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404A -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 Google Patents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404A
KR19990030404A KR1019980058702A KR19980058702A KR19990030404A KR 19990030404 A KR19990030404 A KR 19990030404A KR 1019980058702 A KR1019980058702 A KR 1019980058702A KR 19980058702 A KR19980058702 A KR 19980058702A KR 19990030404 A KR19990030404 A KR 19990030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ve index
core
radius
dispersion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권무
박혜영
조준형
Original Assignee
권문구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문구,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문구
Priority to KR101998005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0404A/ko
Publication of KR19990030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404A/ko

Links

Landscapes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비선형 현상의 억제를 위해 1550 파장대에서 수 ps/nm/km의 분산값을 갖고 0.04ps/nm2/km 이하의 분산 기울기를 갖도록하여 실효 단면적을 증가시키면서 구부림 손실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파장분할 다중시스템에 적합한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가 개시되어 있다. 광섬유의 코어를 제1코어, 제2코어 및 제3코어의 세 영역으로 구성하고, 제1코어는 오각형의 굴절률 분포를 가지고, 제2코어는 반경에 따라 굴절률차가 감소되며 클래드보다 굴절률이 작고, 제3코어는 반경에 따라 굴절율차가 균일하며 클래드보다 굴절률이 크도록 구성함으로써 분산 기울기가 작으면서 실효단면적이 증가되는 광섬유이다.

Description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본 발명은 분산이동 특성을 갖는 광섬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 내부의 광전달 통로인 코아가 비선형 현상의 억제를 위해 1550nm 파장대에서 수 ps/nm/km의 분산값을 갖고 0.04ps/nm2/km 이하의 분산 기울기를 갖도록하여 실효 단면적을 증가시키면서 구부림 손실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파장분할 다중시스템에 적합한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장거리 전송 시스템에서의 광증폭기의 도입은 파장분할 다중방식을 가능하게 하여 전송 용량을 증가시킨 반면 광섬유의 전송특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비선형 현상을 발생시킨다. 비선형 현상은 광섬유 내 단위 면적 당 빛의 세기가 증가하여 발생하므로 광섬유의 실효 단면적을 증가 시킴으로써 억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효 단면적의 증가는 구부림 손실의 증가를 가져오므로 두 가지 광특성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광섬유 구조가 필요하다. 대표적인 비선형 현상인 FWM (Four Wave Mixing)은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이 상호 작용하여 새로운 파장의 빛을 생성하여 광신호를 왜곡하는 것으로 위상 일치 상황에서 즉 분산값이 영인 파장 부근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광증폭 구간인 1550 nm 파장 대에서 광섬유가 수 ps/nm/km의 분산값을 갖게 되면 FWM은 발생하지 않는다.
EDFA 이득영역에서의 분산치 이외에 더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분산기울기이다. 분산 기울기가 작은 광섬유는 파장분할 다중시스템에서 사용될 때 분산의 기울기가 작기 때문에 EDFA이득 영역 내의 여러 파장의 신호들이 겪는 분산치가 비슷해서 분산 보상비용이 줄어들게 되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향후 L-band라 불리는 1565∼1620nm의 파장 대에서 파장분할 다중방식이 적용될 때 광섬유의 분산 기울기가 작으므로 L-band에서 분산치가 크지 않기 때문에 이 파장대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분산보상 비용의 절감과 파장분할 다중방식의 파장 구간을 넓히기 위해 분산기울기가 작은 광섬유가 필요하다.
종래의 광섬유 구조를 설명하면, 비교적 높은 굴절율의 중심부분을 비교적 낮은 굴절율의 동심형 부분이 둘러싼 구조이며 각 부분에는 게르마니아를 도프(dope)시켜 순수한 실리카 클래드의 굴절율보다 큰 값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광섬유는 미국 특허 5,559,921 및 미국 특허 5,327,516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높은 굴절율의 중심부분을 낮은 굴절율의 동심형 부분이 둘러싼 광섬유 구조의 경우 코어의 반경과 굴절율을 조정하면 1550 nm 파장 대에서 수 ps/nm/km의 분산값을 얻을 수 있고, 이로써 비선형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중심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낮은 굴절율의 동심형 부분의 효과로 구부림 특성이 좋고, 실효단면적은 53 ㎛2정도이다. 그러나, 분산 기울기는 0.07 ps/nm2/km정도로 분산 기울기가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반경과 굴절율을 가지고 있는 여러 부분으로 구성된 광섬유 구조가 있다. 이때 광섬유를 적어도 세 부분으로 구분할 경우 적어도 한 부분의 굴절율은 순수한 실리카 클래드의 굴절율보다 작거나 같고, 적어도 두 부분의 굴절율은 크거나 같다. 순수한 실리카 클래드의 굴절율보다 큰 값을 갖는 부분에는 게르마니아를 도프시키고 작은 값을 갖는 부분에는 불소를 도프시킨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광섬유는 미국 특허 5,748,824 및 미국 특허 4,852,968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의 서로 다른 반경과 굴절율을 가지고 있는 여러 부분으로 구성된 광섬유 구조의 경우에는 광섬유의 코어를 이루는 여러 부분의 굴절율과 반경을 조정하여 1550 nm 파장 대에서 수 ps/nm/km의 분산값을 얻을 수 있고, 이로써 비선형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코어 내에서의 굴절율이 실리카 클래딩 굴절율을 기준으로 하여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면서 분포하는데 이러한 분포는 구부림 손실을 어느정도 억제하면서 큰 실효단면적(72㎛2)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분산 기울기는 0.1 ps/nm2/km정도로 분산 기울기가 큰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섬유 내부의 광전달 통로인 코아가 비선형 현상의 억제를 위해 1550nm 파장대에서 수 ps/nm/km의 분산값을 갖고 0.04ps/nm2/km 이하의 분산 기울기를 갖도록하여 실효 단면적을 증가시키면서 구부림 손실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파장분할 다중시스템에 적합한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의 반경 대 굴절율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광섬유에서의 a1값과 △4값의 변화에 따른 1550nm에서의 분산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광섬유에서의 a1값과 △4값의 변화에 따른 1550nm에서의 분산 기울기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광섬유에서의 a1값과 △4값의 변화에 따른 1550nm에서의 실효단면적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광섬유에서의 a1값과 △4값의 변화에 따른 차단파장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광섬유에서의 a1값과 △4값의 변화에 따른 1550nm에서 광섬유를 지름 32mm의 지름으로 한바퀴 돌렸을 때 일어나는 손실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광섬유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섬유 20 : 코어
22 : 제1코어 24 : 제2코어
26 : 클래드 30 : 클래드
40 : 피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굴절율값이 n인 다각형의 코어와, 상기 코어를 둘러싸며 굴절율값이 n'인 클래드로 구성되는 광섬유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광섬유의 중심축으로부터 a1까지의 반경에 해당하며, 중심축의 굴절율차는 △1%이고 반경이 커짐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여 a1에서의 굴절율차는 △2%가 되는 제1코어; 반경a1에서 a2까지에 해당하고, a1에서의 굴절율차는 △3%이고, 반경이 커짐에 따라 굴절율이 선형적으로 감소하여 a2에서의 굴절율차는 △4%가 되는 제2코어; 반경a2에서 a3까지에 해당하고, 굴절율차는 △5%로 일정한 제3코어로 이루어지는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코어, 제2코어 및 제3코어의 각 굴절율차는 △1% 〉△2% 〉△3% 〉△4%가 되고, △1% 〉△5% 〉△3% 〉△4% 가 되는 코어의 1550nm에서 분산 기울기는 0.04ps/nm2/km 보다 작고 분산의 절대값이 1∼6 ps/nm/km 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대역 장거리 신호전송용 광섬유에 있어서, 광섬유의 코어를 제1코어, 제2코어 및 제3코어의 세 영역으로 구성하고, 제1코어는 반경에 따라 굴절율차가 감소되도록 하고, 제2코어는 반경에 따라 굴절율차가 감소되도록 하며 항상 클래드의 굴절률 보다 작고, 제3코어는 반경에 따라 굴절율차가 균일하도록 하며 클래드의 굴절률 보다 크고, 상기 제1코어와 제2코어의 경계에서는 굴절률차가 불연속적이고, 제3코어의 굴절율차값은 제2코어의 굴절율차값보다 크도록 구성함으로써 분산 기울기가 작으면서 실효단면적이 증가되는 광섬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의 반경대 굴절율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10)는 광전달 통로인 코어(20)와, 상기 코어(20)를 둘러싸는 클래드(30)로 구성되는 광섬유(10)에 있어서, 상기 코어(20)는 제1코어(22), 제2코어(24) 및 제3코어(26)로 구분된다. 상기 제1코어(22)는 광섬유(10)의 중심축으로부터 a1까지의 반경에 해당하며, 중심축의 굴절율차는 △1%이다. 또한, 상기 제1코어(22)는 반경이 커짐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여 a1에서의 굴절율차는 △2%가 된다.
상기 제2코어(24)는 반경a1에서 a2까지에 해당하고, 제1코어(22)의 a1과 제2코어(24)의 a1은 공유하면서도 불연속면을 형성하므로 제2코어(24)의 a1에서의 굴절율차는 △3%가 된다. 또한, 상기 제2코어(24)는 반경이 커짐에 따라 굴절율이 선형적으로 감소하여 a2에서의 굴절율차는 △4%가 된다.
상기 제3코어(26)는 반경a2에서 a3까지에 해당하고, 제3코어(26)의 굴절율차는 △5%로 균일하다. 또한, 상기 제1코어, 제2코어 및 제3코어의 각 굴절율차는 △1% 〉△2% 〉△3% 〉△4%가 되고, △1% 〉△5% 〉△3% 〉△4% 가 되며, 코어(20)의 1550nm 파장 대에서 분산 기울기는 0.04ps/nm2/km 보다 작고 분산의 절대값이 1∼6 ps/nm/km 가 된다.
따라서, 코어(20)의 중심부분에 해당하고, 비교적 높은 굴절율을 갖는 제1코어(22)는 클래드(30)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는 동심형의 제2코어(24)가 둘러싸고, 상기 제2코어(24)는 클래드보다 굴절율이 큰 동심형의 제3코어(26)가 둘러싸게 된다. 상기 제1코어(22)는 오각형의 형상을 가지므로써 분산곡선을 장파장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2코어(24)의 굴절율을 실리카 클래드(30)보다 작게 함으로써 분산곡선의 기울기를 줄이게 되며, 차단파장은 작아지게 된다. 또한, 제2코어(24)의 굴절율이 클래드(30)보다 작기 때문에 구부림손실이 커지게 되므로 제3코어(26)의 굴절율을 클래드(30)보다 크게 함으로써 구부림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코어(24)의 굴절율을 실리카 클래드(30)보다 작게 함으로써 분산곡선의 기울기를 줄이게 되면 실효단면적이 작아지므로 제3코어의 굴절율을 클래드(30)보다 크게 함으로써 실효단면적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분산기울기는 0.04ps/nm2/km 이하가 되고, 실효단면적은 60㎛2가 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세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3중 코어(20)로서, 파장분할 다중시스템에 사용되는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에 관한 것으로, 파장 분할 다중 시스템에 적합하고,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의 성질을 지니기 위해 각 부분의 반경과 굴절율은 다음과 같은 범위에 있게 된다. 즉, a1이 2.5∼3.5 ㎛이고, a2가 6.0∼8.0 ㎛이고, a3이 8.0∼10.0 ㎛이면, △1은 0.5∼0.7%이고, △2는 0.2∼0.5%이고, △3은 -0.1∼0.0%이고, △4는 -0.4∼-0.1%이며, △5는 0.1∼0.4%이 된다. 이때, 상기 a1은 제1코어(22)의 반경이고, a2는 제2코어(24)의 반경이며, a3은 제3코어(26)의 반경이다. 상기 △1=(n1(0)-ncl)/ncl×100 이고, △2=(n1(a1)-ncl)/ncl×100 이고, △3=(n2(a1)-ncl)/ncl×100 이고, △4=(n2(a2)-ncl)/ncl×100 이며, △5=(n3-ncl)/ncl×100 이다. 상기 n1(r)은 제1코어의 굴절율 분포함수이고, n2(r)은 제2코어의 굴절율 분포함수이고, n3은 제3코어의 굴절율이며, ncl은 실리카 클래드의 굴절율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반경(a1,a2,a3)과 굴절율차(△1∼△5)에 있어서, 반경이 0.25〈a1/a3〈0.45이고, 0.6〈a2/a3〈0.9이면, 굴절율차는 0.25〈△2/△1〈0.65이고, -0.2〈△3/△1〈-0.1이고, -0.8〈△4/△1〈-0.4이고, 0.14〈△5/△1〈0.45이 되거나, 또는 굴절율차(△1∼△5)는 0.6〈△2/△1〈0.9이고, -0.15〈△3/△1〈0.0 이고, -0.45〈△4/△1〈-0.1이고, 0.4〈△5/△1〈0.8이 된다.
도 1에서 도시된 광섬유의 구조로부터 얻을 수 있는 반경(a1,a2,a3)과 굴절율차(△1∼△5)의 분산이동 광섬유(10)는 1550nm 파장 대에서 갖는 분산값이 1.8ps/nm/km 이고, 분산 기울기는 0.026ps/nm2/km 이고, 실효단면적은 50㎛이고, 32mmΦ구부림 손실은 0.0173dB이며, 차단파장은 1412nm 이다. 상기 값들을 얻는데 사용된 각 제1코어, 제2코어 및 제3코어의 굴절율과 반경은 a1은 3.15 ㎛이고, a2는 6.5 ㎛이고, a3은 8.5 ㎛이며, △1은 0.66%이고, △2는 0.3%이고, △3은 0.0%이고, △4는 -0.35%이며, △5는 0.27%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반경(a1,a2,a3)과 굴절율차(△1∼△5)의 광섬유(10)가 1550nm 파장 대의 분산 기울기가 0.04ps/nm2/km 보다 작고 분산이 1∼6ps/nm/km이고 실효단면적이 45㎛2이상이 되려면 반경a1은 3.1∼3.2 ㎛이고, 반경a2는 6.3∼8.0 ㎛이고, 반경a3은 8.2∼10.0 ㎛이 되어야 하며, 굴절율차인 △1은 0.63∼0.7%이고, △2는 0.25∼0.45%이고, △3은 -0.1∼0.1%이고, △4는 -0.4∼-0.25%이고, △5는 0.25∼0.35%이 되어야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반경(a1,a2,a3)과 굴절율차(△1∼△5)의 광섬유(10)는 1550nm 파장 대의 분산 기울기가 0.04ps/nm2/km 보다 작고 분산이 1∼6ps/nm/km이고 실효단면적이 40㎛2이상이 되려면 반경a1은 2.7∼3.2 ㎛이고, 반경a2는 6.5∼8.0 ㎛이고, 반경a3은 8.5∼10.0 ㎛이 되어야 하며, 굴절율차인 △1은 0.65∼0.75%이고, △2는 0.25∼0.45%이고, △3은 -0.1∼0.1%이고, △4는 -0.3∼-0.1%이고, △5는 0.1∼0.3%이 되어야 한다.
도 3 내지 도7은 분산 기울기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반경a1과 △4의 변화에 따른 광섬유의 광학적 특성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광섬유에서의 a1값과 △4값의 변화에 따른 1550nm에서의 분산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광섬유에서의 a1값과 △4값의 변화에 따른 1550nm에서의 분산 기울기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광섬유에서의 a1값과 △4값의 변화에 따른 1550nm에서의 실효단면적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광섬유에서의 a1값과 △4값의 변화에 따른 차단파장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광섬유에서의 a1값과 △4값의 변화에 따른 1550nm에서 광섬유를 지름 32mm의 지름으로 한바퀴 돌렸을 때 일어나는 손실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4는 분산값에 큰 영향을 주지않고 a1이 증가할수록 분산값이 증가함을 볼 수 있다. 도 4에서, △4의 절대값이 감소함에 따라 a1이 증가함에 따라 분산 기울기가 증가함을 볼 수 있다. 도 4에서는 a1이 감소함에 따라 △4의 절대값이 감소함으로써 실효단면적이 증가함을 볼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4의 변화에 따라 분산의 기울기가 줄어들 때 실효단면적도 줄어들게 되는 반면, a1의 변화에 따라 분산 기울기가 줄어들 때 실효단면적이 증가함을 볼 수 있다. 대개, 분산 기울기가 줄어들면 실효단면적도 줄어들게 되는데 a1의 효과를 이용하여 실효단면적이 줄어드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a1이 증가함에 따라 △4의 절대값이 감소함으로써 차단파장이 증가하고, 구부림손실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서, △4의 변화에 따라 실효단면적이 증가할 때 구부림손실은 줄어들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도 6에서 보는 바와같이, △4의 변화에 따라 실효단면적이 증가할 때 차단파장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어 구부림손실을 막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실효단면적이 53 ㎛2이면 분산 기울기가 0.07 ps/nm2/km 가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서 나타낸 구종의 광섬유에서는 53 ㎛2의 실효단면적을 가질 때 0.035∼0.04ps/nm2/km 의 분산 기울기를 가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인 광섬유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광섬유의 코어가 제1코어(22) 및 제2코어(24)로 이루어진 두 영역의 구조를 갖는 광섬유를 설명하면, 제1코어(22)는 광섬유 중심축에서 반경a1까지이고 중심축의 굴절율차는 △1%이고, 굴절율은 반경이 커짐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여 a1에서의 굴절율차는 △2%이고, 제2코어(24)는 반경a1에서 a2까지 이고 a1에서의 굴절율차는 △3%이고 반경이 커짐에 따라 굴절율이 선형적으로 감소하여 a2에서의 굴절율차는 △4%이고 △1〉△2〉△3〉△4를 만족하는 1550nm에서 분산 기울기가 0.05ps/nm2/km 보다 작고 분산의 절대값이 1∼6ps/nm/km 가 된다.
상기 반경a1을 반경a2로 나눈 값이 0.4∼0.7이 되면, 굴절율차(△1∼△4)에서 △2를 △1으로 나누면 0.25∼0.5이 되고, △3을 △1로 나누면 -0.2∼0.2이 되며, △4를 △1로 나누면 -0.6∼-0.4 이 된다.
또한, 상기 반경a1을 반경a2로 나눈 값이 0.3∼0.45이 되면, 굴절율차인(△1∼△4)에서 △2를 △1로 나누면 0.45∼0.65이 되고, △3을 △1로 나누면 -0.2∼0.2이 되고, △4를 △1로 나누면 0.6∼-0.4 이 된다.
또한, 상기 반경(a1,a2)과 굴절율차(△1∼△4)에서, 반경a1이 2.5∼3.5 ㎛이고, 반경a2가 5.0∼6.0 ㎛이면, △1은 0.65∼0.75%이고, △2는 0.15∼0.35%이고, △3은 -0.1∼0.1%이고, △4는 -0.4∼-0.1% 이 되며 1550nm 파장 대의 분산 기울기가 0.04ps/nm2/km 보다 작고, 분산이 1∼6ps/nm/km이며 실효단면적이 43㎛2이상이 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섬유의 코어를 제1코어, 제2코어 및 제3코어의 세 영역으로 구성하고, 제1코어는 반경에 따라 굴절율차가 감소되도록 하고, 제2코어는 반경에 따라 굴절율차가 감소되도록 하고 굴절률이 항상 클래드보다 작게 하며, 제3코어는 반경에 따라 굴절율차가 균일하도록 하며, 상기 제1코어와 제2코어는 불연속적으로 굴절율차가 감소되도록 하고, 제3코어의 굴절율차값은 제2코어의 굴절율차값보다 크도록 구성함으로써 분산 기울기가 작으면서 실효단면적이 증가되는 광섬유이다.

Claims (11)

  1. 굴절율값이 n인 다각형의 코어와, 상기 코어를 둘러싸며 굴절율값이 n'인 클래드로 구성되는 광섬유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광섬유의 중심축으로부터 a1까지의 반경에 해당하며, 중심축의 굴절율차는 △1%이고 반경이 커짐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여 a1에서의 굴절율차는 △2%가 되는 제1코어; 반경a1에서 a2까지에 해당하고, a1에서의 굴절율차는 △3%이고, 반경이 커짐에 따라 굴절율이 선형적으로 감소하여 a2에서의 굴절율차는 △4%가 되는 제2코어; 반경a2에서 a3까지에 해당하고, 굴절율차는 △5%로 일정한 제3코어로 이루어지는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어, 제2코어 및 제3코어의 굴절율차는 △1% 〉△2% 〉△3% 〉△4%가 되고, △1% 〉△5% 〉△3% 〉△4% 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어, 제2코어 및 제3코어로 이루어지는 코어가 갖는 1550nm 파장 대에서의 분산 기울기는 0.05ps/nm2/km 보다 작고 분산의 절대값은 1∼6 ps/nm/km 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a1,a2,a3)과 굴절율차(△1∼△5)에서 반경이 0.25〈a1/a3〈0.45이고, 0.6〈a2/a3〈0.9이면, 굴절율차는 0.25〈△2/△1〈0.65이고, -0.2〈△3/△1〈-0.1이고, -0.8〈△4/△1〈-0.4이고, 0.14〈△5/△1〈0.45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율차(△1∼△5)는 0.6〈△2/△1〈0.9이고, -0.15〈△3/△1〈0.0 이고, -0.45〈△4/△1〈-0.1이고, 0.4〈△5/△1〈0.8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a1,a2,a3)과 굴절율차(△1∼△5)는 a1이 3.1∼3.2 ㎛이고, a2가 6.3∼8.0 ㎛이고, a3이 8.2∼10.0 ㎛이면, △1은 0.63∼0.7%이고, △2는 0.25∼0.45%이고, △3은 -0.1∼0.1%이고, △4는 -0.4∼-0.25%이고, △5는 0.25∼0.35%이 되며 1550nm 파장 대의 분산 기울기가 0.04ps/nm2/km 보다 작고 분산이 1∼6ps/nm/km이고 실효단면적이 45㎛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a1,a2,a3)과 굴절율차(△1∼△5)는 a1이 2.7∼3.2 ㎛이고, a2가 6.5∼8.0 ㎛이고, a3이 8.5∼10.0 ㎛이면, △1은 0.65∼0.75%이고, △2는 0.25∼0.45%이고, △3은 -0.1∼0.1%이고, △4는 -0.3∼-0.1%이고, △5는 0.1∼0.3%이 되며 1550nm 파장 대의 분산 기울기가 0.04ps/nm2/km 보다 작고 분산이 1∼6ps/nm/km이고 실효단면적이 40㎛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8. 코어가 두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코어는 광섬유 중심축에서 반경a1까지 이고 중심축의 굴절율차는 △1%이고, 굴절율은 반경이 커짐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여 a1에서의 굴절율차는 △2%이고, 제2코어는 반경a1에서 a2까지 이고 a1에서의 굴절율차는 △3%이고 반경이 커짐에 따라 굴절율이 선형적으로 감소하여 a2에서의 굴절율차는 △4%이고 △1〉△2〉△3〉△4를 만족하는 1550nm에서 분산 기울기가 0.05ps/nm2/km 보다 작고 분산의 절대값이 1∼6ps/nm/k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a1,a2)과 굴절율차(△1∼△4)에서 반경이 0.4〈a1/a2〈0.7이면, 굴절율차는 0.25〈△2/△1〈0.5이고, -0.2〈△3/△1〈0.2이고, -0.6〈△4/△1〈-0.4 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a1,a2)과 굴절율차(△1∼△4)에서 0.3〈a1/a2〈0.45이면, 0.45〈△2/△1〈0.65이고, -0.2〈△3/△1〈0.2이고, 0.6〈△4/△1〈-0.4 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a1,a2)과 굴절율차(△1∼△4)에서 a1이 2.5∼3.5 ㎛이고, a2가 5.0∼6.0 ㎛이면, △1은 0.65∼0.75%이 되고, △2는 0.15∼0.35%이 되고, △3은 -0.1∼0.1%이 되고, △4는 -0.4∼-0.1% 이 되며, 1550nm 파장 대의 분산 기울기가 0.04ps/nm2/km 보다 작고 분산이 1∼6ps/nm/km이고 실효단면적이 43㎛2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KR1019980058702A 1998-12-26 1998-12-26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KR19990030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702A KR19990030404A (ko) 1998-12-26 1998-12-26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702A KR19990030404A (ko) 1998-12-26 1998-12-26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404A true KR19990030404A (ko) 1999-04-26

Family

ID=6595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702A KR19990030404A (ko) 1998-12-26 1998-12-26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04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491A (ko) * 2017-04-27 2018-11-06 한국광기술원 낮은 굽힘손실을 갖는 광섬유
KR20190057939A (ko) * 2017-11-21 2019-05-29 한국광기술원 낮은 굽힘손실을 갖는 광섬유
KR20190104681A (ko) * 2018-03-02 2019-09-11 한국광기술원 광통신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491A (ko) * 2017-04-27 2018-11-06 한국광기술원 낮은 굽힘손실을 갖는 광섬유
KR20190057939A (ko) * 2017-11-21 2019-05-29 한국광기술원 낮은 굽힘손실을 갖는 광섬유
KR20190104681A (ko) * 2018-03-02 2019-09-11 한국광기술원 광통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9418B1 (ko) 분산 제어 광섬유
KR100728452B1 (ko) 분산천이파이버
JP4494691B2 (ja) 光伝送路
CA2277332C (en) Dispersion-flattened optical fiber
JP3223474B2 (ja) 単一モード光導波路ファイバ
KR20010101071A (ko) 광 파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전송 시스템
KR20030003701A (ko) 분산 보상 광섬유
US6766089B2 (en) Low-dispersion optical fiber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low-dispersion optical fiber
KR19980064539A (ko) 분산시프트파이버
EP1116969A1 (en) Dispersion compensation optical fiber and optical transmission line comprising the dispersion compensation optical fiber
KR100342711B1 (ko) 삼중클래드의분산이동광섬유
US7164832B2 (en) Optical fiber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the optical fiber
EP1245972A2 (en) Optical fiber and optical transmission line using the same,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KR100571618B1 (ko) 고성능 단일 모드 도파관
KR20020041746A (ko) 광파이버 및 그 광파이버를 사용한 광통신시스템
EP1308756A1 (en) Dispersion compensating optical fiber with triple clad structure
US20030095767A1 (en) Nonlinear dispersion-shifted optical fiber, optic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ing said optical fiber and wavelength converter using said optical fiber
KR20020067654A (ko) 광파이버 및 광전송로
US6895140B2 (en) Single-mode optical fiber and composite optical line
KR20030007516A (ko) 분산 보상 광 화이버, 광 전송로 및 분산 보상 모듈
KR19990030404A (ko) 분산 기울기가 작은 분산이동 광섬유
KR20020051860A (ko) 광파이버와, 이를 이용한 분산보상기 및 광전송시스템
JP4413456B2 (ja) 負分散光ファイバおよび該負分散光ファイバを用いた光伝送路
KR19990029630A (ko) 파장분할 다중통신용 광섬유
JP3808247B2 (ja) 分散シフト光ファイ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