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605A - Karaoke score calculation system - Google Patents

Karaoke score calcul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605A
KR19990025605A KR1019970047298A KR19970047298A KR19990025605A KR 19990025605 A KR19990025605 A KR 19990025605A KR 1019970047298 A KR1019970047298 A KR 1019970047298A KR 19970047298 A KR19970047298 A KR 19970047298A KR 19990025605 A KR19990025605 A KR 19990025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core
memory means
compar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2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복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47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605A/en
Publication of KR19990025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605A/en

Links

Landscapes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육성을 기록 매체에 기록된 가수의 육성과 비교하여 점수를 계산하는 노래방 기기의 점수 계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독출 수단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에서 육성 신호와 반주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분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육성 신호가 기록되는 제 1 메모리수단과,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육성 신호가 기록되는 제 2 메모리수단과, 제 1 메모리 수단과 제 2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복수개의 육성 신호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그 차의 절대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비교부와, 제 1 메모리 수단과 제 2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복수개의 육성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차의 절대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비교부와, 주파수 비교부와 위상 비교부로부터 출력되는 복수개의 신호를 비교하여 소정의 처리 과정에 의하여 점수를 계산하는 점수 계산부를 포함하는 점수 계산 시스템에 의하여 보다 정확도 있는 점수 계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ore calculation system of a karaoke apparatus that calculates a score by comparing a user's development with that of a singer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and includes: a separation means for separating the growth signal and the accompaniment signal from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reading means. And a first memory means for recording a support signal output from the separating means, a second memory means for recording a user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and a plurality of recorded in the first memory means and the second memory means. A frequency comparison unit for comparing the frequencies of the growing signals and outputting signals according to the absolute values of the differences, and comparing the phases of the plurality of growing signals recorded in the first memory means and the second memory means, and comparing the signals according to the absolute values of the differences. Compares a plurality of signals output from the phase comparator and the frequency comparator and the phase comparator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score more accurately by the score calculation system including a scor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score by the process.

Description

노래방 기기의 점수 계산 시스템Karaoke score calculation system

본 발명은 노래방 기기의 점수 계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육성과 오디오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가수의 육성 신호 중에서 음정의 기준이 되는 주파수와 박자의 기준이 되는 위상을 비교하여 그에 따라 점수를 계산함으로써,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의 정확성을 보다 정확도 있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방 기기의 점수 계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ore calculation system of a karaoke device, and in particular, the frequency of the pitch and the phase of the beat of the user's growth input from the audio system and the singer's growth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system are com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oring system of a karaoke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more accurately evaluate the accuracy of a song that is sung.

일반적으로 노래방의 대중화와 함께 현대인들은 집안에서도 노래방에서처럼 반주에 맞추어서 노래를 하고자 하고, 이에 부합하기 위하여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등을 사용한 노래방 기기가 생산되어 가정에 보급되고 있다.In general, with the popularization of karaoke, modern people want to sing in accord with accompaniment in the house, and in order to meet this, karaoke equipment using TV or computer has been produced and distributed in the home.

상기 노래방 기기 중에서 텔레비전을 사용한 노래방 기기는 텔레비전에 오디오 시스템을 결합하여 상기 오디오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 또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음악 방송 등에서 반주와 육성 신호를 분리하여 반주신호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육성 신호와 합성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고, 분리된 가수의 육성 신호는 소정의 기록 장소에 임시로 기록하여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육성 신호와 비교되어 점수 계산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mong the karaoke devices, a karaoke device using a television combines an audio system with a television and separates accompaniment and fostering signals from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system or a music broadcast from a broadcasting station, and the accompaniment signal is input from the microphone. The synthesized signal is output through a speaker, and the separated singer's growth signal is temporarily recorded at a predetermined recording place, and compared with the user's growth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o calculate a score.

도 1은 일반적인 노래방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elevision having a general karaoke function.

상기한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안테나를 나타내고, 2는 상기 안테나(1)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방송 신호 중에서 입력되는 선국 전압에 의하여 선택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선택하는 튜너를 나타낸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n antenna, and 2 denotes a tuner for selecting a broadcast signal of a channel selected by a preset voltage input from a wireless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

5는 상기 튜너(2)로부터 출력되는 중간 주파수 신호에서 영상 중간 주파수 신호(PIF) 및 음성 중간 주파수 신호(SIF)를 분리하는 P/S 분리부를 나타내고, 6은 상기 P/S 분리부(5)에서 출력되는 음성 중간 주파수 신호(SIF)에서 음성 신호를 검파하는 음성 검파부를 나타내고, 7은 상기 P/S 분리부(5)에서 출력되는 영상 중간 주파수 신호(PIF)에서 영상 신호를 검파하는 영상 검파부를 나타낸다.5 denotes a P / S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imag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PIF and the voic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SIF from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2, and 6 denotes the P / S separator 5 An audio detector detects an audio signal from an audio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SIF) output from the PDP, and a signal detector 7 detects an image signal from the video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PIF) output from the P / S separation unit (5). Represents wealth.

그리고, 참조번호 8은 시청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거나 텔레비전의 각 모드(mode) 즉, 텔레비전/노래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리모콘 장치를 나타내고, 9는 상기 리모콘(8)으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인 코드 신호로 변환하는 수신부를 나타내며, 10은 텔레비전의 동작 모드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나타낸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8 denotes a remote controller device which allows a viewer to select a desired channel or to select each mode of the television, that is, a television / karaoke mode, and 9 denotes an electrical code for the infrared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8. The receiving unit converts the signal, and 10 denotes a memory in which data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television is stored.

그리고, 참조번호 12는 입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문자나 그림 등을 방송 신호와는 별도로 방송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화면상에 오버랩(overlap)시켜 출력시키기 위한 화면 표시(On Screen Display : 이하, OSD 라 칭함) 장치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14는 입력되는 동작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채널 선국 신호인 PWM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screen for overlapping and outputting a character or a picture according to an input operation control signal on a screen on which a broadcast signal is output separately from the broadcast signal. The reference numeral 14 serves to generate a PWM signal which is a channel tuning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put operation control signal.

한편, 참조번호 19는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서 비디오 신호(배경 화면과 가사)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노래반주기능을 갖는 오디오 시스템(LP플레이어, CD플레이어등)을 나타내고, 20은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술한 음성 검파부(6)와 영상 검파부(7)로부터의 음성 및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시스템(19)으로 부터의 음성 및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를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19 denotes an audio system (LP player, CD player, etc.) having a song accompaniment function for reading data from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and outputting a video signal (background picture and lyrics) and an audio signal. The switching section for selectively outputting audio and video signals from the audio detector 6 and the video detector 7 and audio and video signals from the audio system 19 according to the switching signal.

또한, 참조번호 21은 상기 스위칭부(2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에 대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처리 과정에 따라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를 나타내고, 22는 상기 음성 처리부(21)에서 처리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 또는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음성 증폭부를 나타낸다.Further, reference numeral 21 denotes a voice processor which processes a voice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ss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ignal although not shown for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ing unit 20, and 22 denotes the voice processor. A voice amplifying unit which amplifies the voice signal processed in 21 and outputs it to a speaker or earphone.

상기 음성 처리부(21)의 동작을 노래방 모드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음성 처리부(21)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반주/육성 신호 분리 수단을 포함하여 노래방 모드 신호 입력이 있으면 상기 오디오 시스템(19) 혹은 튜너(2)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 중에서 스위칭부(20)에서 선택된 음성 신호에서 반주 신호만을 분리 출력시키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voice processing unit 21 is described in more detail according to the karaoke mode, the audio processing unit 21 includes an accompaniment / growth signal separation means, although not shown. Alternatively, only the accompaniment signal is separated from the voice signal selected by the switching unit 20 among the voice signals input to the tuner 2, and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input from the microphone MIC is synthesized and output.

그리고, 참조번호 23은 상기 스위칭부(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에 대해 칼라(Color), 틴트(Tint), 브라이트니스(Brightness)등을 처리하여,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R(Red), G(Green), B(Blue)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를 나타내고, 상기 영상 처리부(23)에서 출력되는 RGB 신호는 참조번호 24로 표시되는 믹서에서 상술한 OSD발생부(12)의 출력신호인 RGB 신호와 혼합되어 CRT 구동부(26)로 출력된다.Further, reference numeral 23 denotes R, Red, and G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by processing color, tint, brightness, etc. of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ing unit 20. (Green), B (Blue) indicates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outputting the signal, the RGB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23 is RGB which is the output signal of the above-described OSD generating unit 12 in the mixer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eral 24 The signal is mixed with the signal and output to the CRT driver 26.

참조 번호 30은 상기 리모콘(8) 또는 오디오 시스템(19)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텔레비전을 구성하는 각종 디바이스들로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 microprocessor for outputt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o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television on the basis of a signal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8 or the audio system 19.

사용자가 리모콘(8)을 사용하여 텔레비전을 노래방 모드로 전환한 후 마이크(MIC)를 통해서 자신의 육성을 반주에 맞추어 입력하면, 선국한 노래가 종료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소정의 비교수단에 의하여 비교된 원음의 육성 신호와 사용자의 육성 신호 레벨 차의 누적 결과에 따라 점수를 계산하여 CRT상으로 출력한다.When the user switches the television into karaoke mode using the remote controller 8 and inputs his own accompaniment through a microphone (MIC), after the tune is finished, the microprocessor is not shown but predetermined comparison means. The scor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umulative result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wth signal of the original sound and the growth signal level of the user, and is output to the CRT.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노래방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 또는 노래방 기기에 있어서는 가수의 육성 신호 레벨과 사용자의 육성 신호 레벨을 비교하여 그에 해당하는 점수를 계산하는 것이므로, 박자 및 음정에 대한 정확한 점수 계산이 불가능하게 되고 그 예로서 목소리가 큰 사람 즉 음성 레벨이 큰 사람이 큰 점수가 나오게 되는 등의 계산된 점수에 대한 불신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karaoke television or karaoke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ser's growth signal level is compared with the user's growth signal level, the corresponding score is calculated, so that accurate score calculation for beat and pitch cannot be performed. For example, there is a problem that a distrust of a calculated score such as a loud voice, that is, a loud voice, results in a large score.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육성과 오디오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가수의 육성 신호 중에서 음정의 기준이 되는 주파수와 박자의 기준이 되는 위상을 비교하여 그에 따라 점수를 계산함으로써,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의 정확성을 보다 정확도 있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방 기기의 점수 계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compare the frequency of the pitch and the phase of the beat as a reference of the growth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the growth signal of the singer output from the audio system. By calculating the score according to, to provide a scoring system of the karaoke device that can more accurately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song that the user sings.

도 1은 일반적인 노래방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levision having a general karaoke func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기의 점수 계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ore calculation system of the karao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 : 오디오 플레이어 112 : 분리부110: audio player 112: separator

114 : 메모리A 116 : 마이크114: memory A 116: microphone

122 : 메모리B 124 : 주파수 비교부122: memory B 124: frequency comparison unit

126 : 위상 비교부 128 : 점수 계산부126: phase comparison unit 128: score calculation unit

130 : 표시부130: display un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음성 신호를 독출하는 독출 수단과, 사용자의 음성 신호 입력 수단인 마이크 및 계산된 점수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노래방 기기의 점수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독출 수단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에서 육성 신호와 반주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육성 신호가 기록되는 제 1 메모리수단과,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육성 신호가 기록되는 제 2 메모리수단과, 상기 제 1 메모리 수단과 제 2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복수개의 육성 신호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그 차의 절대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비교부와, 상기 제 1 메모리 수단과 제 2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복수개의 육성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차의 절대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비교부와, 상기 주파수 비교부와 위상 비교부로부터 출력되는 복수개의 신호를 비교하여 소정의 처리 과정에 의하여 점수를 계산하는 점수 계산부를 포함하는 데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karaoke device including a reading means for reading out a voice signal recorded on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a microphone which is a voice signal input means of a user and a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a calculated score A score display system, comprising: separating means for separating a growing signal and an accompaniment signal from an audio signal output from said reading means, first memory means for recording a growing signal output from said separating means, and input through said microphone; A second memory means for recording a user's upbringing signal, a frequency comparing section for comparing the frequencies of the plurality of upbringing signals recorded in the first and second memory means and out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Comparing the phases of the plurality of growth signals recorded in the first memory means and the second memory means, and It includes a phase comparison unit for out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substitution, and a score calculation unit for comparing the plurality of signals output from the frequency comparison unit and the phase comparison unit to calculate the score by a predetermined proces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기의 점수 계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ore calculation system of the karao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노래방 기기의 점수 계산 시스템은 다수 곡의 노래가 기록되어 있는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오디오 플레이어(110)와, 상기 오디오 플레이어(11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에서 가수의 육성 신호와 반주 신호를 분리하는 육성/반주 분리부(112)와, 상기 육성/반주 분리부(112)로부터 출력되는 육성 신호가 기록되는 메모리A(114)와, 사용자의 육성 신호 입력 수단인 마이크(116)와, 상기 육성/반주 분리부(112)로부터 출력되는 반주 신호와 마이크(116)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의 육성 신호를 혼합하는 혼합부(118)와, 상기 혼합부(11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 크기로 증폭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하는 증폭부(120)와, 상기 마이크(116)로부터 출력되는 육성 신호가 임시로 기록되는 메모리B(122)와, 상기 메모리B(122)의 데이터를 리딩하여 메모리A(114)에 기록된 가수의 육성 데이터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그 차의 절대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비교부(124)와, 상기 주파수 비교부(124)에서 출력되는 사용자의 육성 신호의 위상을 메모리A(114)에 기록된 가수의 육성 데이터의 위상과 비교하여 그 차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비교부(126)와, 상기 주파수 비교부(124) 및 위상 비교부(12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하여 점수를 계산하는 점수 계산부(128)와, 상기 점수 계산부(128)로부터 출력되는 점수 신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나타내는 표시부(130)를 포함한다.The score calculation system of a karaoke apparatus includes an audio player 110 for reproducing a voice signal recorded on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lurality of songs are recorded, and a voice of a singer in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player 110. And the accompaniment / accompaniment separator 112 for separating the accompaniment signal, the memory A 114 in which the growth signal output from the growth / accompaniment separation unit 112 is recorded, and the microphone 116 serving as a user's growth signal input means. ), A mixing unit 118 for mixing the accompaniment signal output from the growing / accompaniment separating unit 112 and the growing signal of the user output from the microphone 116, and a signal output from the mixing unit 118. Amplification unit 120 for amplifying to a predetermined size and outputting to speaker SP, memory B 122 for temporarily recording a growing signal output from microphone 116, and data of memory B 122 Reading by memory Phase comparison unit 124 for comparing the frequency of the growth data of the mantissa recorded in A (114) and out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and the phase of the user growth signal output from the frequency comparison unit 124 Is output from the phase comparator 126 and the frequency comparator 124 and the phase comparator 126 for comparing the phase with the phase of the mantissa data recorded in the memory A 114 and out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difference. And a display unit 130 for comparing the signals to calculate a score by a preset method, and a display unit 130 for allowing a user to recognize the score signal output from the score calculator 128.

상기 점수 계산 시스템의 동작을 하기에서 간략하게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core calculation system is briefly described below.

사용자가 특정 곡을 선곡하면 오디오 플레이어(110)가 동작되어 기록매체에 기록된 반주와 육성 신호가 혼합된 음성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오디오 플레이어(11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는 육성/반주 분리부(112)에서 육성 신호와 반주 신호로 분리된다.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song, the audio player 110 is operated to output a voice signal mixed with the accompaniment and the growth signal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and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player 110 is a sound / accompaniment separator. At 112, the signal is separated into a growth signal and an accompaniment signal.

사용자가 반주에 맞추어서 소정의 순간에 마이크(116)를 통하여 육성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마이크(116)로 입력되는 육성 신호는 혼합부(118)에서 육성/반주 분리부(112)로부터 출력된 반주 신호와 혼합되어 증폭부(120)에서 소정 크기로 증폭된 후 스피커(SP)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When the user inputs a growing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116 at a predetermined moment in accordance with the accompaniment, the growing signal input to the microphone 116 is an accompaniment signal output from the growing / accompaniment separating unit 112 in the mixing unit 118. The mixture is amplified to a predetermined size by the amplifier 120 and then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SP.

상기 반주 신호 및 사용자의 육성 신호가 출력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육성/반주 분리부(112)로부터 출력되는 가수의 육성 신호는 메모리A(114)에 기록되고, 마이크(116)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육성 신호는 메모리B(122)에 기록된 후, 주파수 비교부(124)와 위상 비교부(126)에서 상기 복수개의 육성 신호의 주파수와 위상의 차가 검출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검출된 주파수와 위상 차의 절대 값은 점수 계산부(128)에서 곡이 종료될 때까지 누적 계산된 후 소정의 연산 과정에 의하여 점수가 계산되어 표시부(130)를 통하여 외부로 출력된다.At the same time as the accompaniment signal and the user's upbringing signal are output, the upbringing signal of the mantissa outputted from the upbringing / accompaniment separating unit 112 is recorded in the memory A 114, and the user's upbringing i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116. After the signal is recorded in the memory B 122, the frequency comparison unit 124 and the phase comparison unit 126 det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and the phase of the plurality of raised signals, and the frequency and phase difference detected as described above. The absolute value of is accumulated in the score calculation unit 128 until the end of the song, the score is calculated by a predetermined calculation process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unit 13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점수 계산 방법 및 노래방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육성의 음정 및 박자에 따라 점수가 계산되는 것이므로, 보다 정확성 있는 점수 계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score calculation method and karaok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the scor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itch and beat of the user's training, and thus more accurate score calculation is possible.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점수 계산 시스템에 의하면 노래방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육성의 음정 및 박자의 정확도에 따라 점수가 계산되는 것이므로, 보다 정확성 있는 점수 계산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노래방 기기의 사용에 대한 만족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core calc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cor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itch of the user and the accuracy of the beat in the case of using the karaoke device, more accurate score calculation is possible, so that the user's karaoke device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is greatly improved.

Claims (1)

소정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음성 신호를 독출하는 독출 수단과, 사용자의 음성 신호 입력 수단인 마이크 및 계산된 점수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노래방 기기의 점수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A score display system of a karaoke device comprising: reading means for reading out a voice signal recorded on a predetermined recording medium;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microphone, which is a voice signal input means of a user, and a calculated score, 상기 독출 수단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에서 육성 신호와 반주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Separating means for separating the growth signal and the accompaniment signal from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reading means; 상기 분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육성 신호가 기록되는 제 1 메모리수단과;First memory means for recording a growth signal output from said separating means;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육성 신호가 기록되는 제 2 메모리수단과;Second memory means for recording a user's upbringing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상기 제 1 메모리 수단과 제 2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복수개의 육성 신호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그 차의 절대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비교부와;A frequency comparison section for comparing frequencies of the plurality of growth signals recorded in the first memory means and the second memory means and out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상기 제 1 메모리 수단과 제 2 메모리 수단에 기록된 복수개의 육성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그 차의 절대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비교부와;A phase comparison section for comparing phases of the plurality of growth signals recorded in the first memory means and the second memory means and outputting a signal according to an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상기 주파수 비교부와 위상 비교부로부터 출력되는 복수개의 신호를 비교하여 소정의 처리 과정에 의하여 점수를 계산하는 점수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방 기기의 점수 계산 시스템.And a score calculator for comparing a plurality of signals output from the frequency comparator and the phase comparator to calculate a score by a predetermined process.
KR1019970047298A 1997-09-13 1997-09-13 Karaoke score calculation system KR199900256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298A KR19990025605A (en) 1997-09-13 1997-09-13 Karaoke score calcul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298A KR19990025605A (en) 1997-09-13 1997-09-13 Karaoke score calcul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605A true KR19990025605A (en) 1999-04-06

Family

ID=6604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298A KR19990025605A (en) 1997-09-13 1997-09-13 Karaoke score calcul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60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5387A1 (en) * 2005-04-28 2006-11-02 Nayio Media, Inc. System and method for grading singing dat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5387A1 (en) * 2005-04-28 2006-11-02 Nayio Media, Inc. System and method for grading singing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0573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uscial medley function in a karaoke television
CN1069478C (en) Musical medley function controlling method in a television with a video/accompaniment-music player
KR0176510B1 (en) Television compact disc player set with a selective signal processing function
US5646699A (en) CDP-incorporated television receiver which selects a signal based on a type of compact disk detected
EP0806758A1 (en) Wireless accompaniment apparatus
JP2004318075A (en) Music reproducing apparatus
KR19990025605A (en) Karaoke score calculation system
KR0160642B1 (en) Method for a song training of the television with a video-song accompaniment apparatus
KR100726723B1 (en)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for selecting musical program using code recognition
KR0183687B1 (en) Method for choosing music-song by using bio-rhythm function in television with a video-song accompaniment apparatus
KR19990025608A (en) Pitch control system of TV with karaoke function
KR100758078B1 (en) System for recording video/audio signal in optical disc player and method therefor
JPH09244668A (en) Radio music accompaniment device
KR0160643B1 (en) Method for using data detect of the television with a video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KR0160646B1 (en) Method for an arrangement of television with a video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KR0160648B1 (en) Method for mixing pre-engagement music of the television with a video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KR0135826B1 (en) The method for chellenging the establishment scores function training of a video-song accompaniment with television
KR0132855B1 (en) The mode changing method for a karaoke
KR0132848B1 (en) The volume control method of special instrument of television with a karaoke
KR0160651B1 (en) Method for selecting music of the television for the use of multiform with a video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KR0132851B1 (en) Display method of the rest time and middle marks in a karaoke
KR0132853B1 (en) Management method of best-ten song in a karaoke
KR0140963B1 (en) Xylophone func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n television receiver
KR0160647B1 (en) Method for auto-searching of the television with a video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KR0132846B1 (en) Movement of charactor position on television with a karao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