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276U - Lifting device in disk tray - Google Patents

Lifting device in disk 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276U
KR19990026276U KR2019970038810U KR19970038810U KR19990026276U KR 19990026276 U KR19990026276 U KR 19990026276U KR 2019970038810 U KR2019970038810 U KR 2019970038810U KR 19970038810 U KR19970038810 U KR 19970038810U KR 19990026276 U KR19990026276 U KR 199900262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main body
seating
disk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81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병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38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276U/en
Publication of KR199900262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276U/en

Link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내에서 외부로 취출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상에 디스크가 안착되는 디스크 안착부가 구비된 디스크 트레이;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디스크 안착부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관통공에 인입하여 상기 디스크 안착부가 본체부로부터 승강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양 측이 지지되며, 상기 디스크 안착부의 아랫면에 길이 방향으로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디스크 안착부를 상방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토오션 바아 스프링;을 포함하는 디스크 트레이의 승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크 안착부의 아랫면에 설치되는 탄성 바이어스 수단을 토오션 바아 스프링으로 변경함으로써 디스크 안착부의 승강 운동이 용이하면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portion; A disc tray including a main body portion formed to be retractable from the housing portion to the outside, and a disc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disc is seated on the main body portion; A guide part which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nd guides the disc seating part to be liftable from the main body part by enter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isc seating part; And a torsion bar spring which is supported at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isk seating por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elastically bias the disk seating portion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The device relates to an elastic biasing means provided on the underside of the disc seating portion with a torsion bar spring, so that the lifting movement of the disc seating portion can be easily and elastically supported.

Description

디스크 트레이의 승강 장치Lifting device in disk tray

본 고안은 디스크 트레이의 승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디스크 트레이를 지지하는 탄성 바이어스 수단의 구조가 개선된 디스크 트레이의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 tray lif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c tray lift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an elastic biasing means for supporting a disc tray.

통상적으로 디스크 플레이어는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k,CD)나 디지털 비데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DVD) 등의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다. 이러한 디스크 플레이어에는 기록 매체를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디스크 트레이(disk tray)가 장착된다.In general, a disc player is a device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compact disk (CD) or a digital video disk (DVD) or reproducing the recorded information. Such a disc player is equipped with a disc tray for taking out a recording medium to the outside.

도 1은 종래의 디스크 플레이어(10)에 채용된 디스크 트레이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 disc tray employed in a conventional disc player 10.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10)는 하우징부(11)가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부(11)에는 회전력을 공급하는 스핀들 모우터부(12)가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 모우터부(12)에는 턴테이블 조립체(13)가 장착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isc player 10 is provided with a housing portion 11. The housing unit 11 is provided with a spindle motor unit 12 for supplying rotational force, and the spindle motor unit 12 is equipped with a turntable assembly 13.

상기 턴테이블 조립체(13)는 상기 스핀들 모우터부(12)의 동력 인출축에 결합되는 턴테이블 본체(13a)와, 상기 턴테이블 본체(13a)의 상면에 설치되어 디스크가 접촉시 완충 역할을 하는 패드(13b)와, 상기 턴테이블 본체(13a)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하여 설치되는 자성체(13c)로 구성된다.The turntable assembly 13 is a turntable main body 13a coupled to the power take-off shaft of the spindle motor part 12 and a pad 13b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urntable main body 13a to cushion a disk when the disk contacts. ) And a magnetic body 13c installed through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turntable main body 13a.

상기 턴테이블 조립체(13)의 상부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디스크 트레이(14)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14)는 상기 하우징부(11)의 측벽부를 따라서 형성된 가이드 홈부(11a)내를 활주하여 취출가능하다.The disc tray 14 is installed on the turntable assembly 1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disc tray 14 can be taken out by sliding in the guide groove portion 11a formed along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11.

그리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14)에는 본체부(14a)가 마련되고, 본체부(14a)에는 디스크가 장착되는 디스크 안착부(14b)가 마련된다. 상기 디스크 안착부(14b)의 가장자리측에는 복수개의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21)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14a)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한 가이드부(14c)가 인입된다.The disc tray 14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portion 14a, and the main body portion 14a is provided with a disc seating portion 14b on which a disc is mounte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1 are formed at the edge side of the disc seating portion 14b, and the guide portions 14c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4a through the through holes 21 are formed. It is pulled in.

상기 가이드부(14c)의 외주면에는 상기 디스크 안착부(14b)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복수개의 탄성 바이어스 수단(14d), 예컨대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는데, 이것은 상기 본체부(14a)의 바닥면과 디스크 안착부(14b)의 아랫면사이에 개재된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14c, a plurality of elastic biasing means 14d, for example, coil springs, are install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disk seating portion 14b, which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4a and the disk. It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s of the seating part 14b.

또한, 상기 디스크 트레이(14)는 본체부(14a) 상면의 소정 부위에 상기 디스크 안착부(14b)가 탄성 바이어스 수단(14d)의 탄성력으로 상승시 이를 적절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4e)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disc tray 14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14e for pressing the disc seat 14b to an appropriate pressure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4a when the disc seating portion 14b is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iasing means 14d. Is installed.

한편, 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디스크 트레이(14)의 상부에는 금속재의 클램프가 부착된 클램프 홀더가 설치되고, 이것은 상기 턴테이블 조립체(13)의 자성체(13c)에 의하여 상호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디스크 트레이(14)를 지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clamp holder with a metal clamp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 tray 14,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magnetic material 13c of the turntable assembly 13. The tray 14 is supported.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디스크 플레이어는 디스크가 안착된 디스크 트레이(14)가 이송되어 상기 턴테이블 조립체(13)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클램프 홀더가 아랫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어 상기 자성체(13c)의 자력에 의하여 상호 부착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는 클램프 홀더와 턴테이블 조립체(13)에 의하여 동시에 상하부가 가압되여 고정된다.In the conventional disc play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isc tray 14 on which the disc is seated is transferred and positioned on the turntable assembly 13. Subsequently, the clamp holders are lowered downward to be attached to each other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body 13c. Accordingly, the disk is pressed by the clamp holder and the turntable assembly 13 at the same time and fixed.

이어서, 디스크는 상기 스핀들 모우터부(1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 조립체(13)와 동시에 회전하면서 광 픽업부에 의해서 디스크내에 저장된 정보를 재생하게 된다.The disc then rotates simultaneously with the turntable assembly 13 by the rotation of the spindle motor portion 12 to reproduc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isc by the optical pickup portion.

여기에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14)는 탄성 바이어스 수단(14d)에 의하여 지지된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14)가 상기 턴테이블 조립체(13) 상에 이동하고, 이어서 그 상부에 클램프 홀더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디스크 트레이(14)는 그 아랫면에 설치된 탄성 바이어스 수단(14d)의 압축력을 받으면서 아랫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Here, the disc tray 14 is supported by the elastic biasing means 14d. That is, as shown in Fig. 2, when the disc tray 14 moves on the turntable assembly 13, and then the clamp holder is lowered on the top thereof, the disc tray 14 is elastically biased at its lower surface. It moves downward while receiving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means 14d.

이때, 상기 디스크 트레이(14)에는 상기 본체부(14a)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한 가이드부(14c)가 인입될 수 있는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디스크 트레이(14)가 이동시 가이드부(14c)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부를 제공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through hole 21 through which the guide portion 14c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4a is formed in the disc tray 14, the disc tray 14 is guided when the disc tray 14 moves. It will provide a passage portion through which the portion 14c can pass.

이로써, 상기 디스크 트레이(14)는 상기 본체부(14a)의 바닥면과 디스크 안착부(14b)의 아랫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2) 내에서 상기 탄성 바이어스 수단(14d)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승강 운동이 가능하다.Thus, the disc tray 14 is elastically lifted and lowered by the elastic bias means 14d in the space portion 22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4a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k seating portion 14b. Exercise is possible.

이어서, 디스크가 취출될 경우에는 상기의 경우와 반대로 클램프 홀더와 디스크 트레이(14)가 연속적으로 상승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크 트레이(14)는 그 아랫면에 지지되는 탄성 바이어스 수단(14d)의 탄성력으로 윗 방향으로 튀어 오르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disc is taken out, the clamp holder and the disc tray 14 are continuously lifted up as opposed to the above cases. At this time, the disc tray 14 is spring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iasing means 14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그런데, 종래의 디스크 트레이(14)의 승강 장치는 상기 탄성 바이어스 수단(14d)이 무리하게 압축 하중을 받을 경우에는 스프링이 휘는 버클링 현상(buckling)이 발생하여 탄성 바이어스 수단(14d)이 제 기능을 못할 수가 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lifting device of the disc tray 14, when the elastic biasing means 14d is excessively subjected to a compressive load, a spring buckling occurs and the elastic biasing means 14d functions properly. You may not be able to.

또한, 상기 가이드부(14c)의 하단에 형성된 보스에 상기 탄성 바이어스 수단(14d)이 끼이게 되어 상기 디스크 안착부(14b)의 상승 작용을 방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lastic biasing means 14d is caught in the bos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portion 14c, thereby preventing the synergistic action of the disk seat 14b.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디스크 트레이의 하부에 설치되는 탄성 바이어스 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승강 운동이 용이한 디스크 트레이의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device of a disk tray, which is easy to move up and down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elastic bias mean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disk tray.

도 1은 종래의 디스크 트레이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1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isc tray,

도 2는 도 1의 디스크 트레이를 도시한 정면도이고,FIG. 2 is a front view of the disc tray of FIG. 1;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도 3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채용된 디스크 트레이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4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c tray employed in the disc player of FIG. 3 is not pressurized,

도 4b는 도 3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채용된 디스크 디스크 트레이가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4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disc disc tray employed in the disc player of FIG. 3 is press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30. 디스크 플레이어 11,31. 하우징부10,30. Disc player 11,31. Housing part

11a. 가이드 홈부 12,32. 스핀들 모우터부11a. Guide groove 12,32. Spindle motor part

13,33. 턴테이블 조립체 13a,33a. 턴테이블 본체13,33. Turntable assembly 13a, 33a. Turntable body

13b,33b. 패드 13c,33c. 자성체13b, 33b. Pad 13c, 33c. Magnetic material

14,34. 디스크 트레이 14a,34a. 본체부14,34. Disc trays 14a, 34a. Main body

14b,34b. 디스크 안착부 14c,34c. 가이드부14b, 34b. Disc seat 14c, 34c. Guide part

14d,40. 탄성 바이어스 수단 14e,34e. 가압부14d, 40. Elastic bias means 14e, 34e. Pressurization

21,41. 관통공 22,42. 공간부21,41. Through hole 22,42. Space

35. 클램프 홀더 35a. 클램프35. Clamp Holder 35a. clamp

36. 광 픽업부 43. 돌기부36. Optical pickup 43. Protrusion

40a. 탄성부 40b. 접촉부40a. Elastic portion 40b. Cont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디스크 트레이의 승강 장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내에서 외부로 취출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상에 디스크가 안착되는 디스크 안착부가 구비된 디스크 트레이;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디스크 안착부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관통공에 인입하여 상기 디스크 안착부가 본체부로부터 승강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양 측이 지지되며, 상기 디스크 안착부의 아랫면에 길이 방향으로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디스크 안착부를 상방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토오션 바아 스프링;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isc tray lif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art; A disc tray including a main body portion formed to be retractable from the housing portion to the outside, and a disc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disc is seated on the main body portion; A guide part which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nd guides the disc seating part to be liftable from the main body part by enter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isc seating part; And a torsion bar spring which is supported at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in longitudinal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isk seating portion to elastically bias the disk seating portion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트레이의 승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ifting device of the disc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30)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3 shows an example of a disc play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30)에는 하우징부(31)가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부(31)에는 회전력을 공급하는 스핀들 모우터부(32)가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 모우터부(32)에는 턴테이블 조립체(33)가 결합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disc player 30 is provided with a housing part 31. The housing unit 31 is provided with a spindle motor unit 32 for supplying rotational force, and the turntable assembly 33 is coupled to the spindle motor unit 32.

상기 턴테이블 조립체(33)는 상기 스핀들 모우터부(32)의 동력 인출축에 결합되는 턴테이블 본체(33a)와, 상기 턴테이블 본체(33a)의 상면에 부착되는 패드(33b)와, 상기 턴테이블 본체(33a)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하여 결합되는 자성체(33c)를 구비한다.The turntable assembly 33 includes a turntable body 33a coupled to a power take-off shaft of the spindle motor part 32, a pad 33b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turntable body 33a, and the turntable body 33a. It is provided with a magnetic body (33c) is coupled through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상기 턴테이블 조립체(33)의 상부에는 하우징부(31)로부터 취출되는 디스크 트레이(34)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크 트레이(34)에는 본체부(34a)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부(34a) 상에는 디스크가 장착되는 디스크 안착부(34b)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크 안착부(34b)의 가장자리측에는 관통공(41)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34a)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한 가이드부(34c)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부를 제공한다.The disc tray 34 which is taken out from the housing part 31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turntable assembly 33. The disc tray 34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34a, and a disc seating portion 34b on which the disc is mounted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34a. A through hole 41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disc seating portion 34b to provide a passage portion through which the guide portion 34c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4a can pass.

그리고, 상기 디스크 트레이(34)는 본체부(34a) 상면의 소정 부위에 가압부(34e)가 마련되는데, 이것은 상기 디스크 안착부(34b)가 승강할 때 디스크 트레이(34)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일정한 압력으로 눌러주게 된다.In addition, the disc tray 34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34e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4a, which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disc tray 34 when the disc seating portion 34b is elevated. Press at a constant pressure to avoid pressure.

한편, 상기 디스크 트레이(34)의 상부에는 클램프 홀더(35)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 홀더(35)에는 금속재로 된 클램프(35a)가 결합되어 상기 턴테이블 조립체(33)의 자성체(33c)의 자력에 의하여 착탈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31)의 중앙부에는 왕복 운동을 하며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광 픽업부(36)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amp holder 35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disc tray 34. A clamp 35a made of metal is coupled to the clamp holder 35 so that the clamp holder 35 is detachabl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body 33c of the turntable assembly 33.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31, there is provided an optical pickup portion 36 which reciprocates and reproduces data recorded on the disc.

여기에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34)의 아랫면에는 도 4a와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탄성 바이어스 수단(34d)이 설치된다.Here,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 tray 34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iasing means 34d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상기 디스크 안착부(34b)가 상기 탄성 바이어스 수단(40)에 의하여 가압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상기 디스크 안착부(34b)가 상기 탄성 바이어스 수단(40)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4A shows a state where the disc seat 34b is not pressed by the elastic biasing means 40, and FIG. 4B shows that the disc seat 34b is pressed by the elastic biasing means 40. FIG. It shows the state.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34a)의 바닥면과 상기 디스크 안착부(34a)의 아랫면 사이에는 디스크 안착부(34a)가 승강 운동할 수 있는 공간부(42)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42)를 따라 본체부(34a)의 양 측벽부에는 상호 대응되게 복수개의 돌기부(43)가 형성되어 있다.4A and 4B, a space portion 42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4a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 seating portion 34a to allow the disc seating portion 34a to move up and down. A plurality of protrusions 43 are formed on both sidewalls of the main body 34a along the space 42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상기 돌기부(43)에는 탄성 바이어스 수단(40)이 설치된다. 즉, 상기 탄성 바이어스 수단(40)은 그 단부가 상기 돌기부(43)에 각각 고정되어 탄성 바이어스되는 탄성부(40a)와, 상기 탄성부(40a)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디스크 안착부(34a)의 아랫면에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 안착부(34a)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접촉부(40b)를 구비한다.The protrusion 43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iasing means 40. That is, the elastic biasing means 40 has an end portion of which is fixed to the projection portion 43 and elastically biased to the elastic portion 40a, and extends from the elastic portion 40a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k seating portion 34a And a contact portion 40b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disc seating portion 34a in contact with the.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탄성 바이어스 수단(40)은 상기 본체부(34a) 의 양 측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각각의 탄성 바이어스 수단(40)은 비틀림력을 이용하는 봉상의 토오션 바아 스프링(torsion bar spring)인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plurality of elastic bias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34a, each of the elastic bias means 40 is a rod-shaped torsion bar spring (torsion bar spring) using a torsional force Is preferabl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트레이(34)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disc tray 3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디스크가 안착된 디스크 트레이(34)가 이송되어 상기 턴테이블 조립체(33)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클램프 홀더(35)가 아랫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클램프 홀더(35)에 구비된 클램프(35a)가 상기 턴테이블 조립체(33)의 자성체(33c)에 자력에 의하여 상호 부착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는 상기 턴테이블 조립체(33)와 클램프 홀더(35)에 의하여 상하부가 가압되여 고정된다.The disc tray 34 on which the disc is seated is transported and placed on the turntable assembly 33. Subsequently, the clamp holder 35 is lowered downward, and the clamps 35a provided in the clamp holder 35 are mutually attached to the magnetic body 33c of the turntable assembly 33 by magnetic force. Accordingly, the disk is pressed by the turntable assembly 33 and the clamp holder 35 to be fixed.

이어서, 디스크는 상기 스핀들 모우터부(32)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 조립체(33)와 동시에 회전하면서 광픽업부(36)가 디스크내에 저장된 정보를 재생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disc is rotated simultaneously with the turntable assembly 33 by the spindle motor part 32 so that the optical pickup part 36 reproduce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isc.

여기에서, 상기 디스크 안착부(34b)는 탄성 바이어스 수단(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즉,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 안착부(34b)는 그 아랫면에 복수개의 탄성 바이어스 수단(40)이 각각 접촉하고 있다. 이어서, 상기 디스크 안착부(34b)가 하강 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디스크 트레이(34)는 상기 탄성 바이어스 수단(40)의 비틀림 탄성력으로 인하여 일정한 압력하에 놓여지게 된다.Here, the disk seat 34b is supported by the elastic bias means 40. That is, as shown in Fig. 4A, a plurality of elastic biasing means 40 are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isk seat 34b. Subsequently, when the disc seating portion 34b moves downward, the disc tray 34 is placed under a constant pressure due to the torsional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iasing means 40.

도 4b에서처럼, 상기 디스크 안착부(34b)가 아랫 방향으로 이동시 그 아랫면에 작용하는 상기 탄성 바이어스 수단(40)은 압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41)을 통하여 가이드부(34c)가 안내되므로 상기 디스크 안착부(34b)는 탄성력이 걸린 상태로 아랫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B, when the disc seat 34b moves downward, the elastic bias means 40 acting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is compressed. In addition, since the guide part 34c is guided through the through hole 41, the disc seating part 34b moves downward while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이어서, 디스크가 취출될 경우에는 상기의 경우와 반대로 클램프 홀더(35)와 디스크 트레이(34)가 연속적으로 상승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크 안착부(34b)는 그 아랫면에 지지되는 탄성 바이어스 수단(40)의 탄성력으로 윗 방향으로 튀어 올라 원상태로 복원된다.Subsequently, when the disc is taken out, the clamp holder 35 and the disc tray 34 continuously move upward as opposed to the above case. At this time, the disc seating portion 34b is rebounded to the original state by jumping upward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ias means 40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디스크 트레이의 승강 장치는 디스크 안착부의 아랫면에 설치되는 탄성 바이어스 수단을 토오션 바아 스프링으로 변경함으로써 디스크 안착부의 승강 운동이 용이하면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vating device of the disc tra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nd elastically support the elevating motion of the disc seat by changing the elastic bias mean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 seat to a torsion bar spring.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

하우징부;A housing part; 상기 하우징부내에서 외부로 취출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상에 디스크가 안착되는 디스크 안착부가 구비된 디스크 트레이;A disc tray including a main body portion formed to be retractable from the housing portion to the outside, and a disc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disc is seated on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디스크 안착부의 소정 부위에 형성된 관통공에 인입하여 상기 디스크 안착부가 본체부로부터 승강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A guide part which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nd guides the disc seating part to be liftable from the main body part by enter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isc seating part; And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양 측이 지지되며, 상기 디스크 안착부의 아랫면에 길이 방향으로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디스크 안착부를 상방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토오션 바아 스프링;을 포함하는 디스크 트레이의 승강 장치.Both sides are support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 torsion bar spring for elastically biasing the disc seating portion upwar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isk seating portion; lifting device of a disk tray including a .
KR2019970038810U 1997-12-19 1997-12-19 Lifting device in disk tray KR1999002627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810U KR19990026276U (en) 1997-12-19 1997-12-19 Lifting device in disk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810U KR19990026276U (en) 1997-12-19 1997-12-19 Lifting device in disk tr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276U true KR19990026276U (en) 1999-07-15

Family

ID=6969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810U KR19990026276U (en) 1997-12-19 1997-12-19 Lifting device in disk t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276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8412B2 (en) Clamper and disk drive with the same
US6349084B1 (en) Flexible support device
KR100408394B1 (en) An optical disk drive
JP4294616B2 (en) Slot-in type disk unit
US6016249A (en) Housing unit
KR19990026276U (en) Lifting device in disk tray
US20050081225A1 (en) Pick-up holder and drive unit for recording medium
JP2950743B2 (en) Spindle assembly of disk player and positioning device for positioning pin
JPH0836819A (en) Turntable of disk player capable of being used for both minidisk and compact disk
JP2004152388A (en) Traverse unit of disk apparatus
US7013474B2 (en) Disk drive apparatus having movably-positioned vibration-absorbing member
JPH09251769A (en) Optical disk device
KR970005025B1 (en) Disk clamp
KR960014392B1 (en) Disk clamper for ldp
KR200280139Y1 (en) Optical disk drive
JP2538502Y2 (en) Positioning mechanism
KR940001746Y1 (en) Disk clamp device of optical disk player
JP3427666B2 (en) Disk unit
KR200160883Y1 (en) Disk chucking device of disk player
KR940009468B1 (en) Disc clamping apparatus for optical disc player
JP2003006971A (en) Disk device
US20040212925A1 (en) Disc device
JP3427681B2 (en) Disk unit
KR19980050843U (en) Rotating vibration damper of auto changer
KR100468746B1 (en) Disc clamping apparatus and disc drive u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