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876U - 예초기의동력을이용하는소형농기계 - Google Patents

예초기의동력을이용하는소형농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876U
KR19990021876U KR2019990000937U KR19990000937U KR19990021876U KR 19990021876 U KR19990021876 U KR 19990021876U KR 2019990000937 U KR2019990000937 U KR 2019990000937U KR 19990000937 U KR19990000937 U KR 19990000937U KR 19990021876 U KR19990021876 U KR 199900218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ower
lawn mower
column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52754Y1 (ko
Inventor
민영준
Original Assignee
민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영준 filed Critical 민영준
Priority to KR2019990000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754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8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7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7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Landscapes

  • Harvester Eleme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예초기의 동력으로써 구동하도록 형성되는 몸체에 작업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제초기용 블레이드 또는 북주기용 블레이드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Small-sized machine of agricultural of using hand carried weed cutter power)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핸들과, 핸들이 상측에 장착되며 예초기의 커팅부를 구동시키는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는 컬럼을 구비하는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에 있어서: 상기 컬럼단부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회전축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수용되는 워엄;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며 상기 워엄과 35:1의 잇수비로써 치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워엄휠; 작업종류에 따라 북주기와 예초기중 어느 하나로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워엄휠이 고정되는 회전축 양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소정형상의 블레이드; 및 상기 핸들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 후방으로 상기 컬럼을 따라 위치이동가능하도록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소정형상의 흙받이를 더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작업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초기용 블레이드 또는 북주기용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동력으로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함에 따라,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의 구조간단화로 인한 부품수 감소로 원가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게된다. 이로 인해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된다. 제초기 또는 북주기의 조작이 용이하여 작업중 에너지의 소모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며, 블레이드의 후방에 장착되는 흙받이에 의해 작업중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제초기 또는 북주기의 핸들을 사용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 각도조정이 용이하게 되므로 최적의 조건에서 작업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 {Small-sized machine of agricultural of using hand carried weed cutter power}
본 고안은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Small-sized machine of agricultural of using hand carried weed cutter powe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초기의 동력으로써 구동하도록 형성되는 몸체에 작업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제초기용 블레이드 또는 북주기용 블레이드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초기는 주행시 밭고랑에 위치하는 잡초의 뿌리까지를 파헤쳐 제거하는 것이며, 북주기는 인접한 둑과 둑사이의 고랑을 주행시 파헤치지는 흙으로서 둑에 심어진 작물의 뿌리를 북돋아주는 역할을 하게된다. 예초기는 잔듸 깍는 기계와 달리 풀을 깍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적고, 밭두렁 또는 논두렁과 같이 평탄하지 못한 장소의 잡초를 커팅하여 제거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기계이다.
그리고, 농기계의 사용자가 점진적으로 여성화 및 고령화되는 농촌현실을 감안하여 작업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제초기용 블레이드 또는 북주기용 블레이드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여 선택적으로 제초기 또는 북주기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용 농기계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전용 농기계는 제초기용 블레이드 또는 북주기용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의 구조복잡화로 인해 부품수 증가로 원가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이로 인해 농기계를 구입하는 농민들은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어야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또한, 전술한 농기계를 조작하는데 많은 힘이 요구되어 조작이 불편하게되므로 농기계의 사용자가 여성화 및 고령화되는 농촌현실을 감안할 때 비효율적이며, 또한, 작업능률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한편, 전술한 제초기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 제초용 블레이드로 인해 작물의 뿌리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초기용 블레이드 또는 북주기용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동력으로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함에 따라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의 구조간단화로 인한 부품수 감소로 원가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초기 또는 북주기의 조작이 용이하여 작업중 에너지 소모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초기 또는 북주기의 핸들을 사용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 각도조정이 용이하게 되므로 최적의 조건에서 작업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의 후방에 장착되는 흙받이에 의해 작업중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의 하우징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의 하우징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북주기용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를 북주기로써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초기용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를 제초기로써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의 핸들을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위치변환되는 흙받이의 사시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 구동축3; 컬럼(colum)
4; 하우징5; 워엄
6; 워엄휠7; 회전축
8; 흙받이9,10; 단위날개
11,12; 베어링13; 바퀴
14,15; 커플링16; 캡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핸들과, 핸들이 상측에 장착되며 예초기의 커팅부를 구동시키는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는 컬럼을 구비하는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에 있어서: 상기 컬럼단부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회전축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수용되는 워엄;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며 상기 워엄과 35:1의 잇수비로써 치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워엄휠; 작업종류에 따라 북주기와 예초기중 어느 하나로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워엄휠이 고정되는 회전축 양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소정형상의 블레이드; 및 상기 핸들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 후방으로 상기 컬럼을 따라 위치이동가능하도록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소정형상의 흙받이를 더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블레이드는 제초기용 블레이드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소정각도로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단위날개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80 내지 90。각도범위로서 절곡형성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블레이드는 북주기용 블레이드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평판형상의 단위날개가 35 내지 55。각도범위로서 비틀리게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며, 이는 본 고안의 기술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미도시됨)과, 핸들이 상측에 장착되며 예초기의 커팅부를 구동시키는 소정의 구동수단(미도시됨)에 의해 구동축(2)이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는 컬럼(3)을 구비하는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에 적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컬럼(3)단부에 소정형상의 하우징(4)을 장착하되, 베어링(11)에 의해 하우징(4)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워엄(5)이 컬럼(3)에 내설되는 구동축(2)단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워엄(5)과 35:1의 잇수비로서 치합되어 구동축(2)을 통해 전달되는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소정속도로서 감속시키는 워엄휠(6)이 하우징(4)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며, 작업종류에 따라 북주기와 예초기중 어느 하나로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형상의 블레이드(A,B)가 워엄휠(6)이 축고정되는 회전축(7) 좌우 양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핸들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소정형상의 흙받이(8)를 블레이드(A,B)후방으로 컬럼(3)을 따라 위치이동가능하도록 캡(16)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전술한 블레이드(A)는 제초기용 블레이드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소정각도로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단위날개(9)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소정각도(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각도)범위로서 절곡 형성되며, 블레이드(B)는 북주기용 블레이드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평판형상의 단위날개(10)가 소정각도(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각도)범위로서 비틀리게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12는 회전축(7)을 하우징(4)에 대해 회전자재토록 고정지지하는 베어링, 13은 흙받이(8)저면에 360。방향으로 회전자재토록 고정되는 바퀴, 14,15는 하우징(4)좌우측으로 회전축(7)에 장착되어 블레이드(A,B)가 체결부재(21)에 의해 고정되는 커플링, 16은 흙받이(8)를 컬럼(3)의 소정위치에 체결부재(20)에 의해 고정시키는 캡, 17은 회전축(7)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회전축(7)으로 부터 블레이드(A,B)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핀, 22는 흙받이(8)저면에 형성되며 작업지형이 열악하여 바퀴(13)가 원활하게 구동되지 않은 경우 흙받이(8)가 미끄러져 주행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판 이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를 북주기로써 사용할 수 있다.
즉, 전술한 하우징(4)에 수용되는 베어링(12)에 의해 워엄휠(6)이 축고정된 회전축(7)이 회전자재토록 장착되며, 하우징(4)외측으로 회전축(7)좌우측에 커플링(14,15)이 장착되며, 좌우측 커플링(14,15)에 형성된 결합공(14a)에 대응되게 북주기용 블레이드(B)에 형성된 관통공(b)을 일치시킨 다음 체결부재(21)로서 고정시키며, 북주기용 블레이드(B)외측으로 회전축(7)에 형성된 관통공(7a)과 커플링(14,15)에 형성된 관통공(14b)을 일치시켜 고정핀(17)을 결합시킴에 따라, 하우징(4)에 대한 북주기용 블레이드(B)의 장착은 완료된다(도 5에 도시됨).
따라서, 전술한 하우징(4)에 하단부가 연결되는 컬럼(3)상측에 장착되는 핸들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미도시된 구동수단 구동으로 인해 밭고랑사이를 주행할 수 있게되며, 이로 인해 북주기용 블레이드(B)구동으로 인해 인접한 둑과 둑사이의 밭고랑을 주행시 파헤치지는 흙으로서 둑에 심어진 작물의 뿌리를 북돋아주는 역할을 하게된다.
즉, 전술한 구동수단 구동시 발생되는 회전력이 컬럼(3)에 내설된 구동축(2)을 통하여 하우징(4)에 회전자재토록 고정지지된 워엄(5)에 전달되며, 워엄(5)과 이와 소정의 기어잇수비(바람직하게는, 35:1)로서 치합되는 워엄휠(6)구동에 의해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소정속도로서 감속시킬 수 있게된다. 따라서, 하우징(4)에 회전자재토록 장착된 회전축(7)좌우측에 장착된 북주기용 블레이드(B)의 구동으로 인해 주행할 수 있게된다.
이때, 전술한 북주기용 블레이드(B)구동시 작업자쪽으로 튕기는 흙가루 등은 북주기용 블레이드(B)후방으로 컬럼(3)에 장착되는 흙받이(8)에 의해 차단된다. 흙받이(8)하단에 360。방향으로 회전자재토록 고정된 바퀴(13)를 통하여 농기계 자체의 하중이 지면에 전달되므로, 작업자가 작업중 느끼는 피로도는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 전술한 흙받이(8)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된다. 즉, 전술한 흙받이(8)를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컬럼(3)을 따라 위치이동시켜 캡(16)에 고정되는 체결부재(20)로서 고정시킴에 따라 핸들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된다.
한편, 도 1 내재 도 3,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를 예초기로써 사용할 수 있다.
즉, 전술한 회전축(7)좌우측에 장착된 북주기용 블레이드(B)를 분리시킨다음 제초기용 블레이드(A)로서 교체시켜 장착시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시 제초기용 블레이드(A)의 구동으로 인해 잡초 등을 제거할 수 있게된다. 이때, 제초기용 블레이드(A)를 조작하는 방법은 북주기용 블레이드(B)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초기용 블레이드 또는 북주기용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동력으로서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함에 따라,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의 구조간단화로 인한 부품수 감소로 원가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게된다. 이로 인해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된다.
또한, 제초기 또는 북주기의 조작이 용이하여 작업중 에너지의 소모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며, 블레이드의 후방에 장착되는 흙받이에 의해 작업중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제초기 또는 북주기의 핸들을 사용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 각도조정이 용이하게 되므로 최적의 조건에서 작업할 수 있어 작업자의 피로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된다.

Claims (3)

  1. 핸들과, 핸들이 상측에 장착되며 예초기의 커팅부를 구동시키는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는 컬럼을 구비하는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에 있어서:
    상기 컬럼단부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회전축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수용되는 워엄;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며, 상기 워엄과 35:1의 잇수비로써 치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워엄휠;
    작업종류에 따라 북주기와 예초기중 어느 하나로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워엄휠이 고정되는 회전축 양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소정형상의 블레이드; 및
    상기 핸들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 후방으로 상기 컬럼을 따라 위치이동가능하도록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소정형상의 흙받이를 더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제초기용 블레이드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소정각도로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단위날개 단부가 외측방향으로 80 내지 90。각도범위로서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북주기용 블레이드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평판형상의 단위날개가 35 내지 55。각도범위로서 비틀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
KR2019990000937U 1999-01-25 1999-01-25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 KR2002527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937U KR200252754Y1 (ko) 1999-01-25 1999-01-25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937U KR200252754Y1 (ko) 1999-01-25 1999-01-25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876U true KR19990021876U (ko) 1999-06-25
KR200252754Y1 KR200252754Y1 (ko) 2001-11-16

Family

ID=5475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937U KR200252754Y1 (ko) 1999-01-25 1999-01-25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7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004B1 (ko) * 2010-08-17 2013-04-05 민영준 자동 제초기
KR200491528Y1 (ko) * 2019-06-28 2020-04-22 유진수 예초기용 동력전달 감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609B1 (ko) 2005-04-13 2007-01-09 차연선 산불 진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004B1 (ko) * 2010-08-17 2013-04-05 민영준 자동 제초기
KR200491528Y1 (ko) * 2019-06-28 2020-04-22 유진수 예초기용 동력전달 감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754Y1 (ko) 200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282Y1 (ko) 로터베이터
CA2668348C (en) Combination device for snow throwing, mowing, scarifying, soil breaking or the like
US3128729A (en) All-purpose farm machine
US3862539A (en) Ground clearing attachment for tractors
KR200252754Y1 (ko) 예초기의 동력을 이용하는 소형 농기계
CA1172087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s slow rotor soil cultivator
HU209851B (en) Cultivator
JP2006271310A (ja) 除草機
CN210247425U (zh) 一种适用于作物行间和株间的除草松土机构
JP2010259367A (ja) 中耕除草機
US4270614A (en) Stone rake and ground conditioning machine
US20010015278A1 (en) Tool for soil cultivating machine, and machine using such tools
CN107371582B (zh) 一种稳定型锄草机
CN201207800Y (zh) 多功能农田作业装置
US4641713A (en) Soil cultivating machines
KR100900651B1 (ko) 트랙터용 로터리기계에 탈부착 사용하는 제초기
KR200170455Y1 (ko) 제초 및 전정목 파쇄 겸용 예초목기
JP4797604B2 (ja) 畝間除草装置
EP0304120B1 (en) A soil cultivating machine
JP4116154B2 (ja) 管理作業機
KR200368669Y1 (ko) 다목적 제초장치
CN218920912U (zh) 一种窄行距微耕除草机
KR200429904Y1 (ko) 승용 농기계 연결구동용 제초기기
KR102319527B1 (ko) 손수레식 동력 제초기
KR20110138117A (ko) 농업용 관리기 탈부착용 로터리식 제초기 및 그 칼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