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173A - 휴대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173A
KR19990027173A KR1019970049571A KR19970049571A KR19990027173A KR 19990027173 A KR19990027173 A KR 19990027173A KR 1019970049571 A KR1019970049571 A KR 1019970049571A KR 19970049571 A KR19970049571 A KR 19970049571A KR 19990027173 A KR19990027173 A KR 19990027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up
filter cartridge
pist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석
김성록
이준성
Original Assignee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구광시
Priority to KR1019970049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173A/ko
Publication of KR19990027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173A/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고 미립자나 박테리아 등의 여과 효과가 우수한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는 [A] 정수컵(2), [B] 정수컵(2)의 상단으로부터 정수컵의 안에 삽입되는 원수통(3), [C] 원수통(3) 중앙 하단부에 위치하며 원수통(3)과 탈착 가능한 필터카트리지(5) 및 [D] 원수통(3)의 상단으로부터 원수통의 하단 내부로 길게 뻗어 있는 피스톤(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정수컵(2)의 상단 내부면에는 걸어 멈춤 돌기(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수통(3)의 상단 외부에는 상단 걸어멈춤홈(32)이 하단외부에는 하단 걸어멈춤홈(3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 카트리지(5)의 내부에는 흡착재(56)와 중공사막(57)이 충진되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정수기
본 발명은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수, 수돗물이나 우물물 뿐아니라 강물이나 호수물 등을 음료수로 간편하게 정수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정수기는 본체의 바닥부에 여과재를 설치한 것으로, 이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당한 용기 위에 휴대용 정수기를 얹어 놓고 정수기 본체에 물을 담아 그 물이 여과재에서 정수되어 밑의 용기에 떨어지게끔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별도의 용기를 준비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매우 불편하고, 또한 정수기와 별도의 용기를 각각 휴대하는 경우에는 부피가 커지게 되어 불편하였다. 또한 사용된 여과재가 단순한 흡착재 위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립자 및 박테리아 등에는 여과 효과가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정수효과가 우수한 휴대용 정수기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에 필요한 여과몸체와 컵을 조밀하게 조립하여 휴대하기에 편리하며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미립자 및 박테리아 등에도 탁월한 여과 효과를 나타내는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미립자나 박테리아 등의 여과 효과가 우수한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 단면 상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중 원수통(3)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정수컵 3 : 원수통
4 : 피스톤 5 : 필터카트리지
21 : 부착고리 22 : 고리노브
23 : 걸어멈춤돌기 31 : 몸통노브
32 : 상단걸어멈춤홈 33 : 이동홈
34 : 하단걸어멈춤홈 35 : 멈춤판
41 : 피스톤헤드 42 : 피스톤로드
43 : 측면날개 44 : O-링
45 : 압력판 46 : 헤드홈
51 : 필터카트리지캡 52 : 모듈케이스
53 : 정수유도판 54 : 캡원수유입구
55 : 모듈케이스원수유입구 56 : 흡착재
57 : 중공사막
본 발명은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며 생수, 수돗물, 우물물, 강물 및 호수물 등을 효율적으로 정수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 정수컵(2), [B] 정수컵(2)의 상단으로부터 정수컵의 안에 삽입되는 원수통(3), [C] 원수통(3) 중앙 하단부에 원수통(3)과 탈착 가능한 필터카트리지(5) 및 [D] 원수통(3)의 상단으로부터 원수통의 하단 내부로 길게 뻗어 있는 피스톤(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정수컵(2)의 상단 내부면에는 걸어 멈춤 돌기(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수통(3)의 상단 외부에는 상단 걸어멈춤홈(32)이 하단외부에는 하단 걸어멈춤홈(3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카트리지(5)의 내부에는 흡착재(56)와 중공사막(57)이 충진되어 있는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는 정수컵(2)내에 원수통(3)이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 길이가 짧고 콤팩트해져서 휴대가 간편하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인 휴대용 정수기의 단면 상태도이고, 도2는 원수통(3)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는 정수컵(2), 원수통(3), 피스톤(4) 및 필터카트리지(5)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각 구성 부재는 단면이 기본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정수컵(2)은 몸통부 상단이 개구되어 있어 원수통(3)을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단에 부착고리(21)를 설치하고 그 외부에 고리노브(22)를 부착하여 상기의 원수통(3)을 이동시키거나 탈착할 때 편리하도록 한다. 또한 부착고리(21) 상단 내부면에는 걸어멈춤돌기(23)가 형성되어 있다.
원수통(3)은 몸통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개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단의 개구쪽으로는 피스톤(4)이 삽입될 수 있으며, 하단의 개구쪽으로는 안쪽면으로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 필터카트리지(5)가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하단 개구의 나사 윗쪽에 멈춤판(35)이 형성되어 피스톤(4)이 원수통(3)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깊이를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4)에 과다한 힘을 가하더라도 그 힘이 필터카트리지(5)에 전달되지 않아 필터카트리지(5)가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원수통(3) 몸통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수컵(2)의 걸어멈춤돌기(23)가 이동홈(33)에 삽입되어 정수컵(2)내에서 원수통(3)이 위아래로 이탈없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홈(33)상단과 하단측에는 각각 상단 및 하단 걸어멈춤홈(32)(34)을 형성한다. 이들은 정수컵(2)의 걸어멈춤돌기(23)와 맞물리게 되어 정수컵(2)내에서의 원수통(3)의 이동거리를 제한한다. 비정수시에는 걸어 멈출돌기(23)가 하단걸어멈춤홈(34)에 맞물려 정수컵(2)내에 원수통(3)이 과다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정수시에는 걸어멈춤돌기(23)가 상단걸어멈춤홈(32)에 맞물려 원수통(3)에 가해지는 피스톤(4)의 힘을 정수컵(2)에서 지탱하도록 한다. 이 상단걸어멈춤홈(32)과 하단걸어멈춤홈(34)은 그 위치가 서로 일정한 각도를 두고 형성되어 있어 정수컵(2)의 탈착시 상단걸어멈춤홈(32)과 하단걸어멈춤홈(34)이 이중으로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원수통(3) 몸통부의 상단걸어멈춤홈(32) 상단에는 몸통노브(31)를 형성하여 상기 정수컵(2)에 있는 고리노브(22)와 함께 정수컵(2)에서 원수통(3)을 이동시키거나 탈착할 때 편리하도록 한다.
피스톤(4)은 상기 원수통(3) 상단 개구로 압력판(45)부터 삽입이 되는데, 상단에는 피스톤헤드(41)가 형성되어 있어, 피스톤(4)에 힘을 가할 때는 그립의 역할을 하며 비정수시에는 원수통(3)의 뚜껑 역할도 겸하게 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4)의 중앙에는 피스톤로드(42)가 있어 피스톤헤드(41)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압력판(45)에 전달하게 된다. 압력판(45)의 측면에는 O-링(44)을 설치하여 정수시 상기 원수통(3)내의 원수가 피스톤(4)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피스톤로드(42)쪽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피스톤로드(42)에는 하단부에 측면날개(43)를 설치하여 피스톤(4)에 힘을 가할 때 피스톤(4)이 상기 원수통(3)내에서 요동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헤드(41)의 하단에는 헤드홈(46)을 형성한다. 이 헤드홈(46)에 상기 원수통(3)의 상단이 맞물리게 되어 비정수시, 즉 휴대시 정수컵(2)내에 수납된 원수통(3)과 피스톤(4)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결과 정수컵(2) 및 원수통(3)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정수컵(2) 및 원수통(3)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필터카트리지(5)는 상단에 필터카트리지 캡(51)이 있고, 그 하단 중앙에 모듈케이스(52)가 설치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원수통(3) 하단의 나사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필터카트리지 캡(51)과 모듈케이스(52)에는 각각 원수유입구(54)(55)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원수통(3)에서 유입되는 1차 원수가 상기의 필터카트리지(5)내로 그리고 필터카트리지(5)내 유입된 원수가 모듈케이스(52)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필터카트리지(5)에는 흡착재(56)가 충진되고 상기의 모듈케이스(52)에는 중공사막(57)이 충진되어 있다. 흡착재(56)는 상기 원수통(3)에서 유입되는 1차 원수중에서 냄새, 맛 및 잔류염소와 같은 관능적인 면에 영향을 미치는 불순물뿐아니라 유기물, 중금속 및 질산성질소와 같은 음이온성분들을 1차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중공사막(57)은 흡착재(56)에서 제거하지 못하는 미립자 및 박테리아 등을 최종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흡착재로는 활성탄, 은활성탄, 활성탄소섬유, 이온교환수지, 이온교환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상기의 필터카트리지(5) 하단에는 정수유로판(53)이 형성되어 있어 중공사막(57)을 거쳐 나오는 최종적인 정수를 집수하여 상기의 정수컵(2)에 모아주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는 정수용도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정수컵(2) 내부에 원수통(3), 피스톤(4) 및 필터카트리지(5)가 수납된다. 즉, 정수컵(2)내에서 정수컵(2)의 걸어멈춤돌기(23)와 원수통(3)의 상단걸어멈춤홈(32)이 맞물리게 되어 원수통(3)의 전체 길이중 5/6정도가 정수컵(2)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피스톤(4)은 거의 전체가 원수통(3)내부에 수용되고 피스톤헤드(41) 상단부 일부만이 원수통(3)에서 노출되는데 이때 피스톤헤드(41) 하단의 헤드홈(46)이 원수통(3)의 상단과 맞물리게 되어 피스톤(4)이 원수통에서 이탈되거나 정수컵(2) 및 원수통(3)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수컵(2) 및 원수통(3) 내부의 청결상태를 깨끗하게 유지시켜준다.
또한, 필터카트리지(5)는 원수통(3)의 중앙하단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정수유로판(53)이 정수컵(2)의 바닥면 근처까지 내려와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원수통(3), 피스톤(4) 및 필터카트리지(5)가 모두 정수컵(2)에 수납되어 전체 길이가 정수컵(2) 길이보다 약간 긴 정도로 짧아지고, 정수컵(2)은 원수통(3)과 걸어멈춤돌기(23)와 상단 걸어멈춤홈(32)을 통해 서로 맞물리고, 원수통(3)은 피스톤(4)과 피스톤헤드(41)의 헤드홈(46)을 통해 서로 맞물려 흩어지지 않게 되며, 상단에서는 피스톤헤드(41)가 또한 덮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체 길이를 짧고 부피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으며 청결을 유지한 상태로 휴대하기에 편리하게 된다.
한편 휴대용 정수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스톤(4)이 삽입되어 있는 원수통(3)을 몸통노브(31)와 고리노브(22)를 이용하여 정수컵(2)으로부터 인출하고 원수통(3) 또는 정수컵(2) 둘중의 하나를 중심축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를 돌려 원수통(3)의 하단걸어 멈춤홈(34)과 정수컵(2)의 걸어멈춤돌기(23)가 서로 맞물리도록 한다.
그리고 피스톤헤드(41)를 손잡이로하여 잡아당겨 피스톤(4)를 원수통(3)에서 빼어 분리하고, 원수통(3) 내부에 정수하고자 하는 물을 붓거나, 원수통(3)을 직접 원수조에 담구어 원수를 담은 후 다시 피스톤(4) 하단부를 원수통(3)에 약간만 껴 조립한다.
피스톤(4)을 원수통(3)에 조립한 후 피스톤헤드(41)를 손바닥이나 손으로 누르면 압력판(45)과 O-링(44)에 의해 원수통(3) 내부가 가압되어 원수통(3) 내부의 원수가 필터카트리지(5)를 통해 정수되어 정수컵(2)에 떨어지게 된다.
이때, 압력판(45)이 멈춤판(35)에 닿아 피스톤(4)이 더 이상 내려가지 않게되면, 원수통(3) 내부에 있는 원수가 모두 정수가 된 것인데, 원수통(3) 내부에 있는 원수는 피스톤(4)의 1회 이동에 의해 전량이 정수가 되며, 정수컵(2)의 크기가 원수통(3)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정수가 된 물이 정수컵(2)을 통해 밖으로 흐르지 않게 되어 있다.
정수를 다하고 나면 피스톤헤드(41)를 잡아당겨 피스톤(4)을 다시 원상태로 쉽게 되돌려 놓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아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두께 3㎜, sorud 27㎜, 외경 44㎜의 활성탄소 섬유 3장과 혼합된 베드(Mixed bed) 이온 교환 수지 50g으로 구성된 흡착재와 중공사막으로 제조된 필터카트리지를 부착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를 제조한다. 지하수를 원수로 사용하여 제조된 휴대용 정수기의 불순물 제거능을 총 15 L까지 투수량 별로 분석한 결과는 표1과 같다.
(비교시시예 1)
활성탄인 흡착재 만으로 구성된 필터카트리지를 부착한 종래의 휴대용 정수기를 제조한다. 지하수를 원수로 사용하여 제조된 휴대용 정수기의 세균 제거능을 총 15 L까지 투수량 별로 분석한 결과는 표2와 같다.
[표 1]
본 발명 휴대용 정수기의 불순물 제거능 분석 결과
[표 2]
종래 휴대용 정수기의 세균 제거능 분석 결과
표1 및 표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는 음용수 수질 기준에 부적합한 지하수를 음용수 수질 기준에 적합한 물로 정수할 수 있으며, 특히 일반 세균 및 대장균 등의 제거능이 우수하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정수기는 일반 세균 및 대장균 등의 제거능이 부족하며,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오히려 정수내 세균수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는 정수컵, 원수통, 필터카트리지 및 피스톤이 조밀하게 조립되어 있고, 정수컵내에 삽입된 원수통을 자유럽게 이동할 수 있어서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정수기는 필터카트리지내에 흡착재와 함께 중공사막이 충진되어 있어서 미립자 및 박테리아등이 여과 성능이 매우 우수하다.

Claims (6)

  1. [A] 정수컵(2), [B] 정수컵(2)의 상단으로부터 정수컵의 안에 삽입되는 원수통(3), [C] 원수통(3) 중앙 하단부에 위치하며 원수통(3)과 탈착 가능한 필터카트리지(5) 및 [D] 원수통(3)의 상단으로부터 원수통의 하단 내부로 길게 뻗어있는 피스톤(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정수컵(2)의 상단 내부면에는 걸어멈춤돌기(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수통(3)의 상단 외부에는 상단 걸어멈춤홈(32)이 하단외부에는 하단 걸어멈춤홈(3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카트리지(5)의 내부에는 흡착재(56)와 중공사막(57)이 충진되어 있는 휴대용 정수기.
  2. 1항에 있어서, 필터카트리지(5) 내부에 충진된 흡착재(56)가 활성탄, 은활성탄, 활성탄소섬유, 이온교환수지, 이온교환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휴대용 정수기.
  3. 1항에 있어서, 정수컵(2)의 상단에는 부착고리(21)가 부착되고, 외부에는 고리노브(22)가 부착된 휴대용 정수기.
  4. 1항에 있어서, 원수통(3)의 하단부에는 멈춤판(35)이 형성되고, 몸통부에는 이동홈(33)이 형성되고, 상단 걸어멈춤홈(32)의 상단에는 몸통 노브(31)가 형성되어 있는 휴대용 정수기.
  5. 1항에 있어서, 피스톤(4)의 상단부에는 피스톤헤드(41)와 헤드홈(46)이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피스톤 로드(42)와 측면날개(43)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압력판(45)과 O-링(44)이 형성되어 있는 휴대용 정수기.
  6. 1항에 있어서, 필터카트리지(5)의 상단부에는 필터카트리지 캡(51) 및 캡 원수 유입구(54)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모듈케이스(52), 모듈케이스 원수유입구(55) 및 정수유로판(53)이 형성되어 있는 휴대용 정수기.
KR1019970049571A 1997-09-29 1997-09-29 휴대용 정수기 KR19990027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571A KR19990027173A (ko) 1997-09-29 1997-09-29 휴대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571A KR19990027173A (ko) 1997-09-29 1997-09-29 휴대용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173A true KR19990027173A (ko) 1999-04-15

Family

ID=66045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571A KR19990027173A (ko) 1997-09-29 1997-09-29 휴대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17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306A (ko) * 2002-11-21 2004-05-28 박노인 휴대용 정수기
KR100490758B1 (ko) * 2002-03-08 2005-05-19 이향우 휴대용 자동정수기
KR100507969B1 (ko) * 2001-05-31 2005-08-17 이후근 이온교환섬유와 이온교환수지를 결합시킨 복합이온교환필터와 이를 이용한 케미칼 필터
WO2010033303A3 (en) * 2008-09-18 2010-06-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rtable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s
CN109052683A (zh) * 2018-06-20 2018-12-21 广州净易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气压式便携净水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0889A (ko) * 1986-05-15 1987-12-18 강열귀 휴대용 정수기
KR890007779A (ko) * 1987-11-30 1989-07-05 최근선 휴대용 정수기
KR900014297U (ko) * 1989-01-25 1990-08-01 니혼산소 가부시끼가이샤 휴대용 정수기
KR920007638Y1 (ko) * 1989-02-02 1992-10-16 김동석 원형직기의 캠원통 구동장치
KR960013997A (ko) * 1994-10-28 1996-05-22 김준웅 휴대용 정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0889A (ko) * 1986-05-15 1987-12-18 강열귀 휴대용 정수기
KR890007779A (ko) * 1987-11-30 1989-07-05 최근선 휴대용 정수기
KR900014297U (ko) * 1989-01-25 1990-08-01 니혼산소 가부시끼가이샤 휴대용 정수기
KR920007638Y1 (ko) * 1989-02-02 1992-10-16 김동석 원형직기의 캠원통 구동장치
KR960013997A (ko) * 1994-10-28 1996-05-22 김준웅 휴대용 정수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969B1 (ko) * 2001-05-31 2005-08-17 이후근 이온교환섬유와 이온교환수지를 결합시킨 복합이온교환필터와 이를 이용한 케미칼 필터
KR100490758B1 (ko) * 2002-03-08 2005-05-19 이향우 휴대용 자동정수기
KR20040044306A (ko) * 2002-11-21 2004-05-28 박노인 휴대용 정수기
WO2010033303A3 (en) * 2008-09-18 2010-06-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rtable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s
US7854848B2 (en) 2008-09-18 2010-1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rtable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s
CN109052683A (zh) * 2018-06-20 2018-12-21 广州净易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气压式便携净水器
CN109052683B (zh) * 2018-06-20 2024-03-19 广州净易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气压式便携净水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3669B1 (en) Water filter bottle
US6193886B1 (en) Sub-micron sport bottle with ceramic filtering element
US7585409B2 (en) Multi-stage water purification device
US7507338B2 (en) Universal water purifier unit assembly device
US6136189A (en) Enhanced in-bottle filtration mechanism and techniques
EP0975552B1 (en) Filter cartridge for gravity-fed water treatment devices
US5122272A (en) Drinking water supply container having a removably mounted filter device
US5273649A (en) Personal water purification systems
US5733448A (en) Manually pressurized water filtering container
US7713483B2 (en) Portable filter cap
US8216462B2 (en) Portable drinking water purification device
US20050035041A1 (en) Hollow fiber membrane filters in various containers
US6919025B2 (en) Portable drinking device
US200502797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filtered liquid
US20090145839A1 (en) Water Bottle with Filtration Feature
RU232852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и очистки жидкого продукта
WO2006107890A1 (en) Water filt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formance
CA3045928A1 (en) Adaptive drinking bottle
US20150014252A1 (en) Water bottle coupled with filtration device
KR19990027173A (ko) 휴대용 정수기
GB2329852A (en) Portable water filter with movable filter element
CA2411861A1 (en) Water filtering device
JPH10211954A (ja) 水処理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のカートリッジと飲料ボトルとの組合せ構造ならびにこの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水処理方法
KR0133567Y1 (ko) 휴대용 정수기
US20240139658A1 (en) Flow control device for fluid filter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