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156U - 턱진이단창틀샛시 - Google Patents

턱진이단창틀샛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156U
KR19990022156U KR2019990003670U KR19990003670U KR19990022156U KR 19990022156 U KR19990022156 U KR 19990022156U KR 2019990003670 U KR2019990003670 U KR 2019990003670U KR 19990003670 U KR19990003670 U KR 19990003670U KR 19990022156 U KR19990022156 U KR 199900221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railing
window
fram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유
Original Assignee
심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유 filed Critical 심재유
Priority to KR2019990003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2156U/ko
Publication of KR19990022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156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07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between similar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턱진 이단 창틀 샛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파트의 베란다에 기 설치된 난간에서 창틀을 이단으로 꺾어 난간의 위치에 따라 턱진 이단창틀로 구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난간이 설치된 베란다에 상기 난간 내측으로 난간대 높이에 창틀을 형성하고 난간대 높이에서는 난간대 밖으로 후퇴하여 창틀을 형성하므로 서 그 외형은 2개의 창틀이 엇갈리게 결합된 것과 같은 모양이 되어 창틀의 일부가 벽과 결착하므로서 그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고 베란다의 공간확보가 용이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턱진 이단 창틀 샛시{Window frame sash on doule platform}
본 고안은 턱진 이단 창틀 샛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간이 기 설치된 베란다에 설치되는 창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아파트 베란다에는 난간이 설치되어 있고, 설치된 난간은 제거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으므로 난간이 설치된 상태에서 창을 설치해야하는 시공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난간이 설치된 베란다의 창문설치는 난간의 내측으로 창틀을 돌출 되게 형성하여 창틀의 일부가 벽체에 고정되어 시공되므로 창틀이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사고의 위험이 있고, 창틀 밑에는 창틀의 하중을 견디기 위한 받침대를 창틀의 길이에 설치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으며, 설치한다해도 기존의 벽체와 차별되어 미관상 흉하여 시공상 만족할 만한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어려움을 해소하고 난간의 높이 까지는 난간의 내측에 창틀을 형성하고 난간 윗부분에서부터는 난간 위에 창틀을 설치하여 창틀의 좌. 우를 벽체에 지지시켜 창틀의 일체성과 견고함을 제고 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협소한 장소에서 작업해야하는 제약이 있으므로 작업의 조건에 따라 또는 운반의 조건에 의해 상. 하 창틀을 분리하여 제작하고 현장 작업에 의해 상. 하가 일체로 형성된 창틀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1 : 창틀(a,b) 12 : 난간
13 : 창문 14 : 덮개
15 : 지지대 16 : 고정핀
17 : 가로대(a,b) 18 : 세로대(a,b)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상. 하창틀(11a,11b)과 상. 하창틀(11a,11b)을 일체화로 고정시키는 앵글지지대(15)와 고정핀(16) 그리고 하부 창틀(11b) 윗 세로대(18b)의 덮개(14)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완성된 상태를 도시하고자 한 것이고, 도 2는 상. 하창틀의 일체화 과정을 도시하기 하고자 한 것이다.
일정한 길이의 가로대(17a)와 세로대(18a)의 샛시로 조립하여 하부 창틀(11b)이 형성되고 같은 방법으로 상부 창틀(11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2개의 창틀(11a,11b)은 상부 창틀(11a)의 아래 세로대(18a)와 하부 창틀(11b)의 윗 세로대(18b)가 같은 선상에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으로 위치하도록 하되 하부 창틀(11b)의 외측과 상부 창틀(11a)의 내측을 밀착시켜 고정핀(16)으로 고정시킨다. 창틀(11a,11b)의 양측에는 앵글형 지지대(15)가 상부 창틀(11a)의 아래 세로대(18a)의 저부와 하부 창틀(11b)의 가로대(17b)에 밀착 고정된다. 또한 하부 창틀(11b)의 윗 부분은 덮개(14)로 커버링된다.
* 실시예
1. 고안의 필요성
아파트 베란다의 경우, 일반적으로 건물 본체에서 연장하여 형성된 벽체 난간이 일부를 형성하고 철물구조의 난간(12)이 나머지 난간(12)을 형성한다. 상기 난간(12)과 벽체난간은 외풍과 먼지를 방지하지 못하므로 먼지의 방지와 방온의 방법으로, 베란다 끝에 창문(13)을 형성하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철구조물로 형성된 난간(12) 부분에 창문(13)을 형성하는 것이 관한 것으로, 상기 철구조물의 난간(12)은 건물 본체의 벽체와 난간 벽체에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견고하게 구성되어 있고, 난간 벽체의 폭은 약 150㎜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법규상 베란다의 난간은 제거할 수 없으므로 창틀(11a,11b)을 난간(12)의 내측으로 설치할 수밖에 없다. 창틀(11a,11b)을 난간(12)의 내측으로 설치하면 창틀(11a,11b)과 난간 벽체가 접할 수 있는 부분은 약 50㎜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창문(13)은 베란다 바닥에서 베란다 천정까지 설치하는 것이므로 창문(13)의 크기는 길이가 약 5000㎜ 높이가 2800㎜정도로 상당히 큰 구조물에 해당하고 거기에 유리를 부가하므로 무게 역시 상당한 것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크고 무거운 구조물의지지 구조가 허약하여 구조물이 지지벽체로부터 이탈할 수 도 있고 창문의 슬라이드가 곤란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2. 구성과작용
1차로 난간(12)의 내측에 형성되는 하부 창틀(11b)을 구성한다. 난간(12) 안측으로 창틀(11b)을 작게 돌출시키기 위하여 상. 하창틀(11a,11b)을 800㎜의 샛시를 이용할 수 있고, 하부 창틀(11b)은 800㎜를 이용하고 상부 창틀(11a)은 1000㎜를 이용할 수 있다. 하부 창틀(11b)의 높이는 세로대의 두께만큼 난간(12)대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상부 창틀(11a)은 그 아래 세로대(18a)가 난간(12) 위에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위와 같이 설치하면 하부 창틀(11b)의 윗 세로대(18b)는 상부 창틀(11a)의 아래 세로대(18a)와 같은 선상에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 창틀(11b)의 윗 세로대(18b)와 상부 창틀(11a)의 아래 세로대(18a)를 긴밀히 결합시키기 위하여 세로대(18a,18b)의 길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핀(16)으로 고정시키고, 결합되는 부분의 양끝에 앵글형 지지대(15)를 상부 창틀(11a)의 저부와 하부 창틀(11b)의 가로대(17b)에 고정시키므로 서 2개의 창틀(11a,11b)을 일체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턱을 형성하고 구성된 창틀(11a,11b)은 일체화로 구성하여 시공할 수 있고, 상. 하 창틀(11a,11b)을 분리하여 현장에서 결합 일체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창틀(11a,11b)은 상부 창틀(11a)이 건물 본체의 벽체와 난간 벽체에 충분히 지지될 수 있으므로 하부 창틀(11b)의 지지부분에서 견고성이 부족하더라도 하부 창틀(11b)은 상부 창틀(11a)에 충분히 지지되어 있으므로 안전성에 문제가 없으며, 하부 창틀(11b)의 윗 세로대(18b)의 상부에 덮개(14)를 형성하여 미관을 향상시키며, 선반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창틀은 난간에 설치된 아파트의 베란다에 설치되는 것으로, 조립된 것으로 시공하므로 시공이 간단하며 일체화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미관상으로 양호하고 견고하여 안전성이 유지되는 것이다.

Claims (1)

  1. 아파트 베란다에 창문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난간(12) 내측으로 설치되는 하창틀(11b)과 난간(12) 위에 설치되는 상창틀(11a)로 형성되고 상창틀(11a) 하부 세로대(18a)의 내측과 하창틀(11b) 상부 세로대(18b)의 외측이 고정핀(16)에 의해 결합되며 상창틀(11a) 저부와 하창틀(11b) 가로대(17b)에 지지대(15)가 지지되어 턱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진 이단 창틀 샛시
KR2019990003670U 1999-03-09 1999-03-09 턱진이단창틀샛시 KR199900221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670U KR19990022156U (ko) 1999-03-09 1999-03-09 턱진이단창틀샛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670U KR19990022156U (ko) 1999-03-09 1999-03-09 턱진이단창틀샛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156U true KR19990022156U (ko) 1999-06-25

Family

ID=54755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670U KR19990022156U (ko) 1999-03-09 1999-03-09 턱진이단창틀샛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215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6761A (en) Baluster
KR102014084B1 (ko)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난간구조
KR101730161B1 (ko) 방충망 일체형 조립식 난간 구조를 가진 창호
JP2008002261A (ja) 吊足場構造
KR100637344B1 (ko) 건축용 베란다 난간구조
KR19990022156U (ko) 턱진이단창틀샛시
KR100993839B1 (ko) 향상된 조립성과 안전성을 겸비한 이층침대
KR200408510Y1 (ko) 건축용 비계틀의 난간구조
JP4948992B2 (ja) 階段
EP2021571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afety gates
KR0132118Y1 (ko) 건물 계단용 난간 연결장치
JP5578905B2 (ja) ユニット式スロープ
KR200394640Y1 (ko) 높낮이 조절식 비.티 난간대
KR200272193Y1 (ko) 베란다 난간 일체형 창틀구조
KR100714070B1 (ko)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JPH0135854Y2 (ko)
KR960005772Y1 (ko) 아파트 베란다의 방풍 및 방우시설용 조립식 난간
KR101354170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발코니 난간
IT201800003481A1 (it) Serramento
KR101344064B1 (ko) 건축용 조립식 계단
KR102228988B1 (ko) 견고함과 시공성이 및 개선된 유리난간
KR100236795B1 (ko) 난간이 결합된 베란다 섀시
JP4948993B2 (ja) 延長床付き階段
JP4527482B2 (ja) 手摺りの取り付け装置
KR200226648Y1 (ko) 걸이식 미닫이 문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