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532A - Vend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Vend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532A
KR19990021532A KR1019970045085A KR19970045085A KR19990021532A KR 19990021532 A KR19990021532 A KR 19990021532A KR 1019970045085 A KR1019970045085 A KR 1019970045085A KR 19970045085 A KR19970045085 A KR 19970045085A KR 19990021532 A KR19990021532 A KR 19990021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dispenser
beverage
dispensing portion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0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상기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7004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532A/en
Publication of KR1999002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532A/en

Links

Landscapes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소비자가 여러잔의 음료를 구매하고자 할 때 음료의 공급와 컵의 공급 및 음료의 든 컵의 취출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음료를 신속하게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ding machin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e object of which is to quickly sell the beverage by supplying the beverage and supplying the cup and taking out all the cups of the beverage at the same time when the consumer wants to purchase several drinks. To do it.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외부로 개구된 컵취출부를 갖는 본체케이스, 컵을 공급하기 위한 컵디스펜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물통과 원료통, 상기 물통과 상기 원료통으로부터 물과 원료를 공급받아 이들을 혼합하여 음료를 만드는 혼합기를 포함한다. 상기 컵디스펜서의 컵 투출부위와 상기 혼합기의 음료투출부위 및 상기 컵취출부는 동심원상에 동일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컵디스펜서에서 공급되는 컵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되, 항시 상기 컵디스펜서의 컵 투출부위와 상기 음료 투출부위 및 상기 컵취출부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컵홀더부를 적어도 세 개 이상 구비하는 이송부재가 설치된다. 이송부재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된다.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case having a cup opening portion opened to the outside, a cup dispenser for supplying a cup, a water container and a raw material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case, and water and raw materials from the water container and the raw material container. It includes a mixer for feeding and mixing them to make a drink. The cup dispensing portion of the cup dispenser and the beverage dispensing portion of the mixer and the cup dispensing portion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on the concentric circle, the cup supplied from the cup dispenser is provided to be seated, the cup dispensing portion of the cup dispenser at all times And a transfer member having at least three cup holder portions disposed to be positioned below one of the beverage dispensing portion and the cup dispensing portion. The conveying member is rotated by the motor.

Description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Vend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의 공급와 컵의 공급 및 음료의 든 컵의 취출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여러잔의 음료를 신속하게 판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d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ding machine that can quickly sell several drinks by supplying a drink and a cup and a takeout of every cup of the drink at the same time.

자동판매기는 상품을 무인 판매하는 것으로,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커피 등의 컵음료를 판매하는 것과 캔음료 판매하기 위한 것 등이 있는데, 도1은 종래 컵음료를 판매하기 위한 자동판매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의 내부에는 물통(2)과 원료통(3)이 설치되고, 이들로부터 물과 원료를 공급받아 이를 혼합하여 커피 등의 음료를 만드는 혼합기(4)가 설치된다. 혼합기(4)에는 본체케이스(1)의 하부에 설치된 컵취출부(5)로 만들어진 음료를 안내하기 위한 공급관(6)이 설치되며, 컵취출부(5)로 컵을 공급하기 위한 컵디스펜서(7)가 설치된다.Vending machine is to sell goods unattended, such a vending machine is to sell a cup beverage, such as coffee and can be sold, etc. Figure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nding machine for selling a conventional cup beverage to be. As shown in the figure, a water container 2 and a raw material container 3 ar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 and a mixer 4 for supplying water and raw materials from them and mixing them to make a beverage such as coffee is provided. Is installed. The mixer 4 is provided with a supply pipe 6 for guiding a beverage made of the cup takeout part 5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case 1, and a cup dispenser for supplying a cup to the cup takeout part 5 ( 7) is installed.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판매기는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음료에 해당하는 돈을 투입한 후 선택버튼을 이용하여 구매를 원하는 음료를 선택하면, 컵디스펜서(7)에서 하나의 컵이 컵취출부(5)로 공급된다. 이후 물통(2)과 원료통(3)에서 물과 원료가 혼합기(4)로 공급되며, 혼합기(4)를 공급된 물과 원료를 혼합하여 커피 등의 음료를 만든다. 이후 혼합기(4)에서 만들어진 음료는 공급관(6)을 통하여 컵취출부(5)에 있는 컵으로 공급되며, 음료가 컵으로 완전히 공급된 후 소비자가 컵취출부(5)의 컵을 꺼냄으르써 음료의 판매가 종료된다.The vending machin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puts money corresponding to a beverage to be purchased by the consumer, and then selects a beverage to be purchased by using a selection button, and one cup from the cup dispenser 7 to the cup dispensing unit 5. Supplied. Then, water and raw materials are supplied to the mixer 4 from the bucket 2 and the raw material container 3, and the mixer 4 is mixed with the supplied water and the raw material to make a beverage such as coffee. The beverage made in the mixer 4 is then supplied to the cup in the cup take-out section 5 through the supply pipe 6, and after the drink is completely supplied to the cup, the consumer takes out the cup of the cup take-out section 5. The sale of the drink end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소비자가 여러잔의 음료를 구입하고자 할 때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컵의 공급과 음료의 공급이 순차적으로 수행된 후 소비자가 컵을 인출한 후 다시 음료 선택버튼을 조작하는 과정을 반복수행하여 원하는 수량의 음료를 구매하여야 하기 때문에 오랜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다. 또한 음료 선택버튼을 반복적으로 조작하여야 함으로써 구매가 불편판 문제도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has a problem that takes a long time when a consumer wants to purchase several drinks. That is, since the supply of the cup and the supply of the drink are sequentially performed, the consumer has to take out the cup and then repeat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beverage selection button again to purchase a desired quantity of beverage, which takes a long time. In addition, by repeatedly operating the beverage selection button, there was a problem of inconvenient purchas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가 여러잔의 음료를 구매하고자 할 때 음료의 공급와 컵의 공급 및 음료의 든 컵의 취출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음료를 신속하게 판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by supplying the beverage and the supply of the cup and withdrawal of all the cups of the beverage at the same time when the consumer wants to purchase several drinks It is to provide a vending machine that can sell quickly.

도1은 종래 자동판매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ending machine.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자동판매기의 도어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the vending machine is removed.

도3은 도2에 도시된 이송판 부위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plate portion shown in FIG.

도4는 본 발명의 작동을 보인 순서도이다.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컵취출구 20 : 물통11: cup outlet 20: bucket

30 : 원료통 40 : 혼합기30: raw material container 40: mixer

50 : 컵디스펜서 60 : 이송부재50: cup dispenser 60: transfer member

70 : 센서70: sens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 개구된 컵취출부를 갖는 본체케이스, 컵을 공급하기 위한 컵디스펜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물통과 원료통, 상기 물통과 상기 원료통으로부터 물과 원료를 공급받아 이들을 혼합하여 음료를 만드는 혼합기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컵디스펜서의 컵 투출부위와 상기 혼합기의 음료투출부위 및 상기 컵취출부는 동심원상에 동일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컵디스펜서에서 공급되는 컵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되, 항시 상기 컵디스펜서의 컵 투출부위와 상기 음료 투출부위 및 상기 컵취출부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컵홀더부를 적어도 세 개 이상 구비하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main body case having a cup ejection portion opened to the outside, a cup dispenser for supplying a cup, a water container and a raw material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case, In the vending machine including a mixer for receiving a raw material and mixing them to make a beverage, the cup dispensing portion of the cup dispenser, the beverage dispensing portion of the mixer and the cup dispensing portion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concentric circle, the cup A transfer member provided with a cup supplied from the dispenser, and having at least three cup holder portions disposed to be positioned below one of the cup dispensing portion, the beverage dispensing portion, and the cup dispensing portion of the cup dispenser; It is a configur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tor for rotating the transfer member.

또한, 상기 이송부재는 원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컵홀더부는 이웃하는 것과 120。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transfer member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disc, the cup holder portion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neighboring 120 °.

본 발명은, 외부로 개구된 컵취출부를 갖는 본체케이스, 컵을 공급하기 위한 컵디스펜서,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물통과 원료통, 상기 물통과 상기 원료통으로부터 물과 원료를 공급받아 이들을 혼합하여 음료를 만드는 혼합기, 상기 컵디스펜서에서 공급되는 컵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되, 항시 상기 컵디스펜서의 컵 투출부위와 상기 음료 투출부위 및 상기 컵취출부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컵홀더부를 적어도 세 개 이상 구비하는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2잔 이상의 음료의 판매가 명령되면, 상기 컵디스펜서의 컵을 상기 이송부재에 마련된 제1컵홀더부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단계에서 공급된 컵을 상기 음료 투출부위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혼합기에 있는 음료를 상기 컵에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컵디스펜서에 있는 컵을 제2컵홀더부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1컵홀더부에 있는 컵을 상기 컵취출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디스펜서에서 공급된 컵의 개수와 판매수량을 비교하여 컵의 갯수보다 판매수량이 크다고 판단하면 상기 컵과 음료를 공급하는 단계로 복귀시키고, 컵의 갯수보다 판매수량이 크지 않다고 판단하면 제2컵홀더부에 있는 컵으로 음료를 공급하는 단계와 이송판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body case having a cup ejection portion opened to the outside, a cup dispenser for supplying a cup, a water container and a raw material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case, water and raw materials are supplied from the water container and the raw material container and mixed with them. Mixer for making a drink, the cup supplied from the cup dispenser is provided to be seated, at least the cup holder portion disposed to be located at any one of the cup dispensing portion and the beverage dispensing portion and the cup dispensing portion of the cup dispenser at least In a vending machine including three or more transfer members and a drive member for rotating the transfer member, when a sale of two or more drinks is ordered, the cup of the cup dispenser is supplied to the first cup holder provided in the transfer member. And rotating the transfer member to transfer the cup supplied in the step to the beverage dispensing site. And supplying a drink in the mixer to the cup and simultaneously supplying a cup in the cup dispenser to a second cup holder part and rotating the transfer member to take out the cup in the first cup holder part. Comparing the number of cups supplied from the dispenser with the number of cups sold and the quantity sold, and if the quantity sold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cups,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ep of supplying the cups and beverages, and the quantity sold is not greater than the number of cup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supplying the beverage to the cup in the second cup holder portion and the step of rotating the transfer plate in sequence.

또한, 상기 이송판의 회전단계는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고, 상기 컵취출구에 위치하는 컵홀더부에 컵이 없을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이다.In addition, the rotating step of the transfer plate is a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s performed when the supply of the drink is completed, there is no cup in the cup holder located at the cup outlet.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판매기의 구성을 보인 자동판매기의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자동판매기는 그 하측에 외부로 개구된 컵취출구(11)를 갖는 본체케이스(10)와 컵을 공급하는 컵디스펜서(50)와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설치된 물통(20) 및 원료통(30)과 물통(20)과 원료통(30)으로부터 물과 원료를 공급받아 이를 혼합하여 음료를 만들어 컵으로 공급하는 혼합기(40)를 포함한다. 물통(20)은 본체케이스(10)의 최상측에 배치되며, 원료통(30)은 물통(20)의 하부에 설치되고, 혼합기(40)는 이런 원료통(30)의 하측에 설치된다. 원료통(30)과 혼합기(40)사이에는 가이드(31)가 설치되어 원료통(30)에서 투출된 원료를 혼합기(40)로 안내한다. 그리고 물통(20)의 물은 관을 통하여 혼합기(40)로 이동하는데, 물은 정수기(미도시)와 온수기(21)를 거쳐 혼합기(40)로 공급된다. 혼합기(40)의 하측에는 만든어진 음료를 투출하기 위한 공급관(41)이 설치되고, 공급관(41)의 단부에는 노즐(42)이 고정설치된다.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vending machine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vending machin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Referring to this, the vending machine has a main body case 10 having a cup outlet 11 opened to the lower side thereof, a cup dispenser 50 for supplying a cup, and a bucket 20 housed inside the main body case 10. ) And a mixer 40 for receiving water and raw materials from the raw material container 30, the water container 20, and the raw material container 30, mixing them to make a beverage and supplying it to a cup. The bucket 20 is dispos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main body case 10, the raw material container 3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ucket 20, the mixer 40 is provided below the raw material container 30. A guide 31 is installed between the raw material container 30 and the mixer 40 to guide the raw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raw material container 30 to the mixer 40. And the water of the bucket 20 is moved to the mixer 40 through the pipe,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mixer 40 through a water purifier (not shown) and the water heater 21. The lower side of the mixer 40 is provided with a supply pipe 41 for discharging the made beverage, the nozzle 42 is fixed to the end of the supply pipe 41.

한편 본 발명은 여러잔의 음료의 판매할 경우 컵 및 음료의 공급과 소비자가 컵에 든 음료를 인출하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한 구성요소중 컵디스펜서(50)에서 컵이 투출되는 부위와 혼합기(40)에서 음료가 투출되는 부위 즉, 노즐(42)의 단부 그리고 컵취출구(11)는 동심원상에 배치시키고, 컵디스펜서(50)에서 투출된 컵을 노즐(42)의 하측을 거쳐 컵취출구(11)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재(60)를 설치함으로써 구현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a cup and a beverage when the sale of a plurality of drinks, and the consumer to be able to take out the beverage in the cup at the same time. To this end, the cup dispenser 50 of the above components and the portion where the beverage is discharged from the mixer 40, that is, the end of the nozzle 42 and the cup outlet 11 are arranged in a concentric circle, The cup dispenser 50 is implemented by installing a conveying member 60 for conveying the cup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42 to the cup outlet (11).

도3를 참조하여 이를 상술하면, 컵디스펜서(50)의 투출구(51)와 노즐(42)의 단부 그리고 컵취출부는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되는데, 120。씩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이송부재(60)에는 3개의 컵홀더부(61)(62)(63)가 설치되는데, 이들 역시 120。씩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항시 상기한 컵디스펜서(50)의 투출구(51) 및 노즐(42) 그리고 컵취출구(11)와 일치된다. 이송부재(60)는 원판형상으로 마련되며, 컵홀더부(61)(62)(63)는 이송부재(60)의 외측면에 내향 요입홈으로 형성된다.이와 같은 이송부재(60)는 모터(80)에 의하여 회전하는데 모터(80)는 벨트(81)를 개재하여 이송부재(60)를 회전시킨다. 이때 모터(80)는 1회 작동시 이송부재(60)를 120。씩 회전시키는 스텝모터(80)가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3, the discharge port 51 of the cup dispenser 50, the end of the nozzle 42, and the cup ejection part are arranged to be concentric, and are spaced 120 ° apart. In addition, three cup holder portions 61, 62, and 63 are installed at the conveying member 60, which are also spaced apart by 120 ° so that the discharge port 51 and the nozzle of the cup dispenser 50 are always present. (42) And coincides with the cup outlet (11). The conveying member 60 is provided in a disc shape, and the cup holder portions 61, 62 and 63 are formed as inwardly recessed groov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ying member 60. Such a conveying member 60 is a motor. Rotating by 80, the motor 80 rotates the transfer member 60 via the belt 81. At this time, the motor 80 is provided with a step motor 80 for rotating the transfer member 60 by 120 ° in one operation.

그리고 컵취출구(11)에 위치하는 컵홀더부(61)(62)(63)에 컵이 존재하는 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70)가 설치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어의 전면에는 한 번에 여러잔의 음료이 구매를 입력할 수 있는 수위치부가 마련되어 있음은 당연하다.And the sensor holder 70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cup is installed in the cup holder 61, 62, 63 located in the cup outlet 11, several cups at the front of the door, although not shown Naturally, there is a water position unit in which a drink can be enter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작동을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설명은 1잔의 음료의 판매와 2잔이상의 음료가 판매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겠다.Operation of 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description will describe the sale of one drink and the case where two or more drinks are sold.

먼저 소비자가 1잔의 음료의 구매를 원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겠다.First, I will explain the case where the consumer wants to buy a drink.

소비자가 음료의 구매를 입력하면, 미도시한 마이컴이 구매량과 같은 수의 음료판매(K)를 지시하는 단계101이 수행된다.When the consumer inputs the purchase of the beverage, step 101 is performed in which the microcomputer (not shown) indicates the same number of beverage sales K as the purchase amount.

이후 판매량이 1인지를 판단하는 단계110이 수행된다. 단계110에서 판매량이 1이라고 판단하면, 컵디스펜서(50)를 작동시켜 제1컵홀더부(61)로 컵을 공급하는 단계102와 모터(80)를 작동하여 이송판을 120。 회전시키는 단계103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이로써 컵은 혼합기(40) 노즐(42)의 하측에 위치한다. 계속해서 혼합기(40)를 개방하여 노즐(42)을 통하여 제1컵홀더부(61)에 있는 컵으로 음료를 공급하는 단계104가 수행되며, 이후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었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105가 수행되어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이송판을 다시 120。 회전시키는 단계106이 수행되어 음료가 든 컵을 컵취출구(11)에 위치시킨다.Thereafter, step 110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sales amount is on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110 that the sales amount is 1, the cup dispenser 50 is operated to supply the cup to the first cup holder 61, and the motor 80 is operated to rotate the conveying plate by 120 ° 103 This is done sequentially. The cup is thereby positioned below the mixer 40 nozzle 42. Subsequently, step 104 of opening the mixer 40 and supplying a drink to the cup in the first cup holder part 61 through the nozzle 42 is performed, and then step 105 of determining whether the supply of the drink is completed is perform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ly of the drink is completed, the step 106 of rotating the conveying plate again 120 ° is performed to position the cup containing the drink at the cup outlet 11.

한편, 음료의 공급 완료를 판단하는 단계105는 컵이 노즐(42)의 하측에 위치한 시간을 카운터하여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105 of determining the completion of the supply of beverage may be determined by counting the time the cup is located below the nozzle 42

계속해서 2잔 이상의 음료의 판매에 대하여 설명하겠는데, 3잔 판매를 예로서 설명하겠으며,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컵홀더부(61)(62)(63)는 초기상태시 컵디스펜서(50)의 하측에 있는 것을 제1컵홀더부(61)로 칭하고, 컵취출구(11)에 위치하는 것을 제2컵홀더부(62)라 칭하며, 노즐(42)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제3컵홀더부(63)라 칭하겠다.In the following, the sales of two or more beverages will be described, but three sales of beverage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cup holders 61, 62, and 63 have a cup dispenser 50 at an initial state. The first cup holder 61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cup, the second cup holder 62 is located at the cup outlet 11, and the third cup holder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nozzle 42. We will call it wealth (63).

단계110에서 판매량이 3이라고 판단하면, 컵디스펜서(50)를 작동시켜 제1컵홀더부(61)에 컵을 공급하는 단계111가 수행되는데, 단계111에서는 공급된 컵을 숫자를 카운트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110 that the sales amount is 3, step 111 of supplying a cup to the first cup holder unit 61 by operating the cup dispenser 50 is performed, and in step 111, the number of supplied cups is counted.

컵의 공급이 완료되면, 이송판을 120。 회전시키는 단계112가 수행된다. 이로써 제1홀더부는 노즐(42)의 하측으로 이동하고, 제2홀더부를 컵디스펜서(50)의 하측으로 이동하며, 제3컵홀더부(63)는 컵취출부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feeding of the cup is completed, step 112 is performed to rotate the transfer plate by 120 °. As a result, the first holder part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42, the second holder part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cup dispenser 50, and the third cup holder part 63 moves to the cup ejection part.

다음에는 컵디스펜서(50)가 작동하여 컵을 제2컵홀더부(62)로 투출함과 동시에 혼합기(40)가 개방되어 제1컵홀더부(61)에 있는 컵으로 음료를 공급하는 단계113이 수행된다.Next, the cup dispenser 50 is operated to discharge the cup to the second cup holder 62 and at the same time the mixer 40 is opened to supply a drink to the cup in the first cup holder 61. This is done.

이후, 제1컵홀더부(61)에 있는 컵으로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114가 수행된다. 컵과 음료가 동시에 수행됨에서 불구하고 단계114에서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었는가만을 판단하는 것을 통상적으로 음료의 공급이 컵의 공급보다 늦다고 판단해서이다. 만약 컵의 공급이 늦다면 컵의 공급이 완료되었는 가를 판단하는 것은 당연하다.Thereafter, step 114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supply of the drink to the cup in the first cup holder 61 is completed. It is usually determined that the supply of the drink is later than the supply of the cup, only to determine whether the supply of the drink is completed in step 114, although the cup and the drink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If the cup is late, it is natural to judge whether the cup is complete.

단계114에서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컵취출구(11)에 위치하는 제3컵홀더부(63)에 컵이 존재하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115가 수행된다. 컵의 존재 유무는 센서(70)에 의하여 감지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114 that the supply of the drink is completed, step 115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a cup exists in the third cup holder 63 located at the cup outlet 11.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up is detected by the sensor 70.

단계115에서 제2컵홀더부(62)에 컵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이송부재(60)를 120。 회전시키는 단계116이 수행된다. 이로써 제1컵홀더부(61)에 있는 컵은 컵취출부로 이동하고, 제2컵홀더부(62)는 노즐(42)의 하측으로 이동하며, 제3컵홀더부(63)는 컵디스펜서(50)의 하측으로 이동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115 that no cup is present in the second cup holder portion 62, step 116 is performed to rotate the conveying member 60 by 120 degrees. As a result, the cup in the first cup holder 61 moves to the cup dispensing part, the second cup holder 62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42, and the third cup holder 63 is a cup dispenser ( Go to the bottom of 50).

이후 컵디스펜서(50)에서 투출된 컵의 개수가 판매량보다 크지 않은 지를 판단하는 단계117이 수행된다. 단계117에서는 지금까지 컵은 단계111과 단계113에서 각기 공급되었기 때문에 공급된 컵의 개수가 2이기 때문에 판매량인 3보다 작다고 판단한다.Thereafter, step 117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number of cups dispensed from the cup dispenser 50 is not greater than the sales amount. In step 117, since the cups have been supplied so far in step 111 and step 113,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cups supplied is less than 3, which is the sales volume.

따라서 단계113, 단계114, 단계115, 단계116이 순차적으로 다시 한 번 수행된다.Accordingly, step 113, step 114, step 115, and step 116 are sequentially performed once again.

이때의 컵홀더부(61)(62)(63)의 위치는 초기상태와 같은, 제1컵홀더부(61)는 컵디스펜서(50)의 하측에, 제2컵홀더부(62)는 노즐(42)의 하측에, 제3컵홀더부(63)는 컵취출부에 위치한다.At this time, the positions of the cup holders 61, 62, and 63 are the same as in the initial state. The first cup holder 61 is below the cup dispenser 50, and the second cup holder 62 is the nozzle. Below the 42, the third cup holder portion 63 is located at the cup ejection portion.

이후 단계 117이 다시 수행되는데, 단계117에서는 지금까지 컵은 단계111에서 1개 단계113에서 2개가 공급되었기 때문에 공급된 컵의 갯수가 3이기 때문에 판매량인 3보다 작지 않다고 판단한다.Thereafter, step 117 is performed again, and in step 117,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cups supplied is not smaller than 3 because the number of cups supplied is 3 since two cups have been supplied in one step 113 in step 111.

단계117에서 판매량의 수치보다 공급된 컵의 갯수가 판매량보다 적지 않다고 판단하면, 혼합기(40)에서 만들어진 음료를 공급하는 단계119가 수행된다. 이때 컵디스펜서(50)에서는 컵을 공급하지 않는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117 that the number of cups supplied is not less than the sales amount, step 119 of supplying the beverage made in the mixer 40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cup dispenser 50 does not supply a cup.

이후, 제3컵홀더부(63)에 있는 컵으로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119가 수행된다. 컵과 음료가 동시에 수행됨에서 불구하고 단계119에서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었는가만을 판단하는 것을 통상적으로 음료의 공급이 컵의 공급보다 늦다고 판단해서이다. 만약 컵의 공급이 늦다면 컵의 공급이 완료되었는 가를 판단하는 것은 당연하다.Thereafter, step 119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supply of the drink to the cup in the third cup holder 63 is completed. It is usually determined that the supply of the drink is later than the supply of the cup, only to determine whether the supply of the drink is completed in step 119 even though the cup and the drink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If the cup is late, it is natural to judge whether the cup is complete.

단계119에서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컵취출구(11)에 위치하는 제1컵홀더부(61)에 컵이 존재하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120가 수행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119 that the supply of the drink is completed, step 120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a cup exists in the first cup holder 61 located at the cup outlet 11.

단계120에서 제1컵홀더부(61)에 컵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이송부재(60)를 120。 회전시키는 단계121이 수행된다. 이로써 제3컵홀더부(63)에 있는 컵은 컵취출부로 이동하고, 제1컵홀더부(61)는 노즐(42)의 하측으로 이동하며, 제2컵홀더부(62)는 컵디스펜서(50)의 하측으로 이동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120 that no cup exists in the first cup holder 61, step 121 is performed to rotate the conveying member 60 by 120 degrees. As a result, the cup in the third cup holder portion 63 moves to the cup dispensing portion, the first cup holder portion 61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nozzle 42, and the second cup holder portion 62 is the cup dispenser ( Go to the bottom of 50).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여러잔을 판매할 경우 컵의 공급과 음료의 공급 및 음료가 든 컵의 취출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빠르게 여러잔의 음료를 판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l several drinks more quickly because the supply of the cups, the supply of the drinks, and the take-out of the cups with the beverages are made at the same time when several cups are sold.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Claims (4)

외부로 개구된 컵취출부를 갖는 본체케이스,A main body case having a cup ejection portion opened to the outside, 컵을 공급하기 위한 컵디스펜서,Cup dispenser for feeding cups,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물통과 원료통,Bucket and raw material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case, 상기 물통과 상기 원료통으로부터 물과 원료를 공급받아 이들을 혼합하여 음료를 만드는 혼합기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In the vending machine comprising a mixer for supplying water and raw materials from the bucket and the raw material container to mix them to make a beverage, 상기 컵디스펜서의 컵 투출부위와 상기 혼합기의 음료투출부위 및 상기 컵취출부는 동심원상에 동일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The cup dispensing portion of the cup dispenser, the beverage dispensing portion of the mixer and the cup dispensing portion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on the concentric circle, 상기 컵디스펜서에서 공급되는 컵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되, 항시 상기 컵디스펜서의 컵 투출부위와 상기 음료 투출부위 및 상기 컵취출부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컵홀더부를 적어도 세 개 이상 구비하는 이송부재와A cup supplied from the cup dispenser is provided so as to be seated, and at least three cup holder portions are disposed to be positioned below one of the cup dispensing portion, the beverage dispensing portion, and the cup dispensing portion of the cup dispenser. Absence 상기 이송부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Vending machine including a motor for rotating the convey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송부재는 원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컵홀더부는 이웃하는 것과 120。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The conveying member is provided in a disc shape, the cup holder is a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120 degrees apart from the neighbor. 외부로 개구된 컵취출부를 갖는 본체케이스,A main body case having a cup ejection portion opened to the outside, 컵을 공급하기 위한 컵디스펜서,Cup dispenser for feeding cups,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물통과 원료통, 상기 물통과 상기 원료통으로부터 물과 원료를 공급받아 이들을 혼합하여 음료를 만드는 혼합기,A water mixer and a raw material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case, a mixer for supplying water and raw materials from the water container and the raw material container and mixing them to make a beverage, 상기 컵디스펜서에서 공급되는 컵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되, 항시 상기 컵디스펜서의 컵 투출부위와 상기 음료 투출부위 및 상기 컵취출부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컵홀더부를 적어도 세 개 이상 구비하는 이송부재,A cup supplied from the cup dispenser is provided so as to be seated, and at least three cup holder portions are disposed to be positioned below one of the cup dispensing portion, the beverage dispensing portion, and the cup dispensing portion of the cup dispenser. absence, 상기 이송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In the vending machine including a drive member for rotating the conveying member, 2잔 이상의 음료의 판매가 명령되면, 상기 컵디스펜서의 컵을 상기 이송부재에 마련된 제1컵홀더부로 공급하는 단계와Supplying a cup of the cup dispenser to the first cup holder provided in the conveying member when two or more drinks are ordered to be sold; 상기 이송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단계에서 공급된 컵을 상기 음료 투출부위로 이송시키는 단계와,Rotating the transfer member to transfer the cup supplied in the step to the beverage dispensing site; 상기 혼합기에 있는 음료를 상기 컵에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컵디스펜서에 있는 컵을 제2컵홀더부로 공급하는 단계와Supplying a drink in the mixer to the cup and simultaneously supplying a cup in the cup dispenser to a second cup holder; 상기 이송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1컵홀더부에 있는 컵을 상기 컵취출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Rotating the transfer member to transfer a cup in the first cup holder to the cup takeout unit; 상기 디스펜서에서 공급된 컵의 갯수와 판매량을 비교하여 더한 값보다 판매수량이 크다고 판단하면 상기 컵과 음료를 공급하는 단계로 복귀시키고, 컵의 갯수보다 판매수량이 크지 않다고 판단하면 제2컵홀더부에 있는 컵으로 음료를 공급하는 단계와 이송판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제어방법.If the number of cups supplied from the dispenser is compared with the sales amount, and the sales quantity is greater than the added value,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ep of supplying the cups and beverage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ales quantity is not greater than the number of cups, the second cup holder part The control method of th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the step of supplying a beverage to the cup in the step and rotating the transfer plat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이송판의 회전단계는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고, 상기 컵취출구에 위치하는 컵홀더부에 컵이 없을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Rotating step of the transfer plate is a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s performed when the supply of the drink is complete, there is no cup in the cup holder located at the cup outlet.
KR1019970045085A 1997-08-30 1997-08-30 Vend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KR1999002153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085A KR19990021532A (en) 1997-08-30 1997-08-30 Vend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085A KR19990021532A (en) 1997-08-30 1997-08-30 Vend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532A true KR19990021532A (en) 1999-03-25

Family

ID=6604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085A KR19990021532A (en) 1997-08-30 1997-08-30 Vend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53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4866A2 (en) * 2010-10-22 2012-04-26 Pcas Patient Care Automation Ser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current item dispens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4866A2 (en) * 2010-10-22 2012-04-26 Pcas Patient Care Automation Ser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current item dispensing
WO2012054866A3 (en) * 2010-10-22 2012-10-04 Pcas Patient Care Automation Ser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current item dispen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3067A (en) Continuous Sale Device and Method of Vending Machine
KR100274437B1 (en) A method of driving automatic vending machine
EP0036734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vending machines
KR19990021532A (en) Vend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KR19990009269A (en) Raw material detection device and method of vending machine
KR100292340B1 (en) Vending machine
KR100277189B1 (en) Raw material mixing device of vending machine
JP4736196B2 (en) Cup vending machine
KR200157696Y1 (en) Apparatus of beverage selling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JP2003067828A (en)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JP4929693B2 (en) Beverage sales apparatus and program
KR1002674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hot-water in vending machine
KR200294636Y1 (en) Compound Vending Machine
KR20240015941A (en) Coffee vending machine
JP4736200B2 (en) Cup vending machine
KR100234641B1 (en) Stick sensing method of vending machine
KR100224299B1 (en) Stick dropping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0274438B1 (en) A compound vending machine
KR20010105562A (en) An out of stock detection apparatus of vending machine and thereof control method
KR200151892Y1 (en) Raw material mixing apparatus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0228725B1 (en) Method of merchandise selling for vending machine
KR19980075857A (en) Stick dispensing device for vending machine
JP4923566B2 (en) Beverage sales apparatus and program
KR100234638B1 (en) An automatic sale procedure of vending machine
KR19980082188A (en) Vending machine and its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