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996A -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996A
KR19990027996A KR1019970050535A KR19970050535A KR19990027996A KR 19990027996 A KR19990027996 A KR 19990027996A KR 1019970050535 A KR1019970050535 A KR 1019970050535A KR 19970050535 A KR19970050535 A KR 19970050535A KR 19990027996 A KR19990027996 A KR 19990027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air distribution
refrigerator
rotary cam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0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996A/ko
Priority to EP98306879A priority patent/EP0899523A3/en
Priority to JP24417198A priority patent/JPH11132627A/ja
Priority to CN98120329A priority patent/CN1211717A/zh
Publication of KR19990027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996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냉각저장하는 냉각실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냉각실의 측벽에 마련되어 냉기의 유동을 안내하며, 상기 냉각실을 향해 개구된 냉기토출구를 가지는 냉기덕트와; 상기 냉기덕트내에 수직방향의 축선을 가지고 회전가능한 냉기분배날개와; 상기 냉기분배날개의 일측에 상기 냉기분배날개의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한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캠과 상기 냉기분배날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캠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상기 회전캠의 회전력을 상기 냉기분배날개의 좌우회전으로 전환시키는 전동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작단가가 절감되고, 냉기토출구 주위에 와류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여 원할하게 냉기배분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특정영역에 냉기가 집중적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냉각실내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품을 냉각저장시키는 냉각실내로 토출되는 냉기를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한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중간격벽에 의해 구획된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분된 한 쌍의 냉각실을 갖는 본체와, 각 냉각실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를 가지고 있다. 본체내에는 압축기와 도시않은 응축기 및 냉동실증발기와 냉장실증발기로 이루어진 냉동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각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각실의 배면에 형성된 냉기덕트를 따라 유동하며, 송풍팬의 송풍에 의하여 냉기덕트에 마련된 냉기토출구를 통해 각 냉각실로 공급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냉기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가 집중적으로 제공되는 영역과 비교적 적게 공급되는 영역이 존재하게 되며, 이에 따라 냉각실내의 온도편차가 심화되어 균일냉각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소위 입체냉각방식을 수행하는 냉장고가 제안되어 있다. 입체냉각방식 냉장고는, 냉각실의 후방 벽면 및 양측 벽면에도 각기 다수의 냉기토출구를 마련하여, 필요에 따라 특정방향으로 집중적인 냉기공급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각실내에 균일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한 냉장고이다.
그런데, 이러한 입체냉각방식 냉장고에서도, 역시, 냉기토출구를 통해 일정방향으로 냉기토출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모서리영역에 냉기공급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사구간이 형성되게 되며, 특히, 각 냉각실의 측벽에도 냉기덕트가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음식물수용공간이 줄어들고, 부품과 제작공정의 증가로 인한 제작 원가가 상승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점차 대형화 추세에 있는 냉장고에 실질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냉각실내의 사구간을 없애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냉기분배장치를 각는 냉장고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PCT출원된 WO 95/27278에 제안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종래의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의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종래의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상기 개시된 PCT출원 WO 95/27278와 관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101)는, 거의 직사각형상의 본체내에 중간격벽(5)에 의해 냉동실(2)과 냉장실(3)로 구분된 한 쌍의 냉각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각 냉각실(2, 3)의 개구 전면에는, 개폐용 도어(6, 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체내에는 압축기(11)와 도시않은 응축기 및 냉동실증발기(12a)와 냉장실증발기(12b)로 이루어진 냉동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각 증발기(12a, 12b)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동실팬(13a) 혹은 냉장실팬(13b)에 의해 각 냉각실로 공급된다.
한편, 냉장실(3)의 후방벽 내에는, 냉장실증발기(12b)로 부터의 냉기가 냉장실팬(13b)에 의해 송풍되어 유동하는 냉기덕트(15)가 마련되어 있고, 이 냉기덕트(15) 내에는 냉기분배장치(110)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3)의 후벽면에는 냉기덕트(15)로 부터의 냉기가 냉장실(3)로 토출되는 냉기토출구(16)가 형성되어 있고, 냉기분배장치(110)는 공급된 냉기를 안내하여 냉기토출구(16)를 통해 냉장실(3)에 공급한다. 냉기덕트(15)의 후방에는 냉장실(3)과 냉장실증발기(12b)를 연결하는 순환덕트(17)가 냉기덕트(15)에 대해 격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냉장실(3)을 냉각시킨 냉기는 이 순환덕트(17)를 통해 냉장실증발기(12b)로 되돌아간다.
냉기분배장치(110)는, 회전축(121)과 다수의 냉기분배날개(111) 및 회전축(121)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131)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축(121)은 냉장실(3)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축(121)의 상부에 구동모터(131)의 회전축(121)이 결합되게 된다. 냉기분배날개(111)는 회전축(121)의 축선을 포함한 평면에 대해 파형상으로 굴곡된 판상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121)을 따라 각 냉기토출구(16)들에 대응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각 냉기분배날개(111)의 상하단부에는 원판상의 상판(113a)과 하판(113b)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단부판(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판(113a)과 하판(113b) 사이에는 중간판(115)이 설치되어 냉기분배날개(111)를 제 1날개부(117)과 제 2날개부(119)로 구획한다. 각 날개부(117, 119)는 횡단면이 S자형상을 이루도록 굴곡형성되어 있고, 각 냉기분배날개(111)의 각 날개부(117, 119)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냉기분배장치(110)를 갖는 냉장고(101)는, 구동모터(131)가 회전축(121)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면, 냉기덕트(15)를 따라 공급된 냉기는 냉기분배날개(111)들의 굴곡된 판면에 의해 유로방향이 변환되어, 냉장실내에 좌우로 퍼져 토출된다. 한편, 특정 부위에 집중 냉각이 필요할 때에는 그 부위를 향해 냉기가 집중 토출되도록 냉기분배날개(111)의 방향에 맞추어 회전축(121)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냉기분배장치(110)에 의해, 냉장실(3) 내부의 균일냉각 및 집중냉각의 실현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냉기분배장치(110)를 갖는 종래의 냉장고(101)에서는, 냉기분배장치(111)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곤란하기 때문에,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냉기분배날개(111)가 완만한 S형 단면을 갖는 날개부(117, 119)를 가지고 있어서, 이 날개부(117, 119)의 판면을 따라 유동하여 냉장실내로 토출되는 냉기에 의해 냉기토출구(16) 주위에 와류가 형성되며, 이러한 와류는 냉기분배장치(110)의 원할한 작동에 부하로서 작용하여 효과적인 냉기분배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점차적으로 대형화 추세에 있는 냉장실내에 장착되어 냉장실(23) 전체에 균일냉각을 실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단가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작동시 냉기토출구 주위에 와류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여 원할하게 냉기배분을 수행할 수 있는 냉기분배장치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갖는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상태의 배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횡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냉기분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종래의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부분확대도,
도 9는 종래의 냉기분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3 : 냉각실 5 : 중간격벽
6, 7 : 도어 12a, 12b : 증발기
13a, 13b : 송풍팬 15 : 냉기덕트
16 : 냉기토출구 20 : 덕트하우징
21 : 덕트부재 27 : 덕트커버
30 : 냉기분배장치 33 : 냉기분배날개
35 : 날개부 38 : 힌지핀
39 : 힌지돌기 41 : 구동캠
45 : 구동모터 51 : 전동부재
55 : 작용돌기 57 : 고정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음식물을 냉각저장하는 냉각실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의 측벽에 마련되어 냉기의 유동을 안내하며, 상기 냉각실을 향해 개구된 냉기토출구를 가지는 냉기덕트와; 상기 냉기덕트내에 수직방향의 축선을 가지고 회전가능한 냉기분배날개와; 상기 냉기분배날개의 일측에 상기 냉기분배날개의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한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캠과 상기 냉기분배날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캠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상기 회전캠의 회전력을 상기 냉기분배날개의 좌우회전으로 전환시키는 전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캠의 원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파형상의 캠프로파일을 가지는 캠그루브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전동부재는 일단이 상기 냉기분배날개와 힌지결합되고 자유단부가 상기 회전캠의 캠그루브와 맞물리도록 구성하면, 캠그루브의 회전시 캠프로파일을 따라 이동하는 전동부재에 의하여 냉기분배날개가 회동가능하다.
이 때, 상기 냉기분배날개와 상기 회전캠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전동부재의 자유단부가 상기 회전캠의 캠그루브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정부에는 상기 냉기분배날개의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동부재의 자유단부를 이동가능하게 관통시키는 슬롯을 마련하고, 상기 전동부재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분배날개의 일측연에는 상기 전동부재와 일측 단부와 힌지결합되도록 돌출된 힌지돌기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기덕트는, 상기 냉기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덕트커버와; 상기 덕트커버와의 사이에 냉기의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덕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는 정역회전 및 정기각 위치제어 가능한 스텝핑모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덕트커버 또는 상기 덕트부재 중 어느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상기 회전캠이 동축적으로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도록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갖는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본 냉기분배날개를 갖는 냉장고(1)는, 종래의 도 7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거의 직사각형상의 본체내에 중간격벽(5)에 의해 냉동실(2)과 냉장실(3)로 구분된 한 쌍의 냉각실이 마련되어 있으며, 각 냉각실(2, 3)의 개구 전면에는 개폐용 도어(6, 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3)에는 식품을 올려놓기 위한 다수의 선반(8)이 설치되어 냉장실(3)을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식품 저장구역으로 구획한다. 냉장실(3) 내의 상측에는 특정온도대에 적합한 식품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선냉장실(18)이 형성되고, 냉장실(3) 내의 하측에는 야채류를 보관하기 위한 야채실(19)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4) 내에는 압축기(11)와 도시않은 응축기 및 냉동실증발기(12a)와 냉장실증발기(12b)가 설치되어 냉동사이클이 수행되고, 각 증발기(12a, 12b)에서는 냉기가 생성된다. 각 증발기(12a, 12b)의 상측에는 냉동실팬(13a) 및 냉장실팬(13b)이 설치되어 각 증발기(12a, 12b)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동실(2) 혹은 냉장실(3)로 강제 송풍한다.
냉장실(3)의 후벽면에는, 증발기(12b)로 부터의 냉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냉기덕트(15)를 형성하는 덕트하우징(20)이 설치되어 있다. 덕트하우징(20)은 냉기덕트(15)를 형성하여 냉기를 단열적으로 안내하는 덕트부재(21)와, 덕트부재(21)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판(23), 덕트부재(21)의 후면에 접착되는 시일판(25) 및, 전면판(23)의 전방에서 냉기분배장치(30)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부분원통상의 덕트커버(27)로 구성된다. 덕트커버(27)와 덕트부재(21)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결합되어 있으며, 그들 사이에 냉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냉기덕트(15)를 형성한다. 덕트커버(27)에는 냉장실(3)을 향하여 개구된 냉기토출구(16)들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한편, 냉기덕트(15) 내에는 냉기분배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팬(13b)에 의해 냉기덕트(15) 내로 송풍된 냉기는 냉기분배장치(30)를 거쳐 냉장실(3) 내로 공급되며, 이 때, 자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하는 냉기분배장치(30)는 냉장실내로 공급되는 냉기를 골고루 분배시킨다. 냉기덕트(15)의 후방에는 냉장실(3)과 냉장실증발기(12b)를 연결하는 순환덕트(17)가 냉기덕트(15)에 대해 격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냉장실(3)을 냉각시킨 냉기는 이 순환덕트(15)를 통해 냉장실증발기(12b)로 되돌아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조립상태의 배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횡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냉기분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덕트커버(27)에는 냉장실(3)을 향하여 개구된 복수의 냉기토출구(16)들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고, 냉기분배장치(30)는 이들 냉기토출구(16)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냉기토출구(16)를 가지는 덕트커버(27)는 전면판(23)의 수용부에 설치되고, 전면판(23)은 냉장실(3)의 내벽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덕트커버(27)는 전면판(23)으로부터 냉장실(3) 내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덕트커버(27) 및 냉기분배장치(30)는 전체적으로 냉장실(3)의 후벽면으로부터 다소 돌출되어, 냉기분배장치(30)에 의해 안내된 냉기는 큰 토출각도 범위로 냉장실(3) 내에 분배된다. 냉기분배장치(30)는 냉기토출구(16)의 전면에 수직방향의 축선을 가지는 냉기분배날개(33)와, 냉기분배날개(33)의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한 회전캠(41), 회전캠(4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5), 그리고, 회전캠(41)의 회전력을 냉기분배날개(33)의 회동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전동부재(51)로 구성되어 있다.
냉기분배날개(33)는 거의 직사각판상의 날개부(35)와 이 날개부(35)의 일측 길이방향 연부를 따라 상하로 연장된 회동축(37a, 37b)을 가지고 있다. 이들 회동축(37a, 37b)은 덕트커버(27)의 배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플랜지부(28)에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는 회동축공(29)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게 된다. 냉기분배날개(33)에는 또한, 날개부(35)의 상부 회동축(37a)에 인접한 연부에 판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가지고 돌출된 힌지돌기(39)가 형성되어 있다. 이 힌지돌기(39)의 말단부영역에는 힌지핀(38)이 형성되어 있어서 자세히 후술할 전동부재(51)와 힌지결합된다.
회전캠(41)은 냉기덕트내에 냉기분배날개(33)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며, 원주면에는 파형상의 캠프로파일을 가지는 캠그루브(4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캠그루브(43)는 회전캠(41)의 길이방향 원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되며, 전동부재(51)의 단부가 맞물리게 된다. 회전캠(41)은 일측 회전축이 구동모터(45)의 구동축에 결합되고 타측이 덕트커버(27)의 배면에 형성된 축공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45)는 덕트커버(27)의 후방 즉, 덕트부재(21)에 마련된 모터브라켓에 고정장착되며, 정역회전 및 정지각위치 제어가능한 스텝핑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전동부재(51)는 냉기분배날개(33)와 회전캠(41) 사이에 개재되어, 냉기분배날개(35)의 힌지돌기(39)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핀(38)과 힌지결합되고, 일측 단부에는 회전캠(41)의 원주면을 향해 연장되어 캠그루브(43)와 맞물리는 작용돌기(55)가 형성되어 있다. 캠그루브(43)와 맞물린 작용돌기(55)는, 회전캠(41)의 회전시 그 원통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동부재(51)에는 냉기분배날개(33)의 힌지핀(38)과의 힌지결합공(53)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힌지핀(38)은 장공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회전캠(41)의 회전시 그 원통면을 따라 이동하는 작용돌기(55)의 원할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냉기분배날개(33)와 회전캠(41) 사이에는 또한, 회전캠(41)의 축선방향을 따라 고정되어 전동부재(51)의 작용돌기(55)의 이동을 안내하는 고정부(57)가 개재되어 있다. 고정부(57)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59)이 형성되어 있고, 전동부재(51)의 작용돌기(55)는 이 슬롯(59)을 관통하여 회전캠(41)의 캠그루브(43)에 맞물리게 된다. 한편, 전동부재(51)의 작용돌기(55)에는, 고정부(57)를 사이에 두고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한 쌍의 지지돌기(5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지지돌기(56)는 고정부(57)의 양 측연에 각각 접촉되어 전동부재(51)의 작용돌기(55)와 회전캠(41)의 캠그루브(43)가 상호 맞물림유지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전동부재(51)의 작용돌기(55)는 회전캠(41)의 원통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냉기분배장치(30)에서는, 도시않은 제어부로 부터의 제어신호를 인가한 구동모터(45)에 의해 회전캠(41)이 360°회전하게 된다. 회전캠(41)이 회전하면, 그 원통면의 캠그루브(43)와 맞물린 전동부재(51)의 작용돌기(55)는 고정부(57)의 슬롯(59)을 따라 이동하며, 이 때, 전동부재(51)와 힌지결합된 냉기분배날개(33)의 힌지돌기(39)에 형성된 힌지핀(38)은 결합공(53)을 따라 적절히 이동하면서 냉기분배날개(33)에 힘을 가하게 된다. 그러면, 냉기분배날개(33)는 상하 회동축(37a, 37b)을 축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냉기분배날개(33)의 회동상태가 도 5 및 도 6에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냉기덕트(15)로 부터의 냉기는 이들 냉기분배날개(33)의 회동위치에 따라 토출안내되어 냉장실내에 골고루 분배되게 된다. 이에 따라 냉장실내는 균일한 냉각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냉장실내에 온도편차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구동모터(45)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냉기가 해당영역을 향해 토출되도록 냉기분배날개(33)를 회전멈춤시킨다. 이렇듯, 특정영역을 향해 토출되는 냉기에 의해 냉장실내의 온도편차가 빠르게 제거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지는 냉기분배장치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어서, 제작단가가 절감된다. 그리고, 냉기분배장치의 작동시 냉기토출구 주위에 와류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여 원할하게 냉기배분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특정영역에 냉기가 집중적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냉각실내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음식물을 냉각저장하는 냉각실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의 측벽에 마련되어 냉기의 유동을 안내하며, 상기 냉각실을 향해 개구된 냉기토출구를 가지는 냉기덕트와;
    상기 냉기덕트내에 수직방향의 축선을 가지고 회전가능한 냉기분배날개와;
    상기 냉기분배날개의 일측에 상기 냉기분배날개의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한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캠과 상기 냉기분배날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전캠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상기 회전캠의 회전력을 상기 냉기분배날개의 좌우회전으로 전환시키는 전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의 원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파형상의 캠프로파일을 가지는 캠그루브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전동부재는 일단이 상기 냉기분배날개와 힌지결합되고 자유단부가 상기 회전캠의 캠그루브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분배날개와 상기 회전캠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전동부재의 자유단부가 상기 회전캠의 캠그루브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항에 있어서,
    고정부에는 상기 냉기분배날개의 축선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동부재의 자유단부를 이동가능하게 관통시키는 슬롯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동부재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분배날개의 일측연에는 상기 전동부재와 일측 단부와 힌지결합되도록 돌출된 힌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덕트는,
    상기 냉기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덕트커버와;
    상기 덕트커버와의 사이에 냉기의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덕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정역회전 및 정기각 위치제어 가능한 스텝핑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덕트커버 또는 상기 덕트부재 중 어느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상기 회전캠이 동축적으로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19970050535A 1997-08-30 1997-09-30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9990027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535A KR19990027996A (ko) 1997-09-30 1997-09-30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EP98306879A EP0899523A3 (en) 1997-08-30 1998-08-27 Refrigerator with cool air distributing device
JP24417198A JPH11132627A (ja) 1997-08-30 1998-08-28 冷気分配羽根を有する冷蔵庫
CN98120329A CN1211717A (zh) 1997-08-30 1998-08-30 带有冷空气扩散叶片的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535A KR19990027996A (ko) 1997-09-30 1997-09-30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996A true KR19990027996A (ko) 1999-04-15

Family

ID=66045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535A KR19990027996A (ko) 1997-08-30 1997-09-30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9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3073A (ko) 냉장고
KR19990027996A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218943B1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218946B1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213627B1 (ko) 냉장고
KR100218949B1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229481B1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218942B1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229482B1 (ko) 냉장고
KR100234118B1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213623B1 (ko) 냉장고
KR100218948B1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238978B1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229490B1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222941B1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213626B1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234117B1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229483B1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9990018984A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00229484B1 (ko) 냉장고
KR19990018972A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9990021330A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9990033942A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9990021338A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KR19990033940A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