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281A -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구조 - Google Patents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281A
KR19990019281A KR1019970042641A KR19970042641A KR19990019281A KR 19990019281 A KR19990019281 A KR 19990019281A KR 1019970042641 A KR1019970042641 A KR 1019970042641A KR 19970042641 A KR19970042641 A KR 19970042641A KR 19990019281 A KR19990019281 A KR 19990019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freezer
locking memb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강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4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281A/ko
Publication of KR19990019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281A/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 구조는, 수납공간부를 개, 폐하여 피수납물을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도어(112)가 설치되는 냉동고(100)에 있어서, 상기 도어(112)의 측면에 고정되는 손잡이(20)와, 일단에서 가스켓(113)을 본체(111) 케비넷의 접촉면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손잡이(20)의 고정부(20')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가스켓(113)에 결속되어 상기 도어(112)의 개, 폐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걸림부재(40)와, 상기 걸림부재(40)가 슬라이딩되도록 일단에서 걸림부재(40)의 타단에 힌지(53)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을 회동시키도록 타단에서 상기 손잡이(20)에 힌지(52)로 장착되어 인위적인 힘을 받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당김부재(50)와, 상기 당김부재(50)의 일단이 회동된 때,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당김부재(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당김부재(50)와 손잡이(2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냉동고(100)의 도어(112)를 짧은 시간에 연속해서 여러번 개방할 때 냉동고(100) 내부의 순간적인 압력차 때문에 발생되는 냉동고(100) 도어(112)의 개방의 어려움을 해소하여 상기 냉동고(100) 도어(112)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 구조.
본 발명은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냉동고 핸들의 구조를 개선하여 냉동고의 도어 개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냉동고(100)는, 그 냉동고(100)의 내부를 저열원으로 하고 외부를 고열원으로 하는 저비등점의 냉매의 포화증기를 압축기(도시생략)에서 고압으로 압축하여 응축기(도시생략)로 유동시키고, 응축기에서는 고압, 고열의 냉매로부터 증발의 잠열이 냉동고 외부의 고열원으로 방출되어 액체상태의 냉매로 상변화를 일으키고는 이 액상의 냉매가 팽창밸브를 통과하여 저압, 저온으로 스로틀링된 후, 증발기 즉, 냉각기(도시생략)로 유입된다. 그 냉각기에서의 저압, 저온의 냉매는 대부분 액상으로 냉동고(100) 내부의 저열원으로부터 잠열을 흡수하여 포화증기상태의 냉매로 상변화를 일으킨 후, 다시 상술한 압축기로 유입됨으로써 냉매의 순환사이클을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냉동고(100)는, 도 1에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고(100)의 본체(111) 전면에 수납공간부를 개, 폐하여 피수납물을 수납 및 인출할수 있도록 도어(112)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112)를 용이하게 개방하기 위하여 도어(112)의 소정부위에 핸들(10)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냉동고(100)의 수납공간부에 피수납물을 수납 및 인출하면서, 아울러 냉동고(100)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술한 상기 냉동고(100)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츨되지 못하도록 상기 도어(112)의 본체(111) 케비넷과의 접촉부에는 가스켓(113)이 설치되고, 상기 가스켓(113)의 내부에는 자석(도시생략)이 내장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12)의 폐쇄시 상기 가스켓(113)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도어(112)가 본체 측으로 흡인되고, 상기 냉동고(100)의 본체(111) 케비넷과 접촉되면서, 상기 도어(112)의 폐쇄상태가 유지되면서, 상기 냉동고(100)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종래의 냉동고 도어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도어(112)를 사용자가 짧은 시간에 연속해서 여러번 개, 폐시키게 되면, 상기 냉동고(100)의 내부온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외부 공기가 냉동고(100)의 내부로 침투되면서, 상기 냉동고(100)의 내부에 순간적으로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압력차에 의해 상기 도어(112)가 본체(111)측으로 흡인되는 흡인력이 강하게 되어 상기 도어(112)의 개방시 상기 도어(12)가 용이하게 개방되지 않고, 냉동고(100) 본체(111)가 도어(112)쪽으로 딸려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상기 도어(112)의 개방시 냉동고(100)의 압력차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상기 도어(112)의개방의 어려움을 해소하여 상기 도어(112)의 개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동고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김부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냉동고 111 : 본체
112 : 도어 113 : 가스켓
10 : 핸들(종래) 20 : 손잡이
20' : 고정부 21 : 안내부
22 : 수용홈 23 : 장착홀
23' : 고정나사 30 : 덮개
31 : 훅크 32 : 힌지장착부(당김부재)
40 : 걸림부재 41 : 걸림쇠
42 : 요홈부 43 : 힌지장착홈
50 : 당김부재 51 : 스프링안내부재
52 : 힌지(당김부재장착) 53 : 힌지(걸림부재장착)
60 : 탄성부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 구조는, 냉동고의 수납공간부를 개, 폐하여 피수납물을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어의 소정부위에 핸들이 설치되는 냉동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측면에 고정되는 손잡이와, 일단에서 가스켓을 본체 케비넷의 접촉면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손잡이의 고정부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가스켓에 결속되어 상기 도어의 개, 폐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가 슬라이딩되도록 일단에서 걸림부재의 타단에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을 회동시키도록 타단에서 상기 손잡이에 힌지로 장착되어 인위적인 힘을 받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당김부재와, 상기 당김부재의 일단이 회동된 때,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당김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당김부재와 손잡이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손잡이는 고정부에 상기 걸림부재가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전방에 상기 당김부재와 탄성부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일측이 덮개를 통하여 밀폐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일단에 상기 가스켓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돌출 되는 걸림쇠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당김부재의 일단에 설치된 힌지가 장착될 수 있도록 힌지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고정부가 고정되는 소정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요홈부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는, 소정부위에 훅크가 설치되어 상기 훅크를 통하여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고, 소정부위에 상기 당김부재의 타단에 설치된 힌지가 삽입될 수 있도록 ㄱ자형 힌지장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재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김부재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 구조는, 손잡이(20), 걸림부재(40), 당김부재(50) 및 탄성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20)는, 상기 도어(112)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20)에 상기 걸림부재(4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부(21)를 지니며, 전방에 상기 당김부재(50)와 탄성부재(6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2)의 일측에 덮개(30)를 통하여 밀폐되는 형상으로 상기 도어(112)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20)의 고정부(20')의 소정부위에 장착홈(23)이 형성되어 고정나사(23)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하여 상기 도어(112)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30)는, 소정부위에 상기 손잡이(2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훅크(31)가 형성되어 상기 훅크(31)를 통하여 상기 손잡이(20)의 일측에 장착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소정부위에 상기 당김부재(50)가 고정될 수 있는 ㄱ자형 힌지장착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40)는, 상기 도어(112)의 개, 폐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바 있는 상기 도어(112)에 설치된 가스켓(113)을 본체(111) 케비넷과의 접촉면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20)의 고정부(20')에 형성된 안내부(21)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4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방법으로, 상기 손잡이(20)의 안내부(21)에 가이드홈을 설치하고, 상기 걸림부재(40)의 상하에 비드를 설치하여 상기 비드가 상기 가이드홈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40)는, 일단에 상기 가스켓(113)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돌출 되는 걸림쇠(4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당김부재(50)의 일단에 설치된 힌지(53)가 장착될 수 있도록 힌지장착홈(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40)는, 상기 손잡이(20)의 고정부(20')가 고정나사(23')를 통하여 고정될 때, 상기 걸림부재(4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나사(23')를 통하여 고정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소정부위에 요홈부(42)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20)가 고정나사(23') 같은 체결수단을 통하여 고정되었을 때에도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당김부재(50)는, 상기 걸림부재(40)가 상기 손잡이(20)의 안내부(21)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일단에 상기 걸림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힌지장착홈(43)에 장착되는 힌지(53)가 형성되고, 일단이 회동될 수 있도록 타단에 힌지(5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20)의 수용홈(22)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당김부재(50)는, 상기 손잡이(20)의 일측에 고정되는 덮개(30)의 소정부위에 형성되는 힌지장착부(32)에 상기 당김부재(50)의 타단에 설치된 힌지(52)가 삽입되어 장착됨으로써, 상기 당김부재(50)가 인위적인 힘을 받아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당김부재(50)의 일측에 상기 탄성부재(60)가 접지 되어 이탈되지 못하도록 스프링안내부재(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60)는, 상기 걸림부재(40)가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당김부재(50)의 일단이 인위적인 힘에 의하여 회동되고, 상기 당김부재(50)에 인위적인 힘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당김부재(5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당김부재(50)와 상기 손잡이(20)의 덮개(30) 사이의 수용홈(2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 구조의 상세한 작동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 구조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가 도시된다.
사용자가 냉동고(100)의 수납공간부에 피수납물을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112)의 손잡이(20)에 형성된 수용홈(22)에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손잡이(20)의 수용홈(22)에 설치된 당김부재(50)에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당김부재(50)의 타단에 설치된 힌지(52)가 상기 손잡이(20)의 수용홈(22)의 일측에 고정된 덮개(30)의 소정부위에 형성된 힌지장착부(32)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장착됨으로써, 상기 당김부재(50)가 상기 수용홈(2) 내에서 힌지(52)를 중심축으로 상기 도어(112)의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당김부재(50)의 일단에 설치된 힌지(53)가 상기 걸림부재((40)의 타단에 형성된 힌지장착홈(43)에 삽입되어 장착됨으로써, 상기 당김부재(50)가 상기 타단에 설치된 힌지(52)를 중심 축으로 상기 도어(112)의 개방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걸림부재(40)도 상기 손잡이(20)의 안내부(21)에서 상기 도어(112)의 개방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20)의 고정부(20')에 형성된 장착홀(23)에 고정나사(23')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하여 상기 손잡이(20)가 상기 도어(112)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걸림부재(40)가 슬라이딩될 때, 상기 고정나사(23')에 의하여 간섭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재(40)의 소정부위에 요홈부(4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걸림부재(40)가 간섭됨이 없이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40)가 상기 손잡이(20)의 안내부(21)에서 상기 도어(112)의 개방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걸림부재(40)의 일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쇠(41)가 상기 가스켓(113)과 접속되어 상기 가스켓(113)을 본체(111)의 접촉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고(10)의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외부공기가 상기 가스켓(113)이 본체(111)의 접촉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틈세를 통하여 상기 냉동고(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냉동고(10) 내부의 압력차가 해소됨으로써, 상기 도어(112)가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0)에서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덮개(23)와 상기 당김부재(5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0)가 상술한 도어(112)의 개방시 움츠렸던 응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당김부재(50)가 상기 도어(112)의 폐쇄 방향으로 상기 힌지(52)를 중심 축으로 회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112)의 개방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당김부재(50)의 일단에 설치된 힌지(53)가 상기 걸림부재(40)의 타단에 형성된 힌지장착홈(43)에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걸림부재(40) 역시 상기 손잡이(20)의 안내부(21)에서 상기 도어(112)의 폐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어 상기 도어(112)가 폐쇄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 구조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냉동고(100)의 도어(112)를 짧은 시간에 연속해서 여러번 개방할 때 냉동고(100) 내부의 순간적인 압력차 때문에 발생되는 냉동고(100) 도어(112)의 개방의 어려움을 해소하여 상기 냉동고(100) 도어(112)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에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냉동고(100)의 수납공간부를 개, 폐하여 피수납물을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도록 도어(112)가 설치되는 냉동고(100)에 있어서, 상기 도어(112)의 측면에 고정되는 손잡이(20)와, 일단에서 가스켓(113)을 본체(111) 케비넷의 접촉면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상기 손잡이(20)이 고정부(20')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가스켓(113)에 결속되어 상기 도어(112)의 개, 폐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걸림부재(40)와, 상기 걸림부재(40)가 슬라이딩되도록 일단에서 걸림부재(40)의 타단에 힌지(53)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을 회동시키도록 타단에서 상기 손잡이(20)에 힌지(52)로 장착되어 인위적 힘을 받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당김부재(50)와, 상기 당김부재(50)의 일단이 회동된 때,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당김부재(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당김부재(50) 와 손잡이(2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는, 고정부(20)에 상기 걸림부재(40)가 삽입되어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안내부(21)가 형성되고, 전방에 상기 탄성부재(60)와 당김부재(5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22)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22)의 일측이 덮개(30)를 통하여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40)는, 일단에 상기 가스켓(113)에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걸림쇠(4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당김부재(50)의 일단에 설치된 힌지(53)가 장착될 수 있도록 힌지장착홈(43)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0)의 고정부(20')가 고정되는 소정위치에 대응하는 소정부위에 요홈부(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0)는, 소정부위에 훅크(31)가 설치되어 상기 훅크(31)를 통하여 상기 손잡이(20)에 고정되고, 소정부위에 상기 당김부재(50)의 타단에 설치된 힌지(52)가 장착될 수 있도록 ㄱ자형 힌지장착부(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 구조.
KR1019970042641A 1997-08-29 1997-08-29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구조 KR19990019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641A KR19990019281A (ko) 1997-08-29 1997-08-29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641A KR19990019281A (ko) 1997-08-29 1997-08-29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281A true KR19990019281A (ko) 1999-03-15

Family

ID=6603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641A KR19990019281A (ko) 1997-08-29 1997-08-29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2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346B1 (ko)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구조
KR102218309B1 (ko) 냉장고
US7555815B2 (en) Door hinge arrangement
KR102196314B1 (ko) 냉장고
KR20050072617A (ko) 냉장고
US10197327B2 (en) Refrigerator and basket assembly thereof
US20180010845A1 (en) Refrigerator
KR101758284B1 (ko) 냉장고
CN114072625A (zh) 抽屉前板可自动打开的冰箱电器
US20200024878A1 (en) Refrigerator provided with door opening/closing device
US9841222B2 (en) Refrigerator
KR101154901B1 (ko) 김치냉장고
KR19990019281A (ko)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구조
KR100781601B1 (ko) 냉장고 도어의 자동닫힘 장치
KR20200058700A (ko) 냉장고
KR19990019279A (ko)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구조
KR0165019B1 (ko) 냉장고의 도어로킹장치
KR19990056255A (ko)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 구조
KR19990019278A (ko)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구조
KR19990019290A (ko) 냉동고 도어의 용이 개방구조
KR20070064886A (ko) 냉장고 도어 밀착구조
KR100228849B1 (ko) 냉장고의 상하 도어 고정장치
KR100245926B1 (ko) 다단계 자동 닫힘 도어
KR200328250Y1 (ko) 홈바용 도어의 링크 개폐장치
KR100242571B1 (ko) 냉장고의 특선실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