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838U - Arrangement Structure of Passenger Seat for Low-floor Bus - Google Patents

Arrangement Structure of Passenger Seat for Low-floor B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838U
KR19990025838U KR2019970038363U KR19970038363U KR19990025838U KR 19990025838 U KR19990025838 U KR 19990025838U KR 2019970038363 U KR2019970038363 U KR 2019970038363U KR 19970038363 U KR19970038363 U KR 19970038363U KR 19990025838 U KR19990025838 U KR 199900258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loor
low
reverse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3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8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838U/en
Publication of KR199900258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838U/en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상버스용 승객시트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저상버스(110)의 실내(112) 바닥(114)으로는 창문(120)에 인접된 위치가 되도록 다수개의 승객시트(130)를 일렬 종대형으로 연속 배열하고, 상기 바닥(114)에 돌출된 타이어 하우징(116)의 표면에는 앞 암레스트(152)가 장착된 정방향 시트(150)를 주발판(140)과 함께 배치하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하우징(116)의 표면에는 상기 정방향 시트(150)와 대향된 방향으로 뒤 암레스트(162)가 설치된 역방향 시트(160)를 장착하고, 그 역방향 시트(160)의 후방에는 보조발판(170)을 장착함으로써, 저상버스의 실내 바닥으로 돌출 형성된 타이어 하우징의 표면으로 정방향 시트만을 설치하는 대신, 역방향 시트를 추가하여 설치하여 그 역방향 시트가 설치된 만큼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역방향 시트만큼 승객들이 착석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객들에게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줄 수 있는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assenger seat for low-floor bus, the interior 112 of the low-floor bus 110, the floor 114, a plurality of passenger seats 130 in a row adjacent to the window 120 in a row In the longitudinal arrangement, the front surface of the tire housing 116 protruding from the bottom 114, the front seat 150 with the front armrest 152 is arranged to be disposed together with the main plate 140 On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116, a reverse seat 160 having a rear armrest 162 is moun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orward seat 150, and an auxiliary footres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everse seat 160. 170), instead of installing only the forward seat to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protruding to the interior floor of the low-floor bus, it is possible to install by adding a reverse seat to make use of the space as much as the reverse seat is installed.Because customers can be seated, it is designed to give a more comfortable ride for passengers.

Description

저상버스용 승객시트의 배치구조Arrangement Structure of Passenger Seat for Low-floor Bus

본 고안은 저상버스용 승객시트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상버스의 실내 바닥으로는 창문에 인접된 위치가 되도록 다수개의 승객시트를 일렬 종대형으로 연속 배열하고, 상기 바닥에 돌출된 타이어 하우징의 표면에는 앞 암레스트가 장착된 정방향 시트를 주발판과 함께 배치하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하우징의 표면에는 상기 정방향 시트와 대향된 방향으로 뒤 암레스트가 설치된 역방향 시트를 장착하고, 그 역방향 시트의 후방에는 보조발판을 장착함으로써, 저상버스의 실내 바닥으로 돌출 형성된 타이어 하우징의 표면으로 정방향 시트만을 설치하는 대신, 역방향 시트를 추가하여 설치하여 그 역방향 시트가 설치된 만큼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역방향 시트만큼 승객들이 착석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객들에게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줄 수 있는 저상버스용 승객시트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passenger seat for a low-floor bus, and in particular, the interior floor of the low-floor bus continuously arranges a plurality of passenger seats in a line-to-large fashion so as to be positioned adjacent to a window, and the tire housing protrudes from the floor. In the surface of the front seat is mounted with the front seat restoring the main foot plate,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is mounted to the reverse seat with the rear armres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orward seat, the reverse seat By installing an auxiliary scaffold at the rear of the vehicle, instead of installing only the forward seat on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protruding to the interior floor of the low-floor bus, it is possible to install by adding a reverse seat to utilize the space as much as the reverse seat is installed. More comfortable for passengers, as passengers can sit as much as the reverse sea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passenger seat for a low-floor bus that can give a ride.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최저 지상고가 낮게 된 저상버스와 최저 지상고가 높은 고상버스로 나뉘게 되는 데, 이중 전자는 아스팔트나 시멘트로 된 평탄한 시내도로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승객들의 승·하차시 편리함을 주기 위한 것으로, 이는 주로 시내버스에 해당되는 것이고, 후자는 노면이 불규칙한 비포장길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만일에 발생하지 못할 충돌에 의해 언더바디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이는 시외버스나 관광버스 및 고속버스에 해당한다.In general, buses are divided into low-floor buses with the lowest ground clearance and high-floor buses with the lowest ground clearance. The former electronics are designed for driving on flat city roads made of asphalt or cement, providing convenience for passengers getting on and off. This is mainly for city buses, and the latter is designed to prevent the underbody from being damaged by collisions that could not occur if the road surface was made to run on irregular dirt roads. It corresponds to intercity bus, sightseeing bus and express bus.

이처럼 제작된 것들 중 저상버스는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언더바디가 최대한 지상과 근접된 위치에 놓여 있기 때문에 이로인해 발생될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설계를 해야만 한다. 이러한 저상버스의 경우 그 실내에 장착된 시트의 배치 구조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잘 나타나 있다.The low-floor buses, as described above, must be designed to prevent damage to the components that will occur because the underbody is located as close to the ground as possible. In the case of such a low-floor bu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eat mounted therein is well illustrated in FIG. 1.

도 1은 종래 저상버스용 승객시트의 배치 상태도이다.1 is a layout view of a passenger seat for a conventional low-floor bus.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상버스(10)의 실내(12) 바닥(14)으로는 창문(20)에 인접된 위치가 되게 다수개의 승객시트(30)를 일렬 종대형으로 연속 배열하되, 상기 바닥(14)의 상부로 돌출된 타이어 하우징(16) 표면에는 다른 승객시트(30) 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정방향 시트(5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정방향 시트(50)의 전방측 바닥(14)에는 주발판(40)을 설치하고 있었다.As shown in the floor 12 of the interior bus 12 of the low-floor bus 10, a plurality of passenger seats 30 are arranged continuously in a row vertically to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window 20, the floor ( On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16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14), the forward seat 50 is provided so as to be higher than other passenger seats 30, and the front bottom 14 of the forward seat 50 The footrest 40 was provided.

이때 상기 정방향 시트(50)는 다른 승객시트(30)와 마찬가지로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었다.At this time, the forward seat 50 was disposed to face forward like the other passenger seat 30.

특히, 상기 정방향 시트(50)에는 다른 승객시트(40)와는 달리 앞 암레스트(52)가 장착되어 있고, 그 앞 암레스트(52)는 비교적 높이가 높은 정방향 시트(50)에 착석한 탑승자의 낙하 위험을 예방토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다시말해, 상기 정방향 시트(50)에 착석한 탑승자가 버스의 코너링시의 원심력이나, 기타의 원인에 의해 탑승자가 낙하되는 것을 앞 암레스트(52)가 제어해 주었다.In particular, the forward seat 50 is mounted on the forward seat 50, unlike the other passenger seat 40, and the front arm rest 52 is mounted on the forward seat 50 of a relatively high height. It was to prevent the risk of falling. In other words, the front armrest 52 controls that the occupant seated on the forward seat 50 falls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during cornering of the bus or other causes.

이러한 구조로 된 종래에는 상기 타이어 하우징(16)의 표면으로 장착된 정방향 시트(50)는 다른 것들보다 비교적 높은 위치가 되므로, 그 높이를 최대한 낮게 해주기 위한 방편으로 정방향 시트(50)의 다리를 최대한 짧게 돌출 형성하여 장착될 수 있게 하고 있고, 그 정방향 시트(50)에 탑승자가 착석할 경우 다리를 놓을 마땅한 장소가 없어 그 다리를 타이어 하우징(16)의 표면에 그대로 올려 놓지만, 이는 불안한 자세가 되어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했었다. 그리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주발판(40)을 구비하여 장착함으로써 승객들의 편의를 도모했으마, 탑승감을 향상시킬 수 없었고, 상기 타이어 하우징(16)의 표면에는 하나의 정방향 시트(50)만을 장착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즉, 상기 타이어 하우징(16)의 표면에 비해 상기 정방향 시트(50)가 차지하는 면적이 적기 때문에, 그 정방향 시트(50)을 제외한 나머지의 면적만큼은 사용하지 못해 공간 활용상 비효율적인 면이 있었다.In the related art, since the forward seat 50 mounted to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16 has a relatively higher position than others, the leg of the forward seat 50 is maximized as a way to keep the height as low as possible. It has a short protruding shape so that it can be mounted, and when the occupant is seated on the forward seat 50, there is no suitable place to place the leg, so that the leg i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16 as it is, but this is an unstable postu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ide comfort is reduce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ut equipped with a separate main footrest 40 provid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s, it was not possible to improve the comfort, one forward seat 50 on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16 Problems such as poor space utilization due to the mounting of the bay. That is, since the area occupied by the forward seat 5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16,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forward seat 50 may not be used, resulting in inefficient space utilization.

본 고안의 과제는 저상버스의 실내 바닥으로 돌출 형성된 타이어 하우징의 표면으로 정방향 시트만을 설치하는 대신, 역방향 시트를 추가하여 설치함으로써, 그 역방향 시트가 설치된 만큼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역방향 시트만큼 승객들이 착석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객들에게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줄 수 있게 된저상버스용 승객시트의 배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by installing a reverse seat instead of installing only the forward seat on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protruding to the indoor floor of the low-floor bus, the reverse seat can be used to utilize the space as much as the reverse seat is installed, Since passengers can be seat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rangement structure of passenger seats for low-floor buses that can give passengers a more comfortable ride.

이러한 본 고안은 저상버스의 실내 바닥으로는 창문에 인접된 위치가 되도록 다수개의 승객시트를 일렬 종대형으로 연속 배열하고, 상기 바닥에 돌출된 타이어 하우징의 표면에는 앞 암레스트가 장착된 정방향 시트를 주발판과 함께 배치하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하우징의 표면에는 상기 정방향 시트와 대향된 방향으로 뒤 암레스트가 설치된 역방향 시트를 장착하고, 그 역방향 시트의 후방에는 보조발판을 장착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passenger seats arranged in a row vertically and vertically so that the interior floor of the low-floor bus is adjacent to the window, and the front seat with the front armrest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protruding from the floor. In arrangement with the main footboard, the tire housing is achieved by mounting a reverse seat provided with a rear armres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orward seat, and attaching an auxiliary footboard to the rear of the reverse seat.

도 1은 종래 저상버스용 승객시트의 배치 상태도이다.1 is a layout view of a passenger seat for a conventional low-floor bus.

도 2는 본 고안 저상버스용 승객시티의 배치 상태도이고,2 is a layout view of the passenger city for the present invention low-floor bus,

도 3은 본 고안 저상버스용 승객시트에 승객이 착성한 상태의 요부확대 측면도이다.Figure 3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assenger seated on the passenger seat for the low-floor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10 : 저상버스 112 : 실내110: low floor bus 112: indoor

114 : 바닥 116 : 타이어 하우징114: bottom 116: tire housing

120 : 창문 130 : 승객시트120: window 130: passenger seat

140 : 주발판 150 : 정방향 시트140: main board 150: forward sheet

152 : 앞 암레스트 160 : 역방향 시트152: front armrest 160: reverse seat

162 : 뒤 암레스트 170 : 보조발판162: rear armrest 170: auxiliary footrest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고안 저상버스용 승객시티의 배치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저상버스용 승객시트에 승객이 착성한 상태의 요부확대 측면도이다.2 is a layout view illustrating a passenger city for the low-floor b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assenger seat on the low-bus bus passenger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 저상버스용 승객시트의 배치구조에 있어서, 저상버스(110)의 실내(112)에는 창문(120)에 인접된 위치가 되게 다수개의 승객시트(130)를 다수개 일렬 종대형으로 연속 배열한다.As shown in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assenger seat for the low floor bus, the interior 112 of the low floor bus 110, a plurality of passenger seats 130 in a row to be adjacent to the window 120 in a row Continuously arranged in large and large.

상기 바닥(114)에 돌출된 타이어 하우징(116)의 표면에는 앞 암레스트(152)가 장착된 정방향 시트(150)를 주발판(140)과 함께 배치한다. 그 주발판(140)은 정방향 시트(150) 전방의 바닥(114)을 설치되는 것이다.On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116 protruding from the bottom 114, a forward seat 150 on which the front armrest 152 is mounted is disposed together with the main foot plate 140. The main foot plate 140 is provided with the bottom 114 in front of the forward seat 150.

상기 타이어 하우징(116)의 표면에는 상기 정방향 시트(150)와 대향된 방향으로 뒤 암레스트(162)가 설치된 역방향 시트(160)를 장착한다.On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116 is mounted a reverse seat 160, the rear armrest 162 is install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orward seat 150.

그 역방향 시트(160)의 후방에는 보조발판(170)을 장착한다. 그 보조발판(170)은 상기 주발판(140)과 마찬가지로 위치만 다르게 바닥(114)을 설치된다.The auxiliary scaffold 170 is mounted to the rear of the reverse seat 160. The auxiliary scaffold 170 is provided with a bottom 114 differently from the position just like the main scaffold 140.

이와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 저상버스용 승객시트의 배치구조에 대한 작용은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The action of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assenger seat seat for the present invention low-floor bus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저상버스(110)는 비교적 평탄한 도로인 아스팔트나 시멘트 포장길에서 이용하도록 제작한 것으로, 이는 주로 시내 버스에 해당되는 것으로, 많은 승객이 비교적 짧은 거리를 주행하면서, 승객이 수시로 승하차할 때 편리함을 추구할 수 있다는 잇점은 갖고 있지만, 상기 저상버스(110)는 차고가 낮은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차체의 언더바디가 지면으로 돌출된 부분과 부딪힘을 방지하고자 상기 저상버스(110)의 바닥(114)에는 타이어 하우징(116)이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다른 부분은 문제가 없지만 앞서와 같이 바닥(114)으로 돌출 형성된 타이어 하우징(116)의 표면으로 설치되는 시트의 공간 활용에 문제가 발생했었다.In other words, the low-floor bus 110 is manufactured to be used on a relatively flat road asphalt or cement pavement, which is mainly a city bus, while many passengers travel a relatively short distance, it is convenient for passengers to get on and off often. Although it has the advantage of pursuing, the low-floor bus (110) due to a special low-garage situation, the bottom of the low-floor bus (110) 114 to prevent the underbody of the vehicle body and projecting to the ground portion The tire housing 116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ccordingly, there is no problem in other parts, but as described above, there has been a problem in utilizing the space of the seat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116 protruding to the bottom 114.

여기서, 상기 저상버스(110)의 바닥(114)으로는 다수개의 승객시트(130)가 장착되는 데, 그 승객시트(130)의 설치 상태를 볼 때 실내(112)의 양측 창문(120)에 인접된 위치에 다수개의 승객시트(130)를 일렬 종대형으로 연속 배열된다. 이때 상기 바닥(114)의 표면으로 돌출 형성된 타이어 하우징(116)에는 기존에서와 같이 정방향 시트(150)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 정방향 시트(150)의 전방측 바닥(114)에는 주발판(140)을 설치한 다음, 상기 정방향 시트(150)의 탑승자들의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Here, a plurality of passenger seats 130 are mounted on the bottom 114 of the low-floor bus 110, and both side windows 120 of the interior 112 are viewed when the passenger seats 130 are installed. A plurality of passenger seats 130 are arranged in series in a row-to-row format at adjacent positions. In this case, the tire housing 116 protruding to the surface of the bottom 114 is mounted with the forward seat 150 as in the prior art, and the main foot plate 140 is disposed at the front bottom 114 of the forward seat 150. After the installation, the foot of the passengers of the forward seat 150 is to be placed.

이때, 상기 바닥(114)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타이어 하우징(116) 표면으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역방향 시트(160)를 설치하게 된다. 그 설치 상태를 볼 때 상기 정방향 시트(150)의 시트백과 역방향 시트(160)의 시트백이 서로 면접된 상태로 한다. 이후 상기 역방향 시트(160)의 전방측 바닥(114)으로는 보조발판(170)을 설치한다. 그 보조발판(170)은 물론 역방향 시트(160)에 착석한 탑승자들의 발을 올려 놓을 수 있게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reverse seat 160 is installed to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to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116 protruding to the top of the bottom 114. In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the seatback of the forward seat 150 and the seatback of the reverse seat 160 are in a state of being interviewed with each other. Thereafter, the auxiliary footrest 170 is installed as the front bottom 114 of the reverse seat 160. The auxiliary footrest 170, as well as to allow the foot of the occupants seated on the reverse seat 160.

이렇게 정방향 시트(150)의 후방으로 역방향 시트(160)를 별도로 장착함으로써, 상기 타이어 하우징(116) 표면의 공간을 넓게 활용하고, 그 역방향 시트(160)의 개수만큼 탑승자들이 착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By mounting the reverse seat 160 separately to the rear of the forward seat 150 in this way, the space on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116 can be utilized widely, and the number of passengers can be seated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reverse seats 160. .

본 고안 저상버스용 승객시트의 배치구조에 따르면, 차고가 낮은 저상버스의 실내 바닥에는 양측 창문의 근접된 위치로 승객시트가 일렬 종대형으로 연속 배열되는 데, 이때 상기 바닥으로 돌출 형성된 타이어 하우징의 표면으로는 정방향 시트가 설치되는 동시에, 그 정방향 시트의 후방으로는 역방향 시트가 설치되고, 상기 정방향 시트와 역방향 시트의 전방측 바닥으로는 주발판과 보조발판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상기 정방향 시트는 물론 역방향 시트에 탑승자들이 각각 탑승한 후 이들의 발을 상기 주발판과 보조발판에 올려놓도록 함에 따라,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실내의 공간 활용면에서 크게 향상된 유용한 고안이다.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passenger seat seat structure for the low floor bus, the passenger seat seats are arranged in a row-to-large vertically adjacent to the windows of both lower windows on the floor of the low floor bus. The forward seat is provided on the surface, and the reverse seat is installed behind the forward seat, and the main and auxiliary footrests are provided on the front bottom of the forward seat and the reverse seat, respectively, so that the forward seat as well as the forward seat is installed. As the passengers ride on the reverse seats and then put their feet on the main and auxiliary footrests, it is a useful design that greatly improves the ride comfort of the occupants and improves the utilization of indoor space.

Claims (1)

저상버스(110)의 실내(112) 바닥(114)으로는 창문(120)에 인접된 위치가 되도록 다수개의 승객시트(130)를 일렬 종대형으로 연속 배열하고, 상기 바닥(114)에 돌출된 타이어 하우징(116)의 표면에는 앞 암레스트(152)가 장착된 정방향 시트(150)를 주발판(140)과 함께 배치하게 된 것에 있어서,The interior 112 floor 114 of the low floor bus 110 continuously arranges a plurality of passenger seats 130 in a line-to-large fashion so as to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window 120, and protrudes from the floor 114. In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116 to arrange the forward seat 150 with the front armrest 152 together with the main foot plate 140, 상기 타이어 하우징(116)의 표면에는 상기 정방향 시트(150)와 대향된 방향으로 뒤 암레스트(162)가 설치된 역방향 시트(160)를 장착하고, 그 역방향 시트(160)의 후방에는 보조발판(170)을 장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상버스용 승객시트의 배치구조.The reverse seat 160 provided with the rear armrest 162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tire housing 116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orward seat 150, and the auxiliary footrest 170 is located behind the reverse seat 160.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assenger seat for low-floor bu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KR2019970038363U 1997-12-19 1997-12-19 Arrangement Structure of Passenger Seat for Low-floor Bus KR1999002583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363U KR19990025838U (en) 1997-12-19 1997-12-19 Arrangement Structure of Passenger Seat for Low-floor B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363U KR19990025838U (en) 1997-12-19 1997-12-19 Arrangement Structure of Passenger Seat for Low-floor B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838U true KR19990025838U (en) 1999-07-05

Family

ID=69694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363U KR19990025838U (en) 1997-12-19 1997-12-19 Arrangement Structure of Passenger Seat for Low-floor B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838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42593U1 (en) COMPOSITION OF SEATS FOR PASSENGER VEHICLES AND COMPACT PASSENGER VEHICLES
CN101927710A (en) The mounting foot cover that is used for automobile seats
SE9502695L (en) Vehicles comprising a cassette compartment located adjacent to a dashboard
KR20040033150A (en) Front Seat Assembly for a Vehicle
JP4247786B2 (en) Car chassis
JP3503404B2 (en) Car floor structure
JP2008149823A (en) Body structure of vehicle
KR19990025838U (en) Arrangement Structure of Passenger Seat for Low-floor Bus
JP4349116B2 (en) Vehicle fuel tank arrangement structure
JP4565227B2 (en) Electric bus body structure
JPH06122336A (en) Seat device for automobile
JP4581388B2 (en) Lower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JP2023114424A (en) vehicle
KR19980047381U (en) Auxiliary seat installed in the wheel housing of the bus
CN213442781U (en) Vehicle framework containing transverse sleeping berth cabin and passenger car
JPS6117849Y2 (en)
CN116654113A (en) Passenger car
KR820002614Y1 (en) Druver&#39;s seat mounting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MXPA02012397A (en) A motor vehicle.
KR19980023832U (en) Seat installation structure of bus
JP2000351342A (en) Support structure of vehicular slide seat
KR200216711Y1 (en) Underbody structure of the car
JP2001260954A (en) Central two-story bus
CN2806229Y (en) Passenger car body with seats and berths
JPS5885731A (en) Rear floor carpet fit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