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126U -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126U
KR19990030126U KR2019970042797U KR19970042797U KR19990030126U KR 19990030126 U KR19990030126 U KR 19990030126U KR 2019970042797 U KR2019970042797 U KR 2019970042797U KR 19970042797 U KR19970042797 U KR 19970042797U KR 19990030126 U KR19990030126 U KR 199900301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contact
tractor
fixed contact
magnetic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7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윤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2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0126U/ko
Publication of KR199900301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126U/ko

Links

Landscapes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리막길을 주행할 때에 트레일러의 속도가 트랙터의 속도 보다 빠른 경우에 에어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공기를 에어챔버로 공급하여 트레일러를 제동함으로써, 조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제동 안정장치는 트랙터(2)의 후방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접점(18)이 부착된 케이스(10)와, 스프링(20)에 의해서 케이스(10)내에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돌출부(14)를 통해 가압되어 고정접점(18)과 접촉되어 통전상태를 유지하는 이동접점(16)이 부착되어 있는 플런저(12)와, 이동접점(16)과 고정접점(18)이 접촉시에 밧데리(22)에서 전달되는 전기에 의해 개방되는 마그네틱 밸브(24)와, 마그네틱 밸브(24)의 개방에 의해서 에어탱크(26)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를 에어챔버(30)로 보내 브레이크(32)를 작동시키는 릴레이 밸브(28)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장치
본 고안은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리막길을 주행할 때에 트레일러의 속도가 트랙터의 속도 보다 빠른 경우에 에어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공기를 에어챔버로 공급하여 트레일러를 제동함으로써, 조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를 외형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주로 적은 인원이 탑승하는 승용차와, 많은 인원의 승객을 수송할 수 있는 버스와, 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하는 트럭 및 대형 장비나 컨테이너 등을 운반하는 트랙터 및 트레일러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트레일러는 자체 동력원이 없기 때문에 주행이 불가능하므로 이동시에는 트랙터에 의해 견인되어 이동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트랙터와 트레일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평면도로, 트랙터(2)는 엔진을 비롯한 자체 주행이 가능한 섀시가 구비되어 있으며, 트레일러(6)를 견인하게 된다. 트레일러(6)의 견인시에는 연결핀(4)을 사용하여 트랙터(2)의 후방에 연결한 다음, 트랙터(2)의 구동력에 의해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트랙터와 트레일러에서는 무거운 짐을 싣고 내리막길을 내려갈 때에, 관성력에 의해서 뒤에 있는 트레일러가 트랙터를 밀게 되어 제동성능이 저하된다. 특히, 곡선로를 내려가는 도중에 브레이크를 밟으면, 트랙터는 트레일러의 제동방향이 아닌 조향각에 상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트랙터와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고안은 내리막길 주행시에 관성에 의해서 트레일러의 속도가 증가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마그네틱 밸브에 전기를 보내 릴레이 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에어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공기를 에어 챔버로 보내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제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트랙터와 트레일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동 안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트랙터와 트레일러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트랙터 4:연결핀
6:트레일러 10:케이스
12:플런저 14:돌출부
16:이동접점 18:고정접점
20:스프링 22:밧데리
24:마그네틱 밸브 26:에어탱크
28:릴레이 밸브 30:에어챔버
32:브레이크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랙터에 의해서 견인되어 원하는 장소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레일러에 있어서, 트랙터의 후방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접점이 부착된 케이스와, 스프링에 의해서 케이스 내에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돌출부를 통해 가압되어 고정접점과 접촉되어 통전상태를 유지하는 이동접점이 부착되어 있는 플런저와, 이동접점과 고정접점이 접촉시에 밧데리에서 전달되는 전기에 의해 개방되는 마그네틱 밸브와, 마그네틱 밸브의 개방에 의해서 에어탱크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를 에어챔버로 보내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릴레이 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도 1에서 설명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동 안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트랙터와 트레일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2)와 트레일러(6)를 연결하는 브라켓(8)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공에는 연결핀(4)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트랙터(2)의 후방단에는 내리막길 주행시에 관성력에 의해서 트레일러(6)의 속도가 증가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마그네틱 밸브(24)에 작동신호를 보내는 접점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접점 스위치의 구성을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내부에는 2개의 고정접점(18)을 부착하였다. 고정접점(18)중 하나는 밧데리(22)의 양극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마그네틱 밸브(24)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스(10)에는 고정접점(18)과 대향으로 배치되는 이동접점(16)이 부착된 플런저(12)가 내장되어 있다. 플런저(12)는 스프링(2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케이스(10)의 내벽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것으로, 후방단에는 돌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4)는 트레일러(6)의 전방단과 접촉되어 있으며, 내리막길의 주행시에 관성력에 의해서 돌출부(14)가 가압되면, 플런저(12)는 이 돌출부(14)의 가압에 따라 스프링(20)의 힘을 극복하고 전진됨으로써, 전방의 이동접점(16)이 케이스(10)에 부착된 고정접점(18)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밧데리(22)의 전기가 이들 접점(16, 18)을 통해서 마그네틱 밸브(24)로 공급되며, 마그네틱 밸브(24)는 다음의 릴레이 밸브(28)를 작동시킨다.
이동접점(16)과 고정접점(18)의 접촉에 따라 밧데리(22)의 전기가 공급되면, 마그네틱 밸브(24)가 개방되면서 에어탱크(26)에 저장되어 있던 압축공기를 릴레이 밸브(28)로 보낸다. 릴레이 밸브(28)는 에어탱크(26)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에어챔버(30)로 보내게 되며, 에어챔버(30)는 공급된 압축공기를 브레이크(32)로 보내 제동력을 얻을 수 있다.
그에 따라서, 트레일러(6)의 속도가 저하되면서 관성 주행으로 인한 차량의 접힘현상을 막을 수 있다. 브레이크(32)의 작동으로 트레일러(6)의 속도가 저하되면, 돌출부(14)를 통해 가압되어 있는 플런저(12)는 스프링(20)에 의해서 후방으로 밀리면서 케이스(10)의 내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게 되며, 고정접점(18)과 이동접점(16)의 접촉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밧데리(22)로부터 마그네틱 밸브(24)로 공급되던 전기가 차단되어 브레이크 작동이 중지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내리막길 주행시에 관성에 의해서 트레일러의 속도가 증가되는 경우에 트레일러에 의해 플런저가 가압되면서 밧데리 전기의 전기가 마그네틱 밸브로 전달되며, 이 마그네틱 밸브에 의해서 유로를 개방하여 에어탱크에 저장되어 있던 압축공기를 에어 챔버로 보내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 결과, 제동력이 발생되어 트레일러의 속도를 줄임으로써, 내리막길에서 트레일러의 관성력에 의한 차량의 접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동 안정성을 확보하여 안전운행을 가능케 한다.

Claims (1)

  1. 트랙터(2)에 의해서 견인되어 원하는 장소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트레일러(6)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2)의 후방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접점(18)이 부착된 케이스(10)와,
    스프링(20)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10)내에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돌출부(14)를 통해 가압되어 상기 고정접점(18)과 접촉되어 통전상태를 유지하는 이동접점(16)이 부착되어 있는 플런저(12)와,
    상기 이동접점(16)과 고정접점(18)이 접촉시에 밧데리(22)에서 전달되는 전기에 의해 개방되는 마그네틱 밸브(24)와,
    상기 마그네틱 밸브(24)의 개방에 의해서 에어탱크(26)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를 에어챔버(30)로 보내 브레이크(32)를 작동시키는 릴레이 밸브(2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장치.
KR2019970042797U 1997-12-29 1997-12-29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장치 KR199900301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797U KR19990030126U (ko) 1997-12-29 1997-12-29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797U KR19990030126U (ko) 1997-12-29 1997-12-29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126U true KR19990030126U (ko) 1999-07-26

Family

ID=6967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797U KR19990030126U (ko) 1997-12-29 1997-12-29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012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2616A (en) Brake pedal mechanism for automotive vehicles
US5707071A (en) Sway stabilisation system
US20040026987A1 (en) Integrated passenger vehicle trailer brake controller
GB2294201A (en) Anti-fire system for a vehicle
US4119330A (en) Jackknife restraining mechanism
CN106671964B (zh) 一种智能电子驻车系统模块总成
US5806937A (en) Trailer braking system
TR200000236A2 (tr) Traktör-römork kombinasyonlarında hava basınçlı fren sistemi için bir römork kontrol valfi.
KR19990030126U (ko) 트레일러의 제동 안정장치
US6062652A (en) Pneumatic system to fast fill trailer reservoirs
US5135291A (en) Automobile brake safety system with speed sensing and brake pressure modulation
US3010768A (en) Electro-pneumatic brake system
GB2453523A (en) Automatic impact braking system for a lane closure vehicle
US20030192751A1 (en) Tractor trailer air brakes
KR0174172B1 (ko) 자동차용 자동 브레이크 장치
KR0143671B1 (ko) 철도차량의 dmc 시스템
KR940002113A (ko) 자동차용 트레일러의 자동 제동장치
SU724374A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 тормозна система т гача
KR920005200Y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장치
KR19980061798A (ko) 트레일러의 피견인차량 제동장치
KR100387788B1 (ko) 자동차 후면 추돌에 대응한 브레이크 오일압 조절 장치
KR960015699B1 (ko) 자동차의 제동 유지 시스템
KR200233902Y1 (ko) 미니 트레일러의 제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
JPH01136854A (ja) 従動車のブレーキ装置
AU679694B2 (en) Sway stabilis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