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375A - wiper blade - Google Patents

wiper bla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375A
KR19990027375A KR1019970049816A KR19970049816A KR19990027375A KR 19990027375 A KR19990027375 A KR 19990027375A KR 1019970049816 A KR1019970049816 A KR 1019970049816A KR 19970049816 A KR19970049816 A KR 19970049816A KR 19990027375 A KR19990027375 A KR 19990027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blade
windshield
wiper
flange
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8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하종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9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375A/en
Publication of KR19990027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375A/en

Link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드쉴드에 내리는 빗물을 씻어내리거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와이퍼안에 삽입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목부, 상기 목부의 하부로부터 일정크기로 양측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로부터 하방으로 점진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는 립 및 상기 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윈드쉴드표면에 접하는 단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것으로써, 상기 립(14)과 단부(15)의 연접부의 양측에는 측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플랜지(16)가 연장형성되며, 와이퍼 블레이드의 회동 구동시 상기 단부(15)와 플랜지(16)가 윈드쉴드의 외표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와이퍼 블레이드와 윈드쉴드의 표면간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됨으로써 윈드쉴드를 효과적으로 씻어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iper blade for washing down the rain water to the windshield of the car or to remove dust, th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wiper, the neck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upport, both sides in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lower part of the neck A wiper blade comprising an extended wing portion, a lip progressively narrowed downwardly from the wing portion, and an end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lip and contacting a windshield surface, the lip 14 Flange 16 extending laterally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end portion 15 and the end portion 15, and the end portion 15 and the flange 16 are form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shield when the wiper blade rotat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shield is effective by maximiz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urface of the windshield wiper blade and the windshield. As it can be washed.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윈드쉴드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시켜 빗물을 효과적으로 씻어낼 수 잇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blade of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per blade that can effectively wash the rain water by maximiz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windshield.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윈드쉴드(windshield)또는 후방 유리면에 내리는 빗물을 닦아내기 위해 와이퍼가 제공되어 있다. 이같은 와이퍼는 통장 와이퍼 블레이드, 와이퍼 암 및 와이퍼 모터 링크 기구로 구성된다.In general, a motor vehicle is provided with a wiper for wiping rainwater off the windshield or rear glass surface of the motor vehicle. Such a wiper consists of a bankbook wiper blade, a wiper arm and a wiper motor link mechanism.

이 중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퍼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부분사시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Among them, a parti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per blade is inserted into a wiper is shown in FIG. 1,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iper blade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와이퍼 블레이드(1)는 와이퍼암(2)에 삽입된다. 이같은 와이퍼 블레이드(1)는 다소의 탄성을 지닌 고무로 형성되며, 지지부(1a), 목부(1b), 립(1c) 및 단부(1d)로 형성된다. 이같은 구조에 따라 우천시 또는 윈드쉴드의 세척시 운전자가 와이퍼를 작동시키면 와이퍼 블레이드(1)의 단부(1d)가 유리면에 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빗물을 닦아낸다.1 and 2, the wiper blade 1 is inserted into the wiper arm 2. Such a wiper blade 1 is formed of rubber with some elasticity, and is formed of a support 1a, a neck 1b, a lip 1c and an end 1d.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wiper in rainy weather or when the windshield is cleaned, the end 1d of the wiper blade 1 moves in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to wipe off the rain water.

즉, 와이퍼 블레이드(1)는 와이퍼암(2)의 회동력 및 자체의 탄성에 의해 단부(1d)의 변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일정크기의 거리(d)만큼의 부분이 굽혀져 윈드쉴드의 외측면에 접한상태로 회동됨으로써 빗물을 닦아내게 된다.That is, the wiper blade 1 is bent by a portion of the distance d from the side of the end 1d up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iper arm 2 and its elasticity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shield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water wipes off the rainwater.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1)의 작동시 윈드쉴드의 외측면과 접하는 면적이 작을뿐 아니라 와이퍼 블레이드(1)가 윈드쉴드 외측면과 밀접접촉상태로 회동되지 않게 되므로 윈드쉴드 외측면에 내린 빗물 또는 먼지를 깨끗하게 닦아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conventional wiper blade 1 is operated,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shield is not only small, and the wiper blade 1 is not rotated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shield.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wipe the rain or dust down.

또한, 상기 단부(1d)에 의해 완전히 씻겨내리지 않은 빗물 또는 먼지가 윈드쉴드 외표면에 잔존하게되어 운전자의 시계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rain water or dust that is not completely washed off by the end (1d) is lef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shield, there was a problem to partially block the driver's watch.

이에 본 발명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윈드쉴드에 내린 빗물 또는 먼지를 완전하게 씻어내리거나 제거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per blade that can completely wash off or remove rainwater or dust on the windshiel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윈드쉴드와의 세척접촉면적이 극대화될 수 잇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per blade in which the cleaning contact area with the windshield can be maximiz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빗물 또는 먼지를 자체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per blade capable of discharging rainwater or dust by itself.

도 1은 일반적인 와이퍼 블레이드를 보여주는 부분사시도.1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typical wiper blade.

도 2는 도 1의 선Ⅱ-Ⅱ에 따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분사시도.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wiper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Ⅳ-Ⅳ에 따른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wiper bla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7은 도 3 및 5에 가각 도시된 블레이드의 작용모드를 보여주는 단면도.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blade shown in Fig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와이퍼 암 10: 와이퍼블레이드2: wiper arm 10: wiper blade

11: 지지부 12: 목부11: support 12: neck

13: 날개부 14: 립13: wing 14: lip

15: 단부 16: 플랜지15: end 16: flange

17: 홈17: home

이같은 목적들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윈드쉴드에 내리는 빗물을 씻어내리거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와이퍼암에 삽입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목부, 상기 목부의 하부로부터 일정크기로 양측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로부터 하방으로 점전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는 립 및 상기 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윈드쉴드표면에 접하는 단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립과 단부의 연접부의 양측에는 측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플랜지가 연장형성되며, 와이퍼 블레이드의 회동 구동시 상기 단부와 플랜지가 윈드쉴드의 외표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se objects ar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per blade for washing down the rainwater falling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or to remove dust, the support portion inserted into the wiper arm, the support portion downward from the support portion A neck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neck, the wing portion extending from both sides to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neck, a lip formed in a narrow width gradually downward from the wing portion,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ip and contacting the windshield surface. In the wiper blade including an end portion, flanges extending laterally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joint portion of the lip and the end portion, and the end portion and the flange are form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shield when the wiper blade rotates.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단부와 플랜지의 연접부에는 와이퍼 작동시 상기 단부와 플랜지사이에 유입되는 빗물을 배출시키기위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groove for discharging rainwater flowing between the end and the flange when the wiper operation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end and the flang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중 도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부분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per blade according to an example is shown.

먼저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는 기본적으로 와이퍼암(2)에 삽입고정되는 지지부(11), 상기 지지부(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또한 그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는 목부(12), 상기 목부(12)의 하부로부터 일정크기로 양측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날개부(13) 및 상기 날개부(13)로부터 하방으로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립(14)을 포함한다.First, in FIGS. 3 and 4, the wiper blad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extends downward from the support 11 and the support 11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wiper arm 2 and is narrower than that. The neck portion 12 is formed, the wing portion 13 extending from both sides to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neck portion 12 and the lip formed to gradually narrow the width downward from the wing portion 13 ).

또한 상기 립(14)의 하단부에는 그로부터 예컨대 폭(d1)만큼 연장형성되는 단부(15)가 형성된다.Also at the lower end of the lip 14 is formed an end 15 extending therefrom, for example by a width d1.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립(14)의 적정위치,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립(14)과 단부(15)의 경계위치에는 플랜지(16)가 일체로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flange 16 is integrally formed at the proper position of the lip 14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invention, more specifically at the boundary position between the lip 14 and the end 15.

상기 플랜지(1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립(14)과 단부(15)의 경계위치로부터 양측방을 향해 폭(d2)만큼의 크기로 일체로 연장형성된다.The flange 16 is integrally formed with a width d2 toward both sides from the boundary position of the lip 14 and the end 15 as shown in FIG.

이와같이 2개의 플랜지(16)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은 와이퍼의 회동시 와이퍼 플레이드(10)의 단부가 회동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접혀 윈드쉴드표면에 접촉하게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빗물 또는 먼지를 씻어내기 위함이다.In this way, the two flanges 16 are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end of the wiper plate 10 is fol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per plate 10 rotate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windshield surface to wash away rainwater or dust more effectively. to be.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하면,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단부(14)와 플랜지(16)와의 경계부 또는 연집부에는 일정깊이를 갖는 홈(17)이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a groove 17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t the boundary portion or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end 14 and the flange 16 of the wiper blade 10. have.

이같은 홈(17)은 와이퍼 작동시 상기 단부(14)와 플랜지(16)사이에 수집되는 빗물을 배출시키기 위한것으로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방향 전체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uch groove 17 is for discharging the rainwater collected between the end 14 and the flange 16 during the wiper operation, it is preferably formed along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per blade.

이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작용모드를 도 6 및 도 7을 참조로하여 설명하면, 예컨대 자동차의 주행 중 비가 내리거나 또는 윈드쉴드의 세척을 위해 와이퍼를 작동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단부(15)는 와이퍼의 회전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굽혀짐 동시에 윈드쉴드(W)표면에 접하며 또한 일측의 플랜지(16)가 윈드쉴드(W)표면에 접하거나 근접된 상태로 빗물을 씻어낸다.6 and 7, the operation mode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or example, when the wiper is operated for driving the car or the windshield is cleaned, as shown in FIG. 6. The end 15 of the wiper blade 10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wiper and at the same time abuts the surface of the windshield W, and the flange 16 on one side is in contact with or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windshield W. Rinse rainwater in state.

이때, 실제로 윈드쉴드(W)의 외표면에 접하는 블레이드의 접촉면적은 단부(15)의 폭(d1)과 플랜지(16)의 폭(d2)과의 합으로 됨으로써, 빗물 또는 세척수를 완벽하게 씻어낼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act area of the blade actuall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shield W is the sum of the width d1 of the end 15 and the width d2 of the flange 16, thereby completely washing rainwater or washing water. I can make it.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블레이드(10)의 단부(15)와 플랜지(16)사이에 홈(17)이 형성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구동시 단부(15)와 플랜지(16)로 유입되는 빗물이 홈(17)을 따라 유동되어 블레이드(10)의 일측단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어 더욱 완벽하게 윈드쉴드(W)의 외표면을 닦아낼 수 있다.Optionally, in the case where the groove 17 is formed between the end 15 and the flange 16 of the blade 10, the end 15 and the driving portion of the wiper blade 10 as shown in FIG. Rainwater flowing into the flange 16 may flow along the groove 17 to be discharged through one end of the blade 10 to more completely wipe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shield W.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를 자동차에 적용시키면, 와이퍼 블레이드와 윈드쉴드의 표면간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됨으로써 윈드쉴드를 효과적으로 씻어낼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automobil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iper blade and the surface of the windshield is maximized, thereby effectively washing the windshield.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작동중 와이퍼 블레이드와 윈드쉴드 표면사이에 유입되거나 수집되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윈드쉴드표면에 빗물이 잔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운전자의 운전시계를 항시 정확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charge the rainwater collected or collected between the wiper blade and the windshield surfac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iper blade to prevent rainwater from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windshield, thereby ensuring the driver's driving clock at all times. It can be effectiv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Whil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2)

자동차의 윈드쉴드에 내리는 빗물을 씻어내리거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와이퍼안에 삽입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목부, 상기 목부의 하부로부터 일정크기로 양측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로부터 하방으로 점진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는 립 및 상기 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윈드쉴드표면에 접하는 단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립(14)과 단부(15)의 연접부의 양측에는 측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플랜지(16)가 연장형성되며, 와이퍼 블레이드의 회동 구동시 상기 단부(15)와 플랜지(16)가 윈드쉴드의 외표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와이퍼 블레이드.A wiper blade for washing down rainwater or removing dust from a windshield of a vehicle, the wiper blade being fixed in a wiper, a neck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upport, and extending in both directions at a predetermined size from a lower portion of the neck A wiper blade comprising a wing portion, a lip progressively narrowed downwardly from the wing portion, and an end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lip and contacting a windshield surface, wherein the lip 14 and the end portion 15 are formed. Flange 16 extending late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junction portion of th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15 and the flange 16 is form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shield during the rotational drive of the wiper blade wiper bla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15)와 플랜지(16)의 연접부에는 와이퍼 작동시 상기 단부(15)와 플랜지(16)사이에 유입되는 빗물을 배출시키기위한 홈(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와이퍼 블레이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d portion 15 and the flange 16 is formed in the groove 17 for discharging the rain water flowing between the end 15 and the flange 16 during the wiper operation is formed. Featuring wiper blades.
KR1019970049816A 1997-09-29 1997-09-29 wiper blade KR199900273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816A KR19990027375A (en) 1997-09-29 1997-09-29 wiper bla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816A KR19990027375A (en) 1997-09-29 1997-09-29 wiper bla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375A true KR19990027375A (en) 1999-04-15

Family

ID=6604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816A KR19990027375A (en) 1997-09-29 1997-09-29 wiper bla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37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7672552U (en) Wiper and vehicle with same
KR19990027375A (en) wiper blade
KR19980021842U (en) Car Wiper Blades
KR19980035246U (en) Wiper Blades for Automotive Wipers
KR200213438Y1 (en) Wiper blade for an automobile
KR100245459B1 (en) Wiper with vice wiper blade for a vehicle
KR19980035272U (en) Wiper Blades for Automotive Wipers
KR19980045619U (en) Wiper blade of car
CN116061884A (en) Vehicle sunroof wiper system
KR200150174Y1 (en) Wiper for a car
KR19980077070A (en) Car wipers
KR0158998B1 (en) Wiper for a vehicle
WO1998015439A1 (en) Improved surface cleaner
KR200202622Y1 (en) Wiper blade for use in an automobile
KR200229251Y1 (en) Car Wiper Drive
KR200163525Y1 (en) Wiper for a car
KR19980030625A (en) Car wipers
KR19990009150A (en) Wiper blade of car
KR19980036378A (en) Wiper device
KR19980034367U (en) Double blade wiper blade
KR19980017619U (en) Wiper blades with a structure that prevents debris from scattering
KR19980044946U (en) Wiper rubber for wiper blades
KR19980050811U (en) Double structure of car window brush
KR19980036600U (en) Car wipers
KR19980052804U (en) Vehicle wipers with auxiliary bra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