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243A - 수온조절기의 오동작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수온조절기의 오동작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243A
KR19990021243A KR1019970044778A KR19970044778A KR19990021243A KR 19990021243 A KR19990021243 A KR 19990021243A KR 1019970044778 A KR1019970044778 A KR 1019970044778A KR 19970044778 A KR19970044778 A KR 19970044778A KR 19990021243 A KR19990021243 A KR 19990021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emperature
center pole
pellet
temperature controller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덕중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덕중,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4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243A/ko
Publication of KR19990021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243A/ko

Links

Landscapes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온조절기의 오동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냉각수 온도변화에 따라 펠릿이 팽창하여 중심폴이 밸브의 통로를 개폐 시에 그 중심폴이 궤적을 벗어날 우려가 있고, 만약 중심폴이 궤적을 벗어나 밸브의 통로가 개폐되지 않으면 실린더 헤드의 온도가 내려가 겨울에 히터의 성능이 저하됨은 물론 배기가스가 다량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린더 헤드의 냉각수 온도변화에 따라 펠릿의 중심폴이 밸브의 통로를 개폐하여 냉각수를 라디에이터로 순환시키는 수온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펠릿(202)의 중심폴(203)과 대향하게 수온 조절기의 몸체(201) 상단부위에 형성된 지지홀(208)과, 상기 중심폴(203)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홀(208)에 이탈되지 않게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걸림봉(207)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중심폴(203)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봉(207)이 몸체(201) 상부에 형성된 지지홀(208)을 통해 상하 이동 가능케 지지되므로 인하여 수온 조절기의 개폐 시 중심폴(203)이 궤적을 벗어나지 않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수온조절기의 오동작 방지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냉각수 온도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수의 온도변화에 따라 수온조절기(THERMOSTAT)가 개폐될 시에 그의 중심라인이 어긋나 중심폴이 궤적을 벗어날 경우에 발생하는 수온조절기의 개폐 오동작에 따른 엔진 내부의 온도 저하와 히터의 성능 저하 및 이미션(EMISSION)의 다량 배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수온조절기의 오동작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온 조절기는 실린더 헤드의 냉각수 통로 출구에 설치되어 엔진 내부의 냉각수 온도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통로를 개폐하여 냉각수 온도를 75도 내지 85도가 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냉각수 온도가 정상 이하이면 밸브를 닫아 냉각수가 라디에이터 쪽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고 냉각수는 바이패스 통로를 통하여 순환하도록 한다.
또한, 냉각수 온도가 76도 내지 83도가 되면 수온 조절기가 서서히 열리기 시작하여 라디에이터 쪽으로 흐르게 하며 냉각수 온도가 95도가 되면 수온 조절기는 완전히 열려 실린더 헤드의 냉각수를 라디에이터 쪽으로 순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수온 조절기는 실린더 헤드의 냉각수 온도 변화에 따라 개폐가 되는데, 이때 수온 조절기의 중심라인이 어긋나 중심 폴(POLE)이 궤적을 벗어날 경우 수온 조절기는 개폐가 이루어지지 않아 엔진 내부의 온도가 내려가고 이에 따른 히터의 성능저하 및 배출가스가 다량 배출되게 된다.
도 1은 종래 수온조절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온 조절기(100)의 몸체(101) 중앙부위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되는 왁스가 밀봉된 펠릿(Pellet)(102)과, 상기 펠릿(102)의 중심부위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펠릿(102)에 밀봉되어 있는 왁스의 팽창 정도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밸브(104)의 통로(105)를 개폐하여 주는 중심폴(103)과, 상기 밸브(104)와 몸체(101)의 저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펠릿(102)을 원위치로 복원시켜 밸브(104)의 통로(105)를 막아주는 스프링(10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수온 조절기(100)는 먼저, 실린더 헤드(도면에 미 도시) 내부의 냉각수 온도가 일정온도, 예를 들면 냉각수의 온도가 87도에 도달하면 몸체(101)의 저면에 설치되고 펠릿(102)에 밀봉되어 있는 왁스(WAX)가 팽창을 하게된다.
상기 왁스가 팽창을 하면 펠릿(102)이 도 1을 기준으로 하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아울러 펠릿(102)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폴(103)이 하향 이동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중심폴(103)에 의해 막혀 있던 밸브(104)의 통로(105)가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이 밸브(104)의 통로(105)가 열리게 되면 실린더 헤드의 냉각수가 상기 밸브(104)의 통로(105)를 통해 라디에이터로 공급된다.
상기 라디에이터는 실린더 헤드에서 뜨거워진 냉각수를 방열판에 통과시켜 냉각시킨 후에 다시 냉각수를 실린더 헤드에 공급하여 냉각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온 조절기에 있어서는, 온도변화에 따라 펠릿이 팽창하여 중심폴이 밸브의 통로를 개폐하여 냉각수를 라디에이터로 순환시키게 되는데, 이때 수온 조절기의 중심라인이 어긋나 중심폴이 궤적을 벗어날 우려가 있고, 만약 중심폴이 궤적을 벗어나 밸브의 통로가 개폐되지 않으면 실린더 헤드의 온도가 내려가 겨울에 히터의 성능이 저하됨은 물론 배기가스가 다량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린더 헤드의 냉각수 온도변화에 따라 펠릿의 중심폴이 상,하향 이동시에 궤적을 이탈하지 않고 궤적 내에서만 이동 가능케 하여 주어 히터의 성능 저하 및 다량의 가스 배출을 방지하도록 한 수온조절기의 오동작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실린더 헤드의 냉각수 온도변화에 따라 펠릿의 중심폴이 밸브의 통로를 개폐하여 냉각수를 라디에이터로 순환시키는 수온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펠릿의 중심폴과 대향하게 수온 조절기의 몸체 상단부위에 지지홀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폴의 상단에는 걸림봉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홀에 이탈되지 않게 삽입하여 구성함으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실린더 헤드의 냉각수 온도 변화에 따라 펠릿이 팽창을 하고 상기 펠릿이 팽창을 하면 그의 중심폴이 상,하향 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중심폴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봉이 몸체 상부에 형성된 지지홀에 상하 이동 가능케 삽입되고 이탈은 되지 않음으로써 결국, 온도 변화에 따른 수온 조절기의 개폐 시 중심폴이 궤적을 벗어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수온조절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수온조절기의 오동작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수온 조절기 201 : 몸체
202 : 펠릿 203 : 중심폴
204 : 밸브 205 : 통로
206 : 스프링 207 : 걸림봉
208 : 지지홀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는 본 발명 수온조절기의 오동작 방지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온 조절기(200)의 몸체(201) 저면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되는 왁스가 밀봉된 펠릿(202)과, 상기 펠릿(202)의 중심부위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펠릿(202)에 밀봉되어 있는 왁스의 팽창 정도에 따라 상하 이동하여 밸브(204)의 통로(205)를 개폐하여 주는 중심폴(203)과, 상기 밸브(204)와 몸체(201)의 저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펠릿(202)을 원위치로 복원시켜 밸브(204)의 통로(205)를 막아주는 스프링(106)으로 구성된 수온 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펠릿(202)의 중심폴(203)과 대향하게 수온 조절기(200)의 몸체(201) 상단부위에 형성된 지지홀(208)과, 상기 중심폴(203)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홀(208)에 이탈되지 않게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걸림봉(207)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온 조절기의 오동작 방지장치는, 먼저, 실린더 헤드 내부의 냉각수의 온도가 87도에 도달하면 몸체(201)의 저면에 설치되고 펠릿(102)에 밀봉되어 있는 왁스(WAX)가 팽창을 하여 펠릿(202)을 하향으로 이동시켜 주게 된다.
상기 펠릿(202)이 하향 이동하면 그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폴(203)과 걸림봉(207)이 하향 이동하게 되므로 중심폴(203)에 의해 막혀 있던 밸브(204)의 통로(205)가 열리게 된다.
이때, 상기 중심폴(203)이 하향 이동을 하여도 그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봉(207)이 몸체(201)의 지지홀(208)을 통해 하향 이동은 하되 이탈은 하지 않게 되므로 결국 중심폴(203)이 궤적을 벗어나지 않게 되는 결과가 된다.
이와 같이 밸브(204)의 통로(205)가 열리게 되면 실린더 헤드의 냉각수가 상기 밸브(204)의 통로(205)를 통해 라디에이터로 공급되어 냉각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심폴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봉이 몸체 상부에 형성된 지지홀을 통해 상하 이동 가능케 지지되므로 인하여 수온 조절기의 개폐 시 중심폴이 궤적을 벗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수온 조절기가 열려서 닫히지 않아 실린더 헤드 내의 냉각수 온도가 낮아져 발생하는 다량의 배출가스와 연비 및 히터의 성능 저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실린더 헤드의 냉각수 온도변화에 따라 펠릿의 중심폴이 밸브의 통로를 개폐하여 냉각수를 라디에이터로 순환시키는 수온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펠릿(202)의 중심폴(203)과 대향하게 수온 조절기의 몸체(201) 상단부위에 형성된 지지홀(208)과,상기 중심폴(203)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홀(208)에 이탈되지 않게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는 걸림봉(207)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수온조절기의 오동작 방지장치.
KR1019970044778A 1997-08-30 1997-08-30 수온조절기의 오동작 방지장치 KR19990021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778A KR19990021243A (ko) 1997-08-30 1997-08-30 수온조절기의 오동작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778A KR19990021243A (ko) 1997-08-30 1997-08-30 수온조절기의 오동작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243A true KR19990021243A (ko) 1999-03-25

Family

ID=6603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778A KR19990021243A (ko) 1997-08-30 1997-08-30 수온조절기의 오동작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2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041B1 (ko) 자동차 엔진용 냉각시스템
KR960012137B1 (ko) 자동차용 내연기관의 냉각 장치
KR0139481B1 (ko) 자동차 엔진용 냉각 시스템
EP1382813B1 (en) Thermostat device
KR19990021243A (ko) 수온조절기의 오동작 방지장치
KR100201442B1 (ko) 차량용 써머스탯의 가변유량조절장치
KR200142208Y1 (ko) 차량용 수온 조절기
KR100718091B1 (ko) 수온조절기 및 그 설치구조
KR100622479B1 (ko) 출구제어방식을 이용한 냉각수 순환시스템의 구조
KR100489120B1 (ko) 엔진 냉각수의 흐름 제어를 위한 서모스탯
KR100411042B1 (ko) 서모스탯 시스템
KR100534238B1 (ko) 서머스탯 밸브의 개폐 제어 구조
KR102540891B1 (ko) 엔진 분리 냉각이 가능한 전자식 서모스탯 및 이를 이용한 엔진 냉각 시스템
JPH04321712A (ja) サーモスタット
KR100348476B1 (ko) 수냉식엔진의냉각수온제어장치
KR100219454B1 (ko) 서모스탯(thermostat)
KR100410329B1 (ko) 자동차의 냉각 시스템용 서모스텟 구조
KR200161759Y1 (ko) 자동차의 서모스탯용 지글밸브 구조
KR19980017262U (ko) 차량의 과냉방지용 서머스탯
JPH0670494B2 (ja) 温度制御弁
KR20060092335A (ko) 서모스탯 장치
KR19990018328U (ko) 서모스탯
KR19980037867U (ko) 서모스탯
KR19990003295U (ko) 차량용 전자식 서모스탯
KR20000004278U (ko) 용량 가변형의 라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