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226U - 모니터의 수평 모아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수평 모아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226U
KR19990027226U KR2019970039814U KR19970039814U KR19990027226U KR 19990027226 U KR19990027226 U KR 19990027226U KR 2019970039814 U KR2019970039814 U KR 2019970039814U KR 19970039814 U KR19970039814 U KR 19970039814U KR 19990027226 U KR19990027226 U KR 199900272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horizontal deflection
output signal
buffer
synchroniz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8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광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9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226U/ko
Publication of KR199900272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226U/ko

Link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사체의 패턴과 이를 촬상/재생하는 과정에서 존재하는 다른 종류의 패턴(칼라 수상관의 라인 및 형광 도트 패턴 등)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화면상에 줄무늬 모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의 수평 모아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회로는, 마이콤에서 얻어지는 수평 동기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수평 편향코일로 톱니파 전류를 제공하는 수평 편향회로; 상기 수평 동기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서 출력신호가 하이/로우 레벨로 토글되는 플립플럽; 상기 플립플럽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버퍼; 및 상기 버퍼의 출력값을 분압하여 수평 편향회로로 인가하여 수평 주사 시작점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분압저항 및 가변저항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수평 동기신호의 매 주기마다 수평 편향코일로 제공되는 톱니파 전류의 DC 레벨이 가변되도록 하여 수평 주사 시작점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발광 도트와 샤도우 마스크의 구멍의 상호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모아레 현상을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화질의 향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의 수평 모아레 제거장치 ( An apparatus for eliminating a horizontal moire in a monitor )
본 고안은 모니터 화질 향상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사체의 패턴과 이를 촬상/재생하는 과정에서 존재하는 다른 종류의 패턴(칼라 수상관의 라인 및 형광 도트 패턴 등)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화면상에 줄무늬 모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의 수평 모아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의 CRT는 R,G,B 전자총에서 방출된 열전자를 집속 및 가속시킨 후 샤도우 마스크상의 일 점을 통해 R,G,B 형광면에 충돌시켜 화소를 형성하고, 수직 및 수평 편향코일에 톱니파 전류를 흘려 2차원 화면을 형성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모니터는 좁은 화면상에 고밀도의 화소를 형성하기 위하여 매우 정밀한 동작이 요구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니터의 CRT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베이스(11), 전자총(12), 네트(13), 코운(14), 패널(15), 형광판(17), 샤도우 마스크(1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는 전기적인 신호를 CRT와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네트(13)에는 R,G,B 전자빔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총(12)이 있으며, 이 전자총(12)에서 방출되어 집속 및 가속된 R,G,B 전자빔이 샤도우 마스크(18) 상의 하나의 구멍에 집중된 후 형광면(17)의 도트에 충돌되도록 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모니터는 순차 주사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모니터의 CRT에서는 도트 발광시 샤도우 마스크(8)와 상호 간섭을 일으켜 화면상에 줄무늬 모양이 생기는 이른바, 모아레(moire)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라스터 스캔 방식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일반적인 모니터는 전자빔의 수평, 수직 주사의 반복에 의해 화면이 구성된다. CRT의 경우 스크린에 있는 형광물질인 도트가 샤도우 마스크의 구멍을 통과한 전자빔의 충격에 의해 빛을 발하게 된다. 이때, 수평방향으로 각 도트가 빛을 발할 때, 샤도우 마스크의 구멍과 간섭을 일으키는데 이를 모아레 현상이라고 한다. 종래의 모니터의 CRT는 상기한 모아레 현상이 발생하여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평 순차 주사시 주사선의 시작점을 좌우로 이동시켜 도트 발광시 샤도우 마스크의 구멍과 일으키는 상호 간섭을 제거하도록 된 모니터의 수평 모아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회로는, 마이콤에서 얻어지는 수평 동기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수평 편향코일로 톱니파 전류를 제공하는 수평 편향회로; 상기 수평 동기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서 출력신호가 하이/로우 레벨로 토글되는 플립플럽; 상기 플립플럽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버퍼; 및 상기 버퍼의 출력값을 분압하여 수평 편향회로로 인가하여 수평 주사 시작점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분압저항 및 가변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니터의 CRT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수평 모아레 제거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각 부의 신호 파형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화면의 순차 주사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수평 편향회로 22: J-K 플립플럽
23: 버퍼 HD.Y: 수평 편향코일
R1: 분압저항 VR: 가변저항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 모아레 제거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바, 이는 마이콤에서 얻어지는 수평 동기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수평 편향코일(HD.Y)로 톱니파 전류를 제공하는 수평 편향회로(21)와, 이 수평 동기신호의 하강 에지에서 출력신호가 하이/로우 레벨로 토글되는 J-K 플립플럽(22)과, 이 J-K 플립플럽(22)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버퍼(23)와, 이 버퍼(23)의 출력값을 분압하여 수평 편향회로(21)로 인가하여 수평 주사 시작점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분압저항(R1) 및 가변저항(VR)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발광 도트와 샤도우 마스크의 구멍의 상호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모아레 현상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패턴의 도트 피치와 샤도우 마스크의 구멍 사이에서 도트를 변화시켜서 제거할 수 있는데, 수평 주사 시작점이 지그재그로 변하도록 함으로써 이를 실현할 수 있다.
즉, J-K 플립플럽(22)의 입력단자(J, K)에는 전류 제한 저항(R2)을 통해 전원 전압(Vcc)이 항상 공급되고, J-K 플립플럽(22)의 클럭단자(CLK)로는 도 3에 도시된 수평 동기신호가 입력된다. 이때, 이 J-K 플립플럽(22)의 출력신호는 수평 동기신호의 하강 에지에서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로 천이한다.
즉, J-K 플립플럽(22)의 출력신호(Q)는 전(前) 출력신호가 하이 레벨이면 수평 동기신호의 하강 에지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하고, 전 출력신호가 로우 레벨이면 수평 동기신호의 하강 에지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하는데, 이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 파형이 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출력신호는 제1수평주기(H1) 동안에는 로우 레벨이 되고 제2수평주기(H2) 동안에는 하이 레벨이 된다.
이 J-K 플립플럽(22)의 출력신호는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버퍼(23)는 이 출력신호를 Vcc 레벨까지 상승시키는데, 버퍼(23)의 출력신호가 분압저항(R1)과 가변저항(VR)에 의해 분압된 후 수평 편향회로(21)로 인가된다. 이때, 상기 가변저항(VR)의 저항값을 조정하면 가변저항(VR)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가변되면서 수평 편향회로(21)로 인가되는 전압이 가변되는데, 수평 편향회로(21)로 높은 DC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면 수평 주사 시작점이 우측으로 더 많이 치우친다.
즉, 가변저항(VR)에 인가되는 전압이 수평 편향회로(21)로 인가되면, 이 수평 편향회로(21)는 이 전압에 따라 수평 편향코일(HD.Y)로 제공되는 톱니파신호의 DC 레벨을 조정하여 수평 주사 시작점이 좌, 우로 이동하도록 하는데, 제1수평주기(H1)에서 J-K 플립플럽(22)의 출력신호가 로우 레벨이면 가변저항(VR)에 인가되는 전압이 영전위이기 때문에 수평 주사 시작점은 도 4의 제1주사라인(Line1)과 같이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2수평주기(H2)에서 J-K 플립플럽(22)의 출력신호가 하이 레벨이면 가변저항(VR)에 인가되는 전압이 하이 레벨이기 때문에 수평 주사 시작점은 도 4의 제2주사라인(Line2)과 같이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는, 수평 동기신호의 매 주기마다 수평 편향코일로 제공되는 톱니파 전류의 DC 레벨이 가변되도록 하여 수평 주사 시작점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발광 도트와 샤도우 마스크의 구멍의 상호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모아레 현상을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화질의 향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마이콤에서 얻어지는 수평 동기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수평 편향코일로 톱니파 전류를 제공하는 수평 편향회로;
    상기 수평 동기신호의 상승 에지 또는 하강 에지에서 출력신호가 하이/로우 레벨로 토글되는 플립플럽;
    상기 플립플럽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버퍼; 및
    상기 버퍼의 출력값을 분압하여 수평 편향회로로 인가하여 수평 주사 시작점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분압저항 및 가변저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수평 모아레 제거장치.
KR2019970039814U 1997-12-23 1997-12-23 모니터의 수평 모아레 제거장치 KR199900272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814U KR19990027226U (ko) 1997-12-23 1997-12-23 모니터의 수평 모아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814U KR19990027226U (ko) 1997-12-23 1997-12-23 모니터의 수평 모아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226U true KR19990027226U (ko) 1999-07-15

Family

ID=6969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814U KR19990027226U (ko) 1997-12-23 1997-12-23 모니터의 수평 모아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22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732B1 (ko) * 2002-05-30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Crt 모니터 시스템을 위한 수평 모아레 제거 장치 및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732B1 (ko) * 2002-05-30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Crt 모니터 시스템을 위한 수평 모아레 제거 장치 및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9396A (en) Color cathode-ray tube apparatus with shadow mask
CN1050484C (zh) 用于减少彩色阴极射线管中的波纹干扰的装置
KR19990027226U (ko) 모니터의 수평 모아레 제거장치
US5061880A (en) Method of driving image display device
JPH01220592A (ja) シヤドウマスク式カラー陰極線管を用いたデイスプレイ装置
JP2851842B2 (ja) Crtディスプレイ装置
EP0939558A1 (en) Process and device for S-correction in a cathode-ray tube
KR100212839B1 (ko) 모니터의 수평 모아레 제거 장치
JP3091529B2 (ja) ビームスポット発光分布測定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212838B1 (ko) 모니터의 수직 모아레 제거 장치
US5995152A (en) Video monitor which superimposes a high frequency periodic wave over signals to vertical deflection plates to increase display quality in low resolution modes
EP0198494B1 (en) Color cathode ray apparatus
US2757231A (en) One gun color-dot tube with dynamic beam convergence
KR100468732B1 (ko) Crt 모니터 시스템을 위한 수평 모아레 제거 장치 및방법
US4933604A (en) Plate-type cathode ray tube device
KR900004819B1 (ko) 음극선관
JP3399014B2 (ja) 陰極線管用色選別電極のビーム孔調整方法
US4768091A (en) Testing apparatus for displaying scanning beam spot size and line focus on a CRT video screen
US5489826A (en) Focus coil current generator for a cathode ray tube
US6151082A (en) Horizontal focus controlling apparatus for cathode-ray tube
KR20010029786A (ko) 소직경의 빔 스포트를 공급할 수 있는 씨알티 시스템
US6495977B2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processor for vertical deflection, and CRT display
KR100209911B1 (ko) 고압보상회로
EP13700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on a cathode ray tube
JP3435790B2 (ja) カラー陰極線管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