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422U - Forklift working device with adjustable working range - Google Patents

Forklift working device with adjustable working ran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422U
KR19990028422U KR2019970041052U KR19970041052U KR19990028422U KR 19990028422 U KR19990028422 U KR 19990028422U KR 2019970041052 U KR2019970041052 U KR 2019970041052U KR 19970041052 U KR19970041052 U KR 19970041052U KR 19990028422 U KR19990028422 U KR 199900284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lift
carriage
fork bar
working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0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이수
Original Assignee
캐빈엠.리어든
주식회사 클라크머터리얼핸들링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빈엠.리어든, 주식회사 클라크머터리얼핸들링아시아 filed Critical 캐빈엠.리어든
Priority to KR2019970041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422U/en
Publication of KR199900284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422U/en

Links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범위 조정이 가능한 지게차용 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게차가 마스트에 고정된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캐리지에 장착된 동작 포크바와; 유압작동에 의해 상기 동작 포크바를 신장시켜 지게차의 작업범위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상기 캐리지에 고정되고, 양단으로부터 각기 신장되도록 된 2개의 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동작 포크바에 각기 로드 양단이 연결된 앙방향 복동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하여 캐리지의 표면을 따라 유압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동작 포크바에 의해 지게차의 작업범위를 간편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klift work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work range, the forklift is fixed to the mast and the carriage; An operating fork bar mounted to the carriage to slide along the surface of the carriage; It is provided with two rods fixed to the carriage to extend the operation fork bar by hydraulic operation to selectively adjust the working range of the forklift, as necessary, and extended from both ends, and both ends of the rod connected to the operation fork ba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angular double-acting hydraulic cylinder can easily increase the working range of the forklift by the operation fork bar sliding by the hydraulic pressure along the surface of the carriage.

Description

작업범위 조정이 가능한 지게차용 작업장치Forklift working device with adjustable working range

본 고안은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klift truck.

특히, 본 고안은 작업범위 조정이 가능한 지게차의 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크가 장착되는 캐리어 어셈블리의 폭을 신장가변토록 제작하여 포크에 의한 자재의 적재 및 하역의 작업범위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한 지게차의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device of a forklift truck capable of adjusting a work range, and more particularly, to extend the work range of loading and unloading materials by fork by making the width of the carrier assembly to which the fork is mounted is variable. To a forklift working device.

통상적인 지게차(1)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지 어셈블리(2)에 장착된 포크(3)를 이용하여 원하는 자재를 선별적재하여 다른 장소 또는 화물차량 등에 하역하거나 그 반대의 작업을 수행하는 장비로서,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포크(3)의 작업범위는 포크가 장착된 캐리지 어셈블리(2)의 폭, 더욱 상세하게는 포크바(5a,5b)의 폭에 대응된다. 여기서, 명세서 전반에 사용되는 "작업범위"는 캐리지 어셈블리(2)에 장착된 포크(3)의 작업범위(포크간의 폭)를 의미한다.The conventional forklift 1 uses a fork 3 mounted on the carriage assembly 2 to selectively load materials to be unloaded at another place or to a freight vehicle as shown in FIG. 1, or vice versa. As equipment, as shown in FIG. 2, the working range of the fork 3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carriage assembly 2 on which the fork is mounted, more particularly the width of the fork bars 5a, 5b. Here, the "working rang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means the working range (width between forks) of the fork 3 mounted to the carriage assembly 2.

종래의 포크(3)에 의한 지게차(1)의 작업범위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포크(3)가 캐리지 어셈블리(2)에 나사결합되어 있고, 캐리지 어셈블리(2)의 횡방향 길이는 일정하기 때문에 최초 포크(3)의 작업폭은 포크바(5a,5b) 폭의 범위내에서 한정된다.The working range of the forklift 1 by the conventional fork 3 is that the fork 3 is screwed to the carriage assembly 2 as shown in FIG. 2, and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carriage assembly 2 is constant. Therefore, the working width of the first fork 3 is limited within the range of the fork bars 5a and 5b.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캐리지 어셈블리(2)는 각기 이격된 리프트 브라켓트(4)의 상하부에 상부 포크바(5a)와 하부 포크바(5b)가 용접되어 이루어지며, 광폭작업시 포크(3)는 상하부 포크바(5a,5b)의 가장자리부분에 삽입체결된다.2 and 3, the conventional carriage assembly (2) is made by welding the upper fork bar (5a) and the lower fork bar (5b)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ift bracket 4 spaced apart, respectively, during the wide operation The fork 3 is fastened to the edges of the upper and lower fork bars 5a and 5b.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는 최초 지게차(1)가 제작된 상태로 포크(3)의 작업범위가 정해지기 때문에 보다 더 넓은 작업범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새로운 지게차를 구입하여야 하는 추가구입비용이 발생되거나 그에 대응되는 작업범위를 갖는 캐리지 어셈블리로 교체함에 있어 교체작업이 어렵고, 교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한편, 필요에 따라 교체할 다양한 횡방향 길이를 갖는 캐리지 어셈블리를 보유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큰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Therefore, such a structure is the first forklift 1 is made in the state that the fork (3) working range is determined, so if a wider range of work is required additional purchase cost to purchase a new forklift, or Replacing a carriage assembly with a corresponding working range is difficult and time consuming to replace, and it is economically expensive to have a carriage assembly with various transverse lengths to be replaced as needed. Was doing.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포크에 의한 자재의 적재하역 작업시 보다 더 넓은 작업범위가 요구되는 경우에 그에 대응된 작업범위의 지게차를 별도 구입하거나 캐리지 어셈블리의 교체작업없이 필요에 따라 캐리지 어셈블리의 폭을 선택적으로 신장가변시키도록 하여 포크의 작업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지게차용 작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purchase a forklift truck of the corresponding work range separately or a carriage assembly when a wider work range is required when loading and unloading material by the fork It is to provide a forklift working device that can adjust the working range of the fork by selectively changing the width of the carriage assembly as needed without replacement work.

도 1은 통상적인 지게차를 나타내는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orklift.

도 2는 도 1의 지게차용 작업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orklift working device of Figure 1;

도 3은 도 2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FIG. 2;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작업범위 조정이 가능한 지게차용 작업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forklift work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working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측면도.5 is a side view of FIG. 4.

도 6은 도 4의 고정 캐리지부를 나타내는 정면도.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fixed carriage of FIG. 4.

도 7은 도 6의 측면도.7 is a side view of FIG. 6;

도 8은 도 4의 작동 캐리지부를 나타내는 정면도.FIG. 8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carriage of FIG. 4. FIG.

도 9는 도 8의 측면도.9 is a side view of FIG. 8;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지게차용 작업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10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orklift wor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2 : 캐리지 어셈블리 14 : 리프트 브라켓트12: carriage assembly 14: lift bracket

15a,15b : 캐리지 16a,16b : 동작 포크바15a, 15b: carriage 16a, 16b: operation fork bar

16c : 연결부재 16d : 브라켓트16c: connecting member 16d: bracket

17 : 복동 유압실린더17: double acting hydraulic cylinder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지게차가 마스트에 고정된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캐리지에 장착된 동작 포크바와; 유압작동에 의해 상기 동작 포크바를 신장시켜 지게차의 작업범위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상기 캐리지에 고정되고, 양단으로부터 각기 신장되도록 된 2개의 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동작 포크바에 각기 로드 양단이 연결된 앙방향 복동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작업범위의 조정이 가능한 지게차의 작업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klift is fixed to the mast and the carriage; An operating fork bar mounted to the carriage to slide along the surface of the carriage; It is provided with two rods fixed to the carriage to extend the operation fork bar by hydraulic operation to selectively adjust the working range of the forklift, as necessary, and extended from both ends, and both ends of the rod connected to the operation fork bar. It is achieved by a forklift working device which is capable of adjusting the working range including an axially actuated double acting hydraulic cylinder.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캐리지 어셈블리(12)는 각기 이격된 한 쌍의 리프트 브라켓트(14)와, 그 리프트 브라켓트(14)의 상하부에 삽입고정된 캐리지(15a,15b)와, 양방향 연동이 가능한 복동 유압실린더(17)와 체결된 동시에 캐리지(15a,15b)의 표면을 따라 신장(伸長)되도록 장착된 동작 포크바(16a, 16b)로 구성된다. 여기서, 동작 포크바(15a,15b)의 양단에 체결되는 포크는 도시하지 않았다.4 to 9, the carriage assembly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lift brackets 1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arriages 15a and 15b fixedly insert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ift brackets 14. And operating fork bars 16a and 16b fastened to the double-acting hydraulic cylinder 17 capable of bidirectional interlocking and mounted to extend along the surfaces of the carriages 15a and 15b. Here, the forks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operating fork bars 15a and 15b are not shown.

상하부 캐리지(15a,15b)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기 이격된 리프트 브라켓트(14)의 상하부에 삽입고정되는데, 이는 캐리지(15a,15b)의 파손시 유지보수를 용이토록 교체가능케 장착한 것이다. 또한, 캐리지(15a,15b)에는 양방향 연동이 가능한 복동실린더(17)의 몸체부가 기계적으로 체결되어 있다.(도 4 참조)The upper and lower carriages 15a and 15b are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ift brackets 1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S. 6 and 7, which can be easily replaced in case of breakage of the carriages 15a and 15b. It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body parts of the double-acting cylinder 17 capable of bidirectional linkage are mechanically fastened to the carriages 15a and 15b (see Fig. 4).

상하부 동작 포크바(16a,16b)는 캐리지(15a,15b)에 슬라이딩되도록 장착되어 있고, 그 각 동작 포크바(16a,16b)는 연결부재(16c)에 의해 일체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동작 포크바(16a,16b)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지(15a,15b)의 슬라이딩되도록 각기 삽입된다.The upper and lower operating fork bars 16a and 16b are mounted to slide on the carriages 15a and 15b, and each of the operating fork bars 16a and 16b is integrated by the connecting member 16c. Here, the operating fork bars 16a and 16b are respectively inserted to slide the carriages 15a and 15b as shown in FIG.

도 7 및 도 9에 있어서, 캐리지(15a,15b)와 동작 포크바(16a,16b)의 측면 형상은 자물쇠와 열쇠 관계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캐리지(15a,15b)의 돌기부에 동작 포크바(16a,16b)의 체결홈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로록 제작되어 있다. 또한, 동작 포크바(16a,16b)는 캐리지(15a,15b)의 돌기부 면을 따라 슬라이딩됨에 있어 기계적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이스(grease)를 충전시키거나 메카니컬 실링재를 제공하여 사용된다.In Figs. 7 and 9, the side shapes of the carriages 15a and 15b and the operating fork bars 16a and 16b are formed similarly to the lock and key relationship so that the operating fork bars 16a to the protrusions of the carriages 15a and 15b are formed. The fastening groove of 16b is inserted and manufactured to slide. In addition, the operating fork bars 16a and 16b are used to fill grease or to provide a mechanical sealing material in order to reduce mechanical friction in sliding along the protrusion faces of the carriages 15a and 15b.

상부 동작 포크바(16a)의 하단에 부설된 브라켓트(16d)는 복동 유압실린더(17)의 양 로드부에 기계적으로 체결되어 유압작동에 의한 로드의 신장에 따라 동작 포크바(16a,16b)는 캐리지(15a,15b)를 따라 양측으로 신장된다. 복동식 유압실린더(17)는 중심에 형성된 압유 출입구로 압유가 공급되는 동시에 양단에 형성된 압유 배출구로 압유가 배출되면, 로드가 중심을 기점으로 하여 양측으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동작 포크바(16a,16b)를 캐리지(15a,15b)의 표면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하게 작용하고, 압유의 작동이 전술된 반대로 진행되면 동작 포크바(16a, 16b)를 다시 최초의 원상태로 복귀토록 작용한다.The bracket 16d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operating fork bar 16a is mechanically fastened to both rod portions of the double-acting hydraulic cylinder 17 so that the operating forkbars 16a and 16b are extended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the rod by the hydraulic operation. It extends to both sides along the carriages 15a and 15b. Double-acting hydraulic cylinder 17, when the pressure oil is supplied to the pressure oil inlet formed in the center at the same time the pressure oil is discharged to the pressure oil outlet formed at both ends, the rod moves to both sides from the center as a result, the operation fork bar (16a, 16b) ) Acts to move to both sides along the surfaces of the carriages 15a and 15b, 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oil is reversed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ng forks 16a and 16b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state.

여기서, 복동식 유압실린더(17)의 로드 양단과 동작 포크바(16a)의 브라켓트(16d)는 고정핀과 고정핀 이탈방지핀(도시 안됨)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된다.Here, both ends of the rod of the double-acting hydraulic cylinder 17 and the bracket 16d of the operating fork bar 16a are connected by fastening means such as a fixing pin and a fixing pin release preventing pin (not shown).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작업장치는 도 10a는 유압작용에 의해 유압실린더(17)의 포드가 후퇴하여, 그에 체결된 동작 포크바(16a,16b)가 이동되어 동작 포크바(16a,16b) 사이의 폭이 감소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In the work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in FIG. 10A, the pod of the hydraulic cylinder 17 is retracted by the hydraulic action, and the operating fork bars 16a and 16b fastened thereto are moved between the operating fork bars 16a and 16b. The width is shown to be reduced.

또한, 도 10b는 유압작용에 의해 유압실린더(17)의 로드가 양측방으로 최대로 전진하여 그에 체결된 동작 포크바(16a,16b)가 이동되어 동작 포크바(16a,16b) 사이의 폭이 최대로 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상태가 지게차의 최대 작업범위이다.In addition, in FIG. 10B, the rods of the hydraulic cylinder 17 are advanced to both sides by the hydraulic action, and the operating fork bars 16a and 16b fastened thereto are moved, so that the width between the operating fork bars 16a and 16b is increased. It shows the maximum state, which is the maximum working range of the forklift.

이와 같은 작업장치를 장착한 지게차는 침목이나 파레트 등의 상부에 적재된 자재를 적재하여 운반, 하역함에 있어 틸트 실린더(T/C)을 작동시켜 캐리지 어셈블리(12)의 전경각을 크게 하여 포크를 침목이나 파레트의 하부로 집어넣은 다음, 리프트 실린더(L/C)를 작동시켜 천천히 상승시키고, 다시 캐리지 어셈블리(12)의 후경각을 크게 하여 자재의 무게중심을 지게차의 프레임측으로 집중시킨 상태에서 이동하여 다른 장소나 화물 차량 등에 자재를 적재한다. 이러한 자재의 적재, 운반 및 하역에 있어, 본 고안에 의한 지게차는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거나 많은 양의 자재를 적재할 수 있도록 캐리지 어셈블리의 폭을 증대시킨 것이다.A forklift equipped with such a work device operates a tilt cylinder (T / C) to load and load materials loaded on the upper part of a sleeper or a pallet, thereby increasing the foreground angle of the carriage assembly 12 to increase the fork. Insert it to the bottom of the sleeper or pallet, and then slowly lift by lifting the lift cylinder (L / C), and move the carriage wit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terial to the frame side of the forklift by increasing the rear angle of the carriage assembly 12 again. To load the material to another location or to a freight vehicle. In the loading, transporting and unloading of such materials, the fork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width of the carriage assembly to load a relatively large volume or a large amount of material.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와 같은 구조는 단일품목의 부피가 큰 자재를 정확하게 적재, 운반 및 하역작업을 할 수 있는 한편, 경량이면서 다수의 자재를 운반함에 있어 여러번 작업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캐리지 어셈블리의 용량을 증대시킨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은 포크간의 거리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중량의 자재를 운반하는 경우에 무게중심을 대응시켜 가변시킴으로서 중량의 자재를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more detail, such a structure can accurately load, transport, and unload bulky materials of a single item, while also being inconvenient to carry out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work several times in light weight and carrying a large number of materials. The capacity of the carriage assembly is increased to solve the problem.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afely change the weight of the material by correspondingly changing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case of carrying a heavy material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forks can be easily chang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조에 의하면, 캐리지의 표면을 따라 유압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동작 포크바를 이용하여 지게차의 작업범위를 간편하게 증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crease the working range of the forklift by using the operation fork bar sliding by hydraulic pressure along the surface of the carriage.

더욱이, 이와 같은 구조는 종래의 구조에 있어 넓은 작업범위가 요구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그에 대응된 새로운 지게차를 구입하여야 하는 추가비용 발생문제 또는 새로운 캐리지 어셈블리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러움과 경제적 부담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oreover, such a structure fundamentally eliminates the additional cost of having to purchase a new forklift truck corresponding to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and the hassle and economic burden of replacing a new carriage assemb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olved.

Claims (2)

지게차가 마스트에 고정된 캐리지와;A carriage in which the forklift is fixed to the mast; 상기 캐리지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캐리지에 장착된 동작 포크바와;An operating fork bar mounted to the carriage to slide along the surface of the carriage; 유압작동에 의해 상기 동작 포크바를 신장시켜 지게차의 작업범위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상기 캐리지에 고정되고, 양단으로부터 각기 신장되도록 된 2개의 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동작 포크바에 각기 로드 양단이 연결된 앙방향 복동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작업범위의 조정이 가능한 지게차의 작업장치.It is provided with two rods fixed to the carriage to extend the operation fork bar by hydraulic operation to selectively adjust the working range of the forklift, as necessary, and extended from both ends, and both ends of the rod connected to the operation fork bar. A forklift work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working range including an angularly actuated double acting hydraulic cylind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캐리지의 돌기부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작동 포크바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조정이 가능한 지게차의 작업장치.Work device of the forklift truck,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in the operation fork bar to slide in the protrusion of the carriage.
KR2019970041052U 1997-12-26 1997-12-26 Forklift working device with adjustable working range KR1999002842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052U KR19990028422U (en) 1997-12-26 1997-12-26 Forklift working device with adjustable working r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052U KR19990028422U (en) 1997-12-26 1997-12-26 Forklift working device with adjustable working ran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422U true KR19990028422U (en) 1999-07-15

Family

ID=6969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052U KR19990028422U (en) 1997-12-26 1997-12-26 Forklift working device with adjustable working ran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422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20B1 (en) * 2001-07-20 2007-11-2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Auxiliary carriage device for forklift tru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20B1 (en) * 2001-07-20 2007-11-2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Auxiliary carriage device for forklift tru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7024C2 (en) Forklift truck linkage
CA1046104A (en) Cylinder and piston assembly
CA1274808A (en) Transport for heavy loads
US5813821A (en) Motorized lift truck adapted to be loaded on the rear of a carrying vehicle
EP1531141B1 (en) Piggyback forklift truck
US4721187A (en) Lift truck mast structure
US4325464A (en) Lifting stand of a motor-driven truck
KR19990028422U (en) Forklift working device with adjustable working range
EP1711428B1 (en) Forklift truck for mounting on the rear of a carrying vehicle with a fork side shifting attachment
EP1795436B1 (en) Gooseneck semi-trailer
US3092274A (en) Minimum close carton clamp
US20090252584A1 (en) Tool for Handling of Loads
GB2153339A (en) Fork lift agricultural trailer
GB2266700B (en) Industrial lift trucks and load lifting carriages therefor
EP0553067B1 (en) A fork-lift truck
GB1575911A (en) Extendable fork for fork lift trucks
KR200405942Y1 (en) A mast assembly in forklift truck for improving a range of view
EP0958988A2 (en) Device for increasing the supporting surface of a load fork
KR19990021213U (en) Mast tilt control structure of forklift
KR102540048B1 (en) Device for keeping automobile outrigger support board
KR200245552Y1 (en) Side shifter carriage of forklift truck
KR910007882Y1 (en) Vehicle adapted for load transproation
RU2038229C1 (en) Container carrier
FI65974B (en) LAENKSYSTEM FOER LASTLYFTANORDNING
KR100779220B1 (en) Auxiliary carriage device for forklift tru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