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094U - 생물학적 폐수처리설비인 폭기조에서의 산기장치 - Google Patents

생물학적 폐수처리설비인 폭기조에서의 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094U
KR19990025094U KR2019970037596U KR19970037596U KR19990025094U KR 19990025094 U KR19990025094 U KR 19990025094U KR 2019970037596 U KR2019970037596 U KR 2019970037596U KR 19970037596 U KR19970037596 U KR 19970037596U KR 19990025094 U KR19990025094 U KR 199900250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aeration tank
air
wastewater treatment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기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70037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094U/ko
Publication of KR199900250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094U/ko

Links

Landscapes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폭기조 하부측을 향하도록 다수개의 나사결합되는 산기노즐에 의하여 공기를 공급함으로서 폐수와 공기의 혼합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이러한 구조는 매우 간단한 것이어서 그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된 생물학적 폐수처리설비인 폭기조에서의 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 상부로 폐수성분인 유입수가 유입되고 타측 상부로 유출시키도록 된 폭기조(10)에 미생물을 투입하고, 이러한 미생물이 송풍기에 의해 공기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산소가 산기장치에 의하여 분출되어 미생물에 공급하도록 하여 생물학적 폐수처리가 행해지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관(22)에 일측이 연결되어 폭기조(10)의 하부측에 수평하게 일정길이 형성되는 산기관(32)에 그 분출부가 하부측으로 향하도록 다수개의 분지관(33)을 갖추고, 상기 분지관(33)에는 산기노즐(34)을 이루는 노즐몸체(36)가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며, 상기 노즐몸체(36)는 하부측으로 공기를 분출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분사구멍(38)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물학적 폐수처리설비인 폭기조에서의 산기장치
본 고안은 생물학적 폐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폭기조 하부측을 향하도록 다수개의 나사결합되는 산기노즐에 의하여 공기를 공급함으로서 폐수와 공기의 혼합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이러한 구조는 매우 간단한 것이어서 그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된 생물학적 폐수처리설비인 폭기조에서의 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준활성슬러지법을 이용한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공정에서는 수처리를 위하여 폐수에 미생물을 투입하고, 이러한 미생물은 산기장치에 의하여 공급되어지는 산소에 의하여 생존한다.
즉, 미생물을 이용한 폐수처리설비에서는 산소공급을 위한 장치가 필수적이며, 산소공급방식에 의하여 산기식 폭기방식과 기계식 표면 폭기방식으로 대별된다.
산기식 폭기장치는 산기장치, 헤더파이프, 송기관, 송풍기 및 부속설비로 이루어지며, 송풍기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산기장치를 통해 작은 기포로 형성되어 폭기조에서 분출됨으로서, 그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향류에 의해 물과 공기를 교반하여 혼합시키고, 따라서 미생물이 필요로 하는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산기장치는 크게 다공성, 비다공성으로 구분되며, 다공성 산기장치에는 통상 판형(Plate type), 돔형(Dome type), 디스크형(Disk type) 및 관형(Tube type)이 있으며, 비다공성 산기장치는 다공성에 비해 큰 오리피스(Orifice)를 갖고 있으므로 공기방울이 크게 형성되어 폭기 효율이 낮은 것이 일반적이다.
기계식 표면 폭기방식에는 방사형 저속 표면폭기방식, 수직축형 고속표면폭기방식, 공기흡입형 및 수평흐름형 표면폭기방식이 있으며, 설치비용은 산기식 폭기방식에 비해 저렴하나 산기식 폭기장치와는 달리 대기와 접하는 부분에서 폭기가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외부온도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게 되고, 따라서 겨울철 운전에 매우 취약한 약점을 가지고 있다.
즉, 다공성 산기식 폭기장치가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종래의 문제점으로는 판형에서는 폭기조 바닥 전체를 세라믹 재질인 다공판으로 형성하여야 하는 관계로 그 제작이 곤란하여 제작비 및 설치비가 많이 드는 것이고, 디스크형은 다공성 플라스틱이나 다공성 멤브레인이 사용되는 것인데, 멤브레인의 경우는 그 재질이 어느정도의 내구성을 갖는 것이어야 하는바 그 설치비가 많이 드는 것이며, 관형은 제작비가 싼 이점이 있으나 폭기효율이 다른 방식에 비해 낮은 특징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에 산기식 폭기장치를 이용하여 산소를 공급하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고, 폭기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생물학적 폐수처리설비인 폭기조에서의 산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산기장치를 갖춘 생물학적 폐수처리설비인 폭기조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산기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산기장치를 갖춘 폭기조에 도류관을 설치하여 유입수를 안내하는 구성을 보이는 개략도
도 4는 도 3의 도류관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폭기조 12 ... 폐수유입배관
14 ... 처리수배출배관 20 ... 송풍기
22 ... 공기공급관 30 ... 산기장치
32 ... 산기관 33 ... 분지관
34 ... 산기노즐 36 ... 노즐몸체
38 ... 분사구멍 40 ... 도류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일측 상부로 폐수성분인 유입수가 유입되고 타측 상부로 유출시키도록 된 폭기조에 미생물을 투입하고, 이러한 미생물이 송풍기에 의해 공기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산소가 산기장치에 의하여 분출되어 미생물에 공급하도록 하여 생물학적 폐수처리가 행해지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관에 일측이 연결되어 폭기조의 하부측에 수평하게 일정길이 형성되는 산기관에 그 분출부가 하부측으로 향하도록 다수개의 분지관을 갖추고, 상기 분지관에는 산기노즐을 이루는 노즐몸체가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며, 상기 노즐몸체는 하부측으로 공기를 분출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분사구멍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폐수처리설비인 폭기조에서의 산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산기장치를 갖춘 폭기조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산기노즐을 도시한 상세구성도로서, 폐수처리를 위한 폭기조(10)의 일측 상부의 폐수유입배관(12)으로는 폐수성분인 유입수가 유입되고, 타측 상부의 처리수유출배관(14)으로는 폐수처리된 유출수가 유출되며, 내측 하부에는 송풍기(20)에 의하여 공기공급관(22)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받아 분출할 수 있도록 된 산기장치(30)가 장착된다.
상기 산기장치(30)는 수평한 상태로 적정한 길이와 내경을 가지는 파이프형상의 산기관(32)을 가지며, 상기 산기관(32)의 일측 단부는 공기공급관(22)과 연결되고, 상기 산기관(32)에는 일정간격으로 위치되어 하부측으로 향하는 산기노즐(34)이 장착된다.
상기 산기노즐(34)의 구조 및 장착구성은 도 2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였는바, 우선 상기 산기관(32)에 분지관(33)이 형성되고, 상기 분지관(33)은 그 단부가 하부측을 향한 상태로 외표면에 나사산(33a)을 형성하며, 상기 분지관(33)의 단부에는 캡형(Cap type) 산기노즐(34)이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바, 상기 산기노즐(34)은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된 중공원통형 노즐몸체(36)로 이루어져 내표면에 상기 분지관(33)의 나사산(33a)에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산(36a)을 형성하고, 폐쇄된 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분사구멍(38)을 형성한다.
또한, 도 3에는 산기장치(30)측으로 유입수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된 도류관(40)이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며, 이러한 도류벽(40)은 도 4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대략의 "ㄷ"자형으로 단면이 형성되어 그 개방된 부분이 폭기조(10)의 벽을 향하도록 고정됨으로서 유입수(12)가 도류관(40)의 내부를 통하여 유입되어 하부측으로 흘러 결과적으로는 산기장치(30)측으로 유도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산기장치에 의하면, 공기공급관(22)을 통하여 공기가 산기장치(30)의 산기관(32)으로 공급되면, 상기 산기관(32)에 하부측으로 향하여 설치된 산기노즐(34)을 통하여 공기가 하부측으로 분사되고, 이때 산기노즐(34)에는 다수개의 분사구멍(38)이 갖추어져 분출되는 공기방울이 미세하게 형성되어 폭기조(10)의 가장 하부측으로 이동하다가 상부로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함으로서 폐수와의 혼합특성이 매우 우수하게 되는바, 이는 미생물에 산소를 효과적으로 공급함을 의미한다.
특히, 유입수(12)가 도류관(40)에 의하여 산기장치(30)측으로 유도되는바, 이렇게 유도된 유입수(12)는 산기장치(30)의 노즐(34)로부터 분출되는 공기, 즉 산소와 혼합되면서 상부로 이동하여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처리가 매우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산기장치(30)에 갖추어지는 산기노즐(34)은 산기관(32)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간단한 구조를 갖추어 그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그 보수유지가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생물학적 폐수처리설비인 폭기조에서의 산기장치에 의하면, 폭기조 하부측을 향하도록 다수개의 나사결합되는 산기노즐에 의하여 공기를 공급함으로서 폐수와 공기의 혼합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이러한 구조는 매우 간단한 것이어서 그 설치 및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일측 상부로 폐수성분인 유입수가 유입되고 타측 상부로 유출시키도록 된 폭기조(10)에 미생물을 투입하고, 이러한 미생물이 송풍기에 의해 공기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산소가 산기장치에 의하여 분출되어 미생물에 공급하도록 하여 생물학적 폐수처리가 행해지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관(22)에 일측이 연결되어 폭기조(10)의 하부측에 수평하게 일정길이 형성되는 산기관(32)에 그 분출부가 하부측으로 향하도록 다수개의 분지관(33)을 갖추고, 상기 분지관(33)에는 산기노즐(34)을 이루는 노즐몸체(36)가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며, 상기 노즐몸체(36)는 하부측으로 공기를 분출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분사구멍(38)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폐수처리설비인 폭기조에서의 산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10)의 내측에는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유입배관(12)으로부터 산기관(32) 일측까지 유입수(12)의 흐름을 유도하는 도류관(40)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학적 폐수처리설비인 폭기조에서의 산기장치.
KR2019970037596U 1997-12-16 1997-12-16 생물학적 폐수처리설비인 폭기조에서의 산기장치 KR199900250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596U KR19990025094U (ko) 1997-12-16 1997-12-16 생물학적 폐수처리설비인 폭기조에서의 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596U KR19990025094U (ko) 1997-12-16 1997-12-16 생물학적 폐수처리설비인 폭기조에서의 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094U true KR19990025094U (ko) 1999-07-05

Family

ID=69681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596U KR19990025094U (ko) 1997-12-16 1997-12-16 생물학적 폐수처리설비인 폭기조에서의 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094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952B1 (ko) * 2001-12-31 2004-01-24 김태훈 자가발전 산기장치 및 방법
KR100677895B1 (ko) 2005-03-18 2007-02-05 코스모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를 이용한 폭기조의 배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84952B1 (ko) * 2014-04-25 2015-01-22 효림산업주식회사 미세기포 발생기능을 갖는 산기관
US20220234927A1 (en) * 2009-10-12 2022-07-28 EnviroMix, Inc. Mixing systems and methods of mix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952B1 (ko) * 2001-12-31 2004-01-24 김태훈 자가발전 산기장치 및 방법
KR100677895B1 (ko) 2005-03-18 2007-02-05 코스모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를 이용한 폭기조의 배관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20234927A1 (en) * 2009-10-12 2022-07-28 EnviroMix, Inc. Mixing systems and methods of mixing
KR101484952B1 (ko) * 2014-04-25 2015-01-22 효림산업주식회사 미세기포 발생기능을 갖는 산기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3644A (en) Gas diffuser
US4210534A (en) Multiple stage jet nozzle and aeration system
CA1096977A (en) Injectors with deflectors for their use in gassing liquids
US4938899A (en) Gas diffusion system
JP4022565B1 (ja) 曝気装置
FI120234B (fi) Laite ja menetelmä veden ilmastamiseksi/sekoittamiseksi
US4389312A (en) Variable venturi sewerage aerator
JPH10156159A (ja) 混合及び曝気装置
KR101217720B1 (ko) 비엠-임펠러와 이를 이용한 폭기장치
KR20140101275A (ko) 방사형 제트 에어레이터
KR19990025094U (ko) 생물학적 폐수처리설비인 폭기조에서의 산기장치
US4849101A (en) Aeration device with a protection skirt
CN111333205A (zh) 一种污水生物处理的曝气方法与装置
KR102013223B1 (ko) 외부 제트 이젝터
JPH07108295A (ja) 廃水の加圧ばっ気処理装置
US6224041B1 (en) Splash plate structure for aerators
US10683221B2 (en) Gas injection and recycling apparatus and methods
JP2501238Y2 (ja) 曝気装置
KR20190113202A (ko) 마이크로 산기장치
KR200380963Y1 (ko) 오폐수 처리시설의 산기장치
SU132169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RU2026822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насыщения жидкости кислородом
KR200221815Y1 (ko) 유동상 하수처리장치
US20090206497A1 (en) Liquid waste aeration system and method
KR200357749Y1 (ko) 생물학적 고도처리를 위한 자흡식 측면제트방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