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060U - Hall Horn Speaker - Google Patents

Hall Horn Sp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060U
KR19990020060U KR2019970033425U KR19970033425U KR19990020060U KR 19990020060 U KR19990020060 U KR 19990020060U KR 2019970033425 U KR2019970033425 U KR 2019970033425U KR 19970033425 U KR19970033425 U KR 19970033425U KR 19990020060 U KR19990020060 U KR 199900200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bass
diaphragm
speaker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42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정용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3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060U/en
Publication of KR199900200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060U/en

Links

Landscapes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음과 중음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홀 혼스피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ll horn speaker capable of displaying both bass and midtones at the same time.

진동판(112), 보이스코일(114), 보빈(136) 등을 포함하는 진동계와, 마그네트(116), 센터 폴(120) 등을 포함하는 자기회로부와, 상기 자기회로부와 진동계를 지지하는 본체부, 상기 진동판(112)으로부터 진행되는 음파를 공명시키는 혼부(160)로 이루어진 혼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112)과 근접한 거리의 혼부(150)에 외부로 통하는 저음홀(160)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저음홀(160)을 통하여 저음이 진행될 수 있어 저음과 중음을 동시에 살릴수 있는 고안이다.Vibration system including a diaphragm 112, voice coil 114, bobbin 136, and the like, magnetic circuit portion including the magnet 116, the center pole 120 and the like, and a main body portion for supporting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and the vibrometer In the horn speaker made of a horn 160 for resonating sound waves traveling from the diaphragm 112, by forming a bass hole 160 to the outside to the horn 150 at a distance close to the diaphragm 112, The bass can proceed through the bass hole 160 is designed to save the bass and the middle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홀 혼스피커Hall Horn Speaker

본 고안은 전기적 에너지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혼스피커의 혼에 저음홀을 추가함으로서, 스피커 하나로 저음과 중음을 표시할 수 있는 홀 혼스피커(Hole horn speaker)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for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an acoustic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ll horn speaker capable of displaying low and mid sound by adding a bass hole to a horn of a horn speaker.

일반적으로, 최근 산업사회의 발전에 따라 고급화된 오디오 기기가 급속도로 일반화되어 오디오를 즐기고 있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In general,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 society, advanced audio equipment is rapidly generalized, and many people are enjoying audio.

또한, 단순한 음악의 청취용으로만 생각되고 실용되어 오던 오디오 제품들은 이제 가장 원음에 가까운 상태를 스스로 녹음, 편집하여 보존하는 기능을 추가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오디오 기기는 지금까지 음향재생의 목적으로 사용되던 사치스러운 가전제품이었는데, 이제는 우리의 실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필수품목으로 우리들 주변에 산재하고 있다.In addition, audio products that have been conceived and used only for listening to music now add the ability to record, edit and preserve the state closest to the original. Audio devices such as these have been luxury home appliances that have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sound reproduction, and are now scattered around us as an important necessity that is indispensable in our real life.

이와 같은 오디오 기기에서 전기적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스피커는 오디오 기기를 실현하는 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라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Speakers that convert electrical signals to sound in such audio devices will not be overlooked as an important part of realizing audio devices.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혼스피커의 구조를 살펴보고 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1 will be described the structure of the most commonly used horn speaker and it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일반적인 혼스피커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horn speak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는 크게 콘진동판(1), 에지(8), 보이스코일(2), 댐퍼(6), 센터 캡(7) 등을 포함하는 진동계와, 마그네트(3), 센터 폴(5), 요크(13), 프레임(9) 등을 포함하는 자기회로부분과, 상기 자기회로부분과 진동계를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9) 등을 포함하는 본체부분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loudspeaker includes a vibrometer including a cone vibration plate 1, an edge 8, a voice coil 2, a damper 6, a center cap 7, and the like, a magnet 3, A magnetic circuit portion including the center pole 5, the yoke 13, the frame 9 and the like, and a main body portion including the frame 9 and the like supporting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and the vibrometer.

상기 프레임(9)은 진동계, 자기회로를 부착하는 모체가 되고, 공진이 낮은 공진성과, 높은 견고성이 요구된다.The frame 9 serves as a mother body for attaching a vibrometer and a magnetic circuit, and requires low resonance and high robustness.

상기 프레임(9) 하부에 설치되는 자기회로는 보빈(14)에 전류가 흐르면 이것과 직각으로 직류 자계를 주어서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필드 코일형이라고 하여 자기회로의 영구 마그네트(3)부분에 코일을 두고 그 것에 전류를 흐르게 해준다. 상기 센터 폴(5), 요크(13) 및 플레이트(4)는 마그네트(3)에 의하여 자화되어, 마그네트(3)로부터의 자속을 갭(보빈과 플레이트 사이)에 인도하기 위한 것으로 손실없이 인도하기 위해서는 그 재질이나 형상, 단면적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재질은 보통 저탄소강이 사용된다.The magnetic circuit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ame 9 acts to move the bobbin 14 by applying a direct current magnetic field to the bobbin 14 at right angles to the bobbin 14, which is called a field coil type. And let the current flow through it. The center pole 5, yoke 13 and plate 4 are magnetized by the magnet 3 to guide the magnetic flux from the magnet 3 to the gap (between bobbin and plate) without loss. For this purpose, the material, shape and cross-sectional area become important factors. The material is usually low carbon steel.

상기 보이스코일(2)은 보빈(14)에 권선되고, 상기 보빈(14)의 중공부는 센터 폴(5)을 삽입하며, 앰프로부터의 전기입력을 받아 보빈(14)을 상하로 작동시킨다.The voice coil 2 is wound around the bobbin 14, the hollow portion of the bobbin 14 inserts the center pole 5, and receives the electric input from the amplifier to operate the bobbin 14 up and down.

상기 보빈(12)의 상단부 외주면과 상기 프레임(9)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댐퍼(6)는 중심유지기라고도 불리며, 상기 보이스코일(2)이 갭의 중심에서 움직이고, 또한, 상기 플레이트(4)나 센터 폴(5)에 접촉하지 못하게 하며, 상기 보이스코일(2)과 콘진동판(1)이 정지상태에서 옳은 위치에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The damper 6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obbin 1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9 is also called a center holder, and the voice coil 2 is moved at the center of the gap, and the plate 4 It prevents contact with the center pawl (5), and serves to ensure that the voice coil (2) and the cone vibration plate (1) is in the right position in the stopped state.

상기 콘진동판(1)의 넥 부분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센터 캡(7)은 방진 캡이라는 별명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센터폴(5) 내에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착을 하는데, 상기 콘진동판(1)의 넥(neck) 부분을 보강하거나 또는 그 자체가 진동하므로 캡으로부터의 소리의 방사도 있으며 재질, 형상, 크기에 따라서 주파수 특성도 다르게 되어 음질도 변화하게 된다.The center cap 7 install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ck portion of the cone vibrating plate 1 is attached to prevent dust from entering the center pole 5 as can be known by the dustproof cap. The reinforcement of the neck portion of the cone vibrating plate 1 or vibrates itself, so that there is radiation of sound from the cap,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varies depending on the material, shape, and size, and thus the sound quality changes.

상기 콘진동판(1)의 상단 원주면과 상기 프레임(9)의 상단원주면을 연결하는 에지(8)는 상기 콘진동판(1)을 옳은 위치로 지지하기 위한 것인데, 어떠한 힘에 대해서도 콘진동판(1)의 구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것이라야 한다.The edge 8 connecting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e vibration plate 1 and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9 is for supporting the cone vibration plate 1 in the correct position. It should not affect the driving of 1).

이와 같은 에지(8)는 크게 구분해서 두 가지로 구분이 되며 그 하나는 픽스드 에지라고 하여 콘진동판(1)을 제작시에 동시에 에지(8)를 형성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별도로 형성한 에지(8)에 콘진동판(1)을 부착하는데 이것을 프리 에지라고 말한다.These edges 8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one of which is called a fixed edge, which forms the edge 8 at the same time when the cone vibration plate 1 is manufactured, and the other is formed separately. The cone vibration plate 1 is attached to (8), which is called a free edge.

상기 진동판과 대응되어 있는 혼부(30)는 상기 스피커박스(20)의 상부와 하부로 완만하게 곡선을 이루며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의 진동판(1)으로부터 진행되는 음파에 공명현상을 유발하게 된다.Horn portion 30 corresponding to the diaphragm is formed to form a gentle curve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peaker box 20, causing resonance to the sound waves traveling from the diaphragm (1) of the speaker.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즉, 마그네트(3)에 의하여 플레이트(4), 센터 폴(5) 및 요크(13)가 자화되고, 자속의 방향이 상기 센터 폴(5)에서 상기 마그네트(3) 상단부에 설치된 플레이트(4)방향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황에서, 앰프를 통하여 출력되는 교류전류신호가 단자(11)를 통하여 보이스코일(2)로 도통되게 된다. 이에 따라,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자력이 센터 캡(7) 방향으로 생기게 된다. 이에 보이스코일(2)이 권선된 보빈(14)이 상향운동하여 상기 콘진동판(1)은 진동되게 된다. 즉, 앰프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전류의 크기)에 따라 보빈(14)의 상향운동정도가 다르고, 이에 따라 콘진동판(1)의 진동정도도 달라짐으로서, 각기의 다른 음파가 발생한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at is, the plate 3, the center pole 5 and the yoke 13 are magnetized by the magnet 3, and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lux is from the center pole 5 to the magnet 3 In a situation in which the plate 4 is installed in the upper end, the AC current signal output through the amplifier is conducted to the voice coil 2 through the terminal 11. Accordingly, the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cap 7 by Fleming's left hand law. Accordingly, the bobbin 14, on which the voice coil 2 is wound, moves upward, and the cone vibration plate 1 vibrates. That is, the degree of upward movement of the bobbin 14 varie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ignal outputted from the amplifier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and thus, the degree of vibration of the cone oscillation plate 1 also varies, so that different sound waves are generated.

상기 콘진동판(1)의 진동에 따라 콘진동판(1)과 맞대어 있던 공기가 운동을 하게 되고, 이 공기의 운동이 스피커박스(20) 내부의 혼부(30)로 전파되면서, 공명현상을 일으키게 된다.As the cone vibrating plate 1 vibrates, the air facing the cone vibrating plate 1 moves, and the movement of the air propagates to the horn 30 inside the speaker box 20, causing resonance. .

이 음파가 혼부(30)를 빠져나가 계속 진행하게 되고, 사람의 귀에 전달되게 된다. 사람의 귀는 이 음파를 소리로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The sound waves exit the horn 30 and continue to be transmitted to the human ear. The human ear perceives this sound wave as sound.

그러나, 이와 같은 혼스피커는 상기 진동판으로부터 음파가 화살표 Q방향으로 진행되게 되는데, 이 음파는 곧 혼의 벽에 부딪히게 된다. 이 혼 벽에 부딪힌 음파는 반사되어 다시 진동판으로 전달되게 되어 콘진동판의 진동을 방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피커는 중음만이 살려지게 되어, 저음을 재대로 살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such a horn speaker, sound waves are propagated from the diaphragm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Q, and these sound waves soon hit the wall of the horn. The sound waves that hit the horn wall are reflected and transmitted back to the diaphragm, which interferes with the vibration of the cone oscillator. Accordingly, the speaker has only a mid-tone is aliv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live the bass.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혼부의 일정부위에 저음을 진행시키는 저음홀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저음홀을 통하여 저음이 진행되어, 중음과 저음을 동시에 살릴 수 있는 홀 혼스피커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bass hole for advancing bass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orn, and the bass proceeds through the bass hole, simultaneously with the mid and bass sounds. It is to provide a hall horn speaker which can be saved.

도 1은 일반적인 혼스피커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horn speaker.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홀 혼스피커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hole horn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홀 혼스피커와 혼스피커와의 실험결과 대조그래프.3 is a control graph of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hole horn speaker and the horn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2 : 콘진동판 114 : 보이스코일112: cone vibration plate 114: voice coil

116 : 마그네트 118 : 플레이트116: magnet 118: plate

120 : 센터폴 122 : 요크120: center pole 122: York

128 : 프레임 130 : 댐퍼128: frame 130: damper

136 : 보빈 150 : 혼부136: Bobbin 150: Horny

160 : 저음홀 170 : 스피커박스160: bass hole 170: speaker box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홀 혼스피커는, 진동판, 보이스코일, 보빈 등을 포함하는 진동계와, 마그네트, 센터 폴 등을 포함하는 자기회로부와, 상기 자기회로부와 진동계를 지지하는 본체부, 상기 진동판으로부터 진행되는 음파를 공명시키는 혼부로 이루어진 혼스피커에 있어서,The hole horn sp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vibration circuit including a vibration plate, voice coil, bobbin, etc., a magnetic circuit portion including a magnet, a center pole, and the like, and a main body portion supporting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and the vibration system. In the horn speaker consisting of a horn for resonating the sound waves traveling from the diaphragm,

상기 진동판과 근접한 거리의 혼부에 외부로 통하는 저음홀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저음홀을 통하여 저음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y forming a bass hole to the outside of the horn portion in close proximity to the diaphrag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s can proceed through the bass ho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2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홀 혼스피커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홀 혼스피커와 혼스피커와의 실험결과 대조그래프이다.2 to 3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hole horn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hole horn speaker and a horn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trol graph of the experimental result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홀 혼스피커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2, the hole horn spe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as follows.

프레임(128)은 진동계, 자기회로를 부착하는 모체가 되고, 상기 프레임(128) 하부에 설치되는 센터 폴(120), 요크(122) 및 플레이트(118)는 마그네트(116)에 의하여 자화되어 마그네트(116)의 자속을 갭(보빈과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에 인도한다.The frame 128 becomes a mother body for attaching a vibrometer and a magnetic circuit, and the center pole 120, the yoke 122, and the plate 118, which are installed under the frame 128, are magnetized by the magnet 116 to be magnetized. The magnetic flux of 116 is directed to the gap (gap between the bobbin and the plate).

또한, 보빈(136)은 상기 센터 폴(120)에 삽입되고, 상기 보빈(136)의 외주면에는 보이스코일(114)이 권선되고, 엠프로부터 소정의 인가받는다.In addition, the bobbin 136 is inserted into the center pole 120, the voice coil 114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36, a predetermined application from the amplifier.

또한, 상기 보빈(136)의 일단부 원주에는 콘진동판(112)이 설치되어 상기 보빈(136)의 직선운동과 연동하여 진동됨으로서 음파를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a cone vibration plate 112 is installed at one end circumference of the bobbin 136 and vib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tion of the bobbin 136 to generate sound waves.

또한, 상기 보빈(136)의 상단부 외주면과 상기 프레임(128)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댐퍼(130)는 상기 보이스코일(114)이 갭의 중심에서 움직이고 플레이트(118)나 요크(122)에 접촉하지 못하게 한다.In addition, the damper 130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obbin 136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128 may not move the voice coil 114 at the center of the gap and contact the plate 118 or the yoke 122. Do not let it.

상기 콘진동판(112) 넥 부분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센터 캡(134)은 상기 센터 폴(120) 내에 오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The center cap 134 install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ck portion of the cone vibration plate 112 prevents dirt from entering the center pole 120.

상기 콘진동판(112)의 진동측으로 완만한 곡선을 이루면서 스피커박스(170) 내부에 형성되는 혼부(150)는 상기 스피커의 진동판(112)으로부터 진행되는 음파를 계속하여 진행시키면서, 음의 공명현상을 유도함으로서 고음 혹은 중음을 살릴 수 있다.The horn portion 150 formed inside the speaker box 170 while forming a gentle curve toward the vibration side of the cone vibration plate 112 continues the sound wave proceeding from the diaphragm 112 of the speaker, while maintaining a sound resonance phenomenon. By inducing, you can save the high or mid range.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의 안테나에서 들어오는 전파 중 튜닝부에 의하여 희망국의 주파수만 인출하게 되고, 상기 인출된 전파는 중간주파수회로에서 중간주파수로 변환된다. 상기 중간주파수로 변환 후 증폭기에 의하여 상기 중간주파수를 충분한 레벨가지 증폭한다. 상기 증폭된 신호는 진폭제한기에 의하여 음질향상이 도모되고, 이후, 충분한 레벨로 증폭되면 복조기에서 복조되어 엠프에 가해지게 된다.Of the radio waves coming from an antenna such as a television or a radio, only the frequency of the desired station is extracted by the tuning unit, and the extracted radio waves are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in the intermediate frequency circuit. After the conversion 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the amplifier amplifies the intermediate frequency to a sufficient level. The amplified signal is improved in sound quality by an amplitude limiter, and when amplified to a sufficient level, it is demodulated in a demodulator and applied to the amplifier.

한편, 스피커 내부의 마그네트(116)에 의하여 플레이트(118), 센터 폴(120) 및 요크(122)가 자화되고, 자속의 방향이 상기 센터 폴(120)에서 마그네트(116) 상단부에 설치된 플레이트(118) 방향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황에서, 엠프에서 증폭된 교류신호가 출력되면, 이 교류신호는 보빈(136)에 권선된 보이스코일(114)에 가해지게 된다.Meanwhile, the plate 118, the center pole 120, and the yoke 122 are magnetized by the magnet 116 inside the speaker, and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lux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agnet 116 in the center pole 120 ( 118), when an amplified AC signal is output from the amplifier, the AC signal is applied to the voice coil 114 wound on the bobbin 136.

이에 따라, 상기 보이스코일(114)에 전류가 가해지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자속을 가로질러 전류가 흐르면 기전력이 생긴다)에 의하여 자력이 화살표 Q방향으로 생기게 된다. 이에 보이스코일(114)이 권선된 보빈(136)이 연동하여 화살표 Q방향으로 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콘진동판(112)이 연동하여 진동되게 된다.Accordingly,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voice coil 114, the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Q by Fleming's left-hand law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when current flows across the magnetic flux). The bobbin 136 wound around the voice coil 114 is interlocked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Q, and thus, the cone vibration plate 112 is vibrat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이후, 상기 콘진동판(112)의 진동에 따라 콘진동판(112)과 맞대어 있던 공기가 진동하게 되고, 이 공기의 진동이 스피커 박스(170) 내부의 혼부(150)를 타고 진행되면서 음의 공명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이에 음이 고음이나 중음으로 변환된다.Thereafter, the air facing the cone vibration plate 112 is vibrated according to the vibration of the cone vibration plate 112, and the vibration of the air is carried on the horn 150 inside the speaker box 170, so that a negative resonance phenomenon occurs. This causes the sound to be converted to high or mid-range.

또한, 상기 진동판(1)으로부터 진행되는 음파는 상기 혼부(150)의 일정부위에 형성된 저음홀(160)을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음파가 저음홀(160)을 통과함으로 인해서 혼부(150)의 벽을 반사하여 나오는 음파는 적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피커는 저음의 영역을 표현할 수 있으며, 혼부(150)로 진행중인 음파는 혼부를 진행하면서 중음이나 고음을 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ound wave traveling from the diaphragm 1 passes through the bass hole 160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orn 150, and the sound wave passes through the bass hole 160, so that the wall of the horn 150 Sound waves coming out of the reflection is reduced, thereby the speaker can express the region of the bass, and the sound waves in progress to the horn unit 150 is able to produce a midtone or treble while proceeding the horn.

즉, 도 3의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홀 혼스피커는 일반적인 혼스피커에서 진행될 수 없는 저음의 영역(R)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can be seen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of FIG. 3, the hole horn speaker can display a low-range region R that cannot be progressed in a general horn speaker.

이와 같이, 상기 혼부(150) 및 저음홀(160)을 경유하여 외부로 진행되는 음파는 사람의 귀에 전달되게 되고, 최종적으로, 사람의 귀는 이 음파를 소리로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As such, the sound waves traveling to the outside via the horn 150 and the bass hole 160 are transmitted to the human ear, and finally, the human ear recognizes the sound waves as soun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홀 혼스피커는, 스피커 박스내부 혼부의 일정부위에 저음홀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혼부의 벽면에 반사되는 음파를 줄여 스피커의 진동판으로부터 저음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저음, 및 중음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ole horn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bass hole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nner horn of the speaker box, thereby reducing the sound waves reflected on the wall of the horn so that bass sounds can be advanced from the diaphragm of the speak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multaneously display, and midtones.

Claims (1)

진동판(112), 보이스코일(114), 보빈(136) 등을 포함하는 진동계와, 마그네트(116), 센터 폴(120) 등을 포함하는 자기회로부와, 상기 자기회로부와 진동계를 지지하는 본체부, 상기 진동판(112)으로부터 진행되는 음파를 공명시키는 혼부(160)로 이루어진 혼스피커에 있어서,Vibration system including a diaphragm 112, voice coil 114, bobbin 136, and the like, magnetic circuit portion including the magnet 116, the center pole 120 and the like, and a main body portion for supporting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and the vibrometer In the horn speaker consisting of a horn 160 to resonate the sound waves traveling from the diaphragm 112, 상기 진동판(112)과 근접한 거리의 혼부(150)에 외부로 통하는 저음홀(160)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저음홀(160)을 통하여 저음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혼스피커.Hall horn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s through the bass hole 160 to the outside by forming a bass hole (160) to the outside in the horn portion (150) in close proximity to the diaphragm (112).
KR2019970033425U 1997-11-22 1997-11-22 Hall Horn Speaker KR1999002006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425U KR19990020060U (en) 1997-11-22 1997-11-22 Hall Horn 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425U KR19990020060U (en) 1997-11-22 1997-11-22 Hall Horn Spea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060U true KR19990020060U (en) 1999-06-15

Family

ID=69692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425U KR19990020060U (en) 1997-11-22 1997-11-22 Hall Horn Sp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060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057B1 (en) Double Diaphragm Micro speaker
JP2010034988A (en) Speaker system
KR20080085467A (en) Speaker
KR101322853B1 (en) Bass enhancing speaker
KR100987464B1 (en) Directivity type speaker
KR19990041872A (en) Speaker structure with double voice coil
KR19990020060U (en) Hall Horn Speaker
KR100262221B1 (en) Shell speaker
KR101650664B1 (en) cone type speaker having vibration reducing method
CN107396260B (en) Magnetic circuit system and loudspeaker monomer
WO2021054295A1 (en) Speaker unit and speaker
CN210725322U (en) Loudspeaker capable of improving high-frequency response
US20240098422A1 (en) Bone conduction loudspeaker
KR100675507B1 (en) Micro speaker of having seperated diaphram
KR19990054238A (en) Straight acoustic speakers
KR19990041875A (en) Inertial Resistance Canceling Speaker Unit of AC Current
RU2125772C1 (en) Loudspeaker
JP3187610B2 (en) Speaker device
JP2000278790A (en) Dynam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6914998B2 (en) Speaker apparatus
KR100682065B1 (en) Speaker with improved sound radiation function of both directions
KR100310331B1 (en) Aaaaa
KR19990041876A (en) Speaker using constructive interference
CN112468942A (en) Bone conduction loudspeaker
KR19990038186A (en) Speaker with flat vibration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