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432U - 식기세척기의 랙롤러 스토퍼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랙롤러 스토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432U
KR19990031432U KR2019970044150U KR19970044150U KR19990031432U KR 19990031432 U KR19990031432 U KR 19990031432U KR 2019970044150 U KR2019970044150 U KR 2019970044150U KR 19970044150 U KR19970044150 U KR 19970044150U KR 19990031432 U KR19990031432 U KR 199900314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rail
roller stopper
washing tank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홍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44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432U/ko
Publication of KR199900314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432U/ko

Lin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의 랙롤러 스토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랙(4)을 세척조(1)의 내부로 밀어 넣어 주는 동작과 연동되어 랙롤러스토퍼(15)가 레일(13)의 선단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랙롤러스토퍼(15)가 이동되는 궤적상에 록커(20)를 설치하여 준 것이다. 따라서, 상기 랙(4)을 세척조(1)의 내부로 밀어 넣어주게 되면 상기 록커(20)에 의해 상기 랙롤러스토퍼(15)가 회전되면서 자동적으로 상기 레일(13)의 선단부를 폐쇄하여 주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일이 상기 랙롤러스토퍼(15)를 동작시켜 줄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되고, 부주의로 상기 랙롤러스토퍼(15)를 동작시키지 않더라도, 세척을 마친 후, 상기 랙(4)을 세척조(1)로부터 꺼낼 때 랙(4)이 급작스럽게 돌출되지 않게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랙롤러 스토퍼장치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가 얹어지는 랙을 세척조의 내부로 삽입함과 동시에 랙롤러스토퍼가 자동으로 구동되어 랙이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식기세척기의 랙롤러 스토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인데, 이에 따르면, 세척조(1)의 내부에 세척을 위한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3)의 상부에는 세척될 식기(2)가 얹어지는 랙(4)이 위치된다. 이와 같은 랙(4)은 식기세척기의 용량에 따라 세척조(1)의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조(1)의 하부에는 세척을 위한 물이 모여지는 섬프부(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섬프부(5)의 일측에는 상기 섬프부(5)의 물을 가압하여 상기 노즐부(3)로 전달하는 세척모터(6)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 7은 히터이고, C는 식기세척기의 케이스이다.
한편, 상기 랙(4)을 세척조(1)의 내부에서 지지하면서 세척조(1)의 내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 도 2,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세척조(1)의 측벽에는 상하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레일롤러(10, 10')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레일롤러(10, 10')의 사이에는 레일(13)이 설치된다. 상기 레일(13)은 상기 레일롤러(10, 10')를 따라 전후로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레일(13)의 내부에는 상기 랙(4)에 설치되어 있는 랙롤러(4')가 회전되면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 4는 상기 랙(4)에 설치되어 있는 별개의 롤러로서, 세척조(1) 내에서의 랙(4)의 위치를 보다 높여 주기 위한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레일(13)의 일측 단부(즉, 세척조(1)의 내측에 위치되는 단부)에는 상기 레일(13)이 랙(4)과 함께 외부로 빠져나올 때, 레일(13)이 완전히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레일롤러스토퍼(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13)의 선단부에는 랙롤러스토퍼(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랙롤러스토퍼(15)는 그 상하단에 각각 상기 레일(13)의 상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16, 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16, 16')에는 상기 레일(13)에 삽입되어 상기 랙롤러스토퍼(15)가 회전되는 중심이 되는 힌지축(1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랙롤러스토퍼(15)는 상기 레일(13)의 선단부에서 상기 랙(4)의 랙롤러(4')가 상기 레일(1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식기세척기 구성에서 상기 랙(4)이 세척조(1)의 내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랙(4)을 세척조(1)의 외부로 꺼내는 경우에는 상기 랙(4)을 당겨주면, 상기 랙(4)이 레일(13)과 함께 외부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레일(13)은 상기 레일롤러(10, 10')의 사이에서 안내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13)이 일정 정도 빠져나오면 상기 레일롤러스토퍼(14)가 레일롤러(10, 10')에 걸리면서 상기 레일(13)이 더 이상 빠지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랙롤러스토퍼(15)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켜 상기 레일(13)의 선단부를 개방하여, 상기 랙(4)을 외측으로 더 빼내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랙에 세척할 식기(2)를 올려 놓거나 세척된 식기(2)를 빼내면 된다.
한편, 상기 랙(4)을 세척조(1)의 내부로 집어 넣는 것을 설명한다. 이때에는 상기 랙(4)을 밀어 넣어주면, 상기 랙롤러(4')가 상기 레일(13)의 내부에서 이동되고, 상기 랙롤러(4')가 상기 레일(13) 내부의 일정 위치에 가면 상기 레일(13)이 상기 랙(4)과 함께 세척조(1)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랙롤러스토퍼(15)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켜, 도 4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상기 레일(13)의 선단부를 폐쇄하여 상기 레일(13)의 선단부를 통해 랙롤러(4')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랙롤러스토퍼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상기 랙롤러스토퍼(15)는 수동으로 작동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부주의로 상기 랙(4)을 세척조(1)의 내부로 수납하고도 상기 랙롤러스토퍼(15)를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상기 랙롤러스토퍼(15)로 상기 레일(13)의 선단부를 폐쇄하지 않은 상태로 세척을 수행하고, 세척된 식기(2)를 꺼내기 위해 상기 랙(4)을 세척조(1)의 외부로 꺼내는 경우에 상기 레일(13)의 선단부가 개방되어 있어 상기 랙(4)의 랙롤러(4')가 상기 레일(13)로부터 급작스럽게 빠져나오게 되어 식기(2)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랙을 세척조의 내부로 밀어 넣게 되면 자동으로 랙롤러스토퍼가 레일의 선단부를 막아주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식기세척기에 롤러레일이 장착되는 것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식기세척기에서 랙의 이동을 위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식기세척기에서 레일롤러가 설치된 것을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랙롤러 스토퍼장치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랙롤러 스토퍼장치를 구성하는 록커거 장착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7a, 7b, 7c는 본 고안에 의한 로럴레일 자동잠금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차례로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척조2 : 식기
3 : 노즐부4 : 랙
5 : 섬프부6 : 세척모터
7 : 히터10, 10' : 레일롤러
13 : 레일14 : 레일롤러스토퍼
15 : 랙롤러스토퍼20 : 록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랙을 이동되게 지지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레일로부터 상기 랙의 이탈을 제어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가 이동되는 궤적상에 설치되어 상기 랙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를 동작시켜 주는 록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랙이 세척조의 내부로 이동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상기 록커에 의해 상기 레일로부터 랙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위치로 회전되어 사용자가 별도로 상기 스토퍼를 동작시키지 않아도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랙롤러 스토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랙롤러 스토퍼장치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랙롤러 스토퍼장치를 구성하는 록커가 장착된 것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세척조(1) 내벽에 레일롤러(10, 10')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일롤러(10, 10')는 두 개가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되어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레일롤러(10, 10')의 사이에는 레일(13)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13)의 후단부(세척조(1)의 내측)에는 레일롤러스토퍼(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일롤러스토퍼(14)는 상기 레일(13)이 상기 레일롤러(10, 10')를 따라 이동될 때, 상기 레일롤러(10, 10')에 걸려 레일(13)이 일정 이상 세척조(1)의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일(13)의 선단부에는 랙롤러스토퍼(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랙롤러스토퍼(15)는 그 상하단에 각각 상기 레일(13)의 상하단에 위치되는 브라켓(16, 16')을 구비하, 상기 브라켓(16, 16')에는 상기 레일(13)에 삽입되어 상기 랙롤러스토퍼(15)가 회전되는 중심이 되는 힌지축(1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랙롤러스토퍼(15)는 상기 레일(13)의 선단부에서 상기 랙(4)의 랙롤러(4')가 상기 레일(13)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조(1)의 내벽 일측, 즉 상기 레일(13)이 세척조(1)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레일(13)의 선단부가 위치하는 부분에는 록커(2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록커(20)는 상기 랙롤러스토퍼(15)가 이동하는 궤적상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록커(20)가 세척조(1) 내벽에 설치된 것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가 작동되는 것을 도 7a, 7b, 7c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랙(4)이 세척조(1)의 내외부로 이동되는 것에 대한 설명은 종래 기술에서 이미 하였으므로 상기 랙롤러스토퍼(15)가 록커(20)에 의해 동작되는 것에 중점을 두어 설명한다.
일단 랙(4)을 세척조(1)의 외부로 약간 꺼낸다. 이때에는 상기 랙(4)과 레일(13)이 함께 이동하게 되고, 상기 레일롤러스토퍼(14)가 상기 레일롤러(10, 10')에 걸릴 때까지 상기 랙(4)과 레일(13)이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랙(4)을 세척조(1)의 외부로 더 꺼내기 위해서는 상기 랙롤러스토퍼(15)를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켜 상기 랙롤러(4')가 상기 레일(13)로부터 일정 정도 빠져나오게 한다. 이때 상기 랙(4)은 상기 레일(13)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온 상태는 아니나, 상기 랙(4)은 세척조(1)의 외부로 빠져나온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세척하기 위한 식기(2)를 랙(4)에 수납한다. 그리고, 상기 랙(4)을 세척조(1)의 내부로 밀어 넣게 된다.
이때, 상기 랙(4)을 세척조(1)의 내부로 밀어 넣어 주게 되면, 상기 랙(4)과 함께 상기 레일(13)이 내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랙(4)이 세척조(1)의 내부로 거의 들어가게 되면, 도 7a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아직 상기 록커(20)에 의해 상기 랙롤러스토퍼(15)가 동작되지 않은 상태이다.
즉, 상기 도 7a의 상태에서 상기 랙(4)을 계속하여 밀어 넣게 되면, 상기 레일(13) 역시 더 밀려지면서, 도 7b상태와 같이 상기 록커(20)에 밀려 상기 랙롤러스토퍼(15)가 상기 힌지축(1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7b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레일(13)이 더 밀려지게 되면 상기 록커(20)에 의해 상기 랙롤러스토퍼(15)가 완전히 회전되어 상기 레일(13)과 그 길이 방향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도 7c의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도 7c의 상태가 되면 상기 랙롤러스토퍼(15)에 의해 상기 랙롤러(4')가 상기 레일(13)의 선단부 쪽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랙롤러스토퍼(15)를 사용자가 미리 회전시켜 주더라도 아무런 문제는 없다. 따라서 사용자가 부주의에 의해 상기 랙롤러스토퍼(15)를 돌려주지 않더라 상기 록커(20)가 자동으로 랙롤러스토퍼(15)를 회전시켜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식기 세척을 마치고 랙(4)을 세척조(1)로부터 꺼내는 것을 설명한다. 일단, 랙(4)을 당겨주면, 상기 레일(13)이 먼저 상기 랙(4)과 함께 세척조(1)의 외부로 이동된다. 물론, 상기 레일(13)은 상기 레일롤러(10, 10')를 따라 가이드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13)은 그 후단부에 있는 레일롤러스토퍼(13)가 상기 레일롤러(10, 10')에 걸릴 때까지 세척조(1)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랙롤러(4')는 상기 랙롤러스토퍼(15)에 걸려 상기 레일(13)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세척을 마친 식기(2)를 꺼내기 위해 상기 랙(4)을 세척조(1)의 외부로 당겨 내더라도 상기 랙(4)의 랙롤러(4')가 레일(13) 선단부의 랙롤러스토퍼(15)에 걸려 더 이상 빠져나오지 않게 되므로 랙(4)이 세척조(1)로부터 일정 이상 빠져나오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랙(4)의 급작스런 돌출에 의해 식기(2)가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랙롤러스토퍼(15)를 사용자가 손으로 돌려주면 상기 랙(4)을 세척조(1)의 외부로 완전히 빼낼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랙롤러 스토퍼장치는 랙이 세척조의 내부로 이동되는 동작에 연동되어 랙롤러스토퍼가 레일의 선단부를 폐쇄하도록, 레일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랙롤러스토퍼가 이동되는 궤적상에 록커를 설치하였으므로 세척을 위한 식기가 얹어진 랙을 세척조의 내부로 밀어넣기만 하면 상기 랙롤러스토퍼가 레일의 선단부를 폐쇄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별도로 랙롤러스토퍼를 동작시키지 않더라도 랙이 상기 레일의 선단부를 통해 임의로 빠져나오지 않게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랙을 이동되게 지지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레일로부터 상기 랙의 이탈을 제어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가 이동되는 궤적상에 설치되어 상기 랙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토퍼를 동작시켜 주는 록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랙롤러스토퍼장치.
KR2019970044150U 1997-12-31 1997-12-31 식기세척기의 랙롤러 스토퍼장치 KR199900314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150U KR19990031432U (ko) 1997-12-31 1997-12-31 식기세척기의 랙롤러 스토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150U KR19990031432U (ko) 1997-12-31 1997-12-31 식기세척기의 랙롤러 스토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432U true KR19990031432U (ko) 1999-07-26

Family

ID=6967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150U KR19990031432U (ko) 1997-12-31 1997-12-31 식기세척기의 랙롤러 스토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43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265B1 (ko) * 2002-09-02 2004-11-09 백수곤 랙 자동이송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265B1 (ko) * 2002-09-02 2004-11-09 백수곤 랙 자동이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8814B1 (en) Cutlery basket for a dishwasher
KR101054117B1 (ko) 워터 가이드 탈거 방지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US9861257B2 (en) Detergent dispenser module for a dishwashing appliance
KR100441020B1 (ko) 식기세척기
KR102391681B1 (ko) 식기세척기
JP2014204774A (ja) 食器洗い機
KR19990031432U (ko) 식기세척기의 랙롤러 스토퍼장치
KR102530168B1 (ko) 식기세척기
KR20070062295A (ko) 식기 세척기의 스푼 바스켓
KR101117843B1 (ko) 식기 세척기의 랙롤러 가이드부 물빠짐 구조
US3084702A (en) Front opening dishwasher with improved dish rack arrangement
JP2004049443A (ja) 食器洗浄機
KR20070113637A (ko) 식기 세척기
KR100753447B1 (ko) 식기세척기
JP3546809B2 (ja) 食器洗浄機
KR20060043895A (ko) 식기 세척기의 식기랙 보호 구조
US2715405A (en) Closing means for dish-washing machines
JP3773639B2 (ja) 食器洗浄機
KR102358753B1 (ko) 식기세척기
JP2621539B2 (ja) 食器洗浄機
JP4241752B2 (ja) 食器洗い機
KR20060060123A (ko)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구조
KR20200131464A (ko) 식기세척기
KR100305746B1 (ko) 식기세척기 도어의 흔들림방지장치
KR20070008817A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