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468U -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 Google Patents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468U
KR19990024468U KR2019970036938U KR19970036938U KR19990024468U KR 19990024468 U KR19990024468 U KR 19990024468U KR 2019970036938 U KR2019970036938 U KR 2019970036938U KR 19970036938 U KR19970036938 U KR 19970036938U KR 19990024468 U KR19990024468 U KR 199900244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photosensitive bel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wet electrophotographic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93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36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468U/en
Publication of KR199900244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468U/en

Links

Landscapes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를 개시한다.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is disclosed.

개시된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는, 그 내부에 현상액을 담고 있는 현상수단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상부를 지나가는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 중 여분의 현상액을 제거하여 상기 감광벨트에 현상액막을 형성시키는 1차 스퀴즈롤러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현상수단 외부에 설치되어 프린터의 이상동작으로 잔여 현상액을 제거하는 2차 현상액 제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disclosed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is provided with a primary squeeze which forms a developer film on the photosensitive belt by removing excess developer from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photosensitive belt passing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developing means containing the developer therein.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a roll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ary developer removal means installed outside the developing means to remove residual developer due to abnormal operation of the printer.

본 고안에 따르면, 프린터에 이상동작 발생시 예컨대, 정전, 페이퍼 잼, 및 고의적인 전원차단 등으로 인한 감광벨트에 남은 여분의 불필요한 현상액 제거할 수 있어서 클리닝한 프린팅이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bnormal operation occurs in the printer, it is possible to remove excess unnecessary developer remaining on the photosensitive belt due to power failure, paper jam, and intentional power supply cutoff.

Description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본 고안은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퀴지 롤러가 추가 채용된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employing a squeegee roller.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감광드럼 또는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시키고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로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한 뒤 기록지에 전사시켜 원하는 화상을 얻는 장치이다. 레이저 프린터는 사용하는 토너에 따라 습식과 건식으로 크게 대별되는데, 습식 레이저 프린터에는 휘발 성분의 액체케리어에 토너가 섞여 있는 현상액이 사용된다. 이러한 현상액을 이용하는 습식 레이저 프린터는 분말 상태의 토너를 이용하는 건식 레이저 프린터보다 인쇄 품질이 좋으며, 유해한 토너 분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 그 이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In general,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such as a laser printer forms a latent electrostatic image on a photosensitive medium such as a photosensitive drum or a photosensitive belt, develops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with a toner having a predetermined color, and transfers the image onto a recording sheet. It is a device that obtains an image. Laser printer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wet and dry, depending on the toner used. In a wet laser printer, a developer in which a toner is mixed in a volatile liquid carrier is used. The wet laser printer using the developer has better print quality than the dry laser printer using the powder toner, and can prevent damage caused by harmful toner dust, and its use is gradually increasing.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한 종류로서 습식 레이저 프린터의 주요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ain part of a wet laser printer as a type of a conventional electrophotographic printer.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습식 레이저 프린터(100)는 무한궤도상의 감광벨트(110)와, 이 감광벨트(110)를 주어진 경로에서 회전 이동시키는 1차 롤러(121), 2차 롤러(122) 및 3차 롤러(123)의 세 개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3차 롤러(123)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어 감광벨트(110)를 회전시키는 구동롤러이고, 2차 롤러(122)는 감광벨트(110)의 인장력을 조정하여 사행을 방지하는 스티어링롤러(Steering roller)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conventional general wet laser printer 100 has a photosensitive belt 110 on an endless track, a primary roller 121 and a secondary roller 122 for rotating the photosensitive belt 110 in a given path. ) And three rollers of the tertiary roller 123. In general, the tertiary roller 123 is a driving roller driven by a driving motor (not shown) to rotate the photosensitive belt 110, and the secondary roller 122 meanders 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photosensitive belt 110. Steering roller (Steering roller) to prevent.

그리고, 상기 감광벨트(110)의 일측부에는 감광벨트(110)를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주대전기(135)가 마련되고, 감광벨트(110)의 하부에는 화상신호에 따라 감광벨트(11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LSU(Laser scanning unit, 130)와,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를 함유한 현상액을 부착시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140)가 설치되어 있다. 칼라 프린터인 경우에는 색상의 조합을 위해 다수개의 LSU(130)와 다수의 색상을 가진 현상액을 각각 분리하여 담고 있는 다수개의 현상장치(140)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main charging unit 135 for uniformly charging the photosensitive belt 11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belt 110, and a lower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belt 110 has a laser on the photosensitive belt 110 according to an image signal. A laser scanning unit (LSU) 130 for irradiating a beam to form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and a developing device 140 for develop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by attaching a developer containing a toner having a predetermined color to a region where the latent electrostatic image is formed. It is installed. In the case of a color printer, a plurality of developing devices 140 are provided to separately contain a plurality of LSUs 130 and a developer having a plurality of colors for color combinations.

이와 같이 상기 현상장치(140)에 의해 감광벨트(110)에 현상된 토너상은 감광벨트(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1차 롤러(121)와 평행하게 설치된 전사롤러(124)에 의해 기록지(126)에 전사된다. 상기 기록지(126)는 상기 전사롤러(124)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그와 평행하게 설치된 가압롤러(125)의 사이를 통해 공급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지(126)에 전사된 토너상은 별도의 정착장치(미도시)에 의해 정착되어 최종적으로 원하는 화상을 얻게 된다.The toner image developed on the photosensitive belt 110 by the developing device 140 is recorded on the recording paper 126 by the transfer roller 124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primary roller 121 with the photosensitive belt 110 interposed therebetween. Is transferred). The recording paper 126 is supplied between the transfer roller 124 and the pressure roller 125 installed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and the toner image transferred to the recording paper 126 is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It is fixed by a fixing device (not shown) to finally obtain a desired imag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현상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develop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현상장치(140)는 감광벨트(110)의 하부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현상장치(140)의 내부에는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와 액체케리어로 된 현상액(148)이 담겨져 있고, 그 상부에는 현상롤러(141)와 클리닝롤러(142) 및 스퀴즈롤러(144,14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현상롤러(Developer roller, 141)는 LSU (130)에 의해 감광벨트(110)에 형성된 정전잠상 영역에 현상액(148)을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이때 상기 현상액(148)은 현상액 공급장치(143)에 의해 현상롤러(141)와 감광벨트(110)의 사이에 표면에 공급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general, the developing apparatus 14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belt 110. In the developing device 140, a developer 148 made of a toner having a predetermined color and a liquid carrier is contained, and a developing roller 141, a cleaning roller 142, and a squeeze roller 144, 146 ar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have. The developer roller 141 serves to attach the developer 148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region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belt 110 by the LSU 130, wherein the developer 148 is a developer supply device ( 143 is supplied to the surface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141 and the photosensitive belt 110.

상기 클리닝롤러(Cleaning roller, 142)는 현상롤러(141) 표면에 잔존된 현상액(148)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스퀴즈롤러(Squeeze roller, 144,146)는 1차 스퀴즈롤러(144)와 2차 스퀴즈롤러(146)로 구성되며,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148)중 상기 정전잠상의 현상에 사용되고 남는 여분의 현상액(148)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감광벨트(110)로부터 제거되는 현상액(148)은 스퀴즈롤러(144,146)의 표면에 부착되고, 다시 스퀴즈롤러(144,146)의 하부에 마련된 1차 블레이드(Blade, 145)와 2차 블레이드(147)에 의해 제거되어 현상장치(140) 내부에 회수 저장된다.The cleaning roller 142 removes the developer 148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1. The squeeze roller (Squeeze roller, 144, 146) is composed of the first squeeze roller 144 and the second squeeze roller 146, and used in the phenomenon of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of the developer 148 attached to the photosensitive belt 110 Remove excess developer 148. Thus, the developer 148 removed from the photosensitive belt 110 is attached to the surfaces of the squeeze rollers 144 and 146, and again the primary blades 145 and the secondary blades 147 provided under the squeeze rollers 144 and 146. Removed and stored in the developing device 140 inside.

상술한 바와 같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 시스템을 도 3의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 시스템 개요도를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developing system of the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eveloping system schematic diagram of the electrophotographic printer of FIG. 3.

도면을 참조하면, 현상롤러(141)는 감광벨트(11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감광벨트(11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사이에 공급된 현상액(148)을 감광벨트(110)의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148)은 현상롤러(141)의 폭과 같은 현상영역을 형성하게 되고, 감광벨트(110)를 따라 진행 중에 1차 스퀴즈롤러(144)에 의해 현상에 필요한 양만 남기고 여분의 현상액(148)은 제거된다. 1차 스퀴즈롤러(144)는 현상중에는 감광벨트(11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현상액(148) 중 여분의 현상액(148)을 제거하여 얇은 현상액막(149)을 형성시킨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eveloping roller 141 maintains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the photosensitive belt 110 and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hotosensitive belt 110, and the developing solution 148 supplied therebetween is exposed to the photosensitive belt.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region of (110). The developing solution 148 attached to the photosensitive belt 110 as described above forms a developing area equal to the width of the developing roller 141, and is formed by the primary squeeze roller 144 during the process along the photosensitive belt 110. The excess developer 148 is removed leaving only the amount necessary for development. The primary squeeze roller 144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hotosensitive belt 110 during development, and removes the excess developer 148 from the developer 148 to form a thin developer film 149.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종래의 습식 레이저 프린터(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여분의 현상액 제거를 위하여 두 개의 스퀴즈롤러(144, 146)가 사용되고, 그 각각에는 회전 및/또는 상하 승강운동을 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미도시) 및 구동장치(미도시)가 마련되며, 또한 그 각각의 하부에는 블레이드(145, 147)가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100)에 정전, 페이퍼 잼(Paper Jam), 및 고의적인 전원차단(Power Off) 등으로 인한 이상동작 발생시 상기 감광벨트(110)가 젖은 상태에서 다시 프린팅을 시작할 경우 여분의 불필요한 현상액 제거를 못하고 상기 감광벨트(110)를 지남으로서 불량 프린팅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wet laser printer 100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That is, two squeeze rollers 144 and 146 are used to remove excess developer, and each of them is provided with a lifting device (not shown) and a driving device (not shown) for rotating and / or moving up and down, respectively. In addition, blades 145 and 147 are installed at their lower portions. However, when the photosensitive belt 110 starts printing in a wet state again when an abnormal operation occurs due to a power failure, a paper jam, or a deliberate power off in the electrophotographic printer 100.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the poor printing by passing the photosensitive belt 110 without removing the unnecessary unnecessary developer.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전, 페이퍼 잼, 및 고의적인 전원차단 등으로 인한 프린터의 이상동작 발생시 감광벨트에 남은 여분의 불필요한 현상액 제거할 수 있는 스퀴지롤러를 추가로 채용하여 클리닝한 프린팅이 될 수 있는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dditionally, a squeegee roller that can remove the excess unnecessary developer remaining on the photosensitive belt when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printer occurs due to power failure, paper jam, and intentional power off.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that can be employed by cleaning cleaning.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의 주요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 structure of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developing apparatus shown in FIG. 1;

도 3은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outline of a developing system of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주요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main part structure of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현상장치의 내부구조와 2차 현상액 제거수단을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FIG.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eveloping apparatus shown in FIG. 1 and the secondary developer removing mean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감광벨트 130...LSU110 ... Photosensitive belt 130 ... LSU

140...현상장치 141...현상롤러140 Developing unit 141 Developing roller

142...클리닝롤러 143...현상액공급장치142 Cleaning roller 143 Developer solution

144...1차 스퀴즈롤러 145...1차 블레이드144 ... Primary Squeeze Roller 145 ... Primary Blade

146...2차 스퀴즈롤러 147...2차 블레이드146 ... 2nd squeeze roller 147 ... 2nd blade

148...현상액 149...현상액막148 Developing Solution 149

171...드라이롤러 172...히트롤러171 ... Dry Roller 172 ... Hit Roller

410...2차 현상액 제거수단 411...외부 스퀴즈롤러410 ... Secondary developer removal means 411 ... External squeeze roller

412...저장수단 413...배출관412 Storage means 413 Discharge pipe

414...현상액 저장통 415...스프링 수단414 ... developer reservoir 415 ... spring means

416...조절판416 ... thrott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는, 그 내부에 현상액을 담고 있는 현상수단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상부를 지나가는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 중 여분의 현상액을 제거하여 상기 감광벨트에 현상액막을 형성시키는 1차 스퀴즈롤러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현상수단 외부에 설치되어 프린터의 이상동작으로 잔여 현상액을 제거하는 2차 현상액 제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a developing means containing a developer therein and removes the excess developer from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photosensitive belt passing through the photosensitive belt.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a primary squeeze roller for forming a developer film thereon, the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comprising: a secondary developer removing means installed outside the developing means to remove residual developer due to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printer; do.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2차 현상액 제거수단은, 외부 스퀴즈롤러와, 상기 외부 스퀴즈롤러에 의해 제거된 현상액을 저장하는 저장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수단의 하측으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현상액을 받아내는 현상액 배출수단이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ary developer removing means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squeeze roller and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developer removed by the external squeeze roller, and the developer stored in the storage means under the storage means. It is preferable that the developer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means for receiving.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현상액 배출수단은, 상기 저장수단의 하측과 연통되게 설치된 소정의 관과, 상기 관의 일 측에 설치된 현상액 조절수단과, 상기 관에 연장되게 설치되어 현상액을 최종적으로 받아내는 현상액 저장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 means, a predetermined tube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means, a developing solution adjusting mean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ube, and extends to the tube to finally receive the developing solution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a developing solution storage container.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현상액 조절수단은, 소정의 스프링 수단과, 상기 스프링 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관을 개폐 및 폐쇄하는 조절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eveloper adjusting means comprises a predetermined spring means and a control plate provided on the spring means to open and close the tu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분은 그 구성만 간략하게 설명하고 본 고안의 특징부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First,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only briefly the configuration and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400)는, 무한궤도상의 감광벨트(110)와, 상기 감광벨트(110)를 회전 이동시키는 1차 롤러(121), 2차 롤러(122) 및 3차 롤러(123)의 세 개의 롤러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감광벨트(110)의 일측부에는 감광벨트(110)를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주대전기(135)가 마련되고, 상기 감광벨트(110)의 하부에는 감광벨트(11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LSU(130)와,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장치(140)가 설치되어 있다. 칼라 프린터인 경우에는 색상의 조합을 위해 다수개의 LSU(130)와, 다수개의 현상장치(14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sensitive belt 110 on the endless track, and the primary roller 121, the secondary roller (rotating to move the photosensitive belt 110) 122 and the three rollers of the tertiary roller 123 are provided, respectively. In addition, a main charging unit 135 for uniformly charging the photosensitive belt 11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hotosensitive belt 110, and a lower portion of the photosensitive belt 110 irradiates a laser beam to the photosensitive belt 110. LSU 130 is formed to form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and a developing apparatus 140 for develop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n the case of a color printer, a plurality of LSUs 130 and a plurality of developing devices 140 are provided for color combinations.

상기 현상장치(140)에 의해 감광벨트(110)에 현상된 토너상은 감광벨트(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1차 롤러(121)와 평행하게 설치된 전사롤러(124)에 의해 기록지(126)에 전사된다. 상기 기록지(126)는 가압롤러(125)의 사이를 통해 공급된다. 그리고, 본 발명을 특징지우는 특징부가 상기 현상장치(140)의 외부에 프린터의 이상동작으로 잔여 현상액을 제거하는 2차 현상액 제거수단(410)이 설치되어 있다.The toner image developed on the photosensitive belt 110 by the developing device 140 is placed on the recording paper 126 by a transfer roller 124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rimary roller 121 with the photosensitive belt 110 interposed therebetween. Is transferred. The recording paper 126 is supplied through the pressure roller 125. In addition, the secondary developer removing means 410 is installed outside the developer 140 to remove the residual developer due to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printer.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현상장치의 내부구조와, 2차 현상액 제거수단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5 schematically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eveloping apparatus shown in FIG. 4 and the secondary developer removing means.

도면을 참조하면, 현상장치(140)의 내부에는 현상액(148)이 담겨져 있고, 그 상부에는 현상롤러(141)와 클리닝롤러(142) 및 스퀴즈롤러(144,14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현상액(148)은 현상액 공급장치(143)에 의해 현상롤러(141)와 감광벨트(110)의 사이에 표면에 공급되고, 상기 클리닝롤러(142)는 현상롤러(141) 표면에 잔존된 현상액(148)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1차 스퀴즈롤러(144)와 2차 스퀴즈롤러(146)로 구성되며, 감광벨트(110)에 부착된 현상액(148)중 상기 정전잠상의 현상에 사용되고 남는 여분의 현상액(148)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감광벨트(110)로부터 제거되는 현상액(148)은 스퀴즈롤러(144,146)의 표면에 부착되고, 다시 스퀴즈롤러(144,146)의 하부에 마련된 1차 블레이드(Blade, 145)와 2차 블레이드(147)에 의해 제거되어 현상장치(140) 내부에 회수 저장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developing solution 148 is contained in the developing device 140, and a developing roller 141, a cleaning roller 142, and a squeeze roller 144, 146 ar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developer 148 is supplied to the surface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141 and the photosensitive belt 110 by the developer supply device 143, and the cleaning roller 142 is a developer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roller 141. (148) serves to remove. The first squeeze roller 144 and the second squeeze roller 146, which is used for developing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of the developer 148 attached to the photosensitive belt 110 to remove the remaining developer 148 Play a role. Thus, the developer 148 removed from the photosensitive belt 110 is attached to the surfaces of the squeeze rollers 144 and 146, and again the primary blades 145 and the secondary blades 147 provided under the squeeze rollers 144 and 146. Removed and stored in the developing device 140 insid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감광벨트(110)를 따라 진행 중에 1차 스퀴즈롤러(144)에 의해 현상에 필요한 양만 남기고 여분의 현상액(148)은 제거된다. 1차 스퀴즈롤러(144)는 현상중에는 감광벨트(110)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현상액(148) 중 여분의 현상액(148)을 제거하여 얇은 현상액막(149)을 형성시킨다.In more detail, the excess developer 148 is removed by the primary squeeze roller 144 and the excess developer 148 is removed by the primary squeeze roller 144 during the process along the photosensitive belt 110. The primary squeeze roller 144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hotosensitive belt 110 during development, and removes the excess developer 148 from the developer 148 to form a thin developer film 149.

그리고, 본 고안의 특징부인 상기 2차 현상액 제거수단(410)이 상기 현상장치(140)의 외부 일 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2차 현상액 제거수단(410)은, 프린터의 이상동작으로 잔여 현상액을 제거하는 외부 스퀴즈롤러(411)와, 상기 외부 스퀴즈롤러(411)에 의해 제거된 현상액을 저장하는 저장수단(412)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저장수단(412)의 하측으로는 상기 저장수단(412)에 저장된 현상액을 받아내는 현상액 배출수단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econdary developer removing means 410,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n outer side of the developing device 140. The secondary developer removing means 410 includes an external squeeze roller 411 for removing residual developer due to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printer, and a storage means 412 for storing the developer removed by the external squeeze roller 411. It is installed. And, under the storage means 412, a developer discharge means for receiving the developer stored in the storage means 412 is provided.

상기 현상액 배출수단은, 상기 저장수단(412)의 하측과 연통되게 설치된 소정의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413)의 일 측에 설치된 현상액 조절수단과, 상기 배출관(413)에 연장되게 설치되어 현상액을 최종적으로 받아내는 현상액 저장통(4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현상액 조절수단은, 소정의 스프링 수단(415)과, 상기 스프링 수단(415)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을 개방 및 폐쇄하는 조절판(416)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The developer discharging means may include a predetermined discharge tube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a lower side of the storage means 412, a developer adjusting mean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ischarge tube 413, and a developer discharged to extend in the discharge tube 413. Finally, the developer reservoir 414 is taken out. The developer adjustment means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pring means 415, and a control plate 416 is installed on the spring means 415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ip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는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400)는, 여분의 현상액 제거를 위하여 상기 현상장치(140)에 설치된 두 개의 스퀴즈롤러(144, 146)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100)에 정전, 페이퍼 잼(Paper Jam), 및 고의적인 전원차단(Power Off) 등으로 인한 이상동작 발생시에 상기 감광벨트(110)가 젖은 상태에서 다시 프린팅을 시작할 경우, 여분의 불필요한 현상액 제거를 상기 외부 스퀴즈롤러(411)로 제거한다. 제거된 현상액은 저장수단(412)에 떨어지고, 상기 저장수단(412)에 고인 현상액은 배출관(413)을 통해 현상액 저장통(414)에 모이게 된다.In the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wo squeeze rollers 144 and 146 installed in the developing device 140 are used to remove excess developer. When the abnormal operation occurs due to a power failure, paper jam, or intentional power off, the photosensitive belt 110 starts printing again when the electrophotographic printer 100 is wet. In this case, excess unnecessary developer removal is removed by the external squeeze roller 411. The removed developer drops to the storage means 412, and the developer accumulated in the storage means 412 is collected in the developer storage container 414 through the discharge pipe 413.

또한, 상기 배출관(413)의 일 측으로 설치된 스프링 수단(415)과, 조절판(416)은 상기 저장수단(412)에 과도하게 저장되어 있을 경우 그 압력으로 상기 조절판(416)이 개방되어 현상액이 현상액 저장통(414)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저장수단(412)에 모인 현상액을 이 현상액 조절수단을 개폐하므로서 현상액을 제거한다.In addition, the spring means 415 provided to one side of the discharge pipe 413, and the control plate 416 is excessively stored in the storage means 412, the control plate 416 is opened by the pressure, the developer is a developer The developer can be lowered to the storage container 414 or the developer is collected by removing the develop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developer adjusting means.

따라서, 프린터에 이상동작 발생하면, 상기 2차 현상액 제거수단에서 감광벨트(110)에 묻은 여분의 현상액을 제거하여 상기 감광벨트(110)를 클리닝한 후, 프린팅을 실시한다.Accordingly, when an abnormal operation occurs in the printer, the secondary developer removing means removes the excess developer from the photosensitive belt 110, cleans the photosensitive belt 110, and then performs printing.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프린터에 외부 스퀴즈롤러(411) 및 현상액을 받아내는 저장수단(412)을 마련한 2차 현상액 제거수단(410)을 채용함으로서, 이 프린터에 이상동작 발생시 예컨대, 정전, 페이퍼 잼, 및 고의적인 전원차단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감광벨트(110)에 묻은 여분의 불필요한 현상액 제거하여 클리닝한 프린팅이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By employing a secondary developer removal means 410 having an external squeeze roller 411 and a storage means 412 for receiving a developer in the printer, when an abnormal operation occurs in the printer, for example, power failure, paper jam, and intentional power off.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inting can be cleaned by removing the unnecessary developer developed on the photosensitive belt 110 caused by.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ttach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Claims (5)

그 내부에 현상액을 담고 있는 현상수단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상부를 지나가는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 중 여분의 현상액을 제거하여 상기 감광벨트에 현상액막을 형성시키는 스퀴즈롤러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에 있어서;To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having a squeeze roller installed in the developing means containing the developer therein to remove the excess developer from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photosensitive belt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to form a developer film on the photosensitive belt. In; 상기 현상수단 외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프린터의 이상동작으로 잔여 현상액을 제거하는 2차 현상액 제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ary developer removal means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eveloping means to remove the residual developer due to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print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2차 현상액 제거수단은, 외부 스퀴즈롤러와, 상기 외부 스퀴즈롤러에 의해 제거된 현상액을 저장하는 저장수단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The secondary developer removing means is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rnal squeeze roller and the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developer removed by the external squeeze roller is provided.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저장수단의 하측으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현상액을 받아내는 현상액 배출수단이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veloper discharge means for receiving the developer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o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means.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현상액 배출수단은, 상기 저장수단의 하측과 연통되게 설치된 소정의 관과, 상기 관의 일 측에 설치된 현상액 조절수단과, 상기 관에 연장되게 설치되어 현상액을 최종적으로 받아내는 현상액 저장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The developer discharging means comprises a predetermined tube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means, a developer adjusting mean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ube, and a developer storage container extending to the tube to finally receive the developer. A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characterized by.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현상액 조절수단은, 소정의 스프링 수단과, 상기 스프링 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관을 개폐 및 폐쇄하는 조절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 사진방식 프린터.The developing solution adjusting means includes a predetermined spring means, and a control plate installed on the spring means to open and close the tube.
KR2019970036938U 1997-12-12 1997-12-12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999002446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938U KR19990024468U (en) 1997-12-12 1997-12-12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938U KR19990024468U (en) 1997-12-12 1997-12-12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468U true KR19990024468U (en) 1999-07-05

Family

ID=6969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938U KR19990024468U (en) 1997-12-12 1997-12-12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468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3176B1 (en) Apparatus for cleaning transfer roller and optical photoreceptor of printing device
US522038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leanable transfer material carrying means
KR19990069625A (en) Transfer Roller Cleaning Device for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s
KR200168977Y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34282B1 (en) An optical photoreceptor belt cleaning apparatus for a liquid electrographic imaging system
KR19990024468U (en)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200172924Y1 (en) Developer roller cleaning apparatus for a liquid electrographic imaging system
KR100230328B1 (en) Development apparatu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35427B1 (en) Transfer roller cleaning apparatus for printer
KR100275687B1 (en) Method of cleaning photosensing medium of image forming device
KR200218914Y1 (en) A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0503811B1 (en) Alien substance protecting device for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0412487B1 (en) a wet electrophotograph type printer having apparatus for cleaning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KR200259771Y1 (en) Liquid Carrier Removal Device for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s
KR100243237B1 (en) Development apparatus in electrographic printer
KR100304611B1 (en) Photoreceptor clenning apparatus for developer
KR100319840B1 (en) Photosensitive media cleaning device for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0343169B1 (en) Developer roller cleaning apparatus for printer
KR100304629B1 (en) Developing roller cleaning device for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0396570B1 (en) Developer 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image-forming device
KR100385986B1 (en) OPR-belt cleaning apparatus for liquid electro photographic printer
KR100433537B1 (en) Image transfer belt cleaning apparatus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0261102B1 (en) Development apparatus for a liquid printer
KR200160903Y1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9990085859A (en) Developing roller cleaning device for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