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838U - Toilet flushing device - Google Patents

Toilet flush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838U
KR19990023838U KR2019970036249U KR19970036249U KR19990023838U KR 19990023838 U KR19990023838 U KR 19990023838U KR 2019970036249 U KR2019970036249 U KR 2019970036249U KR 19970036249 U KR19970036249 U KR 19970036249U KR 19990023838 U KR19990023838 U KR 199900238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toilet
valve rod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24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충-이 호
Original Assignee
충-이 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이 호 filed Critical 충-이 호
Priority to KR2019970036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3838U/en
Publication of KR199900238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838U/en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화장실 수세 장치는 물 공급 탱크(50)안에 설치되고 상기 화장실 수세식 변기(53)가 수세 되었을 때 화장실 수세식 변기(53)의 상기 림 수세관(54)으로 고압수의 공급을 허락한 전환기 밸브(30)를 가진다. 상기 전환기 밸브(30)는 밸브 하우징(31)과 상기 물 높이의 증가 또는 감소에 응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31)에서 유동있게 배치된 밸브 로드(32)를 가진다. 관통로(3210)는 상기 물 공급 탱크(50)로 고압수를 유도하기 위해서 상기 밸브 로드(32)를 통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밸브 로드(32)의 상기 관통로(3210)에서 오염물질 형성을 방지한다.The toilet flush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tank 50 and the diverter valve 30 which permits the supply of high pressure water to the rim flush pipe 54 of the toilet flush 53 when the toilet flush 53 is flushed. ) The diverter valve 30 has a valve housing 31 and a valve rod 32 arranged to flow in the valve housing 31 in response to an increase or decrease in the water height. The through passage 3210 is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valve rod 32 to induce high pressure water into the water supply tank 50, whereby the through passage 3210 of the valve rod 32. Prevents contaminant formation

Description

화장실 수세 장치Toilet flushing device

본 고안은 화장실 수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 수세식 변기의 급수 파이프로부터 수세식 변기의 림 수세관까지 물을 안내하기 위한 전환기 밸브 장치를 가진 화장실 수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flush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flushing device having a switch valve device for guid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toilet flush toilet to the rim flush tube of the flush toilet.

미국 특허 제 5,175,894호에서는 화장실 수세식 변기가 수세되었을 때 화장실 수세식 변기의 림(rim) 수세관으로 고압수의 공급을 가능케 하는 전환기 밸브 장치를 가진 화장실 수세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전환기 밸브는, 중공 밸브 하우징 내부에 상기 급수 파이프로부터 물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뚜껑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뚜껑의 회전이 뚜껑의 회전축 위에 형성한 오염 물에 의해서 자주 저지되기 때문에 화장실 수세 장치의 기능 불량 결과를 초래한다.U.S. Patent No. 5,175,894 discloses a toilet flushing device having a diverter valve device which allows the supply of high pressure water to the rim flush of the toilet flushing toilet when the toilet flushing toilet is flushed. The diverter valve has a lid inside the hollow valve housing that is rotatably provided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from the feed pipe. However, the rotation of the lid is often hampered by contaminants formed on the axis of rotation of the lid, resulting in a malfunction of the toilet flushing device.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기 전술한 화장실 수세 장치에 관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화장실 수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급수 탱크를 보충하기 위해 전달장치를 통하여 흐르도록 하기 위한 유입 파이프로부터 고압수가 흐를 때 전달장치를 깨끗하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전달장치내에 오염물질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ilet flushing device which can overcome the problems with the above-described toilet flushing device of the prior art, and thus, from an inlet pipe for flowing through a delivery device to replenish a water tank. When the high pressure water flows, the delivery device can be cleaned, there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taminants in the delivery device.

본 고안의 다른 형태와 잇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행에 대해 다음과 같은 상세한 기술에서 명백하게 되었다.Other form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화장실 수세식 변기 일체가 설치될 때 본 고안에 따른 화장실 수세 장치의 바람직한 실행을 설명한 도면.1 is a view illustrating a preferred implementation of the toilet fl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ilet flush toilet is installed.

도 2는 보통 상태일 때 본 고안의 화장실 수세 장치의 부분단면도.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ilet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normal state.

도 3은 본 고안의 화장실 수세 장치의 전환기 밸브 장치의 부분단면도.Figure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witch valve device of the toilet flus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보통 상태일 때 본 고안의 화장실 수세 장치의 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ilet flus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 a normal state.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실 수세 장치의 전환기 밸브의 분해조립도.5 is an exploded assembly view of the diverter valve of the flu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3의 화장실 수세 장치의 상단면도.6 is a top view of the toilet flushing device of FIG.

도 7은 전환기 밸브 장치내로 흐르도록 급수 파이프로부터 물을 공급하기 위해 작동될 때 급수 탱크에서 부유물-제어 밸브 장치를 설명한 부분단면도.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float-control valve device in a feed tank when operated to supply water from the feed pipe to flow into the diverter valve device.

도 8은 밸브 로드를 아래방향으로 당길 때 밸브 전환 장치의 부유물 부재를 설명한 부분단면도.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float member of the valve switching device when the valve rod is pulled downward;

도 9는 가장 아래 위치로 움직일 때 전환기 밸브 장치의 부유물 부재를 설명한 부분단면도.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floating member of the diverter valve device when moved to the bottommost position.

도 10은 밸브 로드의 연결을 풀기 위해 위쪽으로 이동될 때 전환기 밸브 장치의 부유물 부재를 설명한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float member of the diverter valve device as it is moved upwards to disengage the valve rod.

본 고안의 화장실 수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가 급수 탱크와 조합하여 화장실 수세식 변기내에 설치되기 위한 것과 화장실 수세식 변기는 림-수세관과 목부를 가진다. 상기 화장실 수세 장치는 상기 급수 탱크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 급수 파이프를 포함하고 외부 일정기압으로 유지된 물 원에 연결된 하단을 가진다.; 부유물-조절 밸브장치는 상기 급수 파이프로부터 상기 급수 탱크까지 흐르는 물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급수 파이프의 상단에 제공된다.; 화장실 수세식 변기의 목부로 급수 탱크 내부 물을 방출하기 위해 수세 밸브 장치가 수동으로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탱크와 상기 급수 파이프로 유동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환기 밸브 장치. 상기 전환기 밸브 장치는 중공 밸브 하우징, 급수 파이프로부터 물을 받는 횡축 유입 파이프를 포함하고, 그리고 횡축 공급 라인(line)은 화장실 수세식 변기의 상기 림 수세 관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연결되어 있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oilet flus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stalled in a toilet flush toilet in combination with a water supply tank and a toilet flush toilet has a rim-flush and a neck. The toilet flushing device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extending into the water supply tank and has a lower end connected to a water source maintained at an external constant pressure; A float-control valve device is provided on top of the feed pipe for controlling the water flowing from the feed pipe to the feed tank; The flush valve device is manually operated to drain the water inside the feed tank to the neck of the toilet flush toilet; And a diverter valve device for fluidly transferring the feed tank and the feed pipe. The diverter valve device comprises a hollow valve housing, a transverse inlet pipe receiving water from the feed pipe, and a transverse feed line is connected to supply water to the rim flush tube of the toilet flush toilet.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하부벽, 상기 상부와 하부벽 사이의 횡축 격벽을 가지고, 그리고 상부와 하부 쳄버는 상기 격벽에 의해서 분리된다. 상기 격벽은 개구와 개구를 국한한 제 1 밸브 세트를 가진다. 상기 유입 파이프와 상기 공급 라인은 각각 상기 상부와 상기 하부 쳄버로 전달되어 있다.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상부 쳄버와 상기 급수 탱크의 연결을 위해 전달장치를 가진다.The valve housing has an upper and lower wall, a transverse bulkhea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the upper and lower chambers are separated by the partition. The partition has an opening and a first valve set confined to the opening. The inlet pipe and the supply line are respectively delivered to the upper and lower chambers. The valve housing has a delivery device for connecting the upper chamber and the feed tank.

상기 전환기 밸브 장치는 상단과 하단이 있는 밸브 로드를 가진다. 상기 밸브 로드의 상단은 상기 상부 쳄버 안으로 연장되고 밸브 부재로 제공된다. 상기 하단은 상기 밸브 하우징의 밖으로 연장된다. 상기 밸브 로드는 상기 개구를 밀봉하지 않은 격벽의 상기 개구를 통하여 통과하고 하부벽을 통하여는 밀봉하여 연장한다. 상기 밸브 로드는 제 1 밸브 세트로부터 떨어진 밸브 부재를 움직이기 위해서 보통 위로 편심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밸브 로드 둘레 상기 개구를 통하여 통과하므로써 상기 상부 쳄버로부터 상기 하부 쳄버까지 그리고 상기 공급 라인 까지 흐르도록 유입 파이프로부터 물을 유입한다.The diverter valve device has a valve rod with a top and a bottom. An upper end of the valve rod extends into the upper chamber and serves as a valve member. The lower end extends out of the valve housing. The valve rod passes through the opening of the unsealed partition wall and sealably extends through the bottom wall. The valve rod is usually eccentric up to move the valve member away from the first valve set and thereby flows through the opening around the valve rod to flow from the upper chamber to the lower chamber and to the supply line. Inflow of water from

상기 전환기 밸브 장치는 밸브로드를 움직이도록 연결되어 있는 부유물 부재를 가지고, 상기 밸브 로드를 아래로 당기기 위해 상기 수세 밸브 장치가 작동될 때 상기 급수 탱크 내부에 물 높이 감소에 응하여 아래쪽으로 움질일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제 1 밸브 세트의 아래쪽으로 밸브 부재가 움직이고 상부와 하부 쳄버사이의 전달을 방해하며, 상기 급수 탱크를 보충하기 위해 전달장치를 통하여 흐르도록 유입 파이프로부터 물을 인가한다.The diverter valve device has a float member connected to move the valve rod, and may move downward in response to a decrease in water height inside the feed tank when the flush valve device is operated to pull the valve rod down; Thereby moving the valve member down the first valve set and hindering the transf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hambers and applying water from the inlet pipe to flow through the delivery device to replenish the feed tank.

상기 유입 파이프로부터 고압수가 상기와 같이 흐를 때 전달장치를 깨끗하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전달장치내에 오염물질 형성을 방지한다.When the high pressure water flows from the inlet pipe as above, it is possible to clean the delivery device, there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taminants in the delivery device.

[실시예]EXAMPLE

도 1과 2를 인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장실 수세 장치의 바람직한 실행은 화장실 수세식 변기 일체(10)내에 설치된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상기 화장실 수세식 변기 일체(10)는 급수 탱크와 림(rim) 수세관(54)과 목 부분(55)을 가진 화장실 수세식 변기를 포함한다. 급수 파이프(21)는 급수 탱크 내부(50)로 연장하고 외부에 일정기압이 유지된 물 원에 연결된 하단과 전례적인 볼-콕크 밸브(22)가 제공된 상단을 가진다. 로드(25)는 주 부유물(252)로 상기 볼-콕크 밸브(22)에 연결한다. 상기 급수 탱크(50)는 방출 유출구(56)를 제공한다. 플래퍼 밸브(52)는 보통 상기 방출 유출구(56)를 차단하고, 상기 급수 탱크(50)의 일단에 경첩되어 있다. 플래퍼 밸브(52)의 다른 단은 전례적인 플러시 암(arm)의 작동 암(arm)에 결합되어 있고, 체인 또는 케이블(58)의 장치로 텡크(50)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다. 플러시 핸들(51)은 방출 유출구(56)을 통한 흐름으로 탱크(50)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플래퍼 밸브를 들어 올리기 위해 작동된다. 방출 파이프(57)는 전례적인 방법에서 화장실 수세식 변기(53)의 목부(55)로 방출 유출구(56)를 통하여 물 흐름을 유도한다. 상기 탱크(50)내에 물 높이가 낮아질 때, 상기 주 부유물(252)은 낮아지게 될 것이며, 그것에 의하여 상기 볼-콕크 밸브(22)가 개방된다. 급수 파이프(21)로부터 물은 화장실 수세 장치의 전환기 밸브 장치(30)로 유도되고, 보통 물 높이로 도달할 때 까지 탱크(50)를 다시 채우기 위해서 급수 탱크(50)와 급수 파이프(21)로 유동적으로 전달하고, 그런 후 상기 주 부유물(252)은 상기 볼-콕크 밸브(22)를 차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a preferred implementation of the toilet flu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o be installed in the toilet flush toilet (10). The toilet flush toilet 10 includes a toilet flush toilet having a water tank, a rim flush pipe 54 and a neck portion 55. The feed pipe 21 has a lower end extending into the water supply tank interior 50 and connected to a water source having a constant atmospheric pressure thereon and an upper end provided with the conventional ball-cock valve 22. The rod 25 connects to the ball-cock valve 22 as a main float 252. The feed tank 50 provides a discharge outlet 56. The flapper valve 52 normally shuts off the discharge outlet 56 and is hinged at one end of the feed tank 50. The other end of the flapper valve 52 is coupled to the actuating arm of the conventional flush arm and is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shank 50 by means of a chain or cable 58. The flush handle 51 is operated to lift the flapper valve to supply water into the tank 50 with flow through the discharge outlet 56. The discharge pipe 57 directs water flow through the discharge outlet 56 to the neck 55 of the toilet flush 53 in an unprecedented manner. When the water level in the tank 50 is lowered, the main float 252 will be lowered, thereby opening the ball-cock valve 22.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21 is led to the diverter valve device 30 of the toilet flushing device, and to the water supply tank 50 and the water supply pipe 21 to refill the tank 50 until it reaches the normal water level. Fluidly transfer, and then the main float 252 shuts off the ball-cock valve 22.

도 1,3,4,5와 6을 인용하여, 본 고안의 상기 전환기 밸브 장치(30)는 중공 밸브 하우징(31), 횡단 유입 파이프(21b)를 포함하고, 급수 파이프(21)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급수 라인(40)이 연결된 림 수세관(54)으로 물을 공급한다. 밸브 하우징(31)은 실제로 원통형이고, 상부와 하부벽(3101, 3102), 상부와 하부벽(3101, 3102)사이에 횡축 격벽을 가지며, 그리고 상부와 하부 쳄버(31a,31b)는 격벽(3103)에 의해서 분리되어 있다. 상기 격벽(3103)은 개구(311)와 상기 개구(311)를 국한한 제 1 밸브 세트(3111)를 가진다. 유입 파이프(21b)와 공급 라인(40)은 각각 상부와 하부 쳄버(31a,31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밸브 하우징(31)은 상부 쳄버(31a)와 급수 탱크(5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전달 장치를 가지며, 아래에 기술되었다.1, 3, 4, 5 and 6, the diverter valve devic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llow valve housing 31, a transverse inlet pipe 21b, and draws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21. The water supply is supplied to the rim flush pipe 54 to which the water supply line 40 is connected. The valve housing 31 is actually cylindrical and has transverse bulkhead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alls 3101 and 3102, the upper and lower walls 3101 and 3102, and the upper and lower chambers 31a and 31b are partitions 3103. Separated by). The partition 3103 has an opening 311 and a first valve set 3111 confining the opening 311. Inlet pipe 21b and supply line 40 are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chambers 31a and 31b, respectively. The valve housing 31 has a delivery device for connecting the upper chamber 31a and the water supply tank 50 to each other, as described below.

도 3과 5를 인용하여, 상기 전환기 밸브 장치(30)는 상단과 하단(321,322)과 관통로를 가진 밸브 로드를 가지며 상기 관통로는 밸브 로드를 통하여 세로로 연장되고 전달 장치로써 공급된다. 다른 방도로, 상기 전달 장치는 밸브 로드(32)가 고체 로드로써 형성될 때 밸브 하우징(31)의 상부벽내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밸브로드(32)의 상기 상단(321)은 상부 쳄버내부(31a)로 연장되고 밸브 부재(33)로 제공된다. 상기 하단(322)은 밸브 하우징(31)의 바닥 연장 튜브(312)의 밖으로 연장된다. 밸브 로드(32)는 개구(311)를 밀봉하지 않은 격벽(3103)의 개구(311)를 통하여 관통하고 바닥 벽(3102)에 대한 연장 튜브(312)를 통하여 밀봉하도록 연장한다. 나사산 부위(321a)는 밸브로드(32)의 하단(322)부근에 제공된다. 너트(313)는 나사산 부위(321a)를 맞물리게 한다. 상기 밸브 하우징(31)의 상기 상부벽(3101)은 거기에 형성된 제 2 밸브 세트(3104)를 가진다. 상기 밸브 로드(32)는 밸브 부재(33)와 바닥 벽(3102)사이 둘레에 슬리브 접속된 스프링 부재(34)을 가진다. 상기 스프링 부재(34)은 제 1 밸브 세트(3111)로부터 떨어진 밸브 부재(33)를 이동하고 상기 제 2 밸브 세트(3104)에 반대하여 밸브 부재(33)를 설치하기 위해서 밸브 로드(32) 위로 보통 편심된다.Referring to FIGS. 3 and 5, the diverter valve device 30 has a valve rod having top and bottom ends 321, 322 and a passageway, the passageway extending longitudinally through the valve rod and supplied as a delivery device. Alternatively, the delivery device may be apertured in the top wall of the valve housing 31 when the valve rod 32 is formed as a solid rod. The upper end 321 of the valve rod 32 extends into the upper chamber interior 31a and is provided to the valve member 33. The bottom 322 extends out of the bottom extension tube 312 of the valve housing 31. The valve rod 32 penetrates through the opening 311 of the partition 3103 which is not sealed and opens through the extension tube 312 to the bottom wall 3102. The threaded portion 321a is provided near the lower end 322 of the valve rod 32. The nut 313 engages the threaded portion 321a. The upper wall 3101 of the valve housing 31 has a second valve set 3104 formed therein. The valve rod 32 has a spring member 34 sleeveed around the valve member 33 and the bottom wall 3102. The spring member 34 moves above the valve rod 32 to move the valve member 33 away from the first valve set 3111 and install the valve member 33 against the second valve set 3104. Usually it is eccentric.

도 3,4,와 5를 인용하여, 전환기 밸브 장치(30)는 급수 파이프(21)위에 슬리브된 부유물 몸체(351)를 가진 부유물 부재(35)을 가지며, 그리고 부유물 몸체(351)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횡축 플레이트(352)를 가진다. 상기 연장 튜브(312)와 상기 밸브 로드(32)는 횡축 플레이트(352)를 통하여 미끄러지듯이 연장된다. 그러나, 상기 부유물 부재(35)는 전술한 연장 플레이트(351)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연장 튜브(312)와 상기 밸브로드(32)위에 직접적으로 슬리브 접속되어 있다.Referring to FIGS. 3, 4, and 5, the diverter valve device 30 has a float member 35 with a float body 351 sleeved over the feed pipe 21, and extends from the float body 351. Which has a transverse plate 352. The extension tube 312 and the valve rod 32 slide likewise through the transverse plate 352. However, the float member 35 is directly sleeved on the extension tube 312 and the valve rod 32 without using the extension plate 351 described above.

도 2와 7을 인용하여, 상기 탱크(50)가 처음으로 가득 찰 때 상기 부유물 부재(35)는 상기 물 통로를 따라 흐르고 상기 케이블(58)에 대해서는 어떠한 인력도 발휘하지 못한다. 상기 밸브 부재(33)는 상기 스프링 부재(34)의 위로 향하는 스프링 힘에 기인하여 상기 제 2 밸브 세트(3104)에 반대하여 접한다. 상기 플러시 핸들(51)이 작동될 때, 상기 플레퍼 밸브(52)는 방출 유출구(56)와 화장실 수세식 변기(53)의 목부(55) 내부로 흐르도록 하여 탱크(50)내에 물을 채우기 위해서 올려져 있다. 상기 탱크(50)안에 물 높이가 떨어질 때 , 주 부유물(252)과 상기 부유물 부재(35)는 낮아지고, 그것에 의해 상기 볼-콕크 밸브(22)가 개방된다. 상기 물 공급 파이프(21)로부터 고압수는 상기 전환기 밸브 장치(30)로 들어가고 상기 공급라인(40)으로 유도된다. 고압수는 이와같이 상기 림 수세관(54)으로 들어가고, 그것에 의하여 화장실 수세식 변기의 내부 물을 효율적으로 씻어낸다.Referring to FIGS. 2 and 7, when the tank 50 is initially full, the float member 35 flows along the water passage and exerts no attraction to the cable 58. The valve member 33 abuts against the second valve set 3104 due to the upward spr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34. When the flush handle 51 is actuated, the flapper valve 52 flows into the discharge outlet 56 and the neck 55 of the toilet flush 53 to fill the water in the tank 50. It is raised. When the water level in the tank 50 falls, the main float 252 and the float member 35 are lowered, thereby opening the ball-cock valve 22. High pressur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21 enters the diverter valve device 30 and is led to the supply line 40. The high pressure water enters the rim flush tube 54 in this way, thereby efficiently flushing the internal water of the toilet flush toilet.

도 8을 인용하여, 상기 탱크(50)내의 상기 물 높이가 연속적으로 점차적으로 감소할 때, 상기 부유물 부재(35)의 상기 연장 플래이트(352)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고 결국 상기 너트(313)에 맞물리고, 도 9에서 잘 설명되어 있는 것 처럼, 제 1 밸브 세트(3111)위에 설치로 상기 밸브 부재(33)를 인가하기 위해서 스프링 부재(34)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밸브로드(32)를 당긴다. 유입 파이프(21b)로부터 물은 그런 후 상기 탱크(50)를 다시 채우기 위해서 밸브 로드(32)의 관통로(3210)내부로 흐른다. 바람직하게, 틈(미도시)은 밸브 부재(33)와 제 1 밸브 세트(3111)사이에 형성되었다. 상기 밸브 부재(33)가 상기 제 1밸브 세트(3111)위에 설치됨에 따라 유입파이프(21b)로부터 적은 물의 양이 상기 화장실 수세식 변기(53)를 다시 채우기 위하여 상기 틈을 지나 상기 공급 라인(40)으로 들어가는 동안 많은 물의 양은 상기 밸브 로드(32)를 지나 상기 탱크(50)안으로 흐른다. 상기 밸브 로드(32)가 부유물 부재(35)에 의해 당겨지는 동안 시간의 길이는 나사부(321a)위에 너트(313)의 회전에 의해서 적용될 수 있고, 그것이 의하여, 부유물 부재(35)의 연장 플레이트(352)와 상기 너트(313)사이의 거리는 변한다. 더욱 많은 물이 상기 너트(313)가 상기 밸브로드(32)의 하단322)에 관계하여 높은 위치인 상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공급라인(40) 안으로 흐른다. 따라서, 적은 양의 물은 상기 너트(313)가 상기 밸브로드(32)의 하단(322)에 관계하여 아래로 움직일 때 상기 공급라인(40)을 통하여 흐른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water level in the tank 50 gradually decreases continuously, the elongate plate 352 of the float member 35 moves downwards and eventually to the nut 313. The valve is engaged and moves downward against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34 to apply the valve member 33 by installation on the first set of valves 3111, as well described in FIG. 9. Pull the rod 32. Water from the inlet pipe 21b then flows into the through passage 3210 of the valve rod 32 to refill the tank 50. Preferably, a gap (not shown) is formed between the valve member 33 and the first valve set 3111. As the valve member 33 is installed on the first valve set 3111, a small amount of water from the inlet pipe 21b passes through the gap to refill the toilet flush 53 and the supply line 40. A large amount of water flows into the tank 50 through the valve rod 32 as it enters. The length of time while the valve rod 32 is pulled by the float member 35 can be applied by the rotation of the nut 313 over the threaded portion 321a, whereby the extension plate of the float member 35 ( The distance between 352 and the nut 313 varies. More water flows into the supply line 40 as the nut 313 moves upwards, at a high position relative to the lower end 322 of the valve rod 32. Thus, a small amount of water flows through the supply line 40 as the nut 313 moves downward relative to the bottom 322 of the valve rod 32.

도 10을 인용하여, 상기 탱크(50)내에 물 높이가 상승할 때, 상기 주 부유물(252)과 상기 부유물 부재(35)가 점차적으로 위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단계에서, 부유물 부재(35)는 상기 너트(313)에 접속하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뺄브 부재(33)는 고압수가 상기 밸브 부재(33)에 압력을 가하는 것에 기인하여 제 1밸브 세트(3111) 위에 장착된다. 상기 밸브 로드(32)는 상기 주 부유물(252)이 상기 콕크-볼 밸브(22)를 차단할 때 상기 스프링 부재(34)의 복원된 힘에 기인하여 상기 밸브 부재(33)가 상기 제 2 밸브 세트(3104)에 반대하여 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부 방향으로 움직이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전환기 밸브 장치(30) 내부의 상기 물공급 파이프(21)로부터 물 흐름을 방해한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 water level rises in the tank 50, the main float 252 and the float member 35 gradually move upwards. In this step, the float member 35 is not connected to the nut 313, and the pullout member 33 is the first valve set 3111 due to the high pressure water applying pressure to the valve member 33. Is mounted on top. The valve rod 32 causes the valve member 33 to cause the second set of valves due to the restored force of the spring member 34 when the main float 252 shuts off the cock-ball valve 22. Move upwards to enable contact with 3104. This prevents water flow from the water supply pipe 21 inside the diverter valve device 30.

상기 고압수가 상기 물 공급 파이프(21)로부터 물을 상기 탱크(50)에 다시 채울 때 상기 밸브 로드(32)를 통하여 쏟아져 나오므로 상기 상단부(321)와 상기 관통로(3210)내에 더러운 물질 형성을 피할 수 있다.The high pressure water flows out of the water supply pipe 21 through the valve rod 32 when the tank 50 is refilled with water, thereby forming dirty substances in the upper end portion 321 and the through passage 3210. Can be avoided.

본 고안이 가장 실질적이고 바람직한 실행을 고려한 관계에서 기술되어질 때, 이것은 본 고안이 발표된 실행을 제한하지 않고 가장 폭 넓은 설명과 동등한 설비의 범위와 의도안에 포함된 다양한 설비에 적용시키기 위해 의도되어 졌다는 것을 이해 할 것이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the most practical and desirable practic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be applied to a variety of installations that are within the scope and intent of the equivalent of the broadest description without limiting the published practice. Will understand tha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화장실 수세장치는 화장실 수세식 변기의 급수 파이프로부터 수세식 변기의 림 수세관까지 물을 안내하기 위한 전환기 밸브 장치를 가지며, 유입 파이프로부터 고압수가 흐를 때 전달장치를 깨끗하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전달장치내에 오염물질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oilet flu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verter valve device for guid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toilet flush toilet to the rim flush tube of the flush toilet, and cleans the delivery device when high pressure water flows from the inlet pipe. It is possible to thereby prevent the formation of contaminants in the delivery device.

Claims (5)

급수 탱크(50)와, 림-수세관(54) 및 목부(55)를 구비하는 화장실 수세식 변기(53)를 가지는 화장실 수세식 변기 조립체내에 설치되는 화장실 수세 장치로, 상기 화장실 수세 장치는, 상기 급수 탱크(50)내로 연장하고 외부 가압수원으로 연결되는 하단을 가지는 급수 파이프(21)와; 상기 급수 파이프(21) 상단상에 제공되어 물이 상기 급수 파이프(21)로부터 상기 급수 탱크(50)으로 흐르는 것을 제어하는 부유물-제어 밸브 장치와; 상기 급수 탱크내의 물을 상기 화장실 수세식 변기(53)의 상기 목부(55)로 배출하기 위한, 수동으로 작동되는 수세 밸브 장치와; 상기 급수 파이프(21)과 상기 급수 탱크(50)을 유동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환기 밸브 장치로, 중공 밸브 하우징(31)과, 상기 급수 파이프(21)로부터의 물을 수용하는 횡단 유입 파이프(21b)와, 상기 화장실 수세식 변기(53)의 상기 림 수세관(54)으로 연결되고 물을 공급하는 횡단 공급 라인(40)을 포함하는 전환기 밸브 장치;를 포함하는 화장실 수세 장치에 있어서;A toilet flushing device installed in a toilet flush toilet assembly having a water supply tank 50 and a toilet flush toilet 53 having a rim-flush tube 54 and a neck 55, wherein the toilet flush apparatus is the above-mentioned. A water supply pipe 21 extending into the water supply tank 50 and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an external pressurized water source; A float-control valve device provided on an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21) to control water flowing from the water supply pipe (21) to the water supply tank (50); A manually operated flush valve device for discharging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neck part 55 of the toilet flush toilet 53; A diverter valve device for fluidly connecting the water supply pipe 21 and the water supply tank 50 to a hollow valve housing 31 and a transverse inlet pipe 21b for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21. And a diverter valve device connected to the rim flush pipe (54) of the toilet flush (53) and including a transverse supply line (40) for supplying water; 상기 밸브 하우징(31)은 상하벽(3101, 3102)과, 상기 상하벽 사이에 있는 횡단 격벽(3103)과, 상기 격벽(3103)에 의해 분할되는 상하부 챔버(31a, 31b)를 가지고, 상기 격벽(3103)은 개구(311)와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제 1 밸브 시트(3111)을 가지고, 상기 유입 파이프(21b) 및 상기 공급 라인(40)은 각각 상기 상하부 챔버(31a, 31b)와 연결되고, 상기 밸브 하우징(31)은 추가로 상기 상부 챔버(31a) 및 상기 급수 탱크(5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3210)을 가지고;The valve housing 31 has upper and lower walls 3101 and 3102, a transverse partition 3103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alls, and upper and lower chambers 31a and 31b divided by the partition 3103. 3103 has an opening 311 and a first valve seat 3111 defining the opening, wherein the inlet pipe 21b and the supply line 40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chambers 31a and 31b, respectively. The valve housing (31) further has a connecting device (3210) for connecting the upper chamber (31a) and the feed water tank (50) to each other; 상기 전환기 밸브 장치(30)는 추가로 상단과 하단(321, 322)을 구비한 밸브 로드(32)를 가지고, 상기 밸브 로드(32)의 상기 상단(321)은 상기 상부 쳄버(31a)안으로 연장되고 밸브 부재(33)로 제공되며, 상기 하단(322)은 상기 밸브 하우징(31)의 밖으로 연장되고, 상기 밸브로드(32)는 상기 개구(311)를 밀봉하지 않은 상기 분할벽(3103)의 상기 개구(311)를 통하여 지나가고 상기 하부 벽(3102)을 통하여 밀봉하도록 연장하며, 상기 밸브 로드(32)는 상기 제 1 밸브 세트로부터 떨어진 상기 밸브 부재(33)를 움직이기 위해 보통 위로 편심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서 상기 밸브로드(32) 둘레 상기 개구(311)를 통하여 지나가므로써 상기 상부 쳄버(31a)로부터 상기 하부 쳄버(31b)까지 흐르게 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 파이프(21b)로부터 물을 공급한 후 상기 공급 라인(40)으로 통하게 한 상기 밸브 로드를 가진 상기 전환기 밸브 장치;The diverter valve device 30 further has a valve rod 32 having upper and lower ends 321, 322, the upper end 321 of the valve rod 32 extending into the upper chamber 31a. And provided as a valve member 33, the lower end 322 extends out of the valve housing 31, and the valve rod 32 of the partition wall 3103 which does not seal the opening 311. Passing through the opening 311 and extending to seal through the lower wall 3102, the valve rod 32 is usually eccentric upward to move the valve member 33 away from the first valve set and Thereby supplying water from the inlet pipe 21b to flow from the upper chamber 31a to the lower chamber 31b by passing through the opening 311 around the valve rod 32 and then supplying the Imaged via line 40 The diverter valve device having a valve rod; 상기 전환기 밸브 장치는 추가로 상기 밸브 로드(32)를 움직이도록 연결된 부유물 부재를 가지고 상기 수세 밸브 장치가 작동될 때 상기 물 공급 탱크(50) 내부의 물 높이 감소에 응하여 아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밸브 로드(32)를 아래로 당기고, 그것에 의해 상기 밸브 부재(33)가 제 1 밸브 세트(3111)의 아래로 움직여 상기 상부와 하부 쳄버(31a,31b)사이의 전달을 방해하고 상기 물 공급 탱크(50)를 다시 채우기 위해 상기 전달장치(3210)를 통하여 흐르도록 상기 유입 파이프(21b)로부터 물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상기 전환기 밸브 장치.The diverter valve device further has a float member connected to move the valve rod 32 and can move downward in response to a decrease in water height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50 when the flush valve device is operated, The valve rod 32 is pulled down, whereby the valve member 33 moves down the first valve set 3111 to prevent transmiss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hambers 31a and 31b and to supply the water. The diverter valv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ater is applied from the inlet pipe (21b) to flow through the delivery device (3210) to refill the tank (5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장치가 상기 밸브 로드(32)를 통하여 수직으로 연장한 관통로(321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상기 화장실 수세 장치.2. The toilet flush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livery device includes a through passage (3210) extending vertically through the valve rod (3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로드(32)가 상기 하단(322) 부근에 제공된 나사산 부분(321a)을 가지며, 그것에 의하여 너트(313)가 상기 부유물(35)과 상기 너트(313)사이의 조절할 수 있는 최초의 수직거리를 형성하여 상기 밸브 로드(32)의 상기 나사산부(321a)에 맞물리도록 너트(313)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 상기 화장실 수세 장치.3. The valve rod (32) of claim 2, wherein the valve rod (32) has a threaded portion (321a) provided near the lower end (322), whereby the nut (313) adjusts between the float (35) and the nut (313). And a nut (313) to form an initial vertical distance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threaded portion (321a) of the valve rod (3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부재(35)가 상기 물 공급 파이프(21)위에 슬리브된 부유물 몸체(351), 상기 부유물 몸체(351)로부터 연장된 횡단 플레이트(352), 상기 횡단 플레이트(352)를 통하여 미끄러지도록 연장한 상기 밸브 로드(32)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 상기 화장실 수세 장치.4. The float body (351)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loat member (35) is sleeved on the water supply pipe (21), a transverse plate (352) extending from the float body (351), and the transverse plate (352). And the valve rod (32) extending so as to slide through the toile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31)의 상기 상부 벽(3101)은 거기에 형성된 제 2 밸브 세트를 가지며, 상기 밸브 부재(33)와 상기 하부 벽(3102)사이의 둘레에서 슬리브된 스프링 부재(34)를 가진 상기 밸브 로드(32), 상기 제 2 밸브 세트(3104)에 반대하여 상기 밸브 부재(33)를 장착하기 위해서 보통 상기 밸브 로드(32) 상부로 편심된 상기 스프링 부재(34)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 상기 화장실 수세 장치.5. The spring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upper wall (3101) of the valve housing (31) has a second set of valves formed therein and is sleeved around the valve member (33) and the lower wall (3102). The spring member 34 eccentrically above the valve rod 32 for mounting the valve member 33 against the valve rod 32 with the member 34, the second valve set 3104. The toilet flu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KR2019970036249U 1997-12-09 1997-12-09 Toilet flushing device KR1999002383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249U KR19990023838U (en) 1997-12-09 1997-12-09 Toilet flus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249U KR19990023838U (en) 1997-12-09 1997-12-09 Toilet flush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838U true KR19990023838U (en) 1999-07-05

Family

ID=6969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249U KR19990023838U (en) 1997-12-09 1997-12-09 Toilet flush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3838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1798A (en) Flushing cisterns
US4064572A (en) Level actuated apparatus for delivering chemicals
US4406024A (en) Flushing controller for toilet
NZ520306A (en) Flushing mechanism for a dual flush cistern
US5287882A (en) Ball cock assembly float with drain openings
US6704945B2 (en) Dual inlet flush valve system for gravity operated toilets
US2271419A (en) Valve construction
US5862538A (en) Toilet flushing device
US3001210A (en) Deodorant supply mechanism for toilets and urinals
US8117687B2 (en) Diverter valve with minimum bias forces
KR19990023838U (en) Toilet flushing device
US5452482A (en) Dual-flush refill control apparatus
US5517701A (en) Toilet flush control assembly and methods
KR101283761B1 (en) Bidet with an automatic flushing device
EP1466223B1 (en) Improved liquid level controller
US4312083A (en) Water closet flush valve
JP4938902B2 (en) Sewage agitation valve and pump unit using the same
JP2713078B2 (en) Low tank water spouting device
US6205595B1 (en) Supplemental tank for use with low flow volume toilet
US2007000636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cleaning material to a toilet
JP3166360B2 (en) Water supply device for toilet flushing
US20090139018A1 (en) Toilet flushing water controlling device
JPH075931A (en) Automatic regulator of constant water level
US3911504A (en) Toilet flush tank apparatus
JP2713077B2 (en) Low tank water spou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