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776A - Automatic Ice Maker - Google Patents

Automatic Ice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776A
KR19990029776A KR1019980037887A KR19980037887A KR19990029776A KR 19990029776 A KR19990029776 A KR 19990029776A KR 1019980037887 A KR1019980037887 A KR 1019980037887A KR 19980037887 A KR19980037887 A KR 19980037887A KR 19990029776 A KR19990029776 A KR 19990029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ice making
horizontal
detection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8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73051B1 (en
Inventor
스스무 사루타
Original Assignee
오카모토 세이시
도시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카모토 세이시, 도시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카모토 세이시
Publication of KR19990029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7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051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탑재되어 있는 자동제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빙접시(20)가 수평위치에서 정회전하면 이빙하고, 역회전하면 검빙레러(24)가 하강해서 저빙상자(32)의 얼음이 가득 찼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이 경우에 홀IC(74)는 제빙접시(20)의 회전에 대해서 수평위치와 최대 비틀림 위치에서 온상태가 되며, 검빙방향에 있는 경우는 오프상태가 되고, 제빙접시(20)가 검빙영역 시는 검빙레버(24)의 위치를 홀IC(74)가 검지하여 얼음의 유무를 검지하여, 이빙 전에 검빙동작을 실시할 수 있고 이빙하고 나서도 검빙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자동제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ice making device mounted in a refrigerator. When the ice making plate 20 rotates forward in a horizontal position, the ice is moved, and when the ice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ice cube 24 descends and ice in the storage box 32 falls. In this case, the hall IC 74 is turned on in th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maximum torsion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ice making plate 20, and in the ice detection direction, the hole IC 74 is turned off. When the plate 20 is in the ice detection area, the Hall IC 74 detects the position of the ice detection lever 24 to detect the presence of ice, so that the ice detec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before the ice is taken, and even after ice is taken.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n automatic ice making device.

Description

자동제빙장치Automatic Ice Maker

본 발명은 냉장고에 탑재되어 있는 자동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ice maker mounted in a refrigerator.

최근의 냉장고에는 자동제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동제빙장치는 물탱크의 물을 제빙접시로 공급하여, 이 제빙접시에서 생성된 얼움을 저빙상자로 낙하시키는 것이다.Recent refrigerators are equipped with automatic ice machines. This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supplies water from a water tank to an ice making plate, and drops the ice created by this ice making plate to a storage box.

그런데 이 자동제빙장치의 제어에는 이빙시의 제빙접시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접시위치의 정보와, 얼음을 만들어도 좋은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저빙상자의 저빙량의 정보가 필요하였다. 그 때문에, 접시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와, 저빙량을 검지하는 검빙센서의 2개 센서가 필요하였다.By the way, the control of the automatic ice making device required the information of the dish position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ice making plate during the ice-making and the amount of storage of the storage box to determine whether ice may be made. Therefore, two sensors,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ish rotation and an ice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ice storage, were required.

위치센서는 제빙접시의 수평위치와 이빙을 위한 제빙접시를 비트는 최대 비틀림 위치를 검출하여, 그 검출신호를 제어부에 보낸다. 제어부는 이빙방향으로 접시를 움직여 위치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받으면 그것이 최대 비틀림 위치이고, 수평복귀방향으로 접시를 회동시켜 위치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받으면 그것이 수평위치라 판단하였다.The position sensor detects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ice making plate and the maximum torsional position for twisting the ice making plate for ice making, and send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 unit judges that it is the maximum torsion position when the plate is moved in the moving direction and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position sensor, and it is the horizontal position when the plate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return direction to receive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position sensor.

한편 저빙량의 검출은 이빙시에 윗쪽으로 퇴피하고, 보통시에는 저빙상자 내부로 하강되는 검빙레버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빙센서의 검빙신호를 기초로 판정을 실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detection of the amount of ice storage was retracted upward at the time of ice removal, and the determination was made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ice detection sensor which detects the position of the ice detection lever lowered into the storage box normally.

그러나, 이 제어를 위해서는 위치센서와 검빙센서의 2개를 사용할 필요가 있고, 저빙량을 늘리기 위한 자동제빙장치의 컴팩트화나 비용절감에는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들 센서를 일체화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However, for this control, it is necessary to use two position sensors and an ice senso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ice storage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compactness and cost reduction.

그래서, 이 2개의 센서를 일체화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자동제빙장치가 제안되었다(일본국 특개평 8-233419호).Therefore, as an integrated of these two sensors, the following automatic ice making device has been propose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233419).

이 자동제빙장치는 이빙을 실시할 때의 제빙접시의 회동 도중에서 검빙을 실시하여, 1개의 센서를 위치검출하는 외에 가득 찼다면 신호를 단시간 출력하여 가득 찬 것을 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제빙접시를 이빙방향으로 회전시켜 단일 센서에서 신호가 나오면 그 시점에서 반전시키고 다음에 일정시간이상 센서에서 신호가 나온 경우에 제빙접시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것이다.This automatic ice making device performs ice detection during the rotation of the ice-making plate at the time of ice-making, and if one sensor is full except the position detection, it outputs a signal for a short time, and detects that it is full. That is, when the signal comes out from a single sensor by rotating the ice tray in the ice direction, it is inverted at that time and the rotation of the ice tray is stopped when the signal comes out for a predetermined time.

그리고, 저빙량이 가득 차지 않은 통상의 이빙의 경우에는 이빙방향으로의 제빙접시의 회전 도중의 가득 찬 검출신호는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최대 비틀림 위치에서의 신호로 반전한다. 수평복귀 시는 만일 이빙에 의해 저빙량이 가득 차게 되어 신호가 출력되어도, 그 신호폭은 일정시간 이내이기 때문에 무시되고, 수평복귀위치의 일정시간 이상의 신호에서 정지시킨다.In the case of the normal ice-making where the amount of ice storage is not full, the full detection signal during the rotation of the ice tray in the ice-making direction is not output, and thus the signal is inverted to the signal at the maximum torsional position. At the time of horizontal return, even if the amount of ice storage becomes full due to ice, and the signal is output, the signal width is ignored because it is within a certain time and stops at a signal longer than a certain time at the horizontal return position.

한편, 저빙량이 가득 찬 때는 수평위치에서 이빙방향으로 제빙접시를 회동시키면, 회동도중에서 가득 찬 검출신호가 나오고 그 위치에서 접시가 반전하여 수평위치로 되돌아고, 그 위치에서 일정시간 이상의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의해 정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ice is full, when the ice tray is rotated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to the icing direction, a full detection signal is issued during the rotation, and the dish is reversed at that position to return to the horizontal position, and outputs a signal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t that position. And stop by this.

즉, 가득 찼는지 여부의 판단은 제빙접시를 이빙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걸린 시간으로 알 수 있다.That is,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it is full can be seen by the time taken to rotate the ice tray in the ice direction.

그러나 상기 구성의 자동제빙장치는 통상시에 있어서는 제빙접시의 이빙방향의 회동 도중과 수평복귀 도중의 회동도중에서 검빙레버가 상하 움직이는 동작이 실시되고, 1회 이빙으로 2번의 검빙동작이 실시되기 때문에 검빙레버 및 그 동작기구가 수명적으로 불리하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automatic de-icing devic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detection lever is moved up and down during the rotation of the ice tray in the ice direction and during the horizontal return, and two detection operations are performed with one 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pection lever and its operation mechanism are disadvantageous in life.

또, 이빙 전에 검빙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어, 다음 제빙을 위한 급수 전에 검빙할 때에는 가득 차지 않은 경우라도 제빙접시를 비틀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빙접시의 수명이 짧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premise of pre-ice ice is premis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ife of the ice tray is shortened because the ice tray needs to be twisted even when it is not full when the water is detected before water supply for the next ice making.

또한, 제빙접시의 회전시간이나 센서로부터의 신호의 시간 폭을 감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빙접시의 회동을 위한 모터전압은 저전압으로 할 필요가 있다. 즉, 트랜스를 이용한 전원회로에서는 상용 전원전압의 변동이나 제빙접시의 비틀림 시의 모터전류의 증가 등의 부하변동에 의해 모터로의 공급 전압이 변동하기 때문에 트랜스의 용량에 여유를 갖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전원회로가 대형화하여 이에 의해 발열량의 증가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스위칭전원 등을 채용하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rotation time of the ice making plate and the time width of the signal from the sensor, the motor voltage for rotating the ice making plate needs to be made low. In other words, in a power supply circuit using a transformer, the supply voltage to the motor is changed due to a load change such as a change in the commercial power supply voltage or an increase in the motor current during torsion of the ice making plate. The power supply circuit has been enlarged, which causes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heat gener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s increased when the switching power supply.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빙 전에 검빙동작을 실시할 수 있고, 이빙하고 나서도 검빙동작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1개의 센서로 이들 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자동제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the ice-making operation before the ice-making, the ice-making operation even after the ice-making, and performing these operations with one sensor.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자동제빙장치에 있어서 제빙접시가 수평위치에 있는 경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ing plate in a horizontal position in an automatic ice making device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동일하게 제빙접시가 수평위치에 있는 경우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the same case when the ice making plate is in a horizontal position;

도 3은 제빙접시가 이빙(離氷)상태에 있는 경우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ice tray is in an iced state;

도 4는 제빙접시가 이빙상태에 있는 경우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when the ice tray is in an iced state,

도 5는 제빙접시가 검빙(檢氷)상태이고 동시에 얼음이 가득 차지 않은 때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ice tray is in an ice state and at the same time the ice is not full;

도 6은 도 5와 동일하고 가득 찬 때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same as in FIG.

도 7은 제빙접시가 검빙상태에 있는 경우의 정면도,7 is a front view when the ice tray is in an ice state;

도 8은 제 1 동작자와 제 2 동작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우측면도,8 is a right side view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first operator and a second operator;

도 9는 본 실시예의 냉장고의 중단부의 종단면도,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interruption portion of the refrigerator of the embodiment;

도 10은 자동제빙장치의 본체의 우측에서의 종단면도,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t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automatic ice making device;

도 11은 자동제빙장치의 본체의 뒷면에서의 종단면도,1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ck of the main body of the automatic ice making device;

도 12는 자동제빙장치의 블럭도,12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ice making device;

도 13은 자동제빙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utomatic ice making device and

도 14는 제빙접시의 회전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표이다.14 is a table for illustrat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ice making plat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자동제빙장치 20: 제빙접시10: automatic ice maker 20: ice tray

24: 검빙레버 32: 저빙상자24: Ginger Lever 32: Saving Box

44: 모터 50: 제 1 캠44: motor 50: first cam

52: 제 2 캠 58: 위치검출용 마그네트52: second cam 58: magnet for position detection

72: 저빙검출용 마그네트 74: 홀IC72: magnet for ice detection 74: hall IC

76: 온도센서 78: 제어수단76: temperature sensor 78: control means

80: 구동회로 82: 전류검출회로80: drive circuit 82: current detection circuit

청구항 1의 자동제빙장치는 수평위치에서 제빙된 얼음을 이탈시키기 위해서 이빙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수평위치에서 이빙방향과는 반대방향인 반이빙방향으로 회동하는 제빙접시, 상기 제빙접시의 아랫쪽에 배치된 저빙상자, 상기 제빙접시가 반이빙향으로 회동한 때에 상기 저빙상자에 모인 얼음에 위쪽에서 접촉하도록 회동하는 검빙레버 및 상기 제빙접시를 수평위치에서 이빙방향으로 회동시켜 이빙동작을 실시하는 이빙스텝과 상기 제빙접시를 반이빙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검빙레버에 의해 상기 저빙상자가 가득 찼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빙 스텝을 실시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automatic ice making device of claim 1 rotates in the ice-making direction to disengage the ice ice in the horizontal position and rotates in the semi-icing direction opposite to the ice-making direction in the horizontal position, and is disposed below the ice-making plate. The ice box and the ice-making lever rotating so as to contact the ice collected in the storage box from the upper side when the ice-making plate rotates in the half-sealing direction and rotating the ice-making plate in the ice-making direction in a horizontal position to perform the ice-making operation. Control means for rotating the ice step and the ice making plate in the semi-icing direction and performing an ice detection step for detecting whether the ice storage box is full by the ice detection lever.

청구항 2의 자동제빙장치는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접시가 이빙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한 때에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빙접시가 반이빙방향으로 회동한 때에 상기 검빙레버의 회동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1개의 검출센서를 갖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이빙스텝에 있어서, 상기 제빙접시를 수평위치에서 이빙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검출센서로부터 신호가 검출된 때에 상기 제빙접시를 수평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검빙스텝에 있어서, 상기 제빙접시를 반이빙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검출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저빙상자가 가득 찼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The automatic de-icing device of claim 2, wherein the automatic de-icing device outputs a signal when the ice-making plate rotates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ice-making direction and indicates the rotation state of the ice-making lever when the ice-making plate rotates in the half-ice direction. Has one detection sensor for outputting a signal, and said control means rotates said ice making plate in the ice-making direction from a horizontal position in said ice-breaking step, and moves said ice making plate to a horizontal position when a signal is detected from said detection sensor. In the inspection step, the ice tray is rotated in the semi-icing direction to detect whether the storage box is full by the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청구항 3의 자동제빙장치는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접시를 이빙방향 및 반이빙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을 갖고, 상기 검출센서는 상기 제빙접시가 수평위치에 있을 때도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전원 투입시 등의 초기화에 있어서 상기 제빙접시를 수평위치로 하는 수평복귀 스텝을 실시하고, 이 수평복귀 스텝은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제빙접시를 이빙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1 수평복귀 스텝, 상기 전류검출수단이 검출한 전류가 기준치가 된 때에 반이빙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2 수평복귀 스텝, 및 상기 검출센서로부터의 신호가 검출된 때에 상기 제빙접시를 수평위치로 하여 정지시키는 제 3 수평복귀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automatic de-icing device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motor for rotating the ice making plate in an ice-making direction and a semi-icing direction, and curren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current supplied to the motor, wherein the detection sensor comprises the ice-making method. Even when the dish is in the horizontal position, a signal is output, and the control means performs a horizontal return step in which the ice tray is in the horizontal position in initialization such as when the power is turned on, and the horizontal return step is performed by the motor. A first horizontal return step of rotating the pan in the ice-moving direction, a second horizontal return step of rotating the plate in the semi-ebbing direction when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ng means becomes a reference value, and when a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is detected And a third horizontal return step of stopping the ice making plate in a horizontal position.

청구항 4의 자동제빙장치는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접시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접시의 온도로부터 상기 제빙접시에 있어서 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갖고, 상기 제어수단은 전원투입시 등의 초기화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제빙접시의 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온도검출 스텝을 실시하고, 상기 온도검출 스텝에 있어서 상기 제빙접시에 물이 없다고 판단한 때에 상기 제빙접시를 수평위치로 하는 수평복귀 스텝을 실시하는 것이다.The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ice making dish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in the ice making dish from the temperature of the ice making dish; In the temperature detection step,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in the ice making dish, and in the temperature detecting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water in the ice making dish, the horizontal return step of setting the ice making dish to the horizontal position is performed. It is done.

청구항 5의 자동제빙장치는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접시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접시의 온도로부터 상기 제빙접시에 있어서 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갖고, 상기 제어수단은 전원투입시 등의 초기화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제빙접시의 물의 유무를 겁출하는 온도검출 스텝을 실시하고, 상기 온도검출 스텝에 있어서 상기 제빙접시에 물이 있다고 판단한 때에 제빙동작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빙접시를 수평위치로 하는 수평복귀 스텝을 실시하는 것이다.The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ice making dish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in the ice making dish from the temperature of the ice making dish; In the temperature detection step,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in the ice making dish, and in the temperature detecting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water in the ice making dish, the ice making dish is placed in a horizontal position. The horizontal return step is performed.

청구항 1의 자동제빙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of claim 1 will be described.

제빙접시에서 얼음이 생성되어 이빙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제어수단은 제빙접시를 수평위치에서 이빙방향으로 회동시켜 이빙동작을 실시하는 이빙 스텝을 실시한다.When ice is generated from the ice making plate to perform the ice making, the control means performs an ice making step by rotating the ice making plate in the ice direction in the horizontal position to perform the ice making operation.

또 저빙상자가 얼음으로 가득 찼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제빙접시를 반이빙방향으로 회동시키고 검빙레버에 의해 그것을 검출하는 검빙 스텝을 실시한다.When detecting whether the storage box is full of ice, the ice tray is rotated in the semi-icing direction, and an ice detection step is performed by the ice detection lever to detect it.

청구항 2의 자동제빙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of claim 2 will be described.

제어수단은 이빙스텝에 있어서 제빙접시를 수평위치에서 이빙방향으로 회동시켜 검출센서로부터 신호가 검출된 때에 제빙접시가 최대 비틀림 위치라고 판단하고, 제빙접시를 수평위치로 복귀시킨다. 즉 반이빙방향으로 회동시킨다.The control means rotates the ice making plate in the ebbing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in the ice step to determine that the ice making plate is the maximum torsion position when a signal is det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returns the ice making plate to the horizontal position. That is, it rotates in the semi-icing direction.

한편 검빙 스텝에 있어서는 제빙접시를 반이빙방향으로 회동시켜 검빙레버에 의해 저빙상자가 얼음으로 가득 찼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이것을 검출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ice detection step, the ice making plate is rotated in the semi-icing direction to detect whether the ice storage box is filled with ice by the ice detection lever, and judged by the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이에 의해 이빙 스텝 및 검빙 스텝을 단일 검출센서로 실시할 수 있다.Thereby, the ice step and the ice detection step can be performed by a single detection sensor.

청구항 3의 자동제빙장치에 있어서 전원 투입시 등의 초기화에 있어서 제빙접시를 수평위치로 되돌리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In the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of Claim 3, the case where an ice making plate is returned to a horizontal position at the time of power supply etc. is demonstrated.

제어수단은 모터에 의해 제빙접시를 이빙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1 수평복귀 스텝을 실시하고, 그 후 전류검출수단이 검출한 전류가 기준치가 된 때에, 반이빙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2 수평복귀 스텝을 실시하고, 검출센서로부터의 신호가 검출된 때에 제빙접시를 수평위치로 하여 정지시키는 제 3 수평복귀 스텝을 실시한다. 즉 제빙접시를 이빙방향으로 회동시켜 최대 비틀림 위치에 온 경우에는 모터에 대한 부하가 걸리고 전류가 증가한다. 그 때문에 전류검출수단은 이 전류의 증가를 검출함으로써 제빙접시가 최대 비틀림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The control means performs a first horizontal return step of rotating the ice making plate in the ice direction by the motor, and thereafter performs a second horizontal return step of rotating the anti-icing direction when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means becomes a reference value. And a third horizontal return step of stopping the ice making plate in a horizontal position when a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is detected. That is, when the ice tray is rotated in the ice direction to reach the maximum torsion position, the load on the motor is increased and the current increases. Therefore, the current detecting means detects whether the ice making plate is in the maximum torsional position by detecting the increase of this current.

청구항 4의 자동제빙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of claim 4 will be described.

제빙접시에 물이 있는 경우에는 제빙접시를 회동시키면 물이 넘쳐 흐를 우려가 있다.If there is water in the ice tray, there is a risk that the water will overflow when the ice tray is rotated.

그 때문에 제어수단은 초기화에 있어서 온도센서에 의해 제빙접시의 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온도검출 스텝을 실시하고, 이 온도검출 스텝에 있어서 제빙접시에 물이 없다고 판단한 때에만, 제빙접시를 수평위치로 하는 수평복귀 스텝을 실시한다.Therefore, the control means performs the temperatur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in the ice making dish by the temperature sensor in the initialization, and sets the ice making dish to the horizontal position only when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water in the ice making dish in this temperature detecting step. Perform the horizontal return step.

청구항 5의 자동제빙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of claim 5 will be described.

상기한 바와 같이 제빙접시에 물이 있는 경우에는 제빙접시를 회동시키면 물이 넘쳐 흐르지만, 어느 정도의 회동이라면 제빙접시에서 물이 넘쳐 흐르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is water in the ice making plate, the water flows when the ice making plate is rotated, but the water does not flow in the ice making plate when the degree of rotation is to some extent.

그 때문에 제어수단은 초기화에 있어서 온도 센서에 의해 제빙접시의 물의 유무의 검출을 하는 온도검출 스텝을 실시하고, 그 후 이 온도검출 스텝에 있어서 제빙접시에 물이 있다고 판단된 때는 제빙동작이 완료한 후에 상기 제빙접시를 수평위치로 하는 수평복귀 스텝을 실시한다.Therefore, the control means performs a temperatur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water in the ice making dish by the temperature sensor in the initialization, and th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water in the ice making dish in this temperature detecting step, the ice mak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reafter, a horizontal return step is performed in which the ice tray is in a horizontal position.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자동제빙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자동제빙장치(10)의 전체 구성)(Overall Configuration of Automatic Ice Maker 10)

도 9는 자동제빙장치(10)가 탑재되어 있는 냉장고(12)의 중단의 종단면도이다.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middle of the refrigerator 12 in which the automatic ice maker 10 is mounted.

도 9에 있어서 냉장고(12)는 상단부터 냉장실(14), 저빙실(16), 냉동실(18)을 갖고 자동제빙장치(10)는 저빙실(16)에 설치되어 있다.In FIG. 9, the refrigerator 12 includes a refrigerating chamber 14, a storage chamber 16, and a freezing chamber 18 from an upper end thereof, and an automatic ice maker 10 is installed in the storage chamber 16.

자동제빙장치(10)는 제빙접시(20)와 이것을 회동 지지하는 본체(22)와 이 본체(22)보다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검빙레버(24)로 이루어진다.The automatic ice making device 10 includes an ice making plate 20, a main body 22 for supporting the rotation thereof, and an ice detection lever 24 in which rotation is freely provided than the main body 22.

또 냉장실(14)의 바닥부에는 제빙접시(2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26)가 설치되고, 이 물탱크(26)에서 공급된 물은 냉장실(14)과 저빙실(16)의 간막이부재(28)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급수관(30)을 거쳐 제빙접시(20)에 공급된다.In addition, a water tank 26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ing plate 2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4,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6 is the refrigerating chamber 14 and the storage chamber 16. It is supplied to the ice making plate 20 via the water supply pipe 30 provided between the partition member 28 of this.

또한 제빙장치(10)의 아렛쪽에는 제빙접시(20)에서 낙하한 얼음을 모으기 위한 저빙상자(32)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storage box 32 for collecting ice that has fallen from the ice tray 2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ice making apparatus 10.

(자동제빙장치(10)의 내부 구성)(Internal Configuration of Automatic Ice Maker 10)

다음에 자동제빙장치(10)의 본체(22) 내부의 구성에 대해서 도 10,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체(22)의 우측에서 본 종단면도이고, 도 11는 본체(22)의 뒷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Next, the structure inside the main body 22 of the automatic ice-making apparatus 10 is demonstrated based on FIG. 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22, and FIG. 1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een from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22. As shown in FIG.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접시(20)의 접시회전축(34)이 본체(22)의 뒷면을 관통하고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0, the plate rotating shaft 34 of the ice making plate 20 penetrates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22.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접시회전축(34)에는 동일 축에 원판(36)과 제 1 기어(38)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기어(38)에는 제 2 기어(40)가 연결되고, 제 2 기어(40)에는 제 3 기어(42)가 연결되어 있다. 원판(36)과 본체(22)의 후면과의 사이에는 모터(44)가 설치되어 있고, 이 모터(44)의 회전축에 설치된 웜기어(46)와 상기한 제 3 기어(42)가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disc rotation shaft 34 is provided with a disc 36 and a first gear 38 on the same shaft. The second gear 40 is connected to the first gear 38, and the third gear 42 is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40. A motor 44 is provided between the disc 36 an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22, and the worm gear 46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is motor 44 and the above-mentioned third gear 42 are connected. .

이에 의해 모터(44)가 구동되면, 웜기어(46), 제 3 기어(42), 제 2 기어(40), 제 1 기어(38)가 회동하고 원판(36)도 이와 함께 회전하여 제빙접시(20)가 회동한다.As a result, when the motor 44 is driven, the worm gear 46, the third gear 42, the second gear 40, and the first gear 38 are rotated, and the disc 36 also rotates together with the ice making plate ( 20) rotates.

한편, 검빙레버(24)는 본체(22)의 우측면에 레버회전축(4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tection lever 24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lever rotation shaft 48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22.

(제빙접시(20)를 회전시키는 구성)(Configuration to rotate the ice tray 20)

제빙접시(20)를 회전시키는 원판(36)과 검빙레버(24)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는 원판(36)을 회전시키는 기어(38, 40, 42, 46) 및 모터(44)의 도시에 대해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생략하고 있다.A disc 36 and an ice detection lever 24 for rotating the ice tray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In addition, in FIGS. 1-8, illustration of the gears 38, 40, 42, 46 which rotate the original plate 36, and the motor 44 is abbreviate | omitted for ease of description.

우선 제빙접시(20)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ice making plate 20 will be described.

제빙접시(20)의 수평위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면이 수평한 상태를 말한다.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ice making plate 20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ice making surface is horizontal as shown in FIGS. 1 and 2.

제빙접시(20)가 이빙하는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빙접시(20)가 비틀어진 상태가 되어 이빙을 실시한다. 여기에서 정회전이라는 것은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A1방향을 말한다.When the ice tray 20 ices,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ice tray 20 is twisted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to perform the ice. Here, the forward rotation refers to the direction A1 in FIGS. 3 and 4.

제빙접시(20)가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저빙량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도 5,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회전방향 Al과 반대방향인 역회전방향 A2로 회전한다.When the ice making plate 20 detects the amount of ice storage as described later, it rotates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A2 opposite to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Al as shown in FIGS. 5, 6, and 7.

원판(36)의 후면은 제 1 캠(50)을 구성하고, 원판(36)의 전면은 제 2 캠(52)을 구성하고 있다.The rear surface of the disk 36 constitutes the first cam 5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disk 36 constitutes the second cam 52.

제 1 캠(5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irst cam 50 will be described.

도 2, 도 4,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36)의 후면에 제 1 캠홈(53)이 거의 링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FIG. 4, and FIG. 7, the 1st cam groove 53 is provided in the substantially ring shape in the back surface of the disk 36. As shown in FIG.

이 제 1 캠(50)의 앞쪽에는 긴 판형상의 제 1 동작자(54)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동작자(54)의 우단부는 축점(56)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좌단부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 이 좌단부에는 위치검출용 마그네트(5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동작자(54)의 중앙부에는 제 1 캠홈(53)과 걸어 맞추는 제 1 돌기(60)가 설치되어 있다.An elongate plate-shaped first operator 54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cam 50. The right end of the first operator 54 is freely rotatable by the axial point 56, and the left end is free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eft end portion is provided with a magnet 58 for position detection. Moreover, the 1st protrusion 60 which engages with the 1st cam groove 53 is provided in the center part of the 1st operator 54. As shown in FIG.

이에 의해 원판(36)(제 1 캠(50))이 회전하면, 제 1 캠홈(53)의 회전에 따라서 제 1 돌기(60)가 상하 움직이고, 제 1 동작자(54)의 좌단부에 있는 위치검출용 마그네트(58)도 동일하게 상하 움직인다.As a result, when the disc 36 (the first cam 50) rotates, the first protrusion 60 moves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cam groove 53, which is located at the left end of the first operator 54. The magnet 58 for position detection also moves up and down similarly.

여기에서 제 1 캠(53)은 제빙접시(20)가 수평위치에서 ±약10°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제 1 동작자(54)의 위치검출용 마그네트(58)가 상 위치가 되도록 이 위치만 제 1 캠홈(53)이 위쪽으로 팽창한 것과 같은 직경이 큰 홈 형상으로 되어 있다(이하 이 위치를 수평영역(62)이라 한다).Here, the first cam 53 is positioned such that the magnet 58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operator 54 is in the upper position only when the ice making plate 20 is in a position of ± 10 °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Only the first cam groove 53 has a large diameter groove shape such that it is expanded upward (hereinafter, this position is referred to as a horizontal area 62).

또 제 1 캠홈(53)은 정회전방향으로 거의 180°회전한 위치에서 다시 제 1 돌기(60)를 위쪽으로 끌어 올리는 것과 같이 직경이 큰 홈 형상으로 되어 있다(이하 이 위치를 최대 비틀림 영역(63)이라 한다).In addition, the first cam groove 53 has a groove shape with a large diameter such that the first protrusion 60 is pulled upward again at a position which is rotated approximately 180 degrees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hereinafter, the position is referred to as the maximum torsion region ( 63).

또한 다른 회전각도에 있어서는 위치검출용 마그네트(58)가 하 위치가 되도록 직경이 작은 홈 형상으로 되어 있다.At other rotation angles, the diameter of the position detecting magnet 58 is in a lower groove shape.

제 2 캠(52)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second cam 52 will be described.

제 2 캠(52)은 원판(36)의 앞면에 링형상의 제 2 캠홈(64)이 설치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cam 52 is formed by providing a ring-shaped second cam groove 64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c 36.

제 2 캠홈(64)에는 검빙레버(24)의 레버 회전축(48)에서 돌출한 제 2 돌기(66)가 걸어맞춰 있다.A second projection 66 projecting from the lever rotation shaft 48 of the detection lever 24 is engaged with the second cam groove 64.

제 2 캠홈(64)은 제빙접시(20)가 역회전방향으로 거의 45°회전한 경우에 제 2 돌기(66)가 그 밖의 위치보다 아랫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직경이 큰 홈 형상으로 되어 있다(이하, 이 위치를 검빙영역(68)이라 한다).The second cam groove 64 has a groove shape having a large diameter so that the second projection 66 can move downward from other positions when the ice making plate 20 is rotated almost 45 °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hereinafter, This position is referred to as the ice detection area 68).

또 레버 회전축(48)의 중앙부에는 제 2 동작자(70)가 설치되고, 이 제 2 동작자(70)의 선단에 저빙검출용 마그네트(7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검빙 마그네트(72)의 위치는 위치검출용 마그네트(58)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In addition, a second operator 7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ever rotation shaft 48, and a magnet 72 for storing ice detection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second operator 70. The position of this detection magnet 72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position detection magnet 58. As shown in FIG.

이 제 2 캠(52)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빙접시(20)가 역회전방향으로 거의 45°회전하면, 레버회전축(48)의 제 2 돌기(66)의 위치에 검빙영역(68)이 위치한다. 그리고 이 위치에서 검빙레버(24)에 의해 검빙이 실시되고, 만일 저빙상자(32)가 가득 찼다면 얼음에 맞닿아 검빙레버(24)는 회전하지 않고, 레버회전축(48)에 있는 제 2 돌기(66)는 검빙영역(68)으로는 빠지지 않는다. 한편, 얼음이 없어 가득 차지 않는 경우에는 검빙레버(24)는 중력에 의해 아랫쪽으로 회전하고, 제 2 돌기(66)는 검빙영역(68)으로 빠진다. 이 경우에 저빙검출용 마그네트(72)도 레버회전축(48)에 따라서 회동한다.The operation of the second cam 52 will be described. When the ice making plate 20 rotates approximately 45 °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the detection area 68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projection 66 of the lever rotation shaft 48. Located. In this position, the ice detection is performed by the ice detection lever 24, and if the storage box 32 is full, the ice detection lever 24 does not rotate in contact with the ice, and the second rotation of the lever rotation shaft 48 does not rotate. The projection 66 does not fall into the ice detection region 68.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ice and not full, the ice detection lever 24 rotates downward by gravity, and the second projection 66 falls into the ice detection region 68. In this case, the storage ice detection magnet 72 also rotates along the lever rotation shaft 48.

본체(22)의 우측면 내측에는 홀IC(7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홀IC(74)는 상기에서 설명한 위치검출용 마그네트(58) 또는 저빙검출용 마그네트(72)가 가까워지면, 오프상태에서 온상태가 된다.The hall IC 74 is provided inside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22. The hole IC 74 is turned on in the off state when the position detecting magnet 58 or the storage detecting magnet 72 described above is close to each other.

(자동제빙장치(10)의 전기관계의 구성)(Configuration of electrical relationship of the automatic ice making device 10)

도 12의 블럭도에 기초하여 자동제빙장치(10)의 전기관계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al relationship of the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10 is demonstrated based on the block diagram of FIG.

자동제빙장치(10)를 제어하는 제어수단(78)은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지고, 홀IC(74), 온도센서(76) 및 모터(44)의 구동회로(80)가 접속되어 있다. 또 전류검출회로(82)도 접속되어 있다. 이 전류검출회로(82)는 구동회로(80)에서 모터(44)로 공급되는 전류 값을 검출한다.The control means 78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ice making device 10 is made of a microcomputer, and the hall IC 74, the temperature sensor 76, and the drive circuit 80 of the motor 44 are connected.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82 is also connected.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82 detects a current value supplied from the drive circuit 80 to the motor 44.

온도센서(76)는 제빙접시(20)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제빙접시(20)의 온도를 검지하여 제어수단(78)에 그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제어수단(78)은 이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제빙이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검출온도가 -9.5℃ 이하의 상태가 2시간 계속되는 것 또, 검출온도가 -12.5℃ 이하가 10초간 계속되는 것을 가지고 제빙이 완료하는지를 판단한다.The temperature sensor 76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ce making plate 20,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ice making plate 20, and outpu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means 78. The control means 78 judges whether ice making is completed based on this detection signal. Specifical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ce making is completed with the detection temperature of -9.5 ° C or less for 2 hours and the detection temperature of -12.5 ° C or less for 10 seconds.

(자동제빙장치(10)의 동작상태)(Operation state of the automatic ice maker 10)

상기에서 설명한 자동제빙장치(10)의 동작상태를 도 1에서 도 8 및 도 13, 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An operation state of the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1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13, and 14.

(1)제빙접시(20)가 수평위치에 있는 경우(도 1, 도 2, 도 13, 도 14 참조)(1) When the ice tray 20 is in the horizontal position (refer to FIGS. 1, 2, 13, and 14)

제빙접시(20)에서 얼음을 생성하고 있는 경우 또는 물이 빈 경우에는 제빙접시(20)는 수평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When ice is being produced in the ice making plate 20 or when the water is empty, the ice making plate 20 is stopped at the horizontal position.

이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캠(52)에 있어서는 제 2 돌기(6)는 검빙영역(68) 이외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레버회전축(48)은 검빙레버(24)를 윗쪽으로 끌어 올린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한편, 제 2 동작자(70)는 홀IC(74)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저빙검출용 마그네트(72)의 영향은 홀IC(74)에는 미치지 않는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in the second cam 52, since the second projection 6 is locat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detection area 68, the lever rotation shaft 48 moves the detection lever 24 upward. Keep it up.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 operator 70 is locat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hall IC 74, the influence of the storage detection magnet 72 does not reach the hall IC 74.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캠(50)에 있어서는 제 1 동작자(54)의 제 1 돌기(60)가 제 1 캠홈(53)의 수평영역(62)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동작자(54)의 위치검출용 마그네트(58)는 홀IC(74)의 근방에 위치하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IC(74)는 온상태가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in the first cam 50, since the first projection 60 of the first operator 54 is located in the horizontal region 62 of the first cam groove 53, the first operation is performed. The position detecting magnet 58 of the ruler 54 i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hall IC 74 and the hall IC 74 is in an on state as shown in FIG.

(2)제빙접시(20)가 이빙을 실시하는 경우(도 3, 도 4, 도 13, 도 14 참조)(2) When the ice tray 20 performs the ice (see FIGS. 3, 4, 13, and 14)

온도센서(76)의 온도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제빙이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빙이 완료하였다고 판단하면, 이빙동작인 모터(44)가 제빙접시(20)를 정회전방향 Al으로 회전시킨다.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ion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76, it is determined whether ice making is complet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ce making is completed, the motor 44, which is an ice making operation, rotates the ice making plate 20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Al.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36)(제 1 캠(50))이 회전하면, 회전과 동시에 제 1 돌기(60)가 수평영역(62) 이외의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 1 동작자(54)의 위치검출용 마그네트(58)가 홀IC(74)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IC(74)는 오프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disc 36 (the first cam 50) rotates, the first operator 60 moves to a position other than the horizontal area 62 at the same time as the rotation. Since the position detecting magnet 58 of 54 is separated from the hall IC 74, the hole IC 74 is turned off as shown in FIG.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44)가 회전을 계속하여 거의 180°회전한 위치에서 제 1 돌기(60)는 최대 비틀림 영역(63)에 이른다. 이에 의해 제 1 동작자(54)의 저빙검출용 마그네트(72)가 다시 홀IC(74)에 가까워지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IC(74)가 온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protrusion 60 reaches the maximum torsion region 63 at a position where the motor 44 continues to rotate and rotates approximately 180 °. As a result, the storage detection magnet 72 of the first operator 54 approaches the hall IC 74 again, and the hall IC 74 is turned on as shown in FIG.

제어수단(78)은 홀IC(74)가 오프상태가 되고 나서 다시 온상태가 된 위치에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접시(20)가 최대 비틀림 영역(63)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고, 수평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역회전방향으로 모터(44)를 구동시킨다.The control means 78 judges that the ice making plate 20 has reached the maximum torsion region 63 as shown in Fig. 13 at the position where the hall IC 74 is turned off and then turned on again, The motor 44 is driven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to return to the position.

제빙접시(20)가 역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최대 비틀림영역(63)의 위치를 벗어나면, 홀IC(74)가 오프상태가 되고 이 상태가 잠시 계속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영역(62)에 이르면, 홀IC(74)가 다시 온상태가 되기 때문에 제어수단(78)은 제빙접시(20)가 수평위치로 복귀하였다고 판단하고 모터(44)를 정지시킨다.When the ice making plate 20 rotates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to get out of the position of the maximum torsion region 63, the hall IC 74 is turned off and this state continues for a while. As shown in FIG. 13, when the horizontal area 62 is reached, the Hall IC 74 is turned on again, so that the control means 78 determines that the ice making plate 20 has returned to th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motor 44. Stop).

(3)검빙레버(24)가 검빙동작을 실시하는 경우(도 5, 도 6, 도 7, 도 8, 도 13, 도 14 참조)(3) When the ice detection lever 24 performs the ice detection operation (refer to FIGS. 5, 6, 7, 8, 13, and 14)

제빙접시(20)가 역회전방향으로 거의 45°회전하도록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수단(78)에 내장되어 있는 타이머로 소정시간(t1)구동시킨다.As shown in FIG. 13, a predetermined time t1 is driven by a timer built in the control means 78 so that the ice making plate 20 rotates approximately 45 °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캠(50)에 있어서는 제 1 돌기(60)가 수평영역(62) 이외의 위치에 오기 때문에, 제 1 동작자(54)의 위치검출용 마그네트(58)는 홀IC(74)에서 떨어지고 홀IC(74)가 오프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 2 돌기(66)의 위치에 검빙영역(68)이 위치한다.As shown in FIG. 7, in the first cam 50, since the first protrusion 60 comes to a position other than the horizontal area 62, the magnet 58 for position detection of the first operator 54 is provided. The hole IC 74 is dropped and the hall IC 74 is turned off. In this state, the sensing area 68 is located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66.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빙상자(32)에 얼음이 가득 차면, 얼음에 맞닿아 검빙레버(24)는 회전되지 않고, 제 2 돌기(66a)는 검빙영역(68)에서 뜬 상태가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동작자(70)의 저빙검출용 마그네트(72)도 홀IC(74)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기 때문에 홀IC(74)는 오프상태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storage box 32 is filled with ice, the ice detection lever 24 is not rotated in contact with the ice, and the second projection 66a is in a state of floating in the ice detection region 68. have. Therefore, since the storage detection magnet 72 of the second operator 70 is also at the position away from the hall IC 74, the hall IC 74 is in an off state.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저빙상자(32)에 얼음이 없어지고, 검빙레버(24)가 내려가면, 제 2 돌기(66b)도 검빙영역(68)으로 낙하한다. 그러면 제 2 동작자(70)의 저빙검출용 마그네트(72)가 홀IC(74)에 가까워지고 홀IC(74)가 온상태가 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온상태가 됨으로써 제어수단(78)은 저빙상자(32)에 얼음이 없는 것을 안다.As shown in FIG. 7, when ice is lost in one storage box 32 and the ice detection lever 24 is lowered, the second projection 66b also falls into the ice detection region 68. Then, the storage detection magnet 72 of the second operator 70 approaches the hall IC 74 and the hall IC 74 is turned on. As shown in FIG. 13, the control means 78 knows that there is no ice in the storage box 32 by being in this on state.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44)는 다시 제빙접시(20)를 정회전방향으로 t1시간회전시켜 수평위치로 제빙접시(20)가 복귀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제빙접시(20)가 복귀하였는지 여부는 제 1 돌기(60)가 수평영역(62)의 위치에 이르고, 홀IC(74)가 온상태가 된 때에 그 위치에 왔다고 판단한다.As shown in FIG. 13, the motor 44 again rotates the ice making plate 20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by t1 hours so that the ice making plate 20 returns to the horizontal position. In this case, whether or not the ice making plate 20 has returned is determined to have come to the position when the first projection 60 reaches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area 62 and the hall IC 74 is turned on.

(4)검빙동작과 이빙동작의 순서의 제어에 대해서(4) Control of the sequence of ice detection and ice moving

검빙동작과 이빙동작의 순서는 어느쪽이라도 좋다.The order of the ice motion and the ice motion may be either.

예를 들면, 검빙동작 후에 이빙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검빙동작에서 얼음이 가득 차지 않아서 이빙시켜도 좋다고 판단한 경우는 검빙위치에서 t1시간의 정회전 후, 이어서 이빙동작을 계속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ce-break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after the ice making oper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ice may be filled in the ice detection operation so that the ice may be filled, then after the forward rotation of the t1 hour at the ice detection position, the ice extraction operation can be continued.

또 가득 찬 경우는 제빙접시(20)를 수평위치로 되돌리지 않고, 제빙접시(20)를 역45°의 경사대로 두고, 얼음이 사용되어 검빙레버(24)가 내려가는 것을 기다려도 좋다. 또 일단 수평위치로 제빙접시(20)를 되돌린 후, 문의 개폐나 어느 시간간격을 계기로 하여 다시 검빙동작을 실시하여도 좋다.When the ice making tray 20 is full, the ice making plate 20 may be inclined at an inverse 45 °, and ice may be used to wait for the ice making lever 24 to descend. In addition, once the ice tray 20 is returned to the horizontal position, the ice detec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again by opening or closing the door or at a certain time interval.

먼저 이빙동작을 한 경우는 다음 제빙을 위한 급수 전에 검빙동작을 실시한다. 검빙동작에서 얼음이 가득 찼다고 한 경우에는 가득찬 것이 없어질 때까지 급수를 대기시킨다. 이 대기방법은 상술의 검빙을 먼저 실시한 경우와 동일하고 제빙접시(20)를 경사대로 두고 얼음이 사용되어 검빙레버(24)가 내려가는 것을 기다려도 좋고, 또 일단 제빙접시(20)를 수평위치로 되돌린 후 문의 개폐나 어느 시간 간격을 계기로 하여 다시 검빙동작을 실시하여도 좋다.In the case of the first ice-making operation, the ice-making operation is performed before the water supply for the next ice making. If the ice tells you that the ice is full, wait for water supply until the ice is gone. This waiting method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mentioned ice-making first, and the ice-making plate 20 may be inclined and the ice may be used to wait for the ice-making lever 24 to go down. After turning, the door may be opened or closed again at a certain time interval to perform the ice detection operation.

(모터(44)의 성능)(Performance of the motor 44)

여기에서 모터(44)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 the motor 44 will be described.

이빙동작의 경우는 제빙접시(20)가 수평위치 또는 최대 비틀림 위치인지는 홀IC(74)에서 결정하여, 타이머를 이용하는 시간제어를 병용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모터(44)에 의해 이빙할 수 있는 모터(44)의 전압에는 관계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모터전압이 7∼13V으로 광범위하게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ice-breaking operation, it is determined by the hall IC 74 whether the ice making plate 20 is in the horizontal position or the maximum torsion position,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time control using the timer in combination. Therefore, it does not concern the voltage of the motor 44 which can be moved by the motor 44. For example, the motor voltage can be widened to 7 to 13V.

역으로 검빙동작시는 검빙레버(24)가 검빙을 검지할 수 있는 위치까지 제 2 캠(52)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좋다. 즉, 이 경우에는 모터(44)에는 부하가 걸리지 않고 모터 토크도 거의 불필요하기 때문에 전원전압의 변동에는 그다지 영향 받지 않고, 정격이 예를 들면 12V에 대하여 ±2V정도의 변동으로 문제가 없고, 전원전압의 안정도에 대해서 여유를 갖게 할 수 있다.Conversely, during the ice detection operation, the second cam 52 may be rotated only to a position where the ice detection lever 24 can detect the ice detection. That is, in this case, since the load is not applied to the motor 44 and the motor torque is almost unnecessary, it is not influenced by the fluctuation of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there is no problem because the fluctuation is about ± 2V with respect to 12V, for example. The margin of voltage stability can be allowed.

또한 이 검빙동작시에는 모터전압을 이빙 가능한 하한의 일정 전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검빙레버(24)의 동작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구동회로(80)에 트랜스방식의 값 싼 전원을 채용할 수 있다.In this sensing operation, the motor voltage can be set to a constant lower limit voltage that can be moved, so that the accuracy of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lever 24 can be increased, and a cheap power supply of a trans type can be employed for the drive circuit 80. Can be.

(제빙접시(20)의 수평복귀 제어방법)(Horizontal return control method of the ice tray 20)

(1)제 1 수평복귀 제어방법(1) First horizontal return control method

다음에 냉장고의 전원투입시 등의 초기화를 실시한 경우에 제빙접시(20)를 수평위치로 되돌리는 제 1 수평복귀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first horizontal return control method for returning the ice making tray 20 to a horizontal position when initialization of the refrigerator is turned on.

초기화를 실시하면, 제빙접시(20)를 정회전방향으로 t1시간 이상(예를 들면 t1+1초, 이하 이것을 t2시간이라 한다)을 회전시킨다.When initialization is performed, the ice making plate 20 is rotated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for t1 hour or more (for example, t1 + 1 seco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2 time).

그러면, 제빙접시(20)는 수평위치에서 최대 비틀림 위치 사이에 들어가기 때문에, 그 후 제빙접시(20)를 역회전시켜 홀IC(74)가 온상태가 된 위치가 수평위치가 된다.Then, since the ice tray 20 enters between the horizontal position and the maximum torsional position, the position where the hole IC 74 is turned on after the ice tray 20 is reversely rotated becomes a horizontal position.

또한 수평위치에서 최대 비틀림 위치 사이에서는 t1시간 이상의 t2시간 정회전시키면 제빙접시(20)는 최대 비틀림 위치 이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이 최대 비틀림 위치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스토퍼를 설치하거나, 기어(38∼46)의 맞물림이 떨어져 제빙접시(20)가 완전히 비틀리지 않도록 하여 두면 좋다.In addition, since the ice making plate 20 rotates more than the maximum torsion position when the motor rotates forward t2 hours or more between the maximum torsional position and the maximum torsional position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a stopper is installed or the gears 38 to 38 do not rotate beyond the maximum torsional position. The engagement of 46) may be such that the ice tray 20 is not completely twisted.

(2)제 2 수평복귀 제어방법(2) Second horizontal return control method

다음에 제빙접시(20)의 제 2 수평복귀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second horizontal return control method of the ice making plate 20 will be described.

제 1 수평복귀 제어방법이라면, 최대 비틀림 위치 이상으로 제빙접시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스토퍼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이 스토퍼에 의해 기어(38∼46)에 스트레스가 걸린다. 또 기어(38∼46)가 빠지도록 한 경우는 이 기어를 뺀 때의 소리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In the first horizontal return control method, a stopper must be provided so that the ice making plate does not rotate above the maximum torsional position, and the gears 38 to 46 are stressed by the stopper. In addition, when the gears 38 to 46 are pulled out, the sound when the gear is removed may be a problem.

그 때문에 제 2 수평복귀 제어방법에서는 구동회로(80)에서 모터(44)에 공급되는 전류에 착안하여 최대 비틀림 위치 이상으로 제빙접시(20)가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한다.Therefore, in the second horizontal return control method, the ice tray 20 is controlled so as not to rotate above the maximum torsional posi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driving circuit 80 to the motor 44.

구체적으로는 최대 비틀림 위치의 경우는 홀IC(74)가 온상태이고 동시에 모터(44)에 그 비틀림에 의한 토크가 걸려서 모터전류가 증가한다. 그래서 홀IC(74)가 온상태이고 동시에 전류검출회로(82)에서 모터전류가 기준치 이상이 된 경우에 최대 비틀림 위치라고 판정하고, 이 경우는 정회전이 t2시간에 충족하지 않은 경우라고도 역회전시켜 홀IC(74)를 일단 오프상태로 한 후, 다음 온상태의 위치인 수평위치에서 회전을 멈춘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maximum torsional position, the hall IC 74 is on and at the same time, the motor 44 is torqued by the torsion, thereby increasing the motor current. Therefore, when the hall IC 74 is on and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82 determines that the maximum torsional position is reached when the motor current become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After the Hall IC 74 is turned off once, the rotation is stopped at the horizontal position which is the next on position.

(3)제 3 수평복귀 제어방법(3) Third horizontal return control method

다음에 제빙접시(20)의 제 3 수평복귀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third horizontal return control method of the ice making plate 20 will be described.

제 2 수평복귀 제어방법과 같이 기준치에서 모터전류를 판단하는 대신에, 제 3 수평복귀 제어방법에서는 통상의 회전시에 있어서 모터전류와 수평복귀제어의 정회전시의 전류와의 차가 기준치 이상인지의 여부로 최대 비틀림을 판단한다. 그 이외는 제 2 수평복귀 제어방법과 동일하다. 이 전류차를 이용하여 모터의 개체차, 경년변화, 온도에 의한 권선 저항의 변화에 의한 영향을 없앨 수 있다.Instead of judging the motor current from the reference value as in the second horizontal return control method, the third horizontal return control metho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tor current and the current at the forward rotation of the horizontal return contro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during normal rotation. Determine the maximum torsion with. Other than that is the same as the 2nd horizontal return control method. By using this current differenc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fluence of individual difference of motor, secular variation, and change of winding resistance by temperature.

구체적으로는 통상의 회전시의 모터전류는 t2시간의 정회전에 앞서서 일초정도 역회전시키고 그 때의 전류값을 통상 회전시의 모터 전류로 한다.Specifically, the motor current during normal rotation is reversed for about 1 second prior to the forward rotation of t2 hours, and the current value at that time is the motor current during normal rotation.

이것은 제빙접시가 최대 비틀림 위치에 있었다고 하여도 역회전방향으로 하면 제빙접시(20)의 비틀림 토크가 걸리지 않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torsion torque of the ice making plate 20 is not applied when the ice making plate is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even if the ice making plate is in the maximum torsion position.

또 이 경우에는 t2시간의 정회전 전에 통상전류검지를 위해서 역회전시킨 시간 정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으면 안된다.In this case, it must be rotated in the time forward rotation direction reversed for normal current detection before t 2 hours forward rotation.

(4)제 4 수평복귀 제어방법(4) Fourth Horizontal Return Control Method

다음에 제빙접시(20)의 제 4 수평복귀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fourth horizontal return control method of the ice making plate 20 will be described.

제 4 수평복귀 제어방법은 홀IC(74)와 전류증가에 의한 최대 비틀림 위치를 검출하는 경우에 t2시간에 관계없이 정회전시켜 두고, 제빙접시(20)를 반드시 최대 비틀림 위치까지 회전시키고 그 후 역회전시켜 수평으로 되돌린다.In the fourth horizontal return control method, when detecting the maximum torsional position due to the increase in current with the hall IC 74, the motor rotates forward regardless of t2 hours, and then the ice tray 20 is rotated to the maximum torsional position. Rotate to return horizontally.

(5)제 5 수평복귀 제어방법(5) Fifth horizontal return control method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빙접시(20)를 수평위치로 되돌릴 수 있지만, 제빙접시(20)에 물이 들어 있는 경우에는 물이 넘쳐 흐를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은 수평복귀동작 전에 다음과 같은 제어를 실시할 필요도 있다.Although the ice making dish 20 can be returned to a horizontal position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when water is contained in the ice making dish 20, the water may overf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following control before the horizontal return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온도센서(76)에 의해 제빙접시(20)의 온도를 검지하고, 제빙이 완료하였다고 판단된 시점에서 상기 수평복귀동작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빙접시(20)에서 물이 넘쳐 흐르는 현상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투입시에 접시가 차가워져 있어(예컨데, 온도센서가 -9.5℃ 이하), 분명히 물이 들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제빙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수평복귀동작을 실시하여도 좋다.The temperature sensor 76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ice making plate 20, and performs the horizontal return operation at the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ice making is completed. By doing in this way, the phenomenon which the water overflows in the ice-making plate 20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if the dish is cold when the power is turned on (for example, the temperature sensor is -9.5 ° C or lower), and it is determined that no water is clearly contained, the horizontal return operation may be performed without waiting for the completion of ice making.

한편 제빙접시(20)에 물이 들어 있는 경우는 제빙접시(20)는 수평위치에 있고, 이 경우에는 ±10℃정도 제빙접시(20)를 회전시켜도 물은 넘쳐 흐르지 않는다. 이 때문에 초기화 후에 제빙접시(20)의 위치를 약 10°정도 역회전시켜서 홀IC(74)가 오프상태가 되면, 제빙접시(20)는 수평이 아니기 때문에 수평까지 되돌아오는 상기 수평복귀동작을 실시한다. 또 이 이외의 경우에는 물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빙접시(20)를 원래 위치로 되돌리고 물의 유무에 상관없이 제빙동작이 완료한 후에 수평복귀동작을 실시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ce tray 20 contains water, the ice tray 20 is in a horizontal position. In this case, the water does not overflow even if the ice tray 20 is rotated about ± 10 ° C. For this reason, after the initialization, the position of the ice making plate 20 is reversed by about 10 degrees, and the Hall IC 74 is turned off. Therefore, the ice making plate 20 is not horizontal. do. In other cases,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of water, the ice tray 2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horizontal return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the ice making operation is completed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변경예)(Change example)

또한 상기 실시예의 홀IC에 대신하여 리드 스위치와 마그네트와의 조합 또는 캠과 스위치와의 조합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다.Instead of the Hall IC of the above embodiment, the combination of the reed switch and the magnet or the combination of the cam and the switch can be realized.

본 발명의 자동제빙장치는 이빙동작과 검빙동작을 독립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빙동작 후에 검빙동작을 실시할 수 있으며 또 반대로 검빙동작 후에 이빙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The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ependently perform the ice making operation and the ice making operation, can perform the ice making operation after the ice making operation, and conversely, can perform the ice making operation after the ice making operation.

청구항 2의 자동제빙장치는 1개의 검출센서로 이빙동작과 검빙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The automatic ice making device of claim 2 can perform an ice-making operation and an ice-ice operation with one detection sensor.

청구항 3의 자동제빙장치는 초기화 후에 수평복귀동작 스텝을 실시함으로써 확실하게 제빙접시를 수평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The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of claim 3 can reliably return the ice making plate to the horizontal position by performing a horizontal return operation step after initialization.

청구항 4의 자동제빙장치는 제빙접시에 물이 없다고 판단한 때에 수평복귀 스텝을 실시하기 때문에 제빙접시에서 물이 넘쳐 흐르는 일이 없다.Since the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of Claim 4 performs a horizontal return step when 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water in an ice making dish, water does not overflow in an ice making dish.

청구항 5의 자동제빙장치는 제빙접시에 물이 있다고 판단한 때는 제빙동작을 실시한 후에 수평복귀 스텝을 실시하기 때문에 물이 넘쳐 흐르는 일이 없다.When the automatic ice making device of claim 5 determines that there is water in the ice making plate, the water does not overflow because the horizontal return step is performed after the ice making operation is performed.

Claims (5)

제빙한 얼음을 이탈시키기 위해서 수평위치에서 이빙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수평위치에서 이빙방향과는 반대방향인 반이빙방향으로 회동하는 제빙접시;An ice-making dish which rotates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n ice-making direction to release iced ice and simultaneously rotates in a semi-ebbing direction opposite to an ice-making direction in a horizontal position; 상기 제빙접시의 아랫쪽에 배치된 저빙상자;A storage box disposed below the ice tray; 상기 제빙접시가 반이빙방향으로 회동한 때에, 상기 저빙상자에 모인 얼음에 위쪽에서 접촉하도록 회동하는 검빙레버; 및When the ice tray is rotated in the semi-icing direction, the ice detection lever rotates to contact the ice collected in the storage box from the upper side; And 상기 제빙접시를 수평위치에서 이빙방향으로 회동시켜 이빙동작을 실시하는 이빙스텝과 상기 제빙접시를 반이빙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검빙레버에 의해 상기 저빙상자가 가득 찼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빙 스텝을 실시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장치.An ice step for rotating the ice plate in a direction of ice in a horizontal position and an ice step for rotating the ice plate in a half ice direction and detecting whether the ice box is full by the ice lever. Automatic ice mak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빙접시가 이빙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한 때에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빙접시가 반이빙방향으로 회동한 때에 상기 검빙레버의 회동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1개의 검출 센서를 갖고,It has one detection sensor which outputs a signal when the said ice-making plate rotates a predetermined angle in an ice-melting direction, and outputs the signal which shows the rotation state of the said ice detection lever when the said ice-making plate rotates to a half-ice direction, 상기 제어수단은,The control means, 상기 이빙스텝에 있어서,In the moving step, 상기 제빙접시를 수평위치에서 이빙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검출센서로부터의 신호가 검출된 때에 상기 제빙접시를 수평위치로 복귀시키고,Rotate the ice tray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 horizontal position, return the ice tray to a horizontal position when a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is detected, 상기 검빙 스텝에 있어서,In the inspection step, 상기 제빙접시를 반이빙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검출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저빙상자가 가득 찼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장치.And rotating the ice tray in the semi-icing direction and detecting whether the storage box is full by a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빙접시를 이빙방향 및 반이빙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모터와,A motor for rotating the ice tray in an ice breaking direction and a half ice direction;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수단을 갖고,Having current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current supplied to the motor, 상기 검출센서는 상기 제빙접시가 수평위치에 있을 때도 신호를 출력하고,The detection sensor outputs a signal even when the ice tray is in a horizontal position, 상기 제어수단은 전원 투입시 등의 초기화에 있어서 상기 제빙접시를 수평위치로 하는 수평복귀 스텝을 실시하고,The control means performs a horizontal return step in which the ice making plate is in a horizontal position in initialization such as when power is turned on, 상기 수평복귀 스텝은,The horizontal return step,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제빙접시를 이빙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1 수평복귀 스텝,A first horizontal return step of rotating the ice tray in the direction of ice by the motor; 상기 전류검출수단이 검출한 전류가 기준치가 된 때에, 반이빙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제 2 수평복귀 스텝, 및A second horizontal return step of rotating in the semi-icing direction when the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ng means becomes a reference value, and 상기 검출센서로부터의 신호가 검출된 때에 상기 제빙접시를 수평위치로 하여 정지시키는 제 3 수평복귀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장치.And a third horizontal return step of stopping the ice tray in a horizontal position when a signal from the detection sensor is detect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빙접시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접시의 온도로부터 상기 제빙접시에서 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갖고,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ice making plate and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in the ice making plate from the temperature of the ice making plate, 상기 제어수단은,The control means, 전원투입시 등의 초기화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제빙접시의 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온도검출 스텝을 실시하고,In the initialization of power supply, etc., a temperatur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in the ice tray is perform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상기 온도검출 스텝에 있어서 상기 제빙접시에 물이 없다고 판단한 때에 상기 제빙접시를 수평위치로 하는 수평복귀 스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장치.And a horizontal return step of placing the ice tray in a horizontal pos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water in the ice tray in the temperature detection step.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빙접시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접시의 온도로부터 상기 제빙접시에서 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갖고,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ice making plate and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in the ice making plate from the temperature of the ice making plate, 상기 제어수단은,The control means, 전원투입시 등의 초기화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상기 제빙접시의 물의 유무를 검출하는 온도검출 스텝을 실시하고,In the initialization of power supply, etc., a temperatur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water in the ice tray is perform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상기 온도검출 스텝에 있어서 상기 제빙접시에 물이 있다고 판단한 때에 제빙동작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빙접시를 수평위치로 하는 수평복귀 스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빙장치.And a horizontal return step of placing the ice tray in a horizontal position after completion of the ice making operation when the temperature detection step determines that there is water in the ice tray.
KR1019980037887A 1997-09-12 1998-09-11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KR10027305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48724 1997-09-12
JP24872497A JP3572175B2 (en) 1997-09-12 1997-09-12 Automatic ice making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776A true KR19990029776A (en) 1999-04-26
KR100273051B1 KR100273051B1 (en) 2000-12-01

Family

ID=1718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887A KR100273051B1 (en) 1997-09-12 1998-09-11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72175B2 (en)
KR (1) KR100273051B1 (en)
CN (1) CN1080406C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04B1 (en) * 2011-10-28 2013-11-20 주식회사 에스 씨디 Driving device for automatic ice-mak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1567B2 (en) * 2001-09-07 2003-06-03 Lg Electronics Inc. Ice-making apparatus in refrigerator
KR100671567B1 (en) 2004-05-18 200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Sense apparatus for full ice of ice maker in refrigerator
JP5414755B2 (en) * 2011-08-31 2014-02-1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refrigerator
KR101344284B1 (en) 2012-03-09 2013-12-24 주식회사 에스 씨디 Driving device for automatic ice-making machine
JP5675935B2 (en) * 2013-11-07 2015-02-2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Automatic ice machine and refrigerator
CN106524617B (en) * 2016-10-27 2018-12-25 上海浪拓制冷设备有限公司 A kind of ice machine making ice and deice efficiency with raising
KR102446548B1 (en) * 2017-12-13 2022-09-26 주식회사 대창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N111336729A (en) * 2018-12-19 2020-06-26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Ice maker and refrigerator with same
KR102417855B1 (en) * 2020-09-14 2022-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 making assembl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04B1 (en) * 2011-10-28 2013-11-20 주식회사 에스 씨디 Driving device for automatic ice-mak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1713A (en) 1999-03-24
KR100273051B1 (en) 2000-12-01
JP3572175B2 (en) 2004-09-29
CN1080406C (en) 2002-03-06
JPH1183260A (en) 199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21857B2 (en)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method of testing the same
KR0182736B1 (en)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KR100565624B1 (en) device for controlling revolution of ejector in Ice-maker
US7665316B2 (en) Automatic icemaker
EP1916489B1 (en) Ice making apparatus
US4628698A (en) Making ice in a refrigerator
MXPA96006237A (en) Machine to make ice to refrigerate
EP2054680B1 (en) Ice maker
KR100273051B1 (en)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KR19990013614A (en) Automatic ice maker
US2955442A (en) Automatic ice maker
KR10027673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ce discharge from refrigerator
KR0182728B1 (en)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KR10021507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ceing
KR1004373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er control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100688163B1 (en) Ice Sensing apparatus
KR20050110211A (en) Ice maker
KR0133503B1 (en) Ice removing method for automotive ice maker
JPS6037379B2 (en) automatic ice maker
KR100557764B1 (en) A ice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9990049551A (en) Automatic ice maker of the refrigerator
JPS6139261Y2 (en)
KR100437385B1 (en)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itial position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19980036095A (en) Control Method of Automatic Ice Maker
KR100565611B1 (en) device for controlling revolution of ejector in Ice-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