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944A - 조정가능한 반사기 장치 - Google Patents

조정가능한 반사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944A
KR19990021944A KR1019970708419A KR19970708419A KR19990021944A KR 19990021944 A KR19990021944 A KR 19990021944A KR 1019970708419 A KR1019970708419 A KR 1019970708419A KR 19970708419 A KR19970708419 A KR 19970708419A KR 19990021944 A KR19990021944 A KR 19990021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reflector
adjustable
reflector devic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앤드류 크롱크
Original Assignee
폴 앤드류 크롱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 앤드류 크롱크 filed Critical 폴 앤드류 크롱크
Priority claimed from PCT/AU1995/000303 external-priority patent/WO1996037732A1/en
Publication of KR19990021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944A/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조정가능한 반사기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부착된 V자 형상의 천공된 열 차단장치(17)를 결합한 조정가능한 램프 대판(12)을 구비한 조정가능한 이중 포물선의 반사외판(1,2)으로 구성된다. 두 부분의 반사외판(1,2)은 보강 척추부(3)에 대항하여 구부러질 때 이중 포물선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부림가능한 형상은 외판(1,2)의 양쪽 단부에 부착된 길이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체인 유지장치(4)에 의해 고정된다. 램프 대판(12)은 외판에 고정된 한쌍의 홈을 가진 볼트(6,7)상으로 미끄러지며, 알맞은 너트(15,16)를 조이거나 풀거나 함으로써 조정이 이루어진다. 열 차단장치(17)는 램프기구(18)상으로 미끄러지며, 입사하는 열과 빛을 편향시키도록 적절히 위치시킨다. 이러한 장치는 인공 조명의 다양한 조건들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정가능한 반사기 장치
인공조명에 대한 현대 산업상의 요구는 광범위하고 다양하며 끊임없이 팽창하고 있다.
산업현장에서의 인공조명과 관련한 많은 유형의 반사기 장치가 현재 알려져 있으나, 이들은 모두 고정된 형상 및/또는 그 형상내의 고정된 램프장착 위치가 특정한 목적을 위한 최적의 빛의 분포를 창출하도록 정밀하게 규정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이나맨 햇(chinaman hat)' 반사기는 넓고 균일한 빛의 분포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빛의 분포는 주로 원추 형상의 '차이나맨 햇' 반사기의 고정된 내부각도에 의존한다. 방사된 빛의 균일성은 따라서 주로 그 반사기내의 조정불가능한 램프의 위치선정에 의존한다. 이렇게 기존에 알려진 장치들은 그들의 융통성 없고 조정불가능한 디자인으로 인해 그들의 효율적인 사용이 상대적으로 작은 범위의 응용분야에 한정된다는 불편함을 갖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불편함을 극복하는 조정가능한 열 반사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나의 광범위한 형태로, 본 발명은 보통 서로에 대해 대체로 직각으로 배치되며, 통상적인 탄성 바이어스에 대해 구부러지고 유지됨으로써 장치가 곡선,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이중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채택된 한쌍의 탄성 시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사기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시트부재가 유지수단에 의해 상기 시트부재 사이에서 대체로 그 가장자리부에 연결된 상기 곡선 또는 이중 포물선 형상으로 유지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지수단이 선택적으로 길이가 조정가능한 체인, 와이어 등의 수단으로 된다.
바람직한 형태로는, 조명수단이 상기 장치에 선택적으로 조정가능한 부착수단에 의해 그 유지된 위치에서 부착되도록 채택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상기 조명수단의 일부에 열 차단장치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 차단장치가 V자 형상이며 상기 조명수단의 하측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형태로는, 상기 각 시트부재가 분리되어 제작되고 그후에 상기 장치를 형성하도록 서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시트부재가 대체로 직각 형상이고 각각의 시트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대체로 수직으로 돌출된 스커트를 구비하여 상기 장치를 형성하며, 제1 시트의 스커트가 제2 시트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제2 시트의 스커트는 제1 시트의 가장자리에 결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커트 및 상기 가장자리가 볼트,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다.
본 발명은 인공광원에 의해 방사되는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그러나 한정하는 것이 아닌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통하여 보다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가능한 반사기 장치의 일실시예의 전개도이고,
도 2는 시트부재상에 존재하는 대체로 수직으로 돌출된 스커트를 묘사하는 반사기 장치의 외판의 분해도이며, 및
도 3은 시트부재의 대체로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를 묘사하는 구부리기 전의 스커트의 조립도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는 명백히 달리 가리키는 바를 제외하고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이중 포물선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가 구부러진 위치에 있으면서 통상의 탄성 바이어스에 대하여 유지하고 있을 때의 형상을 기술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정의를 고려함에 있어, 이중 포물선이나 다른 유사한 형상의 어떠한 크기, 형상 또는 폭은 이러한 정의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 포물선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부러지며 외판의 각 단부에 위치한 조정가능한 유지장치에 의해 그 탄성력에 대하여 위치가 유지되는 탄성 반사외판과, 외판이 유지위치에 있을 때 외판에 부착되는 독립적으로 조정가능한 램프 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정가능한 빛 반사기 장치를 제공한다. V자 형상의 천공된 열 차단장치상의 슬라이드가 램프 기구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정가능한 반사기 장치가 최장 가장자리와 평행한 대체로 수직으로 돌출된 스커트를 포함하는 두 개의 부재(1,2)에 의해 형성되는 두 편의 탄성외판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시트부재는 대체로 직각 형상의 시트로서, 척추부(3) 주위에 이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통상적인 탄성에 대항하여 구부러져 도시된 바와 같은 이중 포물선 형상을 생성함으로써, 하나의 가장자리와 하나의 시트부재의 결합 스커트가 대응하는 다른 스커트 및 가장자리의 내부에 깔끔하게 고정되어 시트 사이에 대체로 수직 정렬을 형성하게 된다. 시트는 다음에 서로 고정되고 이중 포물선 형상과 같은 곡선 형상을 이루도록 구부러진다. 외판은 칼라접착 금속, 금속, 유리섬유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어떠한 적절한 재료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한쌍의 시트부재는 단일편 구조로(분리형성된 것과는 반대로)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시트는 한쌍의 체인(4)과 고리(5) 유지장치에 의해 조정가능하게 고정된다(방향설정상 하나의 유지장치만이 도시됨). 유지수단으로는 선택적으로 길이가 조정가능한 체인, 와이어 등이 될 수 있다. 한쌍의 홈을 가진 볼트(6,7)가 결합된 외판의 상단의 구멍(8,9)을 통과하여 너트(10,11)에 의해 고정된다.
램프 대판(12)이 구멍(13,14)을 통해 볼트(6,7)에 부착되고 부착너트(15,16)에 의해 조정가능하게 고정된다. 램프 대판은 외판내의 구멍을 통과하는 홈을 가진 한쌍의 볼트를 따라 조정하는 미끄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너트는 볼트를 외판에 고정하고 미끄럼판의 조정수단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발광 대판은 외판에 부착되었을 때 외판의 굴곡성을 대체로 억제하지 않는 한 조정가능하든 조정불가능하든 간에 어떠한 형태로도 설계될 수 있다.
V자 형상의 천공된 열 차단장치(17)가 램프기구(18)상으로 미끄러져 그 하측에 그러브 나사(19)에 의해 고정된다. 열 차단장치는 조명수단의 전극이나 필라멘트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구비되고, 가느다란 아암을 거쳐, 램프기구상으로 미끄러지며 그러브 나사와 고정되는 원통형 튜브 조각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차단장치는 본질적으로 V자 형상을 하는 한 어떠한 수의 구멍이 천공될 수 있으며 어떠한 크기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는 램프의 하부측에 평행하게 차단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도 램프기구에 부착될 수 있다. 접힘부(20,21)는 구부러지고 유지된 외판에 강도(剛度)와 힘을 제공한다. 탄성 반사외판은 하나 또는 어떠한 수의 시트부재와, 여기서 정의된 구부릴 수 있는 이중 포물선 형상의 형성에 요구되는 미리 규정된 형상 및 조건에 적합하도록 맞추어진 어떠한 필요한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가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외판을 구성하는 시트부재(1,2)가 각각 연합한 스커트(24,25 및 26,27)을 창출하도록 두 개의 접힘부(20,22 및 21,23)를 구비함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시트부재(1,2)가 어떻게 대체로 수직의 각도로 결합되는가를 알 수 있다. 시트부재(1,2)의 몸체에 부착된 스커트(27,25)는 새로이 만들어진 척추부(3) 주위에 보강 조인트를 창출하게 된다.
이상에서 기술된 반사기 장치의 적당한 조정에 의하여, 많고도 다양한 소정의 인공 조명의 조건들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불연속적인 작업구역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반사기 장치를 채용할 필요성이 감소되거나 없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기 장치가 실시예에 도시된 특정한 형상이나 탄성 외판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조정가능한 이중 포물선 형상이나 다른 유사한 형상을 창출하기 위해 척추 또는 축방향의 접힘에 대하여 구부려진다는 본질적인 특징이 달성되는 한 어떠한 적절한 형상이나 크기를 가진 적절한 재료로 된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조각으로 만들어진 외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점이 파악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속한 자에게는 본 발명에 변형 및 수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모든 변형 및 수정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이하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통상적으로 서로에 대해 대체로 직각으로 배치되며, 통상적인 탄성 바이어스에 대해 구부러지고 유지됨으로써 반사표면이 (여기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이중 포물선과 같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채택된 한쌍의 탄성 시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유지수단에 의해 상기 시트부재 사이에서 대체로 그 가장자리부에 연결된 상기 곡선 또는 이중 포물선 형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기 장치.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선택적으로 길이가 조정가능한 체인, 와이어 등의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명수단이 상기 장치에 선택적으로 조정가능한 부착수단에 의해 그 유지된 위치에서 부착되도록 채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조명수단의 일부에 구비된 열 차단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 차단장치는 V자 형상이며 상기 조명수단의 하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기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시트부재가 일체로 제작되거나 분리되어 제작된 후 상기 장치를 형성하도록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시트부재가 대체로 직각 형상이고 각각의 시트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대체로 수직으로 돌출된 스커트를 구비하여 상기 장치를 형성하며, 제1 시트의 스커트가 제2 시트의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제2 시트의 스커트는 제1 시트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기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및 상기 가장자리는 볼트,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기 장치.
  10.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여기에 기술된 바와 대체로 같은 반사기 장치.
KR1019970708419A 1995-05-24 1995-05-24 조정가능한 반사기 장치 KR199900219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AU1995/000303 WO1996037732A1 (en) 1993-11-18 1995-05-24 Adjustable reflecto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944A true KR19990021944A (ko) 1999-03-25

Family

ID=6616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419A KR19990021944A (ko) 1995-05-24 1995-05-24 조정가능한 반사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9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328B1 (ko) * 1999-06-12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이티엠 접속 성능 관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328B1 (ko) * 1999-06-12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이티엠 접속 성능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7344B2 (ja) 照明器具
US7156539B2 (en) Adjustable reflector device
US6783263B1 (en) Adjustable reflector device
US5924789A (en) Lighting fixture with transverse lamp and reflector mounting arm
US5938317A (en) Lighting fixture with internal glare and spill control assembly
US7455431B2 (en) High efficiency light fixture
US4514793A (en) Reflector system for securing to a light source
CA2479471C (en) A lighting fixture including two reflectors
CA2645968C (en) Adjustable reflector luminaire
US4575788A (en) Segmented luminaire
US20030193811A1 (en) Attachment for retaining lenses on a reflector lamp
CA2160598C (en) Lamp reflector
KR19990021944A (ko) 조정가능한 반사기 장치
CA2177893C (en) Lighting fixture with lamp end support for transverse, single-ended lamp
US6024470A (en) Integrated fold-up reflector brackets
US4513359A (en) Lamp stabilizer
US7434965B2 (en) Reflector for a linear light source and louvre controller incorporating the same
WO2000009941A1 (en) Light reflector for a fluorescent lamp
GB2496885A (en) Adjustable lamp reflector having closed ends
GB2302938A (en) An energy saving spotlight
NZ504922A (en) Light fitting with reflector on one side and perforated heat shield on other side
TWM336381U (en) Lampshade capable of clamping lamp tube
JPS649684B2 (ko)
EP2325550A1 (en) A luminaire reflector locating arrangement
JP3511758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