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851U - Side mirror device - Google Patents

Side mirr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851U
KR19990027851U KR2019970040453U KR19970040453U KR19990027851U KR 19990027851 U KR19990027851 U KR 19990027851U KR 2019970040453 U KR2019970040453 U KR 2019970040453U KR 19970040453 U KR19970040453 U KR 19970040453U KR 19990027851 U KR19990027851 U KR 199900278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mirror
side mirror
main body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45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인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04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851U/en
Publication of KR199900278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851U/en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이드미러에 관한 것으로써, 운전석 전방위치에 설치되며, 다수의 방향에 해당하는 다수의 각도조절버튼(11a-11h)이 형성된 조작패널(11) 및 상기 조작패널(11)의 각각의 버튼(11a-11h)의 누름시 그것의 단부에 접촉되는 다수의 접점(12a-12h)을 구비한 기판(12)으로 구성되는 조작부(10); 상기 조작부(10)의 각각의 점접(12a-12h)에 연결되는 와이어(21a)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10)로부터의 버튼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방향으로의 각도 및 극을 결정하는 제어유닛(20); 상기 제어유닛(20)에 의해 송출되는 해당극성을 지닌 전원에 따라 해당극성을 띄게되는 다수의 전자석부(31a, 31b, 31c, 31d)를 포함하며, 중앙부에는 피봇핀(33)이 돌출 형성되는 전자석(30); 및 자동차의 측후방을 조사하기 위한 본체(41), 및 상기 본체(41)의 배면에 부착되며 중앙부에 상기 전자석(30)의 피봇핀(33)에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홈(43)이 형성되는 자석(42)으로 이루어진 미러(40);로 구성되며, 운전자가 원하는 사이드미러의 측후방조사각을 미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최상의 측후방 운전시계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mirror, which is installed at the driver's seat front position, and each of the operation panel 11 and the operation panel 11 having a plurality of angle adjustment buttons 11a-11h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irections are formed. An operation portion 10 composed of a substrate 12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s 12a-12h contacting its ends when the buttons 11a-11h are pressed; Control is connected by a wire 21a connected to each of the contact points (12a-12h) of the operation unit 10, and receives a button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10 to determine the angle and pole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Unit 20; It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magnet portion (31a, 31b, 31c, 31d) having a corresponding polarity according to the power having the corresponding polarity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20, the pivot pin 33 is formed protruding Electromagnet 30; And a main body 41 for irradiating the lateral rear of the vehicle, and a groove 43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41 and rotatably inserted into the pivot pin 33 of the electromagnet 30 at the center thereof. Mirror 40 is made of a magnet 42; is composed of, the driver can finely and accurately adjust the side and rear irradiation angle of the desired side mirror can be provided with the best side and rear driving clock.

Description

사이드미러장치Side mirror device

본 고안은 사이드미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을 조사하는 미러를 다양한 방향 및 각도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이 용이한 사이드미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mirro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de mirror device that can be adjusted in a variety of directions and angles, as well as a simple structure and easy operation.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다양한 미러가 제공되어있어 자동차의 외부 및 내부의 상황을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제공한다.In general, the car is provided with a variety of mirrors, providing the driver or occupant with situations outside and inside the car.

이같은 다양한 미러중에 운전자의 운전에 가장 중요한 미러로는 사이드미러가 있는바, 이같은 사이드미러는 자동차의 도어 또는 차체의 양측방에 각각 장착되어 운전중 자동차의 측후방의 교통상황을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이다.Among the various mirrors, the most important mirror for the driver's driving is the side mirror, which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door or the body of the car to provide the driver with traffic in the rear and rear of the car while driving. to be.

이에따라, 이같은 사이드미러는 측후방의 교통상황을 보다 넓고 효과적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이드미러의 측후방 조사각 및 방향이 정확히 조절되어야 한다.Accordingly, such side mirrors must be accurately adjusted to the side and rear side irradiation angle and direction of the side mirror to provide the driver with a wider and more efficient traffic situation in the rear and rear.

최근, 이같은 사이드미러의 정확하고 용이한 조절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동식 사이드미러가 제공되었는바, 이같은 사이드미러는 예컨대 자동차의 도어에 장착되는 본체(1), 상기 본체(1)의 후방을 폐쇄하는 하우징(2), 상기 하우징(2)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1)의 테두리를 폐쇄하는 프레임(3), 상기 본체(1)에 연계되어 액튜에이터(4), 및 상기 액튜에이터(4)의 작동에 의해 조사각이 변경될 수 있도록 연동 설치되는 미러(5)로 구성된다.Recently, an electric side mirror has been provided as shown in FIG. 1 for accurate and easy adjustment of such a side mirror. Such a side mirror is provided with a body 1 mounted on a door of an automobile, for example, of the body 1; A housing (2) for closing the rear, a frame (3) attached to the housing (2) to close the rim of the main body (1), an actuator (4) in conjunction with the main body (1), and the actuator (4) It is composed of a mirror (5) is installed in conjunction so that the irradiation angle can be changed by the operation.

그러나 이같은 전동식 미러장치는 전술된 바와같이 본체(1)에는 다수의 구성요소 또는 구성부품이 내장되어야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할 뿐 아니라 이로인해 제조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electric mirror device, as described above, since a plurality of components or components must be built in the main body 1, its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특히, 이같은 전동식 미러장치는 설계로 상·하 및 좌·우와 같은 4개의 방향으로만 각도 또는 조사각이 조절될 수 있어 완전하고 정확하게 후방 조사각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such an electric mirror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angle or irradiation angle can be adjusted only in four directions, such as up, down, left, and right, so that the rear irradiation angle cannot be adjusted completely and accurately.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한 사이드미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de mirror device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easy operation.

본 고안의 다른목적은, 미러를 상·하 및 좌·우 뿐 아니라 그들 상호간의 사이각을 다양하게 조절하여 최상의 측후방 교통상황을 제공할 수 있는 사이드미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de mirror device capable of providing the best side and rear traffic conditions by varying the angle between the mirrors as well as up, down, left, and right.

도 1은 일반적인 전동식 사이드미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electric side mirror.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장치의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mirr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장치의 제어유닛의 논리 구성도.Figure 3 is a logic diagram of a control unit of the side mirr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장치의 미러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irror of the side mirr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d.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장치의 미러의 조절방향을 보여주는 정면도.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djustment direction of the mirror of the side mirr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조작부 11: 조작패널10: control panel 11: control panel

12: 기판 20: 제어유닛12: substrate 20: control unit

30: 전자석 33: 피봇핀30: electromagnet 33: pivot pin

40: 미러 41: 본체40: mirror 41: main body

42: 자석 43: 홈42: magnet 43: groove

이같은 목적들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운전석 전방위치에 설치되며, 다수의 방향에 해당하는 다수의 각도조절버튼이 형성된 조작패널 및 상기 조작패널의 각각의 버튼의 누름시 그것의 단부에 접촉되는 다수의 접점을 구비한 기판으로 구성되는 조작부;These objects ar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s seat is installed in the front position, the operation panel and a plurality of angle adjustment button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pressing each button of the operation panel An operating portion composed of a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s in contact with an end thereof;

상기 조작부의 각각의 점접에 연결되는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버튼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방향으로의 각도 및 극을 결정하는 제어유닛;A control unit connected by wires connected to respective contact points of the operation unit, and receiving a button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to determine an angle and a pole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송출되는 해당극성을 지닌 전원에 따라 해당극성을 띄게되는 다수의 전자식부를 포함하며, 중앙부에는 피봇핀이 돌출 형성되는 전자식; 및An electronic type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parts having a corresponding polarity according to a power having a corresponding polarity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and having a pivot pin protruding from the central part; And

자동차의 측후방을 조사하기 위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배면에 부착되며 중앙부에 상기 전자식의 피봇핀에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홈이 형성되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미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사이드미러장치가 제공된다.And a mirror made of a main body for irradiating the rear and rear of the vehicle, and a magnet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groov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o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electronic pivot pin. Is provid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 중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장치의 제어유닛의 논리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미러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미러의 조절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mirr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gic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the side mirr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is shown,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n by the arrow of the adjustment direction of the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내지 도 5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장치는 조작부(10), 제어유닛(20), 전자석(30) 및 미러부(40)로 구성된다.2 to 5, the side mirr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e operation unit 10, the control unit 20, the electromagnet 30 and the mirror unit 40.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조작부(10)는 사이드미러장치의 미러의 후사경조절각도를 예컨대 8개의 방위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조절버튼(11a-11h)을 구비한 조작패널(11), 및 상기 조작패널(11)의 각각의 조절버튼(11a- 11h)을 누루면 각각의 버튼의 단부에 접촉되는 다수의 접점(12a-12h)을 구비한 기판(12)으로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operation unit 10 includes an operation panel 11 having a plurality of adjustment buttons 11a-11h so as to adjust the rearview mirror adjustment angle of the mirror of the side mirror device at, for example, eight azimuth angles, and the operation panel. Pressing each control button 11a-11h of (11) consists of the board | substrate 12 provided with the some contact 12a-12h which contacts the end of each button.

상기 조작부(10)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인스트루먼트피널, 도어 또는 운전대의 제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형태 또한 다양하게 설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10 may be installed in the instrument pinnacle, the door or the steering wheel in place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adjust, the shape can also be formed in various ways.

상기 조작부(10)에 제어유닛(20)이 연결되는바, 즉, 상기 제어유닛(20)은 상기 조작부(10)의 기판(12)에 형성된 각각의 접점(12a-12h)에 각각 연결된 와이어(21a)에 의해 연결된다.The control unit 20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unit 10, that is, the control unit 2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contacts 12a-12h formed on the substrate 12 of the operation unit 10. 21a).

특히, 상기 제어유닛(20)의 내부에는 상기 조작부(1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같이 미러를 정확히 조절하기 위한 논리회로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논리회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은 논리구성도로 표현될 수 있다.In particular, a logic circuit for precisely adjusting a mirror is built in the control unit 20 as described later in detail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unit 10, and the logic circuit is shown in FIG. 3. The same logic can be expressed.

상기, 제어유닛(20)에는 4개의 전자석부(31a, 31b, 31c, 31d)로 구성되는 전자석(30)이 연결되는바, 즉, 상기 제어유닛(20)에는 그 제어유닛(20)의 작동에 따라 미러의 방향 및 각도가 설정되는 즉시 극성을 지닌 전원을 공급하는 4개의 와이어(31a, 31b, 31c, 31d)에 의해 연결된다.The control unit 20 is connected to an electromagnet 30 composed of four electromagnet units 31a, 31b, 31c, and 31d, that is, the control unit 20 operates the control unit 20. As soon as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mirror are set, they are connected by four wires 31a, 31b, 31c, 31d which supply polarized power.

또한 상기 4개의 각각의 와이어(32a-32d)는 상기 전자석(30)을 구성하는 각각의 전자석부(31a-31d)에 각각 연결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four wires 32a-32d is connected to each of the electromagnet portions 31a-31d constituting the electromagnet 30.

이에따라, 상기 전자석(30)의 각각의 전자석부(31a-31d)에는 제어유닛(20)의 결정에 따른 극성을 지닌 전원이 상기 각각의 와이어(32a-32d)를 통해 전송된다. 물론, 정상·하 및 정좌·우가 사잇방향의 각도조절시에는 일부 전자식부에는 전원공급이 차단된다.Accordingly, power having a polarity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 unit 20 is transmitted to each of the electromagnet portions 31a-31d of the electromagnet 30 through the respective wires 32a-32d. Of course, the power supply is cut off in some electronic parts when the angle is adjusted between the top, bottom, right, and right directions.

한편, 상기 전자식(30)의 중앙부에는 피봇핀(33)이 돌출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ivot pin 33 is protru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electronic (30).

상기 전자식(30)의 중앙부에 형성된 피봇핀(33)에는 미러(40)가 8방향으로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는바, 상기 미러(40)는 자동차의 측후방을 조사하는 미러(41) 및 상기 미러(41)의 배면에 부착되는 자석(42)으로 구성된다.The mirror 40 is pivotally mounted to the pivot pin 33 formed at the center of the electronic 30 in eight directions. The mirror 40 mirrors the rear and rear sides of the vehicle and the mirror 41. It consists of the magnet 42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41. As shown in FIG.

상기 자석(42)은 예컨대 S극 또는 N극 중 하나의 단일극성을 지니며, 그 중앙부에는 상기 전자식(30)의 중앙부에 제공된 피봇핀(33)에 회종가능하게 삽설고정되는 고정홈(43)이 형성된다.The magnet 42 has, for example, a single polarity of either the S pole or the N pole, and at the center thereof, a fixing groove 43 which can be resiliently inserted into and pivotally fixed to a pivot pin 33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electronic 30. Is formed.

물론,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30) 및 이에 연동되는 미러(40)는 하우징(H)에 내장되어 차체 또는 도어에 내장된다.Of course, the electronic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irror 40 linked thereto are embedded in the housing H and embedded in the vehicle body or the door.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장치의 작동에 의하면, 먼저 운전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미러본체(41)의 조사방향 및 각도를 조절할 때 또한 상기 미러(40)의 자석(42) "S"극을 지닐 때 먼저 미러본체(41)를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A"방향으로 피봇 시키려면 조작부(10)의 버튼(11a-11b)중 버튼(11a)을 누르면 이 신호가 와이어를 통해 제어유닛(20)에 전달되며 이같은 신호를 수신한 제어유닛은 와이어(32a-32d)를 통해 각각의 와이어에 해당되는 극성을 갖는 전원이 공급하며 이같이 공급되는 극성이 각각의 전자석부(31a-31d)에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ide mirr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er first adjusts the irradiation direction and angle of the mirror body 41 in a seated state, and also has a magnet 42 "S" pole of the mirror 40 First, when the mirror body 41 is pivoted in the "A" direction as shown in FIG. 5, when the button 11a of the buttons 11a-11b of the operation unit 10 is pressed, this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unit ( 20, the control unit receiving such a signal is supplied with power having a polarity corresponding to each wire through the wires 32a-32d, and the supplied polarity is provided to each of the electromagnet portions 31a-31d. do.

이때, 전자석부(31a, 31c)에는 "S" 이 제공되고 전자석부(31b, 31d)에는 "N"극이 제공되며, 이에따라 상기 전자석(31a, 31d)는 자석(42)에 접하거나 접촉되어 "A"방향으로 작동 또는 방향조절이 달성된다.At this time, "S" is provided to the electromagnet parts 31a and 31c, and "N" poles are provided to the electromagnet parts 31b and 31d. Accordingly, the electromagnets 31a and 31d are in contact with or in contact with the magnet 42. Operation or orientation is achieved in the "A" direction.

이와같은 방식으로 "B"방향으로 조절시 버튼(11b)를 누르면 전자석부(32b)에는 "S"극이 전자석부(32c)에는 "N"극이 제공되며, "C"방향으로의 조절시 버튼(11c)을 누르면 전자석부(31a, 31b)에는 "S"극이 전자석부(31c, 31d)에는"N"극이 제공되며 "D"방향으로의 조절시 버튼(11d)을 누르면 전자석부(31a)에는 "S"극이 전자석부(32d)에는 "N"극이 제공되며, "E"방향으로의 조절시 버튼(11e)을 누르면 전자석부(31a, 31c)는 "S"극이 전자석부(31b, 31d)에는 "N"극이 제공되며, "F"방향으로 조절시 버튼(11f)를 누르면 전자석(31b)에는 "N"극이 전자석(31c)에는 "S"극이 제공되며, "G"방향으로의 조절시 버튼(11g)을 누르면 전자석(31a, 31b)에는 "N"극이 전자석(31b, 31c)에는 "S"극이 제공되며, 또한 "H"방향으로의 조절이 버튼(11h)을 누르면 전자석(31a)에는 "N"극이 전자식(31d)에는 "S"극이 제공되는 방식으로 미러(40)가 조절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button 11b is adjusted in the "B" direction, the "S" pole is provided to the electromagnet portion 32b, and the "N" pole is provided to the electromagnet portion 32c, and the adjustment in the "C" direction. When the button 11c is pressed, the " S " pole is provided to the electromagnet parts 31a and 31b, and the " N " pole is provided to the electromagnet parts 31c and 31d. When the button 11d is pressed during adjustment in the " D " direction, the electromagnet part The "S" pole is provided at 31a, and the "N" pole is provided at the electromagnet portion 32d. When the button 11e is pressed during adjustment in the "E" direction, the "S" pole is attained. The "N" poles are provided on the electromagnet parts 31b and 31d, the "N" pole is provided to the electromagnet 31b and the "S" pole is provided to the electromagnet 31c when the button 11f is pressed in the "F" direction. When the button 11g is pressed during the adjustment in the direction of " G ", the " N " pole is provided to the electromagnets 31a and 31b, and the " S " pole is provided to the electromagnets 31b and 31c. Press the button 11h to adjust the " N " pole to the electromagnet 31d in the electromagnet 31a. The "S" how the pole can be provided, the mirror 40 is adjusted.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미러장치에 의하면, 운전자가 원하는 사이드미러의 측후방조사각을 미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최상의 측후방 운전시계를 제공받을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side mirr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can finely and accurately adjust the side rear irradiation angle of the desired side mirror, thereby providing the best side rear driving clock.

또한, 미러 본체의 구성이 간단함은 물론 구성부품의 간소화로인해 콤팩트한 구조를 지닐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mirror main body is not only simple but also has a compact structure due to the simplification of components.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2)

운전석 전방위치에 설치되며, 다수의 방향에 해당하는 다수의 각도조절버튼(11a-11h)이 형성된 조작패널(11) 및 상기 조작패널(11)의 각각의 버튼(11a-11h)의 누름시 그것의 단부에 접촉되는 다수의 접점(12a-12h)을 구비한 기판(12)으로 구성되는 조작부(10);It is installed at the driver's seat front position, and when the operation panel 11 and the respective buttons 11a-11h of the operation panel 11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ngle adjustment buttons 11a-11h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irections. An operation unit 10 composed of a substrate 12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s 12a-12h in contact with an end portion thereof; 상기 조작부(10)의 각각의 점접(12a-12h)에 연결되는 와이어(21a)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조작부(10)로부터의 버튼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방향으로의 각도 및 극을 결정하는 제어유닛(20);Control is connected by a wire 21a connected to each of the contact points (12a-12h) of the operation unit 10, and receives a button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10 to determine the angle and pole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Unit 20; 상기 제어유닛(20)에 의해 송출되는 해당극성을 지닌 전원에 따라 해당극성을 띄게되는 다수의 전자석부(31a, 31b, 31c, 31d)를 포함하며, 중앙부에는 피봇핀(33)이 돌출 형성되는 전자석(30); 및It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magnet portion (31a, 31b, 31c, 31d) having a corresponding polarity according to the power having the corresponding polarity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20, the pivot pin 33 is formed protruding Electromagnet 30; And 자동차의 측후방을 조사하기 위한 본체(41), 및 상기 본체(41)의 배면에 부착되며 중앙부에 상기 전자석(30)의 피봇핀(33)에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홈(43)이 형성되는 자석(42)으로 이루어진 미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사이드미러장치.A main body 41 for irradiating the side rear of the vehicle, and a groove 43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41 and rotatably inserted into the pivot pin 33 of the electromagnet 30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Mirror 40 made of a magnet 42; side mirr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40)의 자석(42)은 "N"극 또는 "S"극 중 일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사이드미러장치.The side mirro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gnet (42) of the mirror (40) has one of the "N" poles or the "S" poles.
KR2019970040453U 1997-12-24 1997-12-24 Side mirror device KR1999002785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453U KR19990027851U (en) 1997-12-24 1997-12-24 Side mirr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453U KR19990027851U (en) 1997-12-24 1997-12-24 Side mirro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851U true KR19990027851U (en) 1999-07-15

Family

ID=6969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453U KR19990027851U (en) 1997-12-24 1997-12-24 Side mirro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851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18284C2 (en) Multifunctional change-over switch
US4336428A (en) Steering column assembly switch for automotive vehicles
US6183005B1 (en) Steering module
KR19990027851U (en) Side mirror device
EP0000653A1 (en) Rear view mirrors
KR20180042517A (en) Vehiclular tumbler switiching unit
US5140111A (en) Cam actuated dome light bypass switch
JP2002504038A (en) Vehicle interior rearview mirror and actuator for the vehicle interior rearview mirror
JPH10157519A (en) Rearview mirror for vehicle
JPH11502487A (en) Symmetric circuit connection board for vehicles
JP3609472B2 (en) Multifunctional room mirror device
KR200467290Y1 (en) Vehiclular tumbler switiching unit
JP2515949Y2 (en) Electric mirror adjustment switch
JPS6322745A (en) Internal back mirror for automobile
GB2076763A (en) Pivotable Vehicle Rear View Mirror
KR200314096Y1 (en) Combination switch for car
KR100564243B1 (en) Side Mirror Control Switch For An Automobile
JP2000113777A (en) Rotary/slide switch
CN215850986U (en) Rearview mirror device and vehicle
US11260795B2 (en) Display inside mirror of vehicle
US6764186B2 (en) Drive device for adjusting the mirror assembly of a rearview mirror
KR100366215B1 (en) Signal switch apparatus
KR100250087B1 (en) Outside rear view mirror for vehicles
KR970004481Y1 (en) Indicator of angle for outside mirror of a car
GB2096956A (en) External rear 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