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791U - A subminiature phone - Google Patents

A subminiatur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791U
KR19990022791U KR2019990006307U KR19990006307U KR19990022791U KR 19990022791 U KR19990022791 U KR 19990022791U KR 2019990006307 U KR2019990006307 U KR 2019990006307U KR 19990006307 U KR19990006307 U KR 19990006307U KR 19990022791 U KR19990022791 U KR 199900227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ircuit
telephone line
handset
r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30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중호
Original Assignee
하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중호 filed Critical 하중호
Priority to KR20199900063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2791U/en
Publication of KR199900227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791U/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과전류 방지, 수화이득 제어 및 뮤트 기능이 부가된 초소형 전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초소형 전화기는 전화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링 신호를 수신하여 부저로 출력하는 링신호 검출회로와, 상기 전화라인과 링신호 검출회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며 저전압 및 저주파수의 링신호 입력시 감도를 향상시키는 콘덴서와,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버튼으로부터 소정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다이얼 펄스 또는 복합 주파수로 변환 출력하는 다이얼 회로와, 상기 전화라인과 다이얼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송수화기와 음성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통화 회로와, 상기 전화라인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량을 적정 전류 이하로 제어하는 정전류 제어회로로 구성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and to provide an ultra-compact telephone with an overcurrent protection, a sign gain control, and a mute function. The micro telephone has a ring signal detection circuit that receives a ring signal input from a telephone line and outputs it to a buzzer, and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telephone line and the ring signal detection circuit and improves sensitivity at low voltage and low frequency ring signal input. A condenser, a dial circuit for receiving predetermined data from a numeric button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converting the input data into a dial pulse or a complex frequency, and being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and the dial circuit to give a voice signal to the handset; And a constant current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telephone line to be below an appropriate current.

Description

초소형 전화기{A SUBMINIATURE PHONE}Mini Phone {A SUBMINIATURE PHONE}

본 고안은 초소형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과전류 방지, 수화이득 제어 및 뮤트 기능이 부가된 초소형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ct tele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act telephone to which overcurrent protection, a sign gain control, and a mute function are added.

통상적으로, 전화기는 송,수신을 하기 위한 헨드세트(이하 "송수화기"라 함)가 컬코드에 의해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전화기 본체의 하단부에는 좌,우방향으로이동하면서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음향조절레버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화기 본체의 중간부에는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상대측을 호출하기 위한 0∼9까지의 숫자버튼과 특정 서비스를 선택하는 2개(*,#)의 기능버튼이 설치된다.In general, a telephone has a handse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andset") connected to the main body by a curl cord,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of the telephone body adjusts the volume while moving left and right. Acoustic control lever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middle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telephone is provided with a number button of 0 to 9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for calling the other party and two (*, #) function buttons for selecting a specific servi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화기는 송수화기가 전화기 본체위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별도의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통화시 항상 송수화기를 잡고 통화해야 함으로 전화 통화와 동시에 다른 작업을 실시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telephone is not only bulky but also requires a separate installation space because the handset is mounted on the telephone body. In addition, there was an inconvenience, such as having to hold the handset at the time of the call, so that other tasks cannot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telephone call.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98-33618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통상의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기 회로 부품을 소형 양면 PCB에 다층으로 탑재시켜 전화기 몸체를 소형화시키고, 상기 전화기 몸체에 폰잭으로 연결/분리되는 귀걸이 형태의 송수화기를 구성하여 귀에 가법게 걸어 송수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전화기가 공개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98-3361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includes a telephone circuit component of a conventional telephone mounted on a small double-sided PCB in multiple layers to miniaturize the telephone body, and a phone jack on the telephone body. An ultra-slim phone has been disclosed, which is configured so that the earpiece-type handset is connected / separated to be hooked to the ear.

이러한 선행기술은 휴대 및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퉁화중에 다른 작업을 하지 못하였던 종래의 전화기에 비해서는 나름대로 유용한 것임에는 분명하다.It is clear that this prior art is useful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telephone which is not free to carry and move and does not do other work during the exchange.

하지만, 이러한 선행기술은 수화 이득을 제어할 수 있는 별다른 수단이 없기때문에 소비자의 취향(청각)을 맞추기가 어려우며, 또한 송화음을 차단시키는 뮤트기능이 없어 통화중에 다른 사람과 잠시 대화할 때 그 내용이 전화기를 통해 상대방에게 들리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의 전화기는 전류 제한 회로가 없기 때문에 과전류 방지를 위한 별다른 대책이 없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However, this prior art is difficult to meet the consumer's taste (hearing) because there is no other means to control the sign language gain, and also there is no mute function to block the sound of the call, so when you talk to someone on the phone for a while The problem heard by the other party through this phone is expected. In addition, since the prior art telephone has no current limiting circui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re is no special countermeasure for overcurrent prevention.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에서 수화 이득을 조절할 수 있는 초소형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compact telephone that can adjust the sign language gain from the outsid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화기 내부에 전류 제한 회로를 내장하여 과전류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초소형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ct telephone that can prevent the flow of overcurrent by embedding a current limiting circuit inside the telephon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뮤트 기능을 구비하여 통화음을 차단시킬 수 있는 초소형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ct telephone having a mute function to block a cal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견제에 따른 본 고안은, 전화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링 신호를 수신하여 부저로 출력하는 링신호 검출회로와, 상기 전화라인과 링신호 검출회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며 저전압 및 저주파수의 링 신호 입력시 감도를 향상시키는 콘덴서와,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버튼으로부터 소정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다이얼 펄스 또는 복합 주파수로 변환 출력하는 다이얼 회로와, 상기 전화라인과 다이얼 회로에 접속되어 상기 송수화기와 음성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통화 회로와, 상기 전화라인으로 공급되는 전류의량을 적정 전류 이하로 제어하는 정전류 제어회로로 구성된 초소형 전화기를 구현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check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ring signal detection circuit for receiving a ring signal input from a telephone line and outputting it to a buzzer, and the telephone line and the ring signal detection circuit. A condenser that improves sensitivity at low voltage and low frequency ring signal input, a dial circuit which receives predetermined data from a number button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nd converts the input data into a dial pulse or a complex frequency, and the telephone line; A miniature telephone is formed of a telephone circuit connected to a dial circuit so as to exchange voice signals with the handset, and a constant current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an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telephone line to be below an appropriate current.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과전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전류 제한 회로를 더 구비하는 초소형 전화기를 구현하였다.More preferably, an ultra-compact telephone having a current limiting circuit for preventing overcurrent flow is implemented.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전화기의 외형을 도시한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mpact tele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초소형 전화기에서 2층 배치구조를 갖는 기판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ubstrate having a two-layer arrangement in the compact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초소형 전화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micro telephone.

도 4는 상기 도 3에서 전화기부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lephone circuit in FIG.

도 5는 상기 도 3에서 음성 통화 회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oice call circuit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소형 전화기 12: 연결단자10: small telephone 12: connector

16: 노브 18: 숫자버튼16: Knob 18: Number Buttons

19: 특정버튼 20: 송수화기19: specific button 20: handset

22: 스피커 24: 마이크로폰22: speaker 24: microphone

30: 상부기판 34: 하부기판30: upper substrate 34: lower substrate

104: 정전류 제어회로 106: 통화 회로104: constant current control circuit 106: communication circuit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 고안의 초소형 전화기는 소형의 기판 위에 소형 박막형 부품을 기판의 하단부에 탑재하였으며, 그 상단부에 I.C 및 오디오잭, 전해콘덴서 크기의 기타 부품을 장착하도록 하는 2중 적층 구조의 조립방식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전화기용 키패드 부분만을 또 다른 기판에 장치하도록 하여, 두 기판 사이를 케이블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케이스에 일체로 조립되고, 그 케이스의 후면에는 전화라인 연결수단을 측면에는 송수화장치 연결수단 및 수화음량을 조정할 수 있는 장치를 적용하였다. 또한 이들 연결수단들은 분리 및 접속 가능하게 하여 통화시에는 송수화장치를 귀 또는 머리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화하면서 양손을 모두 사용하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First, the ultra-compact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a small thin film component on the bottom of the board on a small board, and applied the assembly method of the double stack structure to mount the IC, audio jack, and other components of the size of the electrolytic capacitor on the top of the board. It wa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only the keypad portion for the phone on another board, it is assembled integrally to the case by connecting the cable between the two boards, the telephone line connecting means to the back of the case to connect the handset to the side Apparatus for adjusting the means and the volume of sign language was applied. In addition, these connecting means are separated and connected to enable the handset device to be used in the ear during the call by using both hands while making a call.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전화기의 외형을 도시하고 있다.1 illustrates the appearance of a compact tele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상기 소형 전화기(10)는 전화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단자(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단부에는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0∼9까지의 숫자버튼(18)과 특수 기능을 가지는 특정버튼(19)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특정버튼(19)은 송화음 차단을 위한 뮤트 버튼(19a)과, 재 다이얼링을 위한 재다이얼 버튼(19b)과, 전화라인의 온/오프를 위한 훅 스위치(19c)와, 재 발신을 위한 재발신 버튼(19d)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형 전화기(10)의 우측면(도 1에서)에는 송화기(20)의 폰잭(26)이 결합되는 오디오 잭(14)이 형성되며, 상기 오디오 잭(14)의 일측으로는 수화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노브(16)가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송수화기(20)는 통상의 스피커(22)와 마이크로폰(24)이 일체로 조립되어 사용자의 귀에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In the figure, the small telephone 1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12 for connecting a telephone line, the upper portion of the number button 18 to 0-9 for inputting a phone number and a specific button having a special function ( 19) is installed. At this time, the specific button 19 is a mute button (19a) for blocking the ring tone, redial button (19b) for redialing, hook switch (19c) for on / off of the telephone line, and redial It is composed of a redial button 19d for. On the right side (in FIG. 1) of the small telephone 10, an audio jack 14 to which the phone jack 26 of the talker 20 is coupled is formed, and one side of the audio jack 14 adjusts a sign language volume. A knob 16 is attached. In this case, the handset 20 is configured such that a conventional speaker 22 and a microphone 24 are integrally assembled to be plugged into a user's ear.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초소형 전화기(10)의 내부 부품 배치 구조도를 도시한 도면, 바람직하게는 전화기 몸체를 초소형화 하기 위하여 각종 부품들을 2층 구조로 배치한 초소형 전화기의 내구 구성도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ultra-compact telephone 10 shown in FIG. 1, preferably the durability configuration of the ultra-compact telephone i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arranged in a two-layer structure in order to miniaturize the telephone body. .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형 전화기(10)는 2개의 기판 즉, 상부기판(30)과 하부기판(34)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소정 간격을 유지하는 적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하부기판(34)의 하단면에는 소형 박막 형태로 설계된 칩저항(36)들이 장착되고, 상단면에는 크기가 큰 나머지 부품들, 바람직하게는 연결단자(12), 오디오 잭(38), 캐패시티(40), 크리스탈(42) 및 콘덴서(46), IC 부품(44)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기판(30)의 상단면에는 숫자버튼(18) 및 특정버튼(19)들이 장착된 러버(28)가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기판(30)과 하부기판(34)은 케이블(48)에 의해 일체로 조립된다. 즉, 상기 상/하기판(30,34)은 여러개의 컨넥터로 접속되지 않고, 단순히 한 개의 케이블(48)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small telephone 10 is composed of two substrates, namely, an upper substrate 30 and a lower substrate 34, which form a laminated structur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34 is equipped with chip resistors 36 designed in the form of a small thin film, the upper surface of the remaining large components, preferably the connection terminal 12, the audio jack 38, the capacitor The city 40, the crystal 42, the capacitor 46, and the IC components 44 are assembl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And the rubber 28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30, the number button 18 and the specific button 19 is mounted. Here, the upper substrate 30 and the lower substrate 34 are integrally assembled by the cable 48. In other words,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30 and 34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by multiple connectors, but simp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one cable 48.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소형 전화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화라인의 연결수단인 연결단자(12)를 구성하고 각종 전화기회로 등을 구성하고 있다. 도면에서, 링신호 검출회로(114)는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 신호를 수신하여 이 신호음을 부저를 통해 울리도록 한다. 부저(116)는 상기링신호 검출회로(1l4)로부터 링 신호음을 입력받아 외부로 출력시키는 자계형 소형부저이다. 그리고 상기 링신호 검출회로(114) 내부에는 전류회로를 내장하고 있으며, 링 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부저를 울리게 된다.3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act teleph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stitutes a connection terminal 12 which is a connection means of a telephone line, and constitutes various telephone circuits. In the figure, the ring signal detecting circuit 114 receives the ring signal input to the telephone line and makes the ringing sound through the buzzer. The buzzer 116 is a magnetic field type small buzzer which receives a ring signal sound from the ring signal detection circuit 1114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In addition, a current circuit is built in the ring signal detection circuit 114, and the buzzer sounds using the size of the ring signal.

콘덴서(102)는 전화라인으로부터 저전압 및 저주파수의 링 신호가 입력될 때 링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화라인과 링신호 검출회로(114)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즉, 상기 콘덴서(102)는 링 신호의 크기가 25VRMS 이하로 극히 작은 경우에도 부저음이 울리도록 링감도를 향상시키며, 그 용량값온 0.4∼0.8μF/250VDC범위이다.The capacitor 102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telephone line and the ring signal detection circuit 114 to improve ring sensitivity when a low voltage and low frequency ring signal is input from the telephone line. That is, the condenser 102 improves the ring sensitivity so that the buzzer sounds even when the ring signal has an extremely small size of 25 VRMS or less, and has a capacity value of 0.4 to 0.8 μF / 250 VDC.

다이얼 회로(112)는 도 1의 숫자버튼(18)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전화라인으로 상기 눌려진 숫자버튼(18)에 해당하는 다이얼 펄스 또는 복합 주파수를 송출시키며, 정전류 제어 회로(104)는 상기 전화라인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량을 설정된 전류 이하로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통화 회로(106)는 상기 다이얼 회로(112)에 접속되어 송수화기(20)와 음성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회로이다.The dial circuit 112 receives data from the number button 18 of FIG. 1 and sends a dial pulse or a complex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number button 18 to a telephone line, and the constant current control circuit 104 transmits the phone.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line is controlled below the set current. The call circuit 106 is a circuit connected to the dial circuit 112 so as to exchange voice signals with the handset 20.

여기서, 상기 정전류 제어회로(104)는 전화라인에 공급된 직류 전압과 전류가 제한되어 있을 경우, 본 고안의 초소형 전화기(10)가 적정 전류 이상을 과다하게 소모하지 않도록 전류를 제한시켜주는 회로이며, 이러한 제어회로(104)는 후술하는 도 4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Here, the constant current control circuit 104 is a circuit that limits the current so that the micro telephon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essively consume more than a proper current when the DC voltage and the current supplied to the telephone line are limited. This control circuit 104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FIG. 4 described later.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라인의 (+),(-)단자에 관계없이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브릿지 정류회로(118)와 통상의 루프 회로(126)로 구성되며, 상기 브릿지 정류회로(118)와 루프 회로(126) 사이에는 과전류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전류 제한 회로(120)가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전류 제한 회로(120)는 10∼10OΩ의 전류 제한 저항값을 갖는다. 즉, 상기 전류 제한 회로(120)는 전화라인에 공급되는 직류 전류를 선로 길이 및 상태에 따라, 예를 들어 선로 길이가 짧을 경우에 선로 저항이 적어 과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 경우 선로 저항 변화에 따라 소모 전류가 변화하도록 하여 과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회로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브릿지 정류회로(118)를 통과한 직류전압은 통상 루프 회로(126)로 직접 인가될 때 과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때 상기 전류 제한 회로(120)는 과전류를 소모 전류로 제한하여 루프 회로(126)로 공급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류 제한 회로(120)에는 통화로 형성을 위하여 콘덴서(122)가 연결되고, 또한 직류 전류 제한값을 조정하기 위하여 저항(134)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bridge rectifier circuit 118 and the conventional loop circuit 126 are configured to allow current to flow regardles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of the telephone line. A current limiting circuit 120 for preventing the flow of overcurrent is connected between the 118 and the loop circuit 126. At this time, the current limiting circuit 120 has a current limiting resistance value of 10 ~ 10Ω. That is, the current limiting circuit 120 has a low line resistance when the DC current supplied to the telephone line depends on the line length and state, for example, when the line length is short, so that overcurrent flows. Therefore, it is a circuit to prevent the overcurrent flow by changing the current consumption. In other words, when the direct current voltage passing through the bridge rectifier circuit 118 is directly applied to the loop circuit 126, an overcurrent flows. In this case, the current limiting circuit 120 restricts the overcurrent to the consumed current so that the loop circuit ( 126). The capacitor 122 is connected to the current limiting circuit 120 to form a currency path, and a resistor 134 is provided to adjust the DC current limiting value.

한편, 전술한 음성 통화 회로(106)의 상세 구성 및 통화 과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다.On the other h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call process of the above-described voice call circuit 106 is as shown in FIG.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통화 회로(106)는 전화라인으로부터 들어오는 음성 신호를 송수화기(20)의 스피커(22)로 듣거나, 마이크로폰(24)에서 송출되는 음성이 전화라인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즉, 전화라인에서 들어오는 음성신호는 수화 증폭기(130)를 통해 뮤트(MUTE) 회로(132)로 입력되며, 상기 뮤트 회로(132)를 통과한 음성 신호는 수화이득 증폭기(136)를 통해 송수화기(20)의 스피커(22)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수화이득 증폭기(136)에는 수화량 증폭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화 조정저항(134)이 연결된다. 즉, 상기 수화 조정저항(134)은 도 1에 도시한 노브(16)의 작동에 따라 50∼250㏀의 범위내에서 저항값이 가변되며, 이에따라 수화측 이득은 제어되어진다. 따라서 소비자의 청각 상태에 따라 수화음은 수동으로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all circuit 106 listens to a voice signal coming from a telephone line to the speaker 22 of the handset 20, or transmits a voice from the microphone 24 to the telephone line. . That is, the voice signal coming from the telephone line is input to the mute circuit 132 through the hydration amplifier 130, and the voice signal passing through the mute circuit 132 is received through the handset gain amplifier 136. 20 is output to the speaker 22. At this time, the hydration gain amplifier 136 is connected to a hydration adjustment resistor 134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hydration amplification. That is, the hydration adjustment resistor 134 has a variable resistance value within a range of 50 to 250 mV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nob 16 shown in Fig. 1, whereby the hydration side gain is controlled. Therefore, the sign language can be freely adjusted manually according to the hearing condition of the consumer.

다음, 송수화기(20)의 마이크로폰(24)에서 입력되는 송화 음성 신호는 송화증폭기(138)를 통해 1차 증폭된 다음 상기 뮤트 회로(132)를 통과한 후, 다시 송화이득 증폭기(146)를 통해 전화라인으로 송출된다. 이때 상기 송화이득 증폭기(146)에는 증폭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송화 조정저항(144)이 연결되며, 그 저항값은 30∼60㏀ 범위이다.Next, the voice signal of the voice input from the microphone 24 of the handset 20 is first amplified through the voice amplifier 138 and then passed through the mute circuit 132, and then again through the voice gain amplifier 146. It is sent out by telephone line. At this time, the song gain amplifier 146 is connected to a song adjustment resistor 144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plification degree, the resistance value is in the range of 30 ~ 60Hz.

여기서, 상기 뮤트 회로(132)는 송화음 차단기능 수행시 또는 펄스 송출시에 그 신호음을 차단시켜 수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로이며, 자동 이득 제어기(142)는 전화라인의 상태에 따른 전류 변동에 대한 송/수화 이득이 자동으로 보상되도록 하는 회로이다. 또한 상기 송화 증폭기(138)에는 뮤트 버튼(19a)이 연결되며, 상기뮤트 버튼(19a)은 송수화기(20)의 마이크로폰(24)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가 전화라인으로 송출되는 것을 임의로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끝으로 네트워크(128)는 전화라인을 통해 들어오는 신호를 오디오 잭(14)으로 내보거나 상기 오디오 잭(14)을 통해 들어오는 신호를 전화라인으로 내보내면서 그 신호를 피드백시켜 다시 송수화기(20)의 스피커(22) 측으로 내보내는 피드백 기능을 갖는 전화라인 연결망이다.Here, the mute circuit 132 is a circuit that prevents hydration by blocking the signal sound when performing a call sound blocking function or transmitting a pulse, and the automatic gain controller 142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urrent vari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lephone line. It is a circuit to make the transmit / receive gain automatically compensated. In addition, a mute button 19a is connected to the talk amplifier 138, and the mute button 19a serves to block an arbitrary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24 of the handset 20 to be transmitted to the telephone line. do. Finally, the network 128 outputs the signal coming through the telephone line to the audio jack 14 or sends the signal coming through the audio jack 14 to the telephone line while feeding back the signal to the speaker of the handset 20 again. It is a telephone line network with a feedback function sent to the side (22).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초소형 전화기는 뮤트 기능을 부가함으로서 통화중에 옆사람과 잠시동안 대화시에도 그 대화 내용이 전화기를 통해 상대방에게 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수화측 이득을 수동으로 제어할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취향(청각 상태)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전화기에는 전류 제한 회로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과전류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iniature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mute function to prevent the conversation from being heard by the other party through the telephone even during a short conversation with the next person during a call, and also provides a sign language gain manually. Because it can be controlled by the user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sumer's taste (hearing state). And since the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current limiting circuit there is an increased effect that can prevent the flow of overcurrent.

Claims (7)

스피커(22)와 마이크로폰(24)이 내장된 송수화기(20)를 가지는 초소형 전화기에 있어서,In a compact telephone having a handset 20 in which a speaker 22 and a microphone 24 are incorporated, 전화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링 신호를 수신하여 부저(116)로 출력하는 링신호 검출회로(114)와;A ring signal detection circuit 114 for receiving a ring signal input from a telephone line and outputting the ring signal to the buzzer 116; 상기 전화라인과 링신호 검출회로(114)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며, 저전압 및 저주파수의 링 신호 입력시 감도를 향상시키는 콘덴서(102)와;A condenser 102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telephone line and the ring signal detection circuit 114, and for improving sensitivity at the time of inputting ring signals of low voltage and low frequency;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버튼(18)으로부터 소정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다이얼 펄스 또는 복합 주파수로 변환 출력하는 다이얼 회로(112)와;A dial circuit 112 for receiving predetermined data from a numeric button 18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nd converting the input data into a dial pulse or a complex frequency; 상기 다이얼 회로(112)와 전화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송수화기(20)와 음성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통화 회로(106)와;A telephone circuit (106) connected to the dial circuit (112) and a telephone line and capable of exchanging voice signals with the handset (20); 상기 전화라인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량을 적정 전류 이하로 제어하는 정전류제어회로(10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화기.And a constant current control circuit (104)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telephone line to be below an appropriate curr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제어회로(104)는 통상의 브릿지 정류회로(118) 및 루프 회로(126)를 가지며, 상기 브릿지 정류회로(118)와 루프회로(126) 사이에는 과전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전류 제한 회로(120)가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화기.The constant current control circuit 104 has a conventional bridge rectifier circuit 118 and a loop circuit 126, and prevents overcurrent flow between the bridge rectifier circuit 118 and the loop circuit 126. Miniature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current limiting circuit (1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한 회로(120)는 10∼10OΩ의 전류 제한 저항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화기.The ultra-compact telephon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urrent limiting circuit (120) has a current limiting resistance value of 10 to 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회로(106)는The communication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call circuit (106) 상기 전화라인에서 들어오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수화 증폭기(130) 및 수화이득 증폭기(136)와, 상기 송수화기(20)의 마이크로폰(24)에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송화 증폭기(138) 및 송화이득 증폭기(146)를 가지며;A receiver amplifier 130 and a receiver amplifier 136 for amplifying a voice signal coming from the telephone line, a receiver amplifier 138 for amplifying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24 of the handset 20; Has a gain amplifier 146; 상기 송화 증폭기(138)에 연결되며, 상기 송수화기(20)의 마이크로폰(24)으로부터 상기 전화라인으로 송출되는 송화음을 차단하는 뮤트버튼(19a)과;A mute button (19a) connected to the talk amplifier (138) for blocking a talk sound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24) of the handset (20) to the telephone line; 상기 증폭기(130,134,138,146)들과 접속되며, 상기 뮤트버튼(19a)의 작동시 또는 펄스 송출시에 발생하는 신호음을 차단시키는 뮤트 회로(132)와;A mute circuit (132) connected to the amplifiers (130, 134, 138, 146), for blocking a signal sound generated when the mute button (19a) is operated or when a pulse is sent; 상기 수화 증폭기(130) 및 송화 증폭기(138)와 접속되며, 상기 전화라인의 상태에 따른 전류 변동에 대한 송수화 이득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이득 보상기(14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화기.And a gain compensator (142) connected to the receiver amplifier (130) and the receiver amplifier (138), and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ntrol a handset gain for current vari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elephone li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회로(106)는 상기 수화이득 증폭기(136)의 수화량 증폭도를 제어하는 수화 조정저항(134)과, 상기 송화이득 증폭기(146)의 증폭도를 제어하는 송화 조정저항(14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화기.5. The communication circui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ommunication circuit (106) includes a sign adjustment resistor (134)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hydration amplification of the sign gain amplifier (136), and a talk adjustment resistor for controlling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talk gain amplifier (146). An ultra-compact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14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 조정저항(134)은 50∼250㏀의 저항값을 가지며,The hydration adjustment resistor 134 has a resistance value of 50 to 250 kohms, 상기 소형 전화기(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저항값을 외부에서 수동 조절하기 위한 노브(16)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화기.Miniature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a knob (16)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mall telephone (10) for manually adjusting the resistance value from the outsi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화 조정저항(144)은 30∼60㏀의 저항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화기.6. The compact telephone se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talk adjusting resistor (144) has a resistance value of 30 to 60 kHz.
KR2019990006307U 1999-04-13 1999-04-13 A subminiature phone KR1999002279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307U KR19990022791U (en) 1999-04-13 1999-04-13 A subminiatur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307U KR19990022791U (en) 1999-04-13 1999-04-13 A subminiatur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791U true KR19990022791U (en) 1999-07-05

Family

ID=5475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307U KR19990022791U (en) 1999-04-13 1999-04-13 A subminiatur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2791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8776B2 (en) Transceiver
US6519475B1 (en) Earphone-microphone combination including a radio module and method of shifting its operational mode between telephone mode and radio mode
JP3727431B2 (en) Transmitter, telephone using it
KR100194011B1 (en) Super-slim telephone
KR19990022791U (en) A subminiature phone
US7529567B2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mount of electric current consumption thereof
JP2894882B2 (en) Hands-free telephone equipment
US5373554A (en) Telephone having separate power circuit for supplying power to speech network
JP2002261945A (en) Interphone device
JPH1070600A (en) Telephone set
KR900002476Y1 (en) Side-tone preventing circuit
JP4134935B2 (en) Intercom equipment
JP3342617B2 (en) Door phone equipment
JPH0662155A (en) Telephone equipment
KR830001580B1 (en) Voiceless two-wire simultaneous call device for a loudspeaker
JPH0352051Y2 (en)
KR890004366Y1 (en) On-hook dialing and holding sound transmitting telephone
AU2007203414B2 (en) Telephone transmission distortion preven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0254448Y1 (en) Phone volume controller
KR200337938Y1 (en) a receiver of installation recording mike
GB2218302A (en) Hands-free telephone
JPS60174556A (en) Telephone set
JPH1075314A (en) Interphone set
KR20020001096A (en) Converter of General Phone and Internet Phone
KR19980065580A (en) Voice processing circuit to improve call quality in th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