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128A - Device for flexible change / store of on-screen display fonts - Google Patents

Device for flexible change / store of on-screen display fo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128A
KR19990021128A KR1019970044634A KR19970044634A KR19990021128A KR 19990021128 A KR19990021128 A KR 19990021128A KR 1019970044634 A KR1019970044634 A KR 1019970044634A KR 19970044634 A KR19970044634 A KR 19970044634A KR 19990021128 A KR19990021128 A KR 19990021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nt
screen display
code
user
r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6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재연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44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128A/en
Publication of KR19990021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128A/en

Link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폰트를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는 온 스크류 디스플레이 폰트를 융통성 있게 변경/저장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롬 코드를 저장하는 기억 소자 및 롬 코드의 각각에 대응되는 폰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소자가 동일한 하나의 메모리 내에 서로 다른 저장 영역을 갖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외부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 소자의 롬 코드 저장 영역으로부터 사용자 명령어에 해당하는 롬 코드를 독출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램에 저장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램에 저장된 롬 코드에 대응되는 폰트 데이터를 기억 소자의 폰트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부터 독출하여 영상 출력하기 위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폰트의 변경 및 저장이 가능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출력 장치에 의해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폰트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flexibly changing / storing an on-screw display font that can change and store the font for on-screen display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and corresponds to each of a memory element for storing a ROM code and a ROM code. The memory device for storing the font data is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storage areas in the same one memory, and the ROM code corresponding to the user command is retrieved from the ROM code storage area of the memory device in response to a user command input from the outside. And a microcontroller for reading and storing the on-screen display RAM, and an on-screen display output unit for reading out font data corresponding to the ROM code stored in the on-screen display RAM from the font data storage area of the memory device and outputting an image. In this way, the font data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by the on-screen display font output device capable of changing and storing the font.

Description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를 융통성 있게 변경/ 저장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flexible change / store of on-screen display fonts

본 발명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on screen display font)의 변경과 저장을 융통성 있게 해주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를 변경하여 저장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flexibly changing and storing on screen display fo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changing and storing on screen display fonts according to user settings. will be.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그리고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은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나타내고자 하는 위치의 캐릭터 롬(character ROM; 이하, 폰트 롬(font ROM)이라 함)에 각 캐릭터 데이터를 기입하여 놓으면 시스템의 하드웨어에서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인식하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해 준다.In general, on-screen displays used in systems such as television receivers, video tape recorders, and computer monitors write character data in a character RO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ont ROM) at a position to be displayed. If you do so, the system hardware will recognize the data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이때, 상기 폰트 롬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내고자 하는 위치와 폰트의 기입 위치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메모리로서, 시스템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글자 및 도형 등이 각 어드레스 마다 저장되어 있다(에컨대, 메모리의 용량에 따라 128개, 256개, 384개, 512개 등의 방식으로).In this case, the font ROM is a memory in which the posi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nd the writing position of the font are set to be the same, and the characters and graphics to be displayed in the system are stored for each address (for example, the capacity of the memory). 128, 256, 384, 512, etc.).

다시 말하면, 폰트 롬의 용량 즉, 폰트를 기입할 수 있는 어드레스가 0번지부터 240번지까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단 왼쪽에 나타내고자 하는 폰트는 폰트 롬의 0번지에 기입하고, 하단 오른쪽에 나타내고자 하는 폰트는 폰트 롬의 240번지에 기입하는 것과 같은 방법이다.In other words, if the capacity of the font ROM, that is, the address where the font can be written, is set from 0 to 240, the font to be displayed on the upper left of the display screen is written in address 0 of the font ROM, The font to be displayed on the right side is the same as writing to the address 240 of the font ROM.

상술한 바와 같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의 출력을 위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출력 장치의 구성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on-screen display font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he on-screen display font as described above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출력 장치는, 크게 입출력 포트(I/O port; 10)와, 마이크로 콘트롤러(microcontroller; 20)와, 사용자 코드 롬(user code ROM; 300과, 폰트 롬(font ROM; 50)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램(OSD RAM; 40)과, 그리고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출력부(6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코드 롬(30)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복수 개의 코드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폰트 롬(50)에는 상기 복수 개의 코드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폰트가 저장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on-screen display font output device includes a large input / output port (I / O port) 10, a microcontroller 20, a user code ROM 300, and a font ROM. (font ROM) 50, an on-screen display RAM (OSD RAM) 40, and an on-screen display output unit 60. In this case, the user code ROM 30 includes a plurality of user code ROMs. Codes are stored, and a plurality of fon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des are stored in the font ROM 50.

상술한 종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출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on-screen display font output device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20)는 상기 입출력 포트(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소정의 키입력 신호를 입력받을 때, 상기 사용자 코드 롬(30)으로부터 상기 키 입력 신호에 해당되는 사용자 설정 코드를 독출한다.First, when the micro controller 20 receives a predetermined key input signal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put / output port 10, the micro controller 20 reads a user setting code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from the user code rom 30. .

다음,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20)는 독출된 사용자 설정 코드를 분석하여 아스키 코드(ASCII code)와 같은 약점어로서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램(40)으로 분석된 사용자 설정 코드를 출력하여 저장한다.Next, the microcontroller 20 analyzes the read user setting code and outputs and stores the user setting code analyzed by the on-screen display RAM 40 as a weak word such as an ASCII code.

이어서,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램(40)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 코드는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출력부(60)로 제공되고,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출력부(60)는 상기 폰트 롬(50)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설정 코드에 대응되는 폰트 데이터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화면(도면에는 미도시)으로 영상 출력한다.Subsequently, a user setting code stored in the on-screen display RAM 40 is provided to the on-screen display output unit 60, and the on-screen display output unit 60 is a user setting input from the font ROM 50. The font data corresponding to the code is read and an image is output to a display screen (not shown).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출력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 코드 롬(30)의 코드들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새로운 코드로 변경할 수 있는 것에 반해, 상기 폰트 롬(50)은 사용자가 임의로 폰트 롬(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on-screen display font output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codes of the user code rom 30 can be changed to a new code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whereas the font rom 50 is a font arbitrarily selected by the us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ata stored in the ROM 50 cannot be modified.

특히, 근래에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의 기술 방향이 종래 텍스트 모드(text mode) 기반에서 아이콘 모드(icon mode) 기반으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아이콘의 디자인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무한대로 다양할 수 있음을 감안할 때,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없는 종래 제한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저장 및 출력 장치는 시급한 해결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technical direction of the on-screen display font has been changed from the conventional text mode to the icon mode. Accordingly, given that the design of the icon may vary indefinitely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the conventional limited on-screen display font storage and output device that cannot meet the needs of the user has emerged as an urgent problem.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를 융통성 있게 변경하고 저장하여서 사용자의 취향에 부응하는 다양한 폰트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variety of fonts to meet the user's taste by flexibly changing and storing the on-screen display font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s. .

도 1은 종래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출력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기 위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for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on-screen display font output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를 융통성 있게 변경/저장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보이기 위한 블록도; 그리고2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flexibly changing / storing an on-screen display fo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를 융통성 있게 변경/저장하기 위한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performed by the apparatus for flexibly changing / storing the on-screen display font shown in FIG. 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a : 사용자 코드 롬 100b : 사용자 폰트 롬100a: user code rom 100b: user font rom

110 : 입출력 포트 120 : 마이크로 콘트롤러110: input / output port 120: microcontroller

130 :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램 140 :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출력부130: on-screen display RAM 140: on-screen display outpu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를 융통성 있게 변경/저장하기 위한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어에 따라 변경되도록 롬 코드와 폰트 데이터를 해당 영역에 저장하기 위한 코드/폰트 저장 수단; 사용자의 명령어를 입력받을 때 상기 코드/폰트 저장 수단으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롬 코드를 독출하여 제공하기 위한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제공된 롬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저장 수단; 그리고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저장 수단으로부터 롬 코드를 입력받고, 상기 코드/폰트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입력받은 롬 코드에 해당되는 폰트 데이터를 독출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출력 수단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for flexibly changing / storing the on-screen display font, the code / for storing the ROM code and font data in the corresponding area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Font storage means; Control means for reading and providing a ROM code corresponding to the user's command from the code / font storage means when receiving a user's command; On-screen display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ROM code provided from the control means; And an on-screen display output means for receiving a ROM code from the on-screen display storage means, reading font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ROM code from the code / font storage means, and displaying the font data on a screen of the on-screen display device. Is done.

이와 같은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를 융통성 있게 변경/저장하기 위한 장치에 의하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폰트가 저장되는 폰트 롬은 사용자 코드 롬과 동일한 하나의 메모리 내에 서로 다른 저장 영역을 분할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폰트 롬의 폰트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취향에 부응하는 다양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예를 들면, 아이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flexibly changing / saving such an on-screen display font, the font ROM in which the font for on-screen display is stored is configured by dividing different storage areas in the same memory as the user code ROM. Accordingly, the font data of the font ROM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the user, so that various on-screen display fonts (for example, icons) corresponding to the user's taste are provid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2 및 도 3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를 융통성 있게 변경/저장하기 위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출력 장치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n on-screen display font output device for flexibly changing / saving an on-screen display fo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의 변경/저장이 가능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출력 장치는, 사용자의 키입력 신호 등에 의해 발생되는 사용자 명령어와 같은 외부 신호가 입출력되는 입출력 포트(110)와, 마이크로 콘트롤러(120)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롬 코드 및 폰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코드/폰트 저장 장치(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n on-screen display font output device capable of changing / storing on-screen display fo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put / output for input / output of an external signal such as a user command generated by a user's key input signal or the like. A port 110, a microcontroller 120, and a code / font storage device 100 storing ROM codes and font data set by a user are included.

이때, 상기 코드/폰트 저장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명령어들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코드가 저장된 사용자 코드 롬(100a)과, 상기 사용자 코드롬(100a)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롬 코드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폰트 데이터가 저장되는 사용자 폰트 롬(100b)으로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code / font storage device 100 may include a user code ROM 100a storing at least one user code corresponding to the user commands, and at least one ROM code stored in the user code ROM 100a. It is composed of a user font ROM 100b in which a plurality of font data corresponding to each is stored.

그리고, 상기 사용자 코드 롬(100a) 및 사용자 폰트 롬(100b)은 동일한 하나의 기억 소자 예컨대, 마스크 롬(mask ROM)과 같은 리드 온리 메모리 내에 서로 다른 메모리 영역을 분할하여 사용하도록 함께 구성된다.In addition, the user code ROM 100a and the user font ROM 100b are configured together to use different memory regions in a read-only memory such as one memory device, for example, a mask RO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폰트의 변경과 저장이 가능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출력 장치는,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20)에 의해 사용자 코드 롬(100b)으로부터 독출된 롬 코드를 저장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램(13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n-screen display font output device that can be changed and stored in the fo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n-screen display RAM 130 for storing the ROM code read from the user code ROM (100b) by the microcontroller 120 It includes.

그리고,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램(130)에 저장된 롬 코드에 대응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폰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폰트 롬(100b)으로부터 독출하여 텔레비전 수상기 또는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도면에는 미도시)으로 영상 출력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출력부(140)를 포함한다.The on-screen display font data corresponding to the ROM code stored in the on-screen display RAM 130 is read from the user font ROM 100b to a display screen such as a television receiver or a computer monitor (not shown). On-screen display output unit 140 for outputting the image.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폰트의 변경과 저장이 가능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출력 장치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 출력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on-screen display font output method of an on-screen display font output device capable of changing and storing a fo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th reference to FIG.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사용자의 명령어는 상기 입출력 포트(110)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20)로 출력된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명령어라 함은 사용자가 컴퓨터 모니터에 부착된 키패드(key pad)의 특정 키, 컴퓨터 키보드(keyboard)의 특정 키, 그리고 텔레비전 본체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상의 특정 키를 터치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의 출력을 위해 발생시키는 신호를 말한다.First, a user's command is output to the microcontroller 120 through the input / output port 110. Herein, the user's command means that the user touches a specific key of a keypad attached to a computer monitor, a specific key of a computer keyboard, and a specific key on a television body or a remote controller. A signal generated for the output of an on-screen display font.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20)는 텔레비전 수상기 또는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제품이 파워 온(power on)인 상태에서는 항시 상기 입출력 포트(110)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10).In addition, the micro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a user's command is input from the input / output port 110 at all times when a product such as a television receiver or a computer monitor is powered on (step S210).

다음, 상기 사용자의 명령어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20)는 상기 사용자 코드 롬(100a)에 저장된 복수 개의 롬 코드 중 상기 사용자 명령어에 대응되는 롬 코드를 독출한다(단계 S220).Next, when the user's command is input, the microcontroller 120 reads a ROM code corresponding to the user command from among a plurality of ROM codes stored in the user code ROM 100a (step S220).

이어서,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20)는 상기 사용자 코드 롬(100a)으로부터 독출된 롬 코드를 약점어, 예컨데 아스키 코드와 같은 형태로 분석하여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램(130)에 저장한다(단계 S230).Subsequently, the microcontroller 120 analyzes the ROM code read from the user code ROM 100a in the form of a weak word, for example, an ASCII code, and stores the ROM code in the on-screen display RAM 130 (step S230).

그리고, 상기 온 스크론 디스플레이 탬(130)에 저장된 롬 코드는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출력부(140)로 제공되고,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출력부(140는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램(130)으로부터 제공된 롬 코드에 해당되는 폰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폰트 롬(100b)으로부터 독출한다(단계 S240).The ROM code stored in the on-screen display template 130 is provided to the on-screen display output unit 140, and the on-screen display output unit 140 is a ROM code provided from the on-screen display RAM 130. Corresponding font data is read from the user font ROM 100b (step S240).

마지막으로,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출력부(140)는 상기 사용자 폰트 롬(100b)으로부터 독출된 폰트 데이터를 텔레비전 수상기 또는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영상 출력한다(단계 S250).Finally, the on-screen display output unit 140 outputs image data of the font data read from the user font ROM 100b to a display screen such as a television receiver or a computer monitor (step S250).

상술한 바와 같이 폰트의 변경과 저장이 가능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를 융통성 있게 변경/저장하기 위한 장치에 의하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용 폰트가 저장되는 폰트 롬은 사용자 코드 롬과 동일한 하나의 메모리 내에 서로 다른 저장 영역을 분할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폰트 롬의 폰트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취향에 부응하는 다양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예를 들면, 아이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flexibly changing / saving the on-screen display font which can change and store the font as described above, the font ROM in which the font for the on-screen display is stored is stored differently in the same memory as the user code ROM. It is composed by dividing the area. Accordingly, the font data of the font ROM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the user, so that various on-screen display fonts (for example, icons) corresponding to the user's taste are provid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4)

사용자의 명령어에 따라 변경되도록 롬 코드와 폰트 데이터를 해당 영역에 저장하기 위한 코드/폰트 저장 수단(100);Code / font storage means (100) for storing the ROM code and font data in a corresponding area so as to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사용자의 명령어를 입력받을 때 상기 코드/폰트 저장 수단(100)으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롬 코드를 독출하여 제공하기 위한 제어 수단(120);Control means (120) for reading and providing a ROM code corresponding to a user's command from the code / font storage means (100) when receiving a user's command; 상기 제어 수단(120)으로부터 제공된 롬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저장 수단(130); 그리고On-screen display storage means (130) for storing the ROM code provided from the control means (120); And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저장 수단(130)으로부터 롬 코드를 입력받고, 상기 코드/폰트 저장 수단(100)으로부터 상기 입력받은 롬 코드에 해당되는 폰트 데이터를 독출하여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출력 수단(14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를 융통성 있게 변경/저장하기 위한 장치.On to receive the ROM code from the on-screen display storage means 130, to read the font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ROM code from the code / font storage means 100 to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on-screen display device An apparatus for flexibly changing / storing an on-screen display font,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creen display output means (14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폰트 저장 수단(100)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de / font storage means 100, 상기 제어 수단(120)으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명령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롬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100a);Means (100a) for storing at least one ROM code corresponding to a user's command provided from the control means (120);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롬 코드의 각각에 대응되는 폰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100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코드 저장 수단(100a) 및 폰트 저장 수단(100b)은 동일한 기억 소자내에서 서로 다른 저장 영역을 할당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를 융통성 있게 변경/저장하기 위한 장치.Means (100b) for storing font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said at least one ROM code, said code storing means (100a) and font storing means (100b) having different storage areas in the same storage element. A device for flexibly changing / storing on-screen display fonts, characterized in being assign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폰트 저장 수단(100)은, 마스크 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를 융통성 있게 변경/저장하기 위한 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said code / font storage means (100) is a mask RO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저장 수단(130)은 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폰트를 융통성 있게 변경/저장하기 위한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on-screen display storage means (130) is a RAM.
KR1019970044634A 1997-08-30 1997-08-30 Device for flexible change / store of on-screen display fonts KR199900211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634A KR19990021128A (en) 1997-08-30 1997-08-30 Device for flexible change / store of on-screen display fo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634A KR19990021128A (en) 1997-08-30 1997-08-30 Device for flexible change / store of on-screen display fo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128A true KR19990021128A (en) 1999-03-25

Family

ID=6603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634A KR19990021128A (en) 1997-08-30 1997-08-30 Device for flexible change / store of on-screen display fo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12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02B1 (en) * 2001-09-01 200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On Screen Display Contr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02B1 (en) * 2001-09-01 200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On Screen Display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7157A (en) Display with enhanced scrolling capabilities
US5212477A (en) Method for sizing message characters for a display
US5101365A (en) Apparatus for extending windows using Z buffer memory
US7174287B2 (en) Display language conversion system,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selling system
US4924433A (en) Word processor with attribute functions
US4849748A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with improved attribute function
KR19990021128A (en) Device for flexible change / store of on-screen display fonts
GB2284694A (en) Multiple font display
US5237312A (en) Display with enhanced scrolling capabilities
KR0123758B1 (en) On screen display character processing circuit & method to be completed an association pattern
JP2865454B2 (en) Drawing display device
US7170564B2 (en) On-screen display device
JPH04318892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display control circuit
JPH04278992A (en) Character string display method
KR0146197B1 (en) Multi font apparatus for using video memory
KR0148867B1 (en) Font-rom selection circuit
JP2001022327A (en) Data display device
US20050030428A1 (en) On-screen display device
KR100322915B1 (en) Memory structure of electron products
KR940003624B1 (en) Apparatus for korean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on vga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970019478A (en) Multilingual OSD Character Display
KR960012854B1 (en) Data recording method
JP2005157436A (en) Display device for settlement terminal machine
JPH03108057A (en) Document processor
JP2606579B2 (en) Character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