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690A - 단문서비스 과금데이터 수집방법 - Google Patents

단문서비스 과금데이터 수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690A
KR19990024690A KR1019970045974A KR19970045974A KR19990024690A KR 19990024690 A KR19990024690 A KR 19990024690A KR 1019970045974 A KR1019970045974 A KR 1019970045974A KR 19970045974 A KR19970045974 A KR 19970045974A KR 19990024690 A KR19990024690 A KR 19990024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data
charging
billing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1360B1 (ko
Inventor
이상호
김성희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70045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360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2Criteria or parameters used for performing billing operations
    • H04M15/8221Message 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78Metric aspects
    • H04M2215/7826Message ba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추가 구성된 단문서비스센터의 구성 기능중 과금데이터 수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문서비스센터는 No.7 신호망을 통한 이동망 가입자의 단문 전달요구, R2 신호 접속을 통한 PSTN 가입자의 단문 전달요구,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망 또는 인터네트로부터의 단문 전달요구를 수신하여 전달요구 조건에 맞는 착신가입자에게 단문메시지를 전달하며, 단문서비스 사용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인 발/착신 번호, 송/수신 시간, 전달메시지 크기 등의 기능을 형성함으로써, 단순히 사용회수와 시간에 대해서만 요금을 부과하던 방식을 보다 발전시켜 전송데이터 용량에 대한 과금도 가능케 하며, 디지털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문서비스 제공 뿐만 아니라 향후 PCS, FPLMTS의 단문서비스 제공에도 이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단문서비스 과금데이터 수집방법
본 발명은 디지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추가 구성된 단문서비스센터의 구성 기능중 과금데이터 수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셀룰러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음성만을 전달, 교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문자를 전달하는 서비스는 실제적으로 제공되지 않고 시범적으로 운용되고 있으나, 과금 부과 측면에서는 사용 회수/전송패킷 용량에 따라 사용된 만큼의 과금을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정액제 과금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문서비스와 유사한 서비스로는 무선호출 서비스라고 볼 수 있지만 무선호출 서비스와 단문서비스의 차이점으로는 서비스 제공망이 다르고, 단문서비스는 이동전화기의 LCD에 단문메시지가 출력되며, 메시지의 착신여부를 발신가입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양방향 서비스로서 응용에 따라 날씨, 주식정보 제공 등의 부가서비스 제공이 용이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상기 종래 사용한 방식을 보다 더 발전시켜 전송 데이터 용량에 대한 과금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문서비스에 있어서 필수적인 과금 데이터 수집을 위한 단문서비스 과금 데이터 수집 기능을 부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CDMA 모빌 시스템 망(CMS)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단문서비스센터 구성기능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과금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 관계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용서비스(SAP) 블럭의 과금데이터 생성 방법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제어(IPCC) 블럭의 과금데이터 생성 방법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과금처리(CHA) 블럭의 과금데이터 수집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단문 서비스 센터(SM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102 : 단문 이동국(SMS MS : Short Message Service Mobile Station)
103 :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ubsystem)
104 : 제어국(BSC : Base Station Cintroller)
105 : 모빌 스위칭 센터(BTS : Mobile Switching Center)
106 : 가입자 위치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107 : 서비스 제공자(SP : Service Provider)
108,210 : 공중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109 : 공중 데이터망(PSPDN : Packet Switched Public Data Network)
200 : 단문서비스센터 201 : 지능형 SMS 플랫폼
202 : SMS 서비스 로직 203 : 단문(SM) 데이터베이스
204 : 단문 스위칭 모듈 센터 운용보전부
205 : 관리 정보 기준부(MC MIB : Message Center Management Information Base)
206 : SMS 서비스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207 : CMS 서비스 I/F(CDMA Mobile System Service Interface)
207a : IN 모듈(Intelligent Network)
208 : PSTN 서비스 I/F
208a : IP 모듈부(Intelligent Peripheral)
209 : CDMA 이동통신시스템(CMS : CDMA Mobile System)
209a : 데이터 통신모듈 211,309 : 공중데이터망/인터넷
211a : 서비스 제공자(SP)
211b : 음성 메일 시스템(VIS : Voice Mail System)
211c : 요금 센터(BC : Billing Center)
301 :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브시스템(UIS : User Interface Subsystem)
302 : 이동가입자 신호정합부(MAPC : Mobile Application Protocol block for CDMA)
303 : IP 호 제어부 304 : SMS 응용부
305 : 과금 수집부 306 : 과금 디스크
307 : 서비스 제공자 인터페이스 모듈(SPIM : Service Provider Interface Module)
308 : 중앙 자동 메시지 계산부(CAMA : Centralized Automatic Message Account)
310 : 공중이동 모빌 네트워크(PLMN : Public Land Mobile Network)
311 : 공중교환 전화망(PSTN) 400 : 메시지 종류
401 : 과금 유형 402 : 전달 결과
403 : 서비스 종류 404 : 메시지 크기
405 : 우선 순위 406 : 프라이버시
407 : 발신 어드레스 타입 408 : 발신 어드레스
409 : 착신 어드레스 타입 410 : 착신 어드레스
411 : 수신시간 412 : 송신시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문서비스센터에서 과금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단문서비스에 대한 과금 처리를 위해 SAP 블록에서는 단문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며, 공중교환 전화망(PSTN) 가입자로부터 단문서비스 요구를 처리하는 IPCC 블럭에서는 입중계호 과금데이터를 생성하고, 과금처리 블럭인 CHA에서 과금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CDMA 모빌 시스템 망(CMS) 구성도로서, CDMA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 단문서비스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이하 SMC라 칭함)(101), 기지국인 기지국 트랜시버 시스템(Basestation Transceiver System, 이하 BTS라 칭함)(103)과 무선 접속이 이루어지는 모빌 국(Mobile Station, 이하 SMS-MS라 칭함)(102), 단문메시지 송수신, 단문메시지 포맷 변환/역변환, 서비스 옵션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이하 BSC라 칭함)(104), 중계호 처리 및 트렁크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모빌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라 칭함)(105), 이동가입자 정보관리, 루팅 정보관리, 단문서비스 과금분류, 단문서비스 인증, 착신단말의 단문메시지 수신가능 통보기능 등을 수행하는 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ter, 이하 SMC라 칭함)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도 1은 CMS 망 구조로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함)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 단문서비스센터인 SMC(101) 노드를 추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SMS-MS(102)는 IS-637 단문서비스용 프로토콜 처리 기능, PC와의 EIA-232-E I/F 기능, 단문서비스용 인간-기계 인터페이스(Man-Machine Interface, 이하 MMI라 칭함)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가입자 단말기이며, BTS(103)와 무선 접속이 이루어진다.
BTS는 무선 제어 채널을 통한 단문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고, BSC(104)는 단문메시지 송수신 기능과,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단문메시지로 포맷 변환하는 기능, 그리고 서비스 옵션 처리 기능을 지원한다.
상기 MSC(105)는 IS-637 단문서비스용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처리 기능, 단문서비스센터의 대표번호 식별 및 접속 기능,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work, 이하 PSTN라 칭함)(108)으로부터 단문서비스센터로의 R2/MFC 신호처리를 통한 중계호 처리 및 트렁크 접속기능을 제공한다.
MSC내의 방문가입자 위치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 이하 VLR라 칭함)는 단문메시지 발신가입자 인증기능과 발착신시 단문서비스 가입자 정보 검색기능, 착신 단문서비스 센터로의 루팅기능, 위치등록이 되지 않는 발착신 가입자의 위치 등록 기능을 수행한다.
본 가입자 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라 칭함)(106)는 이동가입자 정보 관리 기능, 루팅 정보 관리 기능, 단문서비스 과금분류기능, 단문서비스 인증기능, 착신단말의 단문메시지 수신 가능 통보기능을 지원한다.
SMC(101)는 이동국과 이동국간 그리고 이동국과 단문실체(Short Message Entity, 이하 SME라 칭함)간에 간단한 문자열을 제한된 크기의 메시지 형태로 전달하는 단문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MSC 및 HLR과 No.7 신호 방식으로 연결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SMS MA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비실시간 메시지 전달 특성인 Short-and-Forward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서비스제공자(Service Provider, 이하 SP라 칭함)(107)와의 정합을 위하여 X.25 혹은 이더넷 프로토콜로 공중 데이터망(Public Switched Packet Data Network, 이하 PSPDN라 칭함)과 접속되어 날씨, 여행, 도로교통정보 안내, 신용카드 인증 및 조회, 원격감시, 자동 차량 항법 등과 같은 단문메시지로 표현가능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단문서비스센터 구성기능 개념도로서, 지능형 SMS 플랫폼(201), SMS 서비스 로직(202), SM 데이터베이스(203), SMC 운용보전(204), MC MIB(205), SMS 서비스 API(206), CMS 서비스 I/F(207), PSTN 서비스 I/F(208), SP 서비스 I/F(209)로 이루어져 PSPDN/인터넷(Internet)(211)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능형 SMS 플랫폼(201)은 고장감내형 UNIX 컴퓨팅 서버에 No.7을 기반으로 하는 IN 능력과 교환기능을 일부 독립시킨 IP 능력, 그리고 데이터망 서비스 접속 능력을 지원한다.
SMS 서비스 로직(202)은 SMS 응용 서브시스템의 기능 모델로서, SMS 응용 서비스별, 예를 들어 CPT, CMT, VMN 등의 기능 프로세스 모듈로서 구성되며, 응용서비스별 단문메시지의 저장/전달 제어, 메시지 종류별 전송방식 분류, SME의 위치정보 및 수신가능상태 파악 및 단문메시지 데이터베이스 접근기능 등을 정의한다.
SMS 서비스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이하 API라 칭함) 기능(206) 모델은 CMS 서비스 I/F(207), PSTN 서비스 I/F(208) 및 SP 서비스 I/F(209) 모듈로 구성되며, 각각은 IN 정합 서브시스템, IP 제어 서브시스템, 서비스제공자 정합 서브시스템으로 기능을 수행한다.
각 서비스 I/F 모듈들은 SMS 서비스 로직의 API로서, 복잡 다양한 외부 망의 접속을 원활히 지원하기 위해 각각 전용 프로세스형태로 모델링된다.
SMC 운용보전 기능(204) 모델은 운용보전 표준규격인 TMN 모델로서 정의되며, SMC의 운영 기능과 TMN 망에 대한 대리인(Agent) 기능으로 구성되어 IN 모듈과 IP 모듈 및 DB 센터에서 발생하는 장애관리 및 시스템 형상관리, 통계정보, 과금정보 등의 관리가 이루어진다.
각 운용관리 정보는 운영 정보 기준(Management Information Base, 이하 MIB라 칭함)(205) 형태로 저장 관리한다.
SM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203)은 착신 SME의 수신상태를 조회하여 수신한 응용서비스별 단문메시지를 성공적으로 전달할 때까지의 과정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과금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 관계 구성도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서브시스템(User Interface Subsystem, 이하 UIS라 칭함) 블럭(301)은 데이터망 또는 인터네트 가입자의 접속을 담당하며, 이들로부터의 단문서비스 요구를 수신하여 SAP로 단문메시지 전달을 요청한다.
MAPC 블럭(302)은 이동가입자에 대한 단문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로인 No.7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단문서비스에 대한 텔리서비스 계층 프로토콜 처리 기능을 수행하여 SAP로 단문메시지 전달을 요청한다.
IP 호 제어(IP Call Control, 이하 IPCC라 칭함) 블럭(303)은 PSTN 가입자 발신의 단문서비스 요구 처리를 위해 E1 R2/MFC 접속처리, 안내방송 송출, DTMF 수신 등의 처리를 통해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SAP로 전달요청을 하며, 단문서비스 요구를 처리하기 위해 수행되는 입중계 호 처리에 대한 과금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처리 블럭인 CHA로 전달한다.
SMS 응용부(SMS Application Part, 이하 SAP라 칭함) 블럭(304)은 주위 연관 블럭들로부터 단문서비스 전달요구를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검색 등의 동작을 이용하여 착신가입자에게 단문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모든 단문메시지에 대해 서비스가 종료되는 시점 즉, DB 삭제에 과금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처리 블럭인 CHA로 전달한다.
과금 수집부(Charging, 이하 CHA라 칭함)(305) 블럭은 단문서비스에 대한 과금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AP로부터 전송된 모든 단문메시지 처리에 대한 과금데이터 및 IPCC로부터 전송된 입중계 호처리에 대한 과금데이터를 수집하여 일시적으로 과금 디스크에 저장하였다가 정해진 크기 만큼의 과금데이터가 저장되면 SPIM 블럭을 통해 중앙과금센터(CAMA)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과금 디스크(306)는 단문서비스에 대한 과금데이터가 저장되는 물리요소로서 CHA 블럭의 제어에 의해 과금 저장 파일이 생성되고, 생성된 파일에 과금데이터가 저장된다.
서비스 제공자 인터페이스 모듈(Service Provider Interface Module, 이하 SPIM라 칭함) 블럭(307)은 상기 CHA 블럭으로부터 과금데이터 전송 요구를 수신하면 디스크에 있는 과금 저장 파일을 읽어서 중앙과금센터(CAMA)로 전송한다.
상기 중앙 자동 메시지 계산부(Centralized Automatic Message Account, 이하 CAMA라 칭함)(308)은 이동통신 사업자가 운용하는 중앙과금센터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용서비스(SAP) 블럭의 단문메시지 처리에 대한 과금데이터 생성 방법 흐름도이다.
SAP 블럭은 활성화된 후 초기화가 끝나면 메시지 수신대기 상태(S1)로 천이된다.
수신대기 상태에서 단문메시지 전달요구를 수신하면(S2) 처리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차리 가능할 경우 수신한 단문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3).
데이터베이스 저장 후 유효시간 또는 지정시간 통보 등의 지정된 옵션에 맞게 전달메시지를 생성하여 착신가입자에게 전송하고(S4), 전달 결과메시지를 수신하여(S5) 전달성공 유무를 판단한다(S6).
상기 판단 후 단문메시지 전달이 성공일 경우, 전달성공에 대한 과금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처리 블럭으로 전송하며(S7), 전달실패일 경우는 전달실패에 대한 과금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처리 블럭으로 전송한 후(S8) 수신대기 상태(S1)로 전이한다.
상기와 같이 단문서비스에 대한 과금데이터의 생성은 단문메시지 전송이 종료되는 시점에 생성되며, 전달된 단문메시지 뿐만 아니라 요구된 옵션에 의해 생성, 전달되는 메시지 즉, 전달 결과 통지, 삭제 요구 등에 대한 과금데이터도 생성하여 과금블럭에게 전달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 제어(IPCC) 블럭의 과금데이터 생성 방법 흐름도로서, PSTN 가입자로부터의 단문서비스 요구를 처리하는 IPCC 블럭의 입중계호 과금데이터 생성 과정에 대한 것이다.
IPCC 블럭은 활성화된 후 초기화가 끝나면 메시지 수신대기 상태로 천이한다(S9).
수신대기 상태에서 교환기로부터 입중계호 요구를 수신하면(S10) R2 신호 방식을 통해 입중계호를 처리하고, 착신호 처리를 통해 통화로를 설정한 후 단문서비스 전달 방법에 관한 안내방송을 송출한다(S11).
PSTN 가입자는 송출되는 안내방송에 따라 DTMF 버튼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단문메시지를 입력하게 되고 IPCC 블럭에서는 DTMF 수신기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S12).
DTMF 수신을 완료하면 수신된 내용에 대한 전달요구 메시지를 생성하여 SAP 블럭으로 전송하고(S13), SAP로부터 단문메시지 전달결과를 수신한다(S14).
SAP로부터 수신한 전달결과에 해당하는 녹음안내 방송을 PSTN 가입자에게 송출한 후(S15) 통화로를 절단하여 호처리를 종료하고, 단문서비스 전달을 위해 소요된 입중계호 시간 등의 호 과금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처리 블럭으로 전송하고(S16), 전송 후 수신대기 상태(S9)로 천이한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과금처리(CHA) 블럭의 과금데이터 수집 흐름도로서, CHA 블럭은 활성화된 후 초기화가 끝나면 메시지 수신대기 상태(S17)로 천이한다.
수신대기 상태에서 과금데이터 전달 메시지를 수신하면(S18) 단문메시지 처리에 대한 과금데이터인지 또는 PSTN 입중계호에 대한 과금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S19).
상기 판단 결과 단문메시지 처리에 대한 과금데이터일 경우 메모리에 존재하는 SMS 과금 버퍼에 저장한다(S20).
SMS 과금 버퍼에 저장된 과금데이터의 갯수가 일정한 수인지를 판단하여(S21) 일정한 수가 되면 SMS 과금 디스크에 저장한다(S22).
현재 하나의 과금데이터의 크기는 34 바이트이며, 과금 디스크에 대한 저장, 읽기 등의 동작은 일반적으로 512 바이트로 이루어지므로 디스크 엑세스 동작을 최적화하기 위해 SMS 과금 버퍼에 저장되는 과금데이터의 수가 15가 되면 SMS 과금 디스크에 저장한다.
SMS 과금 디스크에 저장된 과금데이터가 일정한 크기가 되는지 판단하여(S23) 일정한 크기에 도달하면 SPIM 블럭에게 SMS 과급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의 정보를 통하여 중앙과금센터(CAMA)로의 전송을 요구한다(S24).
상기 CAMA로 전송하기 위한 과금데이터의 크기는 SPIM 블럭과 CAMA와의 전송 프로토콜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이들간의 전송 프로토콜은 X.25를 사용한다.
상기 단문메시지 처리에 대한 과금데이터인지 또는 PSTN 입중계호에 대한 과금데이터 판단(S19)의 결과 PSTN 입중계호에 대한 과금데이터일 경우 로컬 메모리에 존재하는 호 과금 버퍼에 저장한다(S25).
호 과금 버퍼에 저장된 과금데이터의 갯수가 일정한 수가 되는지 판단하여(S26) 일정한 수가 되면, 호 과금 디스크에 저장한다(S27).
현재 하나의 호 과금데이터의 크기는 28 바이트이므로 디스크에 엑세스 동작을 최적화하기 위해 호 과금 버퍼에 저장되는 과금데이터의 수가 18이 되면 호 과금 디스크에 저장한다.
만일 과금데이터의 크기가 변경되면 로컬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되는 과금데이터의 수는 디스크 엑세스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변경되어야 한다.
호 과금 디스크에 저장된 과금데이터가 일정한 크기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여(S28) 일정한 크기에 도달하면 SPIM 블록에게 호 과금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의 정보를 통보하여 중앙과금센터(CAMA)로의 전송을 요구한다(S29).
SPIM 블럭으로 전송을 요구한 후 수신대기 상태(S17)로 천이한다.
다음 표 1은 기록되는 과금데이터 구조도로서, 디스크에 저장, 기록되는 과금데이터의 구조를 보면 다음과 같다.
기록되는 과금데이터 구조
메시지 종류 4 bits
과금 유형 2 bits
전달 결과 2 bits
서비스 종류 1 byte
메시지 크기 1 byte
우선 순위 3 bits
프라이버시 3 bits
발신 어드레스 타입 1 byte
발신 어드레스 8 bytes
착신 어드레스 타입 1 byte
착신 어드레스 8 bytes
수신 시간 6 bytes
송신 시간 6 bytes
상기 메시지 종류(400)는 4 비트(bites)로 구성되며,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0은 CMTSubmit, 1은 VMTDack, 2는 CMTack, 3은 Cancellation, 4는 CPTSumit, 5는 CPTDack, 6은 CPTDack, 7은 CPTUack을 나타낸다.
상기 과금유형(401)은 2 비트로 구성되며 그 의미로, 0은 무료, 1은 발신과금, 2는 착신과금을 나타낸다.
그리고 전달결과(402)는 2 비트로 구성되며 의미로, 0은 실패, 1은 성공, 2는 삭제를 나타낸다.
또한 서비스 종류(403)는 1 바이트로 구성되며 그 의미로, 0은 normal, 1은 VMN, 2는 EMN, 3은 FMN, 4에서 255는 reserved를 나타낸다.
다음 메시지 크기(404)는 1 바이트로 구성되며 그 의미로 0은 normal, 1은 Interactive, 2는 Urgent, 3은 Emergency, 4에서 15는 reserved를 나타낸다.
프라이버시(406)는 3 비트로 구성되며, 그 의미로 0은 not restricted, 1은 restricted, 2는 confidential, 3은 secret, 4에서 15는 rserved를 나타낸다.
발신 어드레스 타입(407)은 1 바이트(byte)로 구성되며, 그 의미로 1은 digits, 2는 IP address, 3은 SS7 address, 4에서 255는 reserved를 나타낸다.
발신 어드레스(408)는 8 바이트(bytes)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발신 어드레스 타입이 digits일 경우는 5 바이트(bytes), 발신 어드레스 타입이 IP address일 경우는 [0]에서 [3] 바이트만 유용하고, 4 바이트(bytes)이며, 발신 어드레스 타입이 SS7 address일 경우는 [0]에서 [2] 바이트만 유용하고, 3 바이트(bytes)이다.
착신 어드레스 타입(409)은 상기 발신 어드레스 타입(407)과 동일한 구조이며, 착신 어드레스(410)는 발신 어드레스(408)와 동일한 구조이다.
수신시간(411)은 6 바이트로 구성되며, 각각의 바이트는 year / month / day / hour / minute / second를 의미한다.
또한 송신시간(412)은 수신시간(411)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메시지 종류(400)에서 송신시간(412)은 단문메시지 처리에 대한 과금데이터 구조이며, PSTN 입중계 호처리에 대한 과금데이터는 상기 발신 어드레스(408), 착신 어드레스(410), 수신시간(411), 송신시간(412)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된 단문서비스 과금데이터 수집 기능의 절차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단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과금데이터 수집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발명한 것이다.
제공되는 단문서비스에 따라 과금데이터 생성, 수집, 전송 등의 기능을 모듈화하였으며, 제공되는 모든 단문메시지에 대한 과금 정보를 사용한 회수, 시간, 종류 전송데이터 용량 등으로 구분하여 수집함으로써, 단순히 사용회수와 시간에 대해서만 요금을 부과하던 방식을 보다 발전시켜 전송데이터 용량에 대한 과금도 가능케 한다.
따라서 디지털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문서비스 제공뿐만 아니라 향후 PCS, FPLMTS의 단문서비스 제공에도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 단문서비스센터인 단문 스위칭 모듈 센터(SMC), IS-637 단문서비스용 프로토콜 처리, PC와의 EIA-232-E I/F, 단문서비스용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가입자 단말기이며 기지국 트랜시버 시스템(BTS)과 연결된 모빌 국(EIA-232-E), 단문메시지 송수신, 데이터베이스 버스트 메시지의 단문메시지로 포맷 변환/역변환, 서비스 옵션 처리 기능을 하는 기지국 제어기(BSC), IS-637 단문서비스용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처리, 단문서비스센터의 대표번로 식별 및 접속, 중계호 처리 및 트렁크 접속 기능을 제공하는 모빌 스위칭 센터(MSC), 이동가입자 정보 관리, 루팅 정보 관리, 단문서비스 과금분류, 단문 서비스 인증, 착신단말의 단문메시지 수신가증 통보 기능을 지원하는 가입자 위치등록기(HLR) 이루어진 디지털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문서비스 과금데이터 수집에 있어서,
    상기 단문서비스센터에서 과금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과정과;
    단문메시지 처리에 대한 과금데이터를 생성하는 SAP 블럭의 과금데이터 생성의 제 2 과정과;
    공중교환 전화망(PSTN) 가입자로부터 단문서비스를 요구를 처리하는 IPCC 불럭의 입중계호 과금데이터 생성의 제 3 과정과;
    과금처리 블럭인 CHA에서 과금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서비스 과금데이터 수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은
    데이터망이나 인터네트 가입자의 접속을 담당하는 UIS 블럭이 단문서비스 요구를 수신하여 SAP로 단문메시지 전달을 요청하는 제 1 단계와;
    MAPC 블럭이 이동가입자에 대한 단문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로인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단문서비스에 대한 텔레서비스 계츨 프로토콜 처리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SAP로 단문메시지 전달을 요청하는 제 2 단계와;
    IPCC 블럭이 PSTN 가입자 발신의 단문서비스 요구 처리를 위해 E1 R2/MFC 접속처리, 안내방송 송출, DTMF 수신의 처리를 통해 단문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SAP로 전달요청과, 단문서비스 요구 처리를 위한 입중계 호 처리에 대한 과금데이터를 생성하여 CHA로 송신하는 제 3 단계와;
    주위 연관 블럭들로부터 단문서비스 전달요구를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검색의 동작을 이용하여 착신가입자에게 단문메시지 전달을 수행하는 상기 SAP 블럭은 DB 삭제에 과금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처리 블럭인 CHA로 전달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SAP로부터 전송된 모든 단문멕시지 처리에 대한 과금데이터 및 IPCC로부터 전송된 입중계 호처리에 대한 과금데이터를 수집하여 SPIM 블록을 통해 중앙과금센터로 전달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과금디스크는 단문서비스에 대한 과금데이터가 저장되는 물리요소로서 CHA 블럭의 제어를 통해 과금 저장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일에 과금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SPIM 블럭은 상기 CHA로부터 과금데이터 전송 요구를 수신하여 디스크에 있는 과금 저장 파일을 읽어서 중앙과금센터로 전송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서비스 과금데이터 수집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
    SAP 블럭은 활성화된 후 초기화가 끝나면 메시지 수신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수신대가 상태에서 단문메시지 전달요구를 수신하고 처리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처리 가능할 경우, 수신한 단문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2 단계와;
    데이터베이스 저장 후 유효시간이나 지정시간 통보의 지정된 옵션에 맞춰 전달메시지를 생성하여 착신가입자에게 전송하고, 전달 결과 메시지를 수신하여 전달성공 유무를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판단 후 단문메시지 전달이 성공일 경우, 전달성공에 대한 과금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처리 블럭으로 전송하며, 전달실패일 경우 전달실패에 대한과금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처리 블럭으로 전송한 후 수신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서비스 과금데이터 수집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IPCC 블럭은 활성화된 후 초기화가 끝나면 메시지 수신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1 단계와;
    수신대기 상태에서 교환기로부터 입중계호 요구를 수신하여 R2 신호 방식을 통해 입중계호를 처리하고, 착신호 처리를 통해 통화로를 설정한 후 단문서비스 전달 방법에 관한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제 2 단계와;
    PSTN 가입자는 송출된 안내방송에 따라 DTMF 버튼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단문메시지를 입력하고 IPCC 블럭에서 DTMF 수신기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3 단계와;
    DTMF 수신을 완료하면 수신된 내용에 대한 전달요구 매시지를 생성하여 SAP 블럭으로 전송하고, SAP로부터 단문메시지 전달결과를 수신하는 제 4 단계와;
    SAP로부터 수신한 전달결과에 해당하는 녹음안내 방송을 PSTN 가입자에게 송출한 후 통화로를 절단하여 호처리를 종료하는 제 4 단계와;
    호처리 종료 후 단문서비스 전달을 위해 소요된 입중계호 시간의 호 과금데이터를 생성하여 과금처리 블럭으로 전송한 후 수신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서비스 과금데이터 수집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은
    CHA 블럭은 활성화된 후 초기화가 끝나면 수신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1 단계와;
    수신대기 상태에서 과금데이터 전달 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문메시지 처리에 대한 과금데이터인지 PSTN 입중계호에 대한 과금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단문메시지 처리에 대한 과금데이터일 경우 메모리에 존재하는 SMS 과금 버퍼에 저장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SMS 과금 버퍼에 과금데이터 갯수가 일정한 수인지를 판단하여 일정한 수가 되면 SMS 과금 디스크에 저장하는 제 3 단계와;
    SMS 과금 디스크에 저장된 과금데이터가 일정한 크기가 되는지 판단하여 일정한 크기에 도달하면 SPIM 블럭에게 SMS 과금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의 정보를 통하여 중앙과금센터로의 전송을 요구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단문메시지 처리에 대한 과금데이터인지 PSTN 입중계호에 대한 과금데이터 판단 결과 PSTN 입중계호에 대한 과금데이터일 경우 로컬 메모리에 존재하는 호 과금 버퍼에 저장하는 제 5 단계와;
    호 과금 버퍼에 저장된 과금데이터 갯수가 일정한 수가 되는지 판단하여 일정한 수가 되면, 호 과금 디스크에 저장하는 제 6 단계와;
    호 과금 디스크에 저장된 과금데이터가 일정한 크기에 도달하는지 판단하여 일정한 크기에 도달하면 SPIM 블럭에게 호 과금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의 정보를 통보하여 중앙과금센터로의 전송을 요구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SPIM 블럭으로 전송을 요구한 후 수신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서비스 과금데이터 수집방법.
KR1019970045974A 1997-09-05 1997-09-05 단문서비스 과금데이터 수집방법 KR100241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974A KR100241360B1 (ko) 1997-09-05 1997-09-05 단문서비스 과금데이터 수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974A KR100241360B1 (ko) 1997-09-05 1997-09-05 단문서비스 과금데이터 수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690A true KR19990024690A (ko) 1999-04-06
KR100241360B1 KR100241360B1 (ko) 2000-02-01

Family

ID=1952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974A KR100241360B1 (ko) 1997-09-05 1997-09-05 단문서비스 과금데이터 수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3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854A (ko) * 2002-06-01 2002-07-10 임현진 적립 포인트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 요금지불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351679B1 (ko) * 2000-01-17 2002-09-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가입자에게 과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20030062622A (ko) * 2002-01-18 2003-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단문메시지를 과금하는 방법
KR100446748B1 (ko) * 2002-07-18 200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접속네트워킹의 송수신 패킷확인방법
KR100561663B1 (ko) * 2002-07-25 2006-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스위칭 센터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KR100707086B1 (ko) * 2001-12-27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더블유엘엘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상태 관리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679B1 (ko) * 2000-01-17 2002-09-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가입자에게 과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0707086B1 (ko) * 2001-12-27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더블유엘엘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상태 관리 방법
KR20030062622A (ko) * 2002-01-18 2003-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단문메시지를 과금하는 방법
KR20020056854A (ko) * 2002-06-01 2002-07-10 임현진 적립 포인트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세징 서비스 요금지불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446748B1 (ko) * 2002-07-18 200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접속네트워킹의 송수신 패킷확인방법
KR100561663B1 (ko) * 2002-07-25 2006-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스위칭 센터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1360B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3187C (zh) 存储用户数据的方法和设备
JP4255140B2 (ja) 情報の無線検索方法
US6188887B1 (en) Distributed data storage and delivery in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WO1999020062A1 (en) Transmission system for relaying short messages
JP2000507429A (ja) 短メッセージ応答のルーティング
EP1312236B1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messages to registered groups
EP1219125B1 (en) Transmission of a short message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1247569B (zh) 下发消息的方法和系统、消息中心设备
US62530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updating rate center information
JPH10174174A (ja) 無線通信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
KR100241360B1 (ko) 단문서비스 과금데이터 수집방법
CN102056104B (zh) 一种短消息发送控制方法及装置、系统
CN101106820A (zh) 基于一卡多号技术的定制业务实现方法及系统
CN100484006C (zh) 服务通用分组无线业务支持节点对计费网关的管理方法
KR100237181B1 (ko)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공중 전화망 가입자를 위한 단문서비스 장치 및 단문 서비스 방법
KR100629144B1 (ko) Sms 기반의 개인정보 관리 방법
EP1619907B1 (en) Method for handling service request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227797B1 (ko)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서비스 센터의 응용 서비스 제어수단 및 그 제어 방법
KR100205077B1 (ko) 셀룰라 시스템의 단문서비스 센터 데이타베이스에 대한 단문메세지 삭제 방법
KR19980044280A (ko) 셀룰러 시스템의 단문서비스 센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단문메시지의 입력방법
EP1250821B1 (en) Checking the status of a subscriber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50106379A (ko) 이동통신망에서 단문메시지전송서버를 이용한 불완료호정보의 수집과 선택적 통지 방식 변경에 대한 방법 및시스템
CN101278572A (zh) 用于从发生点修饰短消息的系统和方法
KR100501163B1 (ko) 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방법
KR20000018553A (ko) 단문메시지서비스에서 발신전화번호를 이용한응답메시지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