ports PO1 to PO19 of the output interface. Information exchange and control of the internal components of (7) are controlled via a data bus, an address bus and a control bus,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탁기 급수이상 경보회로의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abnormality alarm circu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종래의 세탁기 급수이상 경보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내며, 세탁기에 전원을 인가하고 원하는 세탁코스를 선택하여 시작 스위치를 온하게 되면 세탁기는 출력포트(PO1)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급수를 개시하게 된다. 이 때 수위감지수단(8)으로부터의 초기 발진주파수를 검출하여 포트(PI)로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들이고, 제어수단(7)은 초기 주파수의 데이터를 램에 저장하여 둔다. 그리고, 급수개시후 일정시간의 경과를 체크하게 되며 급수후 설정된 일정시간(예: 5분)이 경과하면 그 시점에서 수위감지수단(8)을 통해 입력되는 수위에 따른 주파수를 재차 읽어들인다.Figure 4 show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abnormality alarm circuit, when the washing machine outputs a low signal to the output port (PO1) 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and the desired washing course is selected and the start switch is turned on. To start the water supply. At this time, the initial oscillation frequency from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8 is detected and the signal input to the port PI is read, and the control means 7 stores the data of the initial frequency in the RAM. After the start of the water supply, the e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is checked. Whe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 minutes) elapses after the water supply, th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water level input through the water level detecting means 8 is read again.

이때의 읽어들인 주파수신호와 램에 저장되어 있던 초기 주파수 신호를 비교하여 이미 설정해둔 일정한 차이가 있는가를 판단하게 되며 이때 일정차이가 있다는 것은 초기의 급수 상태에서 일정시간 이후의 급수상태가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며 이것은 세탁진행을 위한 급수 사정에 이상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계속하여 설정된 급수 및 정상세탁 동작을 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requency signal read and the initial frequency signal stored in RAM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ertain difference already set. At this time, there is a certain difference in the water supply state after a certain time from the initial water supply state. This means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water supply situation for the washing process, so that the set water supply and normal washing operation are continuously performed.

그러나, 초기주파수와 일정시간후의 주파수가 일정차이로 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급수에 이상이 생겨 세탁통(3)내의 수위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는 것이므로 제어수단(7)은 포트(PO1)로 로우신호의 출력을 중지하여 급수밸브(V)를 폐쇄함과 동시에 급수를 중단시키고, 포트(PO2)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부저(B)에 신호를 인가하여 경보를 발하며 포트(PO3∼PO19)로 제어된 신호를 출력하여 급수이상에 때한 코드표시를 디스플레이 해주도록 동작한다.However, if the initial frequency and the frequency after a certain time do not become constant, it means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water supply and the water level in the washing container 3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Therefore, the control means 7 stops outputting the low signal to the port PO1. To close the water supply valve (V) and stop the water supply at the same time, output a low signal to the port (PO2) to apply a signal to the buzzer (B) to give an alarm and output the signal controlled by the ports (PO3 to PO19) It operates to display the code indication when water supply error occur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세탁기의 급수이상 경보회로는 급수이상 발생시 경보를 해주는 역할만 수행할 뿐 단수시나 급수이상 발생시에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단수시간에 사용자가 외출할 때는 물을 미리 저장할 수가 없어 급한 용무에 사용하고자 할 때 불편함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However, the water supply abnormality alarm circuit of the washing machine does not provide a fundamental solution in case of water shortage or water supply abnormality, but only serves as an alarm when water supply abnormality occurs. In addition, when the user goes out in a short time can not store the water in advance,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inconvenience when trying to use for urgent business.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수예정날짜 및 시간을 사용자가 세탁기의 시간저장부에 입력하고 예약시간이 도달하면 세탁기내의 세탁통에 최고량 수위로 자동적으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단수시 세탁기를 이용한 자동 물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put the date and time of the singular number into the time storage unit of the washing machine, and when the reservation time is reached, the washing machine in the washing machine automatically reaches the highest level. 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when water can be stored as a short tim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탁코스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조작패널이 구비되어 있고 현재날짜 및 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시계회로부와 상기 조작패널의 신호에 의해 세탁과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하에 급수밸브를 개폐하여 물을 세탁통내로 급수하기 위한 급수밸브구동부와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세탁기의 세탁통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와 급수이상시 부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발생부와 급수이상시 에러발생을 LCD를 통해 출력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진 세탁기의 급수이상 경보장치에 있어서, 세탁기의 조작패널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예약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설정부와 시간설정부에 입력된 데이터를 EEPROM에 저장하기 위한 시간저장부와 시계회로부와 시간저장부의 현재날짜 및 시간을 비교하여 시계회로부와 시간저장부의 현재날짜 및 시간이 일치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시계회로부와 시간저장부의 현재날짜 및 시간이 일치하지 않으면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급수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급수밸브구동신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washing course and the microcomputer that is programmed to perform the washing process by the clock circuit unit for counting the current date and time and the signal of the operation panel; By using the water supply valve driver and water level sensor to open and close the water supply valve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detects the water level in the washing tub of the washing machine and outputs an alarm sound through the buzzer in case of water supply abnormality. In the water supply abnormality alarm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consisting of an alarm generating unit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 error occurrence in case of water supply failure through the LCD, located on the operating panel of the washing machine, and a time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reservation time by the user's selection; Time storage unit and clock circuit unit for storing the data input to the time setting unit to the EEPROM Comparing unit comparing the current date and time of the time storage unit and outputting a high signal if the current date and time of the clock circuit unit and the time storage unit match, and outputting a low signal if the current date and time of the clock circuit unit and the time storage unit do not match. And a water supply valve driving signal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valve by a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ing unit.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외관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ypical washing machine.

도 2는 종래의 세탁기 급수이상 경보회로도.Figure 2 is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abnormality alarm circuit diagram.

도 3은 제어수단의 내부 구성도.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ntrol means.

도 4는 종래의 세탁기 급수이상 경보회로의 흐름도.4 is a flow chart of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abnormality alarm circuit.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단수시 세탁기를 이용한 자동 물저장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Figure 5 is a block diagram for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when water cu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단수시 세탁기를 이용한 자동 물저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Figure 6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when water cu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시계회로부 30: 마이컴20: clock circuit 30: microcomputer

40: 수위감지부 50: 경보발생부40: water level detection unit 50: alarm generating unit

60: 표시부 70; 시간설정부60: display unit 70; Time setting part

70a: 설정키 70b: (+)키70a: setting key 70b: (+) key

70c: (-)키 70d: 전진키70c: (-) key 70d: Forward key

70e: 후진키 70f: 완료키70e: Reverse key 70f: Complete key

80: 시간저장부 90: 비교부80: time storage unit 90: comparison unit

100: 급수밸브구동신호부100: water supply valve drive signal uni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단수시 세탁기를 이용한 자동 물저장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in the water short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부호 20은 전력을 공급해주는 전원수단과 클럭신호를 생성시키는 클럭신호생성수단, 날짜정보를 기억시키는 기억수단, 클럭신호생성수단에 접속되어 클럭신호생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클럭신호에 응답해서 시간정보를 생성시키는 시간정보생성수단, 이 시간정보생성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시간정보생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시간정보에 응답해서 카운트한 다음 카운트값을 출력해내는 카운트수단, 카운트수단에서 계수한 카운트값을 LCD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시계회로부이다.As shown in Fig. 5,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a clock signal generation means for generating a clock signal, a memory means for storing date information, and a clock signal generation means and outputted from the clock signal generation means. Time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time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clock signal to be made; count means for counting in response to the time information output from said time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connected to said time information generating means, and outputting a count value; The clock circuit unit is constituted by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count value counted by the means on the LCD.

도면부호 30은 연산장치나 입출력 장치, 기억장치와 신호를 수수하여 명령의 추출이나 해독, 입력이나 출력의 제어 등을 하고, 조작패널의 신호에 의해 세탁과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마이컴이다.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 microcomputer that is programmed to receive a signal with an arithmetic device, an input / output device, a memory device, and to extract or decode a command, to control an input or an output, and to perform a washing process by a signal of an operation panel.

도면부호 40은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세탁통내로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최소량, 저, 중, 최고량을 측정하는 수위감지부이다. 도면부호 50은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급수이상시나 기타 에러가 발생하면 부저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발생부이다. 도면부호 60은 시계회로부에서 카운트한 값과 에러발생시 에러표시를 출력하는 표시부이다.Reference numeral 40 is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for measuring the minimum, low, medium, maximum amount by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ied into the washing tub using the water level sensor. Reference numeral 50 is an alarm generating unit that outputs an alarm sound through a buzzer when a water supply error or other error occurs in the course of executing a program. Reference numeral 60 denotes a display unit which outputs a value counted by the clock circuit unit and an error indication when an error occurs.

도면부호 70은 세탁기의 조작패널에 위치하며 예약시간 설정시작을 지정하기 위한 설정키(70a)와 표시부(60)에 출력되는 초기화된 예약날짜 및 시간을 앞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키(70b)와 표시부에 출력되는 초기화된 예약날짜 및 시간을 뒤로 진행시키기 위한 (-)키(70c)와 예약날짜 및 시간이 설정되고 있는 부분의 커서를 앞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진키(70d)와 예약날짜 및 시간이 설정되고 있는 부분의 커서를 앞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후진키(70e)와 예약시간 설정의 종료를 알리기 위한 완료키(70f)로 구성된 시간설정부이다.Reference numeral 70 denotes a setting key 70a for designating the start of reservation time setting and a (+) key 70b for advancing the initialized reservation date and time output to the display unit 60. And (-) key 70c for advancing the reset reservation date and time outputted on the display part and the advance key 70d for moving the cursor of the portion where the reservation date and time are set, and the reservation date and time. It is a time setting section composed of a backward key 70e for moving the cursor of this set portion forward and a completion key 70f for notifying the end of the reservation time setting.

도면부호 80은 시간설정부에서 예약한 단수날짜 및 시간을 EEPROM에 저장하는 회로로 이루어진 시간저장부이고, 도면부호 90은 시계회로부와 시간저장부의 날짜 및 시간을 비교하여 일치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이다. 도면부호 100은 비교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급수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급수밸브구동신호부이다.Reference numeral 80 denotes a time storage unit consisting of a circuit for storing the single date and time reserved by the time setting unit in the EEPROM, and reference numeral 90 compares the date and time of the clock circuit unit with the time storage unit and outputs a high signal if it matches. If not, the comparator outputs a low signal. Reference numeral 100 is a water supply valve drive signal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valve by a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ator.

이하에는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동작을 도 6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단수시 세탁기를 이용한 자동 물저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in the water short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2단계는 사용자가 시간설정부(70)의 설정키(70a)를 눌러 마이컴(30)에 입력하는 단계이고, 설정키(70a)가 입력되면 LCD(61)에 초기화면(예: 12.31 12:00 A)이 디스플레이되고 커서는 처음위치에 머물러 점렬된다. 커서가 위치한 곳에서 사용자가 예약하고자 하는 단수시간보다 소정의 시간전 날짜 및 시간을 입력한다(604단계). 입력하는 방법은 월위치에 커서가 점멸하고 있으면 (+)키(70b) 및 (-)키(70c)를 사용하여 원하는 월을 입력하고, 전진키(70d)를 눌러 커서를 일위치로 이동시키고 (+)키(70b) 및 (-)키(70c)를 사용하여 원하는 일을 입력한다. 같은 방법으로 시간을 입력한다. 잘못 입력된 부분이 있으면 후진키(70e)를 눌러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킨 후 재입력한다.As shown in FIG. 6, step 602 is a step in which the user presses the setting key 70a of the time setting unit 70 to input to the microcomputer 30, and when the setting key 70a is input, the LCD 61 is input. The initial screen (eg 12.31 12:00 A) is displayed and the cursor stays in the initial position and lights up. In step 604, the user inputs a predetermined time and a time before the singular time that the user wants to reserve at the location where the cursor is located. If input cursor is blinking at month position, input desired month by using (+) key (70b) and (-) key (70c), and press forward key (70d) to move cursor to one position. Enter the desired work using the (+) key 70b and the (-) key 70c. Enter the time in the same way. If there is any wrong input, move to the desired place by pressing reverse key (70e) and input again.

단수예약시간이 사용자가 원하는 날짜 및 시간이 입력되면 시간설정부(70)의 완료키(70f)를 눌러 예약종료를 알리고(606단계), 완료키(70f)신호가 입력되면 예약된 날짜 및 시간을 EEPROM에 저장한다(608단계).When the number and time desired by the user of the singular reservation time are input, the completion key (70f) of the time setting unit 70 is notified of the reservation termination (step 606), and when the completion key (70f) signal is input, the reserved date and time To the EEPROM (step 608).

비교부(90)는 시계회로부(20)의 날짜 및 시간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예약되어 시간저장부(80)에 저장된 날짜 및 시간을 비교하여 예약시간이 도달하기 전에는 로우신호를 마이컴(30)에 전송하고, 예약시간이 도달하면 하이신호를 마이컴(30)에 전송한다(610단계).The comparison unit 90 compares the date and time of the clock circuit unit 20 with the date and time reserved by the user's selection and stored in the time storage unit 80 to obtain a low signal before the reservation time reaches the microcomputer 30. In step 610,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high signal to the microcomputer 30 when the reservation time arrives.

비교부(9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예약시간의 도달여부를 판단(612단계)하고, 세탁통에 세탁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614단계)하여 세탁물이 있다고 판단되면 경보발생부(50)의 부저(51)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고, 표시부(60)의 LCD(61)을 통해 에러표시를 출력한다(616단계). 세탁통내에 세탁물이 없다고 판단되면 급수밸브구동신호부(100)에 의해 급수밸브를 개방(618단계)하여 세탁기의 최고량 수위로 물을 저장한다(620단계).If the reservation time is reached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ator 90 (step 612), and if there is laundry in the laundry container (step 61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laundry, the buzzer of the alarm generating unit 50 ( 51, an alarm sound is output, and an error display is output through the LCD 61 of the display unit 60 (step 616).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laundry in the washing tub, the water supply valve driving signal unit 100 opens the water supply valve (step 618) to store water at the highest level of the washing machine (step 620).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단수시 세탁기를 이용한 자동 물저장 장치에 의하면, 단수예정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두고 사용자가 외출할 경우에도 자동으로 세탁기의 세탁기내에 최고수위의 물을 저장하여 급한 용무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단수시간을 예약하고 세탁을 하는 경우에 단수시간과 세탁시간을 비교하여 세탁을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자동적으로 경보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the single-tim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user goes out with a preset time of the single stage, the water is automatically stored in the washing machine of the washing machine for urgent business. Can be used. In addition, when the laundry is reserved and the washing time is determined, when the washing time cannot be compared by comparing the washing time and the washing time, the alarm is automatically output and the user can take appropriate measures.

Claims (2)

세탁코스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조작패널이 구비되어 있고 현재날짜 및 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시계회로부(20)와 상기 조작패널의 신호에 의해 세탁과정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마이컴(30)과 상기 마이컴(30)의 제어하에 급수밸브를 개폐하여 물을 세탁통내로 급수하기 위한 급수밸브구동부(35)와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세탁기의 세탁통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40)와 급수이상시 부저(51)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발생부(50)와 급수이상시 에러발생을 LCD(61)를 통해 출력하는 표시부(60)로 이루어진 세탁기의 급수이상 경보장치에 있어서,An operating panel for selectively adjusting a washing course is provided, and the microcomputer 30 and the microcomputer 30 are programmed to perform a washing process by a clock circuit unit 20 for counting a current date and time and a signal of the operating panel. Water level valve unit (3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valve under the control of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into the washing tub and the water level sensor 40 to detect the water level in the washing tub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buzzer (51) In the water supply abnormality alarm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comprising an alarm generating unit 50 for outputting an alarm soun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a display unit 60 for outputting an error occurrence in case of a water supply failure through the LCD 61, 세탁기의 조작패널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예약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설정부(70)와Located in the operating panel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time setting unit 70 for setting the reservation time by the user's selection 상기 시간설정부(70)에 입력된 데이터를 EEPROM에 저장하기 위한 시간저장부(80)와A time storage unit 80 for storing data input to the time setting unit 70 in an EEPROM; 상기 시계회로부(20)와 상기 시간저장부(80)의 현재날짜 및 시간을 비교하여 시계회로부(20)와 시간저장부(80)의 현재날짜 및 시간이 일치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고, 시계회로부(20)와 시간저장부(80)의 현재날짜 및 시간이 일치하지 않으면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90)와Comparing the current date and time of the clock circuit unit 20 and the time storage unit 80 and outputs a high signal if the current date and time of the clock circuit unit 20 and the time storage unit 80 match, and the clock circuit unit Comparing unit 90 for outputting a low signal if the current date and time of the 20 and the time storage unit 80 does not match 상기 비교부(9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급수밸브를 개폐시키기 위한 급수밸브구동신호부(1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수시 세탁기를 이용한 자동 물저장 장치.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water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water supply valve drive signal unit 1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valve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ison unit (9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설정부(70)는 예약시간 설정시작을 지정하기 위한 설정키(70a)와2. The time setting unit 70 further includes a setting key 70a for designating a start of reservation time setting. 상기 표시부(60)에 출력되는 초기화된 예약날짜 및 시간을 앞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키(70b)와(+) Key 70b for forwarding the initialized reservation date and time output to the display unit 60; 상기 표시부(60)에 출력되는 초기화된 예약날짜 및 시간을 뒤로 진행시키기 위한 (-)키(70c)와(-) Key 70c for advancing the preset reservation date and time outputted to the display unit 60; 예약날짜 및 시간이 설정되고 있는 부분의 커서를 앞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진키(70d)와Forward key 70d for moving the cursor forward in the portion where the reservation date and time are set; 예약날짜 및 시간이 설정되고 있는 부분의 커서를 앞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후진키(70e)와A reverse key 70e for moving the cursor forward in the portion where the reservation date and time are set; 예약시간 설정의 종료를 알리기 위한 완료키(70f)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수시 세탁기를 이용한 자동 물저장 장치.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single tim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mpletion key (70f) for notifying the end of the reservation time setting.
KR2019970044325U 1997-12-31 1997-12-31 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KR1999003158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325U KR19990031580U (en) 1997-12-31 1997-12-31 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325U KR19990031580U (en) 1997-12-31 1997-12-31 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580U true KR19990031580U (en) 1999-07-26

Family

ID=6967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325U KR19990031580U (en) 1997-12-31 1997-12-31 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580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75561A (en) Washing machine
KR19990031580U (en) Automatic water storage device using a washing machine
JPH06238089A (en) Washing machine
JPH05168787A (en) Control device of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JP3150491B2 (en) Washing machine
KR100297051B1 (en) Laundry Resetup method in washing machine
KR0184387B1 (en) Dish washer
KR950004286B1 (en) Washing machine of supplying water an alarm circuit
KR0162354B1 (en) Rinsing function control method of a washing machine
KR950007081B1 (en) Door opening alarm method
JPH0638872B2 (en) Sequential operation input device for washing machine
KR0129023B1 (en) Notifying method of washing end for a washing machine
JPH0556151B2 (en)
JP3066288B2 (en) Water supply control device for washing machine
JPS6116782A (en) Electronic control washing machine
KR920010401B1 (en) Method of wrinkle prevention for washer
KR20000004438A (en) Water-level detect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JPH0217582Y2 (en)
KR19990000881A (en) How to reduce the inertia operation time of washing machine
KR950004261B1 (en) Washing machine
KR970006590B1 (en) A water level perception mrthod of an washing machine
JPH0551277U (en) Washing machine
JP2629932B2 (en) Coin-operated washing machine
JPH0271790A (en) Control device of washer
JPS6060898A (en) Two-tub w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