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912U - Audio system with housing - Google Patents

Audio system with hou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912U
KR19990018912U KR2019970032218U KR19970032218U KR19990018912U KR 19990018912 U KR19990018912 U KR 19990018912U KR 2019970032218 U KR2019970032218 U KR 2019970032218U KR 19970032218 U KR19970032218 U KR 19970032218U KR 19990018912 U KR19990018912 U KR 199900189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ystem
audio
accessory
main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21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어윤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2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912U/en
Publication of KR199900189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912U/en

Link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부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오디오 시스템의 고유 기능외에 마이크나 헤드폰 및 리모컨이나 크리너 등과 같은 엑서서리를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system having an accommodating unit, and in the related art, a problem arises in that an accessory such as a microphone, a headphone, a remote controller, a cleaner, and the like can be stored in addition to an inherent function of the audio system.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오디오 본체(20)의 아랫부분에 수납함(40)이 형성되어 리모컨이나 헤드폰과 같은 엑서서리(50)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x 40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audio main body 20, so that the accessory 50 such as a remote controller or a headphone can be easily stored.

Description

수납부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Audio system with housing

본 고안은 수납부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모컨이나 헤드폰과 같은 엑서서리를 보다 찾기쉽고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system having an accommodating par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dio system having an accommodating part for storing an accessory such as a remote controller or a headphone more easily and easily.

일반적으로 오디오 시스템(Audio System)은 레코드(LP)나 컴팩트 디스크(CD) 등의 음성신호를 읽은 후, 스피커 유닛을 통해 출력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오디오 시스템은 튜너(Tuner),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 Player), 데크(Deck) 및 엠프(AMP) 등이 각각 분리된 형태의 컴포넌트(Componunt)와 각각이 모두 하나로 통합된 뮤직센터(Music Center)로 구별된다.In general, an audio system reads a voice signal such as a record LP or a compact disc and outputs it through a speaker unit. Such an audio system is a tuner or a compact disc player. Players, decks, and AMPs are divided into separate components (Componunt) and music centers, all of which are integrated into one.

이러한 오디오 시스템의 출력과정을 살펴 보면,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나 튜너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이퀄라이저를 통해 사용자가 음성신호의 주파수를 영역을 조정한 상태에서 엠프에 의해 증폭되고, 그리고 앰프와 연결된 스피커 유닛을 통해 대략 70~20KHz의 주파수 대역의 음이 출력되며, 이 주파수 대역은 기종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Looking at the output of such an audio system,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compact disc player or tuner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while the user adjusts the frequency of the audio signal through the equalizer, and the speaker unit connected to the amplifier. Through the sound of the frequency band of approximately 70 ~ 20KHz is output, this frequency band will vary depending on the model.

한편, 이와 같은 오디오 시스템에는 본체와 스피커 유닛외에 헤드폰, 마이크, 크리너와 사용 설명서 등이 부수적으로 구비되어 필요할 때마다 사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uch an audio system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headphones, a microphone, a cleaner and a user manual in addition to the main body and the speaker unit, and is used whenever necessary.

이와 같은 종래의 오디오 시스템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2)의 아랫부분에 카세트 데크(3)가 설치되며, 이 카세트 데크(3)의 윗부분에는 디스플레이부(4)가 구비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의 상부에는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5)가 설치된다.In this conventional audio system, as shown in FIG. 1, a cassette deck 3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 and a display portion 4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assette deck 3. At the top of the unit 4, a compact disc player 5 is installed.

한편, 디스플레이부(4)에는 이퀄라이저와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5)를 조작할 수 있도록 윈도우와 여러 노브 및 로크 스위치 등이 설치되어 오디오 시스템(1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unit 4 is provided with a window, various knobs and lock switches and the like to operate the equalizer and the compact disc player 5 to display the operating state of the audio system 10.

따라서, 이와 같은 오디오 시스템(1)은 그 주된 기능인 음의 재생, 즉, 컴팩트 디스크나 카세트 테이프, 그리고 튜너를 통한 라디오 방송 등의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녹음하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Accordingly, the audio system 1 provides a user with a function of reproducing sound, that is, its main function, that is, outputting or recording sound such as a compact disc or a cassette tape, and a radio broadcast through a tuner.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오디오 시스템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 시스템(1)의 고유 기능외에 마이크나 헤드폰 및 리모컨이나 크리너 등과 같은 엑서서리(5)를 보관할 수 있는 수납함이 구비되어 못하므로 이러한 엑서서리(5)를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udio system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 is not provided with a storage box for storing an accessory 5 such as a microphone or a headphone and a remote control or a cleaner, in addition to the inherent functions of the audio system 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ss of this accessory (5).

즉, 오디오 시스템의 경우에는 오디오 본체와 스피커 유닛외에 리모컨이나 사용설명서 등이 부수적으로 포함되며, 또한 대부분의 사용자는 헤드폰이나 마이크 등을 추가로 구입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엑서서리(5)는 빈번히 사용되는 물품이 아니므로 한 장소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오디오 본체에는 그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다른 장소에 분산 보관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용자는 이러한 엑서서리(5) 등을 분실하거나, 또는 필요시 급하게 찾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다.That is, in the case of an audio system, a remote controller or a user manual is additionally included in addition to the audio main body and a speaker unit, and most users additionally purchase headphones or a microphone. At this time, since the accessory 5 is not frequently used, it is preferable to store it in one place, but since the storage space is not provided in the audio main body, it is distributed and stored in another place. Therefore, most users have lost the accessory 5 or the like, or have been inconvenient to find it urgently when needed.

한편, 이러한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장식장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어느정도 엑서서리(5)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으나, 고가의 장식장으로 인해 사용자가 별도의 비용을 지출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On the other hand, when provided with a decorative cabinet to solve this inconvenience can prevent the loss of the accessory (5) to some extent, the user has to spend a separate cost due to the expensive decorative cabinet.

특히, 소형화되는 미니 콤퍼넌트의 경우에는 제품의 특성상 장식장을 대부분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 각종 엑서서리(5)를 분실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iniature components to be miniaturized, because most of the decorative cabinet is not us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in this case, various accessories 5 are frequently lost.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오디오 본체의 아랫부분에 수납함을 구비하여 오디오 시스템과 관련된 각종 엑서서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rage box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udio main body having a housing that can accommodate various accessories related to the audio system To provide a system.

도 1은 종래의 오디오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udio system,

도 2는 본 고안의 오디오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dio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20; 오디오 본체 21; 카세트 데크20; Audio main body 21; Cassette deck

22; 디스플레이부 23;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22; A display unit 23; Compact disc player

30; 수납도어 31; 로크 스위치30; Storage door 31; Lock switch

40; 수납함 50; 엑서서리40; Storage box 50; Accessorie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납부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은 오디오 본체의 하단부에 수납도어가 설치되고, 이 수납도어의 안쪽 방향에는 수납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udio system having a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door is installed in the lower end of the audio body, the storage box is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torage door.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수납부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one preferred embodiment of an audio system having a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상태도로서 수납부가 열려진 상태의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dio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n state of the receiving portion as an operating state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 본체(20)의 아랫부분에는 카세트 데크(21)가 설치되고, 이 카세트 데크(21)의 윗부분에는 디스플레이부(22)가 구비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2)의 상부에는 컴팩트 디스크의 정보를 재생하는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23)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a cassette deck 21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udio main body 20, and a display portion 22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sette deck 21. At the top of the display unit 22, a compact disc player 23 for reproducing information of the compact disc is provided.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2)에는 여러개의 노브 및 로크 스위치(31)와 윈도우 등이 설치되어 이퀄라이저와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23)를 조작할 수 있도록 윈도우와 여러 노브 및 로크 스위치(31) 등이 설치되고, 또한 오디오 시스템(1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게 된다.The display unit 2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nobs and lock switches 31, windows, and the like, so as to operate the equalizer and the compact disc player 23, windows, various knobs and lock switches 31, etc. are installed. In additi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audio system 10 is displayed.

한편, 상기한 오디오 본체(20)는 하단부, 즉 카세트 데크(21)의 아랫부분에 수납도어(30)가 설치되고, 이 수납도어(30)의 윗부분 안쪽에는 원터치 방식의 로크 스위치(31)가 설치된다. 즉, 이러한 원터치 방식의 로크 스위치(31)는 사용자가 수납도어(30)를 한 번 누르면 오픈되고, 수납도어(30)를 다시 눌러주면 클로즈 된다. 그리고 수납도어(30)의 안쪽 방향에는 수납함(40)이 형성되어 각종 엑서서리(50)의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udio main body 20 has a storage door 3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cassette deck 21, the lock switch 31 of the one-touch type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door (30) Is installed. That is, the one-touch lock switch 31 is opened by the user pressing the storage door 30 once, and closed by pressing the storage door 30 again. In addition, the storage box 40 is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storage door 30 to allow the storage of various accessories 5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사용자가 오디오 시스템(10)의 전원 로크 스위치(31)를 눌러 오디오 시스템(10)에 전원이 공급되면, 사용자는 오디오 시스템(10)을 통해 원하는 음을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즉, 컴팩트 디스크나 카세트 테이프 또는 튜너 등을 통해 원하는 사운드를 청취하거나 녹음하게 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power lock switch 31 of the audio system 10 and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audio system 10, the user can reproduce and listen to a desired sound through the audio system 10. That is, the user may listen to or record a desired sound through a compact disc, a cassette tape or a tuner.

이러한 오디오 시스템(10)은 단순히 스피커 유닛을 통해 음을 청취하는 것 외에 헤드폰이나 마이크와 같은 부수적인 엑서서리(50) 등을 사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오디오 시스템(10)을 사용하게 된다.In addition to simply listening to the sound through the speaker unit, the audio system 10 uses the accessory accessory 50 such as headphones or a microphone to use the audio system 10 more conveniently.

한편, 헤드폰이나 마이크, 또는 리모컨과 같은 엑서서리(50)를 사용한 후에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 본체(20)의 아랫부분에 마련된 수납함(40)을 통해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즉, 수납도어(30)를 오픈시킨후 수납함(40)에 여러가지의 엑서서리(50)를 넣어 보관하므로 리모컨이나 헤드폰 등의 엑서서리(50)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using the accessory 50, such as a headphone, a microphone, or a remote control, as shown in Figure 3 it can be easily stored through the storage box 4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udio main body 20. That is, after opening the storage door 30 and put the various accessories (50) in the storage box 40, it is possible to easily store the accessories (50), such as a remote control or headphones.

더욱이, 수납함(40)에 보관된 엑서서리(50)는 오디오 시스템(10)과 관련된 엑서서리(50)를 보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다음에 엑서서리(50)를 다시 사용할 때는 수납도어(30)를 오픈시키므로 보관된 리모컨과 같은 엑서서리(50)를 간편히 꺼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the accessory 50 stored in the storage box 40 stores the accessory 50 associated with the audio system 10 so that the user may use the storage door 30 the next time the user uses the accessory 50 again. Since open, the accessory 50, such as a stored remote control can be easily taken out.

또한, 이와 같은 수납함(40)은 장식장이 사용되지 않은 미니 콤퍼넌트와 같은 오디오 시스템(10)의 경우에 더욱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장식장의 사용이 불편한 미니 콤퍼넌트는 저면에 수납함(40)이 구비되므로 리모컨이나 헤드폰 등의 엑서서리(50)를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uch a box 40 may be more usefully applied to the case of the audio system 10, such as a mini-component without a cabinet. That is, the mini-component,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the cabinet, is provided with a storage box 40 on the bottom thereof, so that the accessory 50 such as a remote controller or headphones can be conveniently stored.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미니 콤퍼넌트외에 각종 오디오 시스템 등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merely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d can be changed appropriately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for example mini-component In addition, it can be widely applied to various audio systems.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오디오 본체의 아랫부분에 수납도어가 형성되고, 이 수납도어의 안쪽방향에는 수납함이 형성되어 리모컨이나 헤드폰과 같은 엑서서리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납함이 구비된 오디오 본체는 리모컨이나 헤드폰과 같은 엑서서리를 찾기 쉽게 보관하면서 이러한 엑서서리의 분실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door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udio main body, and a storage box is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storage door to store accessories such as a remote control or a headphone. Therefore, the audio main body provided with the storage box has a very useful effect of preventing the loss or damage of such accessories while keeping the accessories such as a remote control or a headphone easy to find.

Claims (1)

카세트 데크,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튜너, 엠프, 이퀄라이저 등의 여러 기기들이 구비되는 오디오 본체에 있어서,In an audio main body equipped with various devices such as a cassette deck, a compact disc player, a tuner, an amplifier, an equalizer, 상기 오디오 본체(20)는 하단부에 수납도어(30)가 설치되고, 이 수납도어(30)의 안쪽 방향에는 수납함(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부를 갖는 오디오 시스템.The audio main body (20) has a storage do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door 3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the storage box (40) is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storage door (30).
KR2019970032218U 1997-11-14 1997-11-14 Audio system with housing KR1999001891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218U KR19990018912U (en) 1997-11-14 1997-11-14 Audio system with ho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218U KR19990018912U (en) 1997-11-14 1997-11-14 Audio system with hous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912U true KR19990018912U (en) 1999-06-05

Family

ID=6967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218U KR19990018912U (en) 1997-11-14 1997-11-14 Audio system with hou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912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65394A (en) Video-audio apparatus with foldable plane screen
US7043044B2 (en) Portable audio player
KR19990018912U (en) Audio system with housing
KR200158102Y1 (en) A remote controller keeping device of table for speaker unit
KR19990018910U (en) Microphone unit of audio system
KR19990017114U (en) Remote control storage unit of the table for the speaker unit
JPH03150998A (en) Earphone housing type portable player
GB2098821A (en) Radio receiver
KR19990018913U (en) Speaker unit
JP2975851B2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audio equipment
KR200193906Y1 (en) Case for compact disk
KR200175530Y1 (en) A clock recording the sound of the voice
KR19990017117U (en) Earphone storage in mini cassette
JP2502086Y2 (en) Sound reproduction device
JPH11152144A (en) Handl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0233536Y1 (en) Radio Frequency transfer
US20040264334A1 (en) Digital recorder with amplifier
JPH0728616Y2 (en) Cassette tape recorder
JP2002015521A (en) Disk-reproducing device
KR19990013945U (en) Adapter for earphone
KR19990017113U (en) Remote control storage device for cabinets for audio systems
KR19990039251A (en) Digital sound reproduction device
JPH06215547A (en) Audio/visual device
JP2000040351A (en) Portable sound reproducing device
KR19990013938U (en) Wired remote controller lighting device for mini casset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