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156U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156U
KR19990023156U KR2019970035485U KR19970035485U KR19990023156U KR 19990023156 U KR19990023156 U KR 19990023156U KR 2019970035485 U KR2019970035485 U KR 2019970035485U KR 19970035485 U KR19970035485 U KR 19970035485U KR 19990023156 U KR19990023156 U KR 199900231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discharge port
opening
outle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5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2068Y1 (ko
Inventor
박용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35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068Y1/ko
Publication of KR19990023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1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0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기기를 냉방모드로 사용하느냐 공기정화모드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의 면적을 적정 면적으로 조절하여 줌과 함께 상기 흡입구에 설치된 각 흡입구 루버간 간격 및 토출구에 설치된 각 토출구 루버간 간격도 적절한 간격으로 조절하여 주도록 하여 특히 공기정화시의 공기정화효율 향상에 기여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본체 전면의 흡입구 상방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흡입구 개폐부재와, 상기 흡입구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흡입구 루버와, 상기 본체 내부에 부착되어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흡입구 동력발생부재와, 상기 흡입구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흡입구 개폐부재 및 각 흡입구 루버에 전달하는 흡입구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흡입구 동력발생부재의 정역구동력에 따라 흡입구 개폐부재 및 각 흡입구 루버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본체 전면의 토출구 상방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토출구 개폐부재와, 상기 토출구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토출구 루버와, 상기 본체 내부에 부착되어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토출구 동력발생부재와, 상기 토출구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토출구 개폐부재 및 각 토출구 루버에 전달하는 토출구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토출구 동력발생부재의 정역구동력에 따라 토출구 개폐부재 및 각 토출구 루버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의 면적 및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의 면적을 적절한 면적으로 조절하여 주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에 설치된 흡입구 각 흡입구 루머간 간격 및 토출구에 설치된 각 토출구 루버간 간격도 적절한 간격으로 조절하여 주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이 순환되는 공기의 온도를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뜨려 실내를 냉방하는 에어컨디셔너로서, 종래에는 본체(1) 내부에 팬모터(2)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도록 송풍팬(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전면 하부에는 송풍팬(3)의 회전시 실내 공기가 본체(1) 내부로 흡입되도록 흡입구(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구에는 외관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흡입구 루버(5)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흡입구의 안쪽에는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필터(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 내의 송풍팬(3)과 흡입구 루버(5) 사이에는 흡입된 공기를 열교한 작용에 의해 찬공기로 바꾸어 주도록 열교환기(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 내의 열교환기(6)와 흡입구 루버(5) 사이에는 필터(6)에서 걸러지지 않은 미세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집진하여 주도록 전기집진기(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 내의 열교환기(7) 직하방에는 열교환기가 열교환작용을 행함에 따라 발생된 응축수를 받아 모으도록 응축수받이(9)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응축수받이에는 응축수받이(9)에 고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호스(1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전면 상부에는 열교환기(7)에 의해 바뀌어진 찬공기를 외부로 토출시켜 주도록 토출구(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 내의 송풍팬(4) 상방에는 토출을 위한 공기를 토출구(11) 쪽으로 안내하여 주도록 공기가이드판(12)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구(11)에는 외관을 이루면서 토출되는 냉기의 토출각도를 조절하여 주도록 복수개의 토출구 루버(13)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를 실내의 바닥면 적소에 지지시킨 상태로 공기조화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방모드를 선택하면 공기조화기가 설치 완료된다.
공기조화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방모드를 선택하면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팬모터(2)가 구동하면서 송풍팬(3)을 회전시켜 주므로 실내의 공기가 본체(1)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4)를 통해 상기 본체(1) 내부로 흡입된 다음 공기가이드판(12)의 안내를 받아 이동하여 상기 본체(1)의 전면 상부에 형성된 토출구(11)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7)가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실외기에 의해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공급받아 열교환 작용을 행하므로 상기 본체(1)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7)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찬공기로 바뀌어 지고, 이에따라 토출구(11)를 통해 본체(1)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는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진 찬공기이므로 실내가 냉방되는 것이다.
상기한 작용에서 송풍팬(3)의 회전에 따라 흡입구(4)를 통해 실내 공기가 본체(1) 내부로 흡입될 때 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중 비교적 큰 입자의 먼지 등은 상기 흡입구(4)의 안쪽에 설치된 필터(6)에 의해 걸러짐과 함께 상기 필터를 통과한 미세먼지 등은 계속해서 전기집진기(8)에 의해 집진되므로 결국 토출구(11)를 통해 토출되는 찬공기는 먼지 등이 거의 포함되지 않은 깨끗한 공기이다.
이와같은 작용에 의해 실내가 냉방되는 도중 토출구(11)를 통해 토출되는 찬공기의 토출각도를 달리하여 특정부분을 집중냉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토출구(11)에 설치된 토출구 루버(13)를 회동시켜 주면 된다.
한편 흡입구(4)를 통해 본체(1)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찬공기로 바꾸어 주기 위해 열교환기(7)가 열교환작용을 행하는 과정에서는 응축수가 발생되고, 이때 발생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해 흘러내려 응축수받이(9)에 일단 고인 다음 배수호스(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공기정화모드를 선택하면, 기 설명된 냉방모드 선택시와 동일하게 송풍팬(3)이 회전하므로 실내의 공기가 본체(1)에 형성된 흡입구(4)를 통해 상기 본체(1) 내부로 흡입된 다음 다시 토출구(11)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본체(1)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7)가 열교환 작용을 행하지 않으므로 결국 공기정화만 행하여 진다.
그러나 종래 이와같은 공기조화기는 기기를 냉방모드로 사용하거나 공기정화모드로 사용하거나에 상관없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의 면적 및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의 면적이 항상 일정함과 함께 상기 흡입구에 설치된 각 흡입구 루버간 간격 및 토출구에 설치된 각 토출구 루버간 간격도 항상 일정하므로 특히 공기정화시에도 냉방시와 동일한 량의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됨에 따라 상기 흡입공기의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 및 전기집진기의 수명이 일찍 한계점에 도달되어 결국 기기의 공기정화 능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기를 냉방모드로 사용하느냐 공기정화모드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의 면적을 적정 면적으로 조절하여 하여 주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에 설치된 각 흡입구 루버간 간격 및 토출구에 설치된 각 토출구 루버간 간격도 적절한 간격으로 조절하여 주도록 하여 특히 공기정화시의 공기정화효율 향상에 기여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본체 전면의 흡입구 상방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흡입구 개폐부재와, 상기 흡입구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흡입구 루버와, 상기 본체 내부에 부착되어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흡입구 동력발생부재와, 상기 흡입구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흡입구 개폐부재 및 각 흡입구 루버에 전달하는 흡입구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흡입구 동력발생부재의 정역구동력에 따라 흡입구 개폐부재 및 각 흡입구 루버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다른 형태에 따르면, 본체 전면의 토출구 상방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토출구 개폐부재와, 상기 토출구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토출구 루버와, 상기 본체 내부에 부착되어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토출구 동력발생부재와, 상기 토출구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토출구 개폐부재 및 각 토출구 루버에 전달하는 토출구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토출구 동력발생부재의 정역구동력에 따라 토출구 개폐부재 및 각 토출구 루버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 3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냉방모드 상태도
도 4b는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공기정화모드 상태도
도 5a는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냉방모드 상태도
도 5b는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공기정화모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a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냉방모드 상태도
도 8b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공기정화모드 상태도
도 9a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냉방모드 상태도
도 9b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공기정화모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11. 토출구
101,201. 흡입구 개폐판 102,202. 흡입구 루버
103,203. 흡입구 모터 104. 흡입구 풀리
105. 흡입구 레버 106. 흡입구 케이블
107,207. 흡입구 돌출편 108. 흡입구 연결대
109,209. 흡입구 가이드편 110,210. 흡입구 절곡편
111,211. 흡입구 장공 121,221. 토출구 개폐판
122,222. 토출구 루버 123,223. 토출구 모터
124. 토출구 풀리 125. 토출구 레버
126. 토출구 케이블 127,227. 토출구 돌출편
128. 토출구 연결대 129,229. 토출구 가이드편
130,230. 토출구 절곡편 131,231. 토출구 장공
204. 흡입구 다단기어 205. 흡입구 랙바
206. 흡입구 랙 224. 토출구 다단기어
225. 토출구 랙바 226. 토출구 랙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4 내지 도 7 및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8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a 및 4b는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a 및 5b는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중 기 설명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도면상에 종래에서 부여한 번호를 그대로 부여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 전면의 흡입구(4) 상방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흡입구 개폐판(101)을 설치하고, 상기 흡입구(4)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복수개의 흡입구 루버(102)를 설치하며, 상기 본체(1) 내부에는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정역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흡입구 모터(103)를 부착하고, 상기 흡입구 모터에는 흡입구 모터(103)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받아 정역회전하도록 흡입구 풀리(104)를 축결합하고, 상기 본체(1) 내의 흡입구(4) 하방에는 회동가능하게 흡입구 레버(105)를 힌지결합하며, 상기 흡입구 풀리(104)의 회전력이 흡입구 레버(105)로 전달되도록 흡입구 풀리(104)와 흡입구 레버(105)의 일단을 흡입구 케이블(106)로서 연결하고, 상기 흡입구 레버(105)의 회동력이 직선이동력으로 바뀌면서 흡입구 개폐판(101)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흡입구 개폐판의 후면 하단에 흡입구 돌출편(107)을 형성하여 이 흡입구 돌출편과 흡입구 레버(105)의 타단을 하나의 흡입구 연결대(108)로서 연결하며, 상기 흡입구 레버(105)의 회동력이 직선이동력으로 바뀌면서 각 흡입구 루버(102)로 전달되도록 상기 흡입구 레버(105)와 각 흡입구 루버(102)를 각각의 흡입구 연결대(108)로서 순차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본체(1) 전면의 흡입구(4) 상방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흡입구 개폐판(101)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본체(1)의 전면 흡입구(11) 상방에 한쌍의 흡입구 가이드편(109)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흡입구 개폐판(101)의 양측에는 한쌍의 흡입구 절곡편(110)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각 흡입구 절곡편을 각 흡입구 가이드편(109)에 끼운다.
상기 흡입구(4)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복수개의 흡입구 루버(102)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4)의 양측면부에 수직방향으로 흡입구 장공(111)을 형성하여 각 흡입구 루버(102)의 양단에 일체화된 축을 상기 흡입구 장공(111)으로 끼운다.
또한 본체(1) 전면의 토출구(11) 상방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토출구 개폐판(121)을 설치하고, 상기 토출구(11)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복수개의 토출구 루버(122)를 설치하며, 상기 본체(1) 내부에는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정역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토출구 모터(123)를 부착하고, 상기 토출구 모터에는 토출구 모터(123)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받아 정역회전하도록 토출구 풀리(124)를 축결합하며, 상기 본체(1) 내의 토출구(11) 하방에는 회동가능하게 토출구 레버(125)를 힌지결합하고, 상기 토출구 풀리(124)의 회전력이 토출구 레버(125)로 전달되도록 토출구 풀리(124)와 토출구 레버(125)의 일단을 토출구 케이블(126)로서 연결하며, 상기 토출구 레버(125)의 회동력이 직선이동력으로 바뀌면서 토출구 개폐판(121)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토출구 개폐판의 후면 하단에 토출구 돌출편(127)을 형성하여 이 토출구 돌출편과 토출구 레버(125)의 타단을 하나의 토출구 연결대(128)로서 연결하고, 상기 토출구 레버(125)의 회동력이 직선이동력으로 바뀌면서 각 토출구 루버(122)로 전달되도록 상기 토출구 레버(125)와 각 토출구 루버(122)를 각각의 토출구 연결대(128)로서 순차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본체(1) 전면의 토출구(11) 상방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토출구 개폐판(121)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본체(1)의 전면 토출구(11) 상방에 한쌍의 토출구 가이드편(129)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토출구 개폐판(121)의 양측에는 한쌍의 토출구 절곡편(130)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각 토출구 절곡편을 각 토출구 가이드편(129)에 끼운다.
상기 토출구(1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복수개의 토출구 루버(122)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토출구(11)의 양측면부에 수직방향으로 토출구 장공(131)을 형성하여 각 토출구 루버(122)의 양단에 일체화된 축을 상기 토출구 장공(131)으로 끼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용중 냉방이 행하여 지는 과정과 공기정화가 행하여 지는 과정은 기 설명된 종래 공기조화기의 작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고, 이하에서는 냉방모드 및 공기정화모드의 선택에 따라 흡입구(4) 및 토출구(11)의 면적이 달라지기 까지의 과정과 상기 흡입구(4)에 설치된 각 흡입구 루버(102)간 간격 및 토출구(11)에 설치된 각 토출구 루버(122)간 간격이 달라지기 까지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5a와 같은 상태는 냉방모드가 선택된 상태로서, 이때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4) 및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어 그 면적이 가장 늘어난 상태임은 물론 상기 흡입구(4)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각 흡입구 루버(102)가 상부로 완전히 이동되어 있어 상기 흡입구 루버간 간격도 가장 넓은 상태임과 함께 토출구(1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각 토출구 루버(122)가 상부로 완전히 이동되어 있어 상기 토출구 루버간 간격도 가장 넓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공기정화모드를 선택하면, 본체(1) 내에 부착된 흡입구 모터(103) 및 토출구 모터(203)가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역구동하므로 상기 흡입구 모터(103)에 축결합된 흡입구 풀리(104)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토출구 모터(203)에 축결합된 토출구 풀리(204)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흡입구(4) 및 토출구(11)의 면적이 줄어듬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4)에 설치된 각 흡입구 루버(102)간 간격 및 토출구(11)에 설치된 각 토출구 루버(122)간 간격이 좁혀진다.
이하 흡입구 모터(103)의 역구동에 의해 흡입구(4)의 면적이 줄어들면서 각 흡입구 루버(102)간 간격이 좁혀지기 까지의 과정과 토출구 모터(123)의 역구동에 의해 토출구(11)의 면적이 줄어들면서 각 토출구 루버(122)간 간격이 좁혀지기 까지의 과정을 차례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흡입구 모터(103)의 역구동에 의해 흡입구(4)의 면적이 줄어들면서 각 흡입구 루버(102)간 간격이 좁혀지기 까지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흡입구 모터(103)의 역구동에 의해 흡입구 풀리(104)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흡입구 풀리에 감겨진 흡입구 케이블(106)이 풀리므로 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흡입구 레버(105)가 자중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흡입구 레버의 끝단과 흡입구 개폐판(101)의 후면 하단에 형성된 흡입구 돌출편(107)이 하나의 흡입구 연결대(108)로서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흡입구 레버(105)의 회동력이 하나의 흡입구 연결대(108)를 통해 본체(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흡입구 개폐판(101)으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흡입구 개폐판이 흡입구 레버(105)의 반시계방향 회동각도에 비례된 거리만큼 하부로 이동되면서 도 4b 및 도 5b와 같이 흡입구(4)의 상단부를 일정 면적만큼 폐쇄시켜 주므로 상기 흡입구의 전체 면적이 흡입구 개폐판(101)의 하부이동 거리에 비례된 면적 만큼 줄어들게 됨과 동시에 흡입구 레버(105)와 각 흡입구 루버(102)가 복수개의 흡입구 연결대(108)로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흡입구 레버(105)의 회동력이 복수개의 흡입구 연결대(108)을 통해 흡입구 루버(102)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각 흡입구 루버가 흡입구 레버(105)의 반시계방향 회동각도에 비례된 거리만큼 하부로 이동하므로 도 4b 및 도 5b와 같이 흡입구(4)에 설치된 각 흡입구 루버(102)간 간격이 좁혀진다.
상기에서 흡입구 개폐판(101)이 본체(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은 상기 흡입구 개폐판(101)의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흡입구 절곡편(110)이 본체(1) 전면의 흡입구(4) 상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흡입구 가이드편(109)으로 각각 끼워져 있으므로 가능하고, 각 흡입구 루버(102)가 본체(1)에 형성된 흡입구(4)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은 상기 각 흡입구 루버(102)의 양단에 일체화된 축이 흡입구(4)의 양측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흡입구 장공(111)으로 끼워져 있으므로 가능하다.
한편, 상기 흡입구 개폐판(101)이 하부로 이동할 때의 하부이동 거리는 각 흡입구 루버(102)의 하부 이동거리 보다 길고, 상기 각 흡입구 루버(102)가 하부로 이동할 때의 상기 각 흡입구 루버의 하부 이동거리는 가장 윗부분의 흡입구 루버가 가장 길고 하나씩 아래의 흡입구 루버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짧아진다.
또한 토출구 모터(123)의 역구동에 의해 토출구(11)의 면적이 줄어들면서 각 토출구 루버(122)간 간격이 좁혀지기 까지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토출구 모터(123)의 역구동에 의해 토출구 풀리(124)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토출구 풀리에 감겨진 토출구 케이블(126)이 풀리므로 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토출구 레버(125)가 자중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데, 상기 토출구 레버와 토출구 개폐판(121)의 후면 하단에 형성된 토출구 돌출편(127)이 하나의 토출구 연결대(128)로서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토출구 레버(125)의 회동력이 하나의 토출구 연결대(128)를 통해 본체(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토출구 개폐판(121)으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토출구 개폐판이 토출구 레버(125)의 반시계방향 회동각도에 비례된 거리만큼 하부로 이동되면서 도 4b 및 도 5b와 같이 토출구(4)의 상단부를 일정 면적만큼 폐쇄시켜 주므로 상기 토출구의 전체 면적이 토출구 개폐판(121)의 하부이동 거리에 비례된 면적 만큼 줄여들게 됨과 동시에 토출구 레버(125)와 각 토출구 루버(122)가 복수개의 토출구 연결대(128)로서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토출구 레버(125)의 회동력이 복수개의 토출구 연결대(128)을 통해 토출구 루버(122)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각 토출구 루버가 토출구 레버(125)의 반시계방향 회동각도에 비례된 거리만큼 하부로 이동하므로 도 4b 및 도 5b와 같이 토출구(11)에 설치된 각 토출구 루버(122)간 간격이 좁혀진다.
상기에서 토출구 개폐판(121)이 본체(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은 상기 토출구 개폐판(121)의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토출구 절곡편(130)이 본체(1) 전면의 토출구(11) 상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토출구 가이드편(129)으로 각각 끼워져 있으므로 가능하고, 각 토출구 루버(122)가 본체(1)에 형성된 토출구(1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은 상기 각 토출구 루버(122)의 양단에 일체화된 축이 토출구(11)의 양측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토출구 장공(131)으로 끼워져 있으므로 가능하다.
한편, 상기 토출구 개폐판(121)이 하부로 이동할 때의 하부이동 거리는 각 토출구 루버(122)의 하부 이동거리 보다 길고, 상기 각 토출구 루버가 하부로 이동할 때의 상기 각 토출구 루버(122)의 하부 이동거리는 가장 윗부분의 토출구 루버가 가장 길고 하나씩 아래의 토출구 루버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짧아진다.
상기한 상태로 공기정화가 행하여 지다가 다시 냉방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흡입구 모터(103)가 정구동 함에 따라 흡입구 풀리(104)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흡입구 레버(105)는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함과 함께 토출구 모터(123)가 정구동함에 따라 토출구 풀리(124)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토출구 레버(125)는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데, 이때에는 흡입구 개폐판(101)이 도 4a 및 도 5a와 같이 다시 상부로 이동하여 흡입구(4)를 완전히 개방시켜 주므로 상기 흡입구의 면적이 다시 늘어남과 동시에 각 흡입구 루버(102)가 도 4a 및 도 5a와 같이 다시 상부로 이동하므로 상기 각 흡입구 루버간 간격도 다시 넓어지고, 토출구 개폐판(121)이 도 4a 및 도 5a와 같이 다시 상부로 이동하여 토출구(11)를 완전히 개방시켜 주므로 상기 토출구의 면적이 다시 늘어남과 동시에 각 토출구 루버(122)가 도 4a 및 도 5a와 같이 다시 상부로 이동하므로 상기 각 토출구 루버간 간격도 다시 넓어진다.
첨부된 도 8a 및 8b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a 및 9b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중 기 설명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도면상에는 종래에서 부여한 번호를 그대로 부여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 전면의 흡입구(4) 상방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흡입구 개폐판(201)을 설치하고, 상기 흡입구(4)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복수개의 흡입구 루버(202)를 설치하며, 상기 본체(1) 내부에는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정역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흡입구 모터(203)를 부착하고, 상기 흡입구 모터에는 직경이 각기 다르며 흡입구 모터(203)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받아 정역회전하도록 흡입구 다단기어(204)를 축결합하며, 상기 흡입구 다단기어의 회전력이 직선이동력으로 바뀌면서 흡입구 개폐판(201)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흡입구 개폐판의 후면 하단에 흡입구 돌출편(207)을 형성하여 이 흡입구 돌출편에 흡입구 랙바(205)의 상단을 연결함과 함께 상기 흡입구 랙바의 하단에는 흡입구 다단기어(204)중 가장 큰기어와 맞물림되게 흡입구 랙(206)을 형성하고, 상기 흡입구 다단기어(204)의 회전력이 직선이동력으로 바뀌면서 각 흡입구 루버(202)로 전달되도록 상기 각 흡입구 루버에 흡입구 랙바(205)의 상단을 연결함과 함께 상기 흡입구 랙바의 하단에는 흡입구 다단기어(204)중 가장 큰기어를 제외한 나머지 기어와 순차적으로 맞물림되게 흡입구 랙(206)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1) 전면의 흡입구(4) 상방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흡입구 개폐판(201)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본체(1)의 전면 흡입구(4) 상방에 한쌍의 흡입구 가이드편(209)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흡입구 개폐판(201)의 양측에는 한쌍의 흡입구 절곡편(210)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각 흡입구 절곡편을 각 흡입구 가이드편(209)에 끼운다.
상기 흡입구(4)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복수개의 흡입구 루버(202)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4)의 양측면부에 수직방향으로 흡입구 장공(211)을 형성하여 각 흡입구 루버(202)의 양단에 일체화된 축을 상기 흡입구 장공(211)으로 끼운다.
또한 본체(1) 전면의 토출구(11) 상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토출구 개폐판(221)을 설치하고, 상기 토출구(11)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복수개의 토출구 루버(222)를 설치하며, 상기 본체(1) 내부에는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정역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토출구 모터(223)를 부착하고, 상기 토출구 모터에는 직경이 각기 다르며 토출구 모터(223)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받아 정역회전하도록 토출구 다단기어(224)를 축결합하며, 상기 토출구 다단기어의 회전력이 직선이동력으로 바뀌면서 토출구 개폐판(221)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토출구 개폐판의 후면 하단에 토출구 돌출편(227)을 형성하여 이 토출구 돌출편에 토출구 랙바(225)의 상단을 연결함과 함께 상기 토출구 랙바의 하단에는 토출구 다단기어(224)중 가장 큰기어와 맞물림되게 토출구 랙(226)을 형성하고, 상기 토출구 다단기어(224)의 회전력이 직선이동력으로 바뀌면서 각 토출구 루버(222)로 전달되도록 상기 각 토출구 루버에 토출구 랙바(225)의 상단을 연결함과 함께 상기 토출구 랙바의 하단에는 토출구 다단기어(224)중 가장 큰기어를 제외한 나머지 기어와 순차적으로 맞물림되게 토출구 랙(226)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1) 전면의 토출구(11) 상방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토출구 개폐판(221)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본체(1)의 전면 토출구(11) 상방에 한쌍의 토출구 가이드편(229)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토출구 개폐판(221)의 양측에는 한쌍의 토출구 절곡편(230)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각 토출구 절곡편을 각 토출구 가이드편(229)에 끼운다.
상기 토출구(1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복수개의 토출구 루버(222)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토출구(11)의 양측면부에 수직방향으로 토출구 장공(231)을 형성하여 각 토출구 루버(222)의 양단에 일체화된 축을 상기 토출구 장공(231)으로 끼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작용중 냉방이 행하여 지는 과정과 공기정화가 행하여 지는 과정은 기 설명된 종래 공기조화기의 작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고, 이하에서는 냉방모드 및 공기정화모드의 선택에 따라 흡입구(4) 및 토출구(11)의 면적이 달라지기 까지의 과정과 상기 흡입구(4)에 설치된 각 흡입구 루버(201)간 간격 및 토출구(11)에 설치된 각 토출구 루버(222)간 간격이 달라지기 까지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및 도 9a와 같은 상태는 냉방모드가 선택된 상태로서, 이때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4) 및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어 그 면적이 가장 늘어난 상태임은 물론 상기 흡입구(4)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각 흡입구 루버(202)가 상부로 완전히 이동되어 있어 상기 흡입구 루버간 간격도 가장 넓은 상태임과 함께 토출구(1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각 토출구 루버(222)가 상부로 완전히 이동되어 있어 상기 토출구 루버간 간격도 가장 넓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공기정화모드를 선택하면, 본체(1) 내에 부착된 흡입구 모터(203) 및 토출구 모터(223)가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역구동하므로 상기 흡입구 모터(203)에 축결합된 흡입구 다단기어(204)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토출구 모터(223)에 축결합된 토출구 다단기어(224)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흡입구(4) 및 토출구(11)의 면적이 줄어들게 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4)에 설치된 각 흡입구 루버(202)간 간격 및 토출구(11)에 설치된 각 토출구 루버(222)간 간격이 좁혀진다.
이하 흡입구 모터(203)의 역구동에 의해 흡입구(4)의 면적이 줄어들면서 각 흡입구 루버(202)간 간격이 좁혀지기 까지의 과정과 토출구 모터(223)의 역구동에 의해 토출구(11)의 면적이 줄어들면서 각 토출구 루버(222)간 간격이 좁혀지기 까지의 과정을 차례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흡입구 모터(203)의 역구동에 의해 흡입구(4)의 면적이 줄어들면서 각 흡입구 루버(202)간 간격이 좁혀지기 까지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흡입구 모터(203)의 역구동에 의해 흡입구 다단기어(204)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각 흡입구 랙바(205)중 하나의 랙바의 상단이 흡입구 개폐판(201)의 후면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 돌출편(207)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흡입구 랙바의 하단에 형성된 흡입구 랙(206)이 상기 흡입구 다단기어(204)중 가장 큰 직경의 기어에 맞물려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흡입구 다단기어의 회동력이 하나의 흡입구 랙바(205)를 통해 본체(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흡입구 개폐판(201)으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흡입구 개폐판이 흡입구 랙바(205)의 하부이동 거리에 비례된 거리만큼 하부로 이동되면서 도 8b 및 도 9b와 같이 흡입구(4)의 상단부를 일정 면적만큼 폐쇄시켜 주므로 상기 흡입구의 전체 면적이 흡입구 개폐판(201)의 하부이동 거리에 비례된 면적 만큼 줄여들게 됨과 동시에 나머지 흡입구 랙바의 상단이 각 흡입구 루버(20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나머지 흡입구 랙바의 하단에 형성된 흡입구 랙(206)이 흡입구 다단기어(204)중 가장 직경이 큰 기어를 제외한 나머지 기어에 순차적으로 맞물림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흡입구 다단기어(204)의 회전력이 흡입구 랙바(205)를 통해 흡입구 루버(202)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각 흡입구 루버가 흡입구 랙바(205)의 하부이동 거리에 비례된 거리만큼 하부로 이동하므로 도 8b 및 도 9b와 같이 흡입구(4)에 설치된 각 흡입구 루버(202)간 간격이 좁혀진다.
상기에서 흡입구 개폐판(201)이 본체(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은 상기 흡입구 개폐판(201)의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흡입구 절곡편(210)이 본체(1) 전면의 흡입구(4) 상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흡입구 가이드편(209)으로 각각 끼워져 있으므로 가능하고, 각 흡입구 루버(202)가 본체(1)에 형성된 흡입구(4)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은 상기 각 흡입구 루버(202)의 양단에 일체화된 축이 흡입구(4)의 양측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흡입구 장공(211)으로 끼워져 있으므로 가능하다.
한편, 상기 흡입구 개폐판(201)이 하부로 이동할 때의 하부이동 거리는 각 흡입구 루버(202)의 하부 이동거리 보다 길고, 상기 각 흡입구 루버(202)가 하부로 이동할 때의 상기 각 흡입구 루버의 하부 이동거리는 가장 윗부분의 흡입구 루버가 가장 길고 하나씩 아래의 흡입구 루버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짧아진다.
또한 토출구 모터(223)의 역구동에 의해 토출구(11)의 면적이 줄어들면서 각 토출구 루버(222)간 간격이 좁혀지기 까지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토출구 모터(223)의 역구동에 의해 토출구 다단기어(224)가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각 토출구 랙바(225)중 하나의 랙바의 상단이 토출구 개폐판(221)의 후면 하부에 형성된 토출구 돌출편(227)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토출구 랙바의 하단에 형성된 토출구 랙(226)이 상기 토출구 다단기어(224)중 가장 큰 직경의 기어에 맞물려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토출구 다단기어의 회동력이 하나의 토출구 랙바(225)를 통해 본체(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토출구 개폐판(221)으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토출구 개폐판이 토출구 랙바(225)의 하부이동 거리에 비례된 거리만큼 하부로 이동되면서 도 8b 및 도 9b와 같이 토출구(11)의 상단부를 일정 면적만큼 폐쇄시켜 주므로 상기 토출구의 전체 면적이 토출구 개폐판(221)의 하부이동 거리에 비례된 면적 만큼 줄어들게 됨과 동시에 나머지 토출구 랙바의 상단이 각 토출구 루버(22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나머지 토출구 랙바의 하단에 형성된 토출구 랙(226)이 토출구 다단기어(224)중 가장 직경이 큰 기어를 제외한 나머지 기어에 순차적으로 맞물림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토출구 다단기어(224)의 회전력이 토출구 랙바(225)를 통해 토출구 루버(222)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각 토출구 루버가 토출구 랙바(225)의 하부이동 거리에 비례된 거리만큼 하부로 이동하므로 도 8b 및 도 9b와 같이 토출구(4)에 설치된 각 토출구 루버(222)간 간격이 좁혀진다.
상기에서 토출구 개폐판(221)이 본체(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은 상기 토출구 개폐판(221)의 양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토출구 절곡편(230)이 본체(1) 전면의 토출구(11) 상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토출구 가이드편(229)으로 각각 끼워져 있으므로 가능하고, 각 토출구 루버(222)가 본체(1)에 형성된 토출구(1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은 상기 각 토출구 루버(222)의 양단에 일체화된 축이 토출구(4)의 양측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토출구 장공(231)으로 끼워져 있으므로 가능하다.
한편, 상기 토출구 개폐판(221)이 하부로 이동할 때의 하부이동 거리는 각 토출구 루버(222)의 하부 이동거리 보다 길고, 상기 각 토출구 루버(222)가 하부로 이동할 때의 상기 각 토출구 루버의 하부 이동거리는 가장 윗부분의 토출구 루버가 가장 길고 하나씩 아래의 토출구 루버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짧아진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고안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4) 및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의 면적을 동시에 조절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구(4)에 설치된 각 흡입구 루버(202)간 간격 및 토출구(11)에 설치된 각 토출구 루버(222)간 간격을 동시에 조절하게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흡입구(4)의 면적과 상기 흡입구에 설치된 각 흡입구 루버(202)간 간격만을 조절하게 구성하여도 되고, 아니면 토출구(11)의 면적과 상기 토출구에 설치된 각 토출구 루버(222)간 간격만이 조절되게 구성하여도 되는데, 이는 흡입구(4)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에 비례된 만큼 토출구(1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도 달라짐은 물론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에 비례된 만큼 흡입구(4)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도 달리지므로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기기를 냉방모드로 사용하느냐 공기정화모드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의 면적이 적정한 면적으로 조절됨과 함께 상기 흡입구에 설치된 각 흡입구 루버간 간격 및 토출구에 설치된 각 토출구 루버간 간격도 토출구 면적에 비례된 만큼 적절한 간격으로 조절되므로 특히 공기정화시에는 냉방시 보다 적은량의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됨에 따라 흡입공기의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필터 및 전기집진기의 수명이 길어져 결국 기기의 공기정화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본체 전면의 흡입구 상방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흡입구 개폐부재와,
    상기 흡입구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흡입구 루버와,
    상기 본체 내부에 부착되어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흡입구 동력발생부재와,
    상기 흡입구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흡입구 개폐부재 및 각 흡입구 루버에 전달하는 흡입구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흡입구 동력발생부재의 정역구동력에 따라 흡입구 개폐부재 및 각 흡입구 루버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흡입구 동력전달수단은 흡입구 동력발생부재에 축결합되어 흡입구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정역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흡입구 풀리와,
    상기 본체 내의 흡입구 하방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흡입구 레버와,
    상기 흡입구 풀리와 흡입구 레버의 일단을 연결하여 흡입구 풀리의 회전력을 흡입구 레버로 전달하는 흡입구 케이블과,
    상기 흡입구 개폐부재의 후면 하단에 형성된 흡입구 돌출편과,
    상기 흡입구 돌출편 및 각 흡입구 루버에 상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됨과 함께 흡입구 레버의 타단에 하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 레버의 회동력을 직선이동력으로 바꾸면서 흡입구 개폐부재로 전달하거나 각 흡입구 루버로 전달하는 흡입구 연결대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흡입구 동력전달수단은 흡입구 동력발생부재에 축결합되어 흡입구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정역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흡입구 다단기어와,
    상기 흡입구 개폐부재의 후면 하단에 형성된 흡입구 돌출편과,
    상기 흡입구 돌출편 및 각 흡입구 루버에 상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됨과 함께 흡입구 다단기어에 하단에 형성된 흡입구 랙이 순차적으로 맞물림되어 상기 흡입구 다단기어의 회전력을 직선이동력으로 바꾸면서 흡입구 개폐부재로 전달하거나 각 흡입구 루버로 전달하는 흡입구 랙바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의 전면 흡입구 상방에 한쌍의 흡입구 가이드편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흡입구 개폐부재의 양측에는 한쌍의 흡입구 절곡편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각 흡입구 절곡편을 각 흡입구 가이드편에 끼움에 따라 흡입구 개폐부재가 본체 전면의 흡입구 상방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흡입구의 양측면부에 수직방향으로 흡입구 장공을 형성하여 각 흡입구 루버의 양단에 일체화된 축을 상기 흡입구 장공으로 끼움에 따라 각 흡입구 루버가 흡입구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본체 전면의 토출구 상방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토출구 개폐부재와,
    상기 토출구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토출구 루버와,
    상기 본체 내부에 부착되어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토출구 동력발생부재와,
    상기 토출구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을 토출구 개폐부재 및 각 토출구 루버에 전달하는 토출구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하여 상기 토출구 동력발생부재의 정역구동력에 따라 토출구 개폐부재 및 각 토출구 루버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토출구 동력전달수단은 토출구 동력발생부재에 축결합되어 토출구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정역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토출구 풀리와,
    상기 본체 내의 토출구 하방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토출구 레버와,
    상기 토출구 풀리와 토출구 레버의 일단을 연결하여 토출구 풀리의 회전력을 토출구 레버로 전달하는 토출구 케이블과,
    상기 토출구 개폐부재의 후면 하단에 형성된 토출구 돌출편과,
    상기 토출구 돌출편 및 각 토출구 루버에 상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됨과 함께 토출구 레버의 타단에 하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토출구 레버의 회동력을 직선이동력으로 바꾸면서 토출구 개폐부재로 전달하거나 각 토출구 루버로 전달하는 토출구 연결대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6 항에 있어서,
    토출구 동력전달수단은 토출구 동력발생부재에 축결합되어 토출구 동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정역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토출구 다단기어와,
    상기 토출구 개폐부재의 후면 하단에 형성된 토출구 돌출편과,
    상기 토출구 돌출편 및 각 토출구 루버에 상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됨과 함께 토출구 다단기어에 하단에 형성된 토출구 랙이 순차적으로 맞물림되어 상기 토출구 다단기어의 회전력을 직선이동력으로 바꾸면서 토출구 개폐부재로 전달하거나 각 토출구 루버로 전달하는 토출구 랙바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6 항에 있어서,
    본체의 전면 토출구 상방에 한쌍의 토출구 가이드편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토출구 개폐부재의 양측에는 한쌍의 토출구 절곡편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각 토출구 절곡편을 각 토출구 가이드편에 끼움에 따라 토출구 개폐부재가 본체 전면의 토출구 상방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토출구의 양측면부에 수직방향으로 토출구 장공을 형성하여 각 토출구 루버의 양단에 일체화된 축을 상기 토출구 장공으로 끼움에 따라 각 토출구 루버가 토출구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2019970035485U 1997-12-03 1997-12-03 공기조화기 KR200202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485U KR200202068Y1 (ko) 1997-12-03 1997-12-03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485U KR200202068Y1 (ko) 1997-12-03 1997-12-0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156U true KR19990023156U (ko) 1999-07-05
KR200202068Y1 KR200202068Y1 (ko) 2000-12-01

Family

ID=19515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5485U KR200202068Y1 (ko) 1997-12-03 1997-12-03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0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470B1 (ko) * 2022-11-01 2023-11-20 오충록 전열교환소자를 통과한 공기의 균일분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076B1 (ko) 2010-06-11 2012-02-22 황육익 시스템 루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470B1 (ko) * 2022-11-01 2023-11-20 오충록 전열교환소자를 통과한 공기의 균일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068Y1 (ko) 200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6324A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system
KR100488633B1 (ko) 공기조화기
US20050056038A1 (en) Integral type air conditioner and air guide structure thereof
US6059021A (en) Horizontal air direction control vane arrangement of an air conditioner
KR100247758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KR10064236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02068Y1 (ko) 공기조화기
EP1686327A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system
KR100249198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장치
KR101158114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00239493B1 (ko) 공기조화기
KR100760207B1 (ko) 공기조화기
KR100239490B1 (ko) 공기조화기
US20220260276A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0154579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전면그릴 설치구조
KR19990018602U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263701B1 (ko) 공기조화기의토출구개폐장치
KR015670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0239465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0236018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0175876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0232130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267996B1 (ko) 공기조화기의흡입구개폐장치
KR19990039407A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9990018717U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