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753U - Cooker Spatula - Google Patents

Cooker Spatul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753U
KR19990018753U KR2019970032043U KR19970032043U KR19990018753U KR 19990018753 U KR19990018753 U KR 19990018753U KR 2019970032043 U KR2019970032043 U KR 2019970032043U KR 19970032043 U KR19970032043 U KR 19970032043U KR 19990018753 U KR19990018753 U KR 199900187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ater
spatula
amount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04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32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753U/en
Publication of KR199900187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753U/en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기용 주걱에 관한 것으로, 밥을 퍼올리는 용도 이외에 물(W)의 양을 계량할 수 있는 표시눈금(13,13')을 구비하여 보다 용이하게 물(W)의 양을 맞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밥이 퍼올려지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12)와, 상기 몸체(1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재료의 종류에 따라 조리용 물(W)의 양을 계량할 수 있도록 된 표시눈금(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tula for a cooker, and is provided with indicator scales (13, 13 ') that can measure the amount of water (W) in addition to the use of rice, to more easily adjust the amount of water (W). It would be.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rice is spread body 11, the handle 12 i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on one side of the body 11 so that the user can hold by the hand, the surface of the body 1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y scale 12 formed in the to be able to measure the amount of the cooking water (W) according to the type of material.

Description

조리기용 주걱Cooker Spatula

본 고안은 주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밥을 하기 위한 물량을 정확하게 계량할 수 있도록 표시눈금을 구비한 조리기용 주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tula,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atula for a cooker having a marking scale so as to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water for cooking.

일반적으로 밥을 맛있게 하기 위해서는 쌀의 질, 물의 양, 가열 온도 및 시간, 뜸들이기 온도 및 시간 등 여러 가지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그 중에서도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이다.In general, in order to make rice delicious, various conditions such as rice quality, amount of water,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steaming temperature and time must be satisfied. Among them,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is one of very important conditions.

종래에는 취반시에 물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순전히 조리하는 사람의 경험에 의존하였다. 이와 같이, 쌀의 종류나 품질에 관계없이 물량을 맞춤에 있어 단순히 조리하는 사람의 경험에 의존하기 때문에 쌀의 종류나 품질이 달라짐에 따라 완성된 밥의 찰기나 맛이 크게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past,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at the time of cooking depended purely on the cook's experience. As such, regardless of the type or quality of the rice,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the person who cooks simply to adjust the quanti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ickiness and taste of the finished rice is greatly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r quality of the rice.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 내부 벽면에 눈금(2)을 형성하여 물(W)의 양을 맞추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오븐(1) 내부 벽면에 눈금(2)을 형성하여 물(W)의 양을 맞추도록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 a scale 2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oven 1 so as to match the amount of water (W). However, to form a scale (2)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oven (1) as described above to meet the amount of water (W)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오븐(1) 벽면에 눈금(2)을 인쇄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오븐(1) 표면에 1차코팅을 하고, 상기 1차코팅면 상에 눈금(2)을 인쇄한다. 그리고 상기 눈금(2)을 보호하기 위해상기 눈금(2)을 덮도록 2차코팅을 한다. 이와 같이 눈금(2)의 형성을 위해 여러 가지 작업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그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First, printing the scale 2 on the wall of the oven 1 has a costly problem. That is, the primary coating i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oven 1, and the scale 2 is printed on the primary coating surface. In order to protect the scale 2, the secondary coating is performed to cover the scale 2. In this way, since the various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for the formation of the scale 2, the cost is high.

그리고, 눈금(2)이 오븐(1)의 내부 벽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기가 힘들고 정확한 계측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도 있다. 즉, 눈금(2)이 벽면에 형성되어 있어 사람이 몸을 낮추어야만 확인이 가능하고, 또 쌀(R)을 아무리 깨끗하게 씻더라도 밥물은 맑지 않고 불투명하기 때문에 눈금(2)을 정확하게 볼 수 없기 때문이다.In addition, since the scale 2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oven 1, it is difficult to see and accurate measurement is not possible. That is, since the scale (2) is formed on the wall, it is possible to check only when the person lowers the body, and the scale (2) cannot be seen accurately because the rice is not clear and opaque, no matter how clean the rice (R) is. to be.

또한 밥솥 전체가 약간 기울어져 오븐(1)이 정확한 평면상에 있지 않게 되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없어 물(W)의 양의 차이가 생기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가 발생하는 이유는 상기 오븐(1)의 양측 벽면을 사용자가 한눈에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고, 설사 사용자가 양측 벽면을 모두 확인하더라도 벽면 전체에 눈금(2)이 연속적으로 표시되어 있지 않으면, 오븐(1)이 기울어진 것을 찾아 낼 것이 없기 때문이다. 특히 이와 같이 오븐(1)이 기울어져 물(W)의 양의 차이가 생기는 경우에는 그 오차가 더욱 크게 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entire cooker is slightly inclined so that the oven 1 is not on the correct plane, the user may not recognize this, and thu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water W may occur. This occurs because the user can not see both sides of the wall of the oven at a glance, even if the user checks both sides of the wall, if the scale (2) is not continuously displayed on the entire wall This is because there is nothing to find that the oven 1 is inclined. In particular, when the oven 1 is inclin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water W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rror becomes larger.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밥을 퍼올릴 수 있는 주걱의 용도를 다양화하여 사용자가 한눈에 취반을 위한 물의 양을 정확하게 계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diversify the use of the spatula to spread the rice so that the user can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water for cooking at a glance.

도 1은 종래에 일반적인 밥솥의 오븐에 쌀과 물을 넣어 취반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rice and water in a conventional rice cooker oven.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기용 주걱의 형상을 보인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spatula for a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기용 주걱을 사용하여 물의 양을 개량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Figure 3 is a use state showing the improvement of the amount of water using a spatula for a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주걱11 : 몸체10: spatula 11: body

12 : 손잡이13, 13' : 표시눈금12: knob 13, 13 ': display scale

20 ; 오븐W : 물20; Oven W: Water

R : 쌀R: Ric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밥이 퍼올려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와, 상기 몸체의 표면에 형성되어 재료의 종류에 따라 조리용 물의 양을 계량할 수 있도록 된 표시눈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용 주걱이 제공된다.Body to which rice is spread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i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on one side of the body to be held by the user, and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of the material There is provided a spatula for a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play scale that can measure the amount of cooking water according to the typ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기용 주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patula for a coo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기용 주걱의 형상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기용 주걱을 사용하여 물의 양을 개량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이다.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cooker spatu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cooker spatu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amount of water.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주걱(10)은 크게 몸체(11)와 손잡이(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1)에 표시눈금(13,13')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patula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a body 11 and a handle 12, and the display scales 13 and 13 ′ are formed on the body 11.

상기 몸체(11)는 밥을 퍼올리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몸체(11)는 되도록 많은 양의 밥을 퍼올릴 수 있도록 중앙부가 약간 움푹하게 들어가고 외주부가 상대적으로 올라온 형상이다. 그리고 몸체(11)의 끝단은 몸체(11)의 다른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되어 오븐(20) 바닥에 붙어 있는 밥까지 완전히 퍼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body 11 serves to spread rice, and is made of a plate. The body 11 has a shape in which the center portion is slightly recessed and the outer circumference portion is relatively raised to spread as much rice as possible. And the end of the body 11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other parts of the body 11 is configured to completely lift up to the ric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oven (20).

상기 손잡이(12)는 상기 몸체(11)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부분이다. 이와 같은 손잡이(12)의 끝단에는 보관을 위해 주걱(10)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걸기공(12H)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handle 12 is formed integrally extending on one side of the body 11 so that the user can hold by hand. At the end of such a handle 12 may be formed hanging hole (12H) to hang the spatula (10) for storage.

상기 몸체(11)에는 조리의 종류에 따라 물(W)의 양을 계량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눈금(13,1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표시눈금(13,13')은 상기 몸체(11)의 표면이나 이면 또는 표면과 이면 전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시눈금(13,13')은 쌀(R)의 종류나 조리의 종류에 따라 달리 형성할 수 있다. 즉, 백미로 밥을 하는 경우와, 현미로 밥을 하는 경우 그리고 잡곡을 섞어 밥을 하는 경우에 각각 진밥, 보통밥, 된밥으로 나누어 각각 표시눈금(13,13')을 형성하고, 또 죽을 하는 경우에 필요한 표시눈금을 따로 형성할 수 있다.The body 11 is provided with display scales 13 and 13 'for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W according to the type of cooking. Such display scales 13 and 13 ′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r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11 or the entire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The display scales 13 and 13 ′ may b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rice R or the type of cooking. That is, when rice is cooked with white rice, when rice is cooked with brown rice, and when mixed with grains, rice is divided into jinbap, common rice, and pork rice to form marking scales (13, 13 ') and die. In this case, the required display scale can be formed separately.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주걱을 사용하는 것을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use of the spatula of this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먼저, 오븐(20)내에 쌀(R)을 투입하고 상기 주걱(10)의 끝부분을 쌀표면에 세운 상태로 물(W)을 오븐(20)내로 공급한다. 이때, 쌀(R)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표시눈금(13,13')을 사용하게 된다. 즉, 백미로 밥을 하는 경우에는 백미라고 표시된 표시눈금(13)에 맞추어 물(W)의 양을 계량하고, 현미로 밥을 하는 경우에는 현미라고 표시된 표시눈금(13')에 맞추어 물(W)의 양을 계량하면 된다. 즉, 백미를 사용하여 진밥을 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백미에 해당되는 표시눈금(13)중 가장 상부에 표시된 진밥 표시눈금까지 오븐(20)내에 물(W)을 채워주면되고, 보통밥을 원하는 경우에는 중간에 표시된 보통밥 표시눈금까지 물(W)을 채워주면된다.First, rice (R) is introduced into the oven 20 and water (W) is supplied into the oven 20 with the end portion of the spatula 10 standing on the rice surface. At this time, the display scales 13 and 13 'required according to the type of rice R are used. That is, when cooking with white rice, the amount of water (W) i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scale (13) indicated as white rice, and when cooking with brown rice, water (W)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play scale (13 ') indicated as brown rice. ) Can be measured. 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use the rice to make Jinbap, you can fill the water (W) in the oven 20 to the Jinbap display scale displayed at the top of the display scale 13 corresponding to white rice, if you want ordinary rice Fill the water (W) up to the regular rice marking scale displayed in the middle.

그리고 현미를 사용하여 진밥, 보통밥 또는 된밥을 하는 경우에는 현미에 해당되는 각각의 표시눈금(13')에 맞추어 오븐(20) 내에 물(W)을 투입하여 주면 된다. 또한 도면으로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죽을 하는 경우에는 죽에 맞는 표시눈금까지 물을 채워 주면 된다.And when the rice, jinbap, ordinary rice or doenbap using brown rice, water (W) is put into the oven 20 in accordance with the respective display scale (13 ') corresponding to brown ric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f you die, you can fill the water up to the marking scale for the porridge.

상기와 같이 하여 조리에 필요한 물(W)의 양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투입하고나면 밥솥의 뚜껑을 닫고 취반을 진행하면 된다.After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W) required for cooking exactly as described above, close the lid of the rice cooker and proceed with cooking.

한편, 상기와 같이 주걱(10)에 표시된 표시눈금(!3,13')을 사용하여 물(W)의 양을 맞추게 되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볼 수 있는 위치로 주걱(10)을 옮겨 가면서 물(W)의 양을 계량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물(W)의 양을 맞출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주걱(10)을 사용하게 되면 종래에 단순히 밥을 푸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주걱(10)을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밥솥에 별도로 표시눈금을 형성하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using the display scale (! 3, 13 ') displayed on the spatula 10 as described above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W) while moving the spatula (10) to a position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see the water ( Since the amount of W) can be measured,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adjust the amount of water (W). In addition, when the spatula 10 is us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use the spatula 10, which is conventionally merely used to loosen rice, for more various purposes, and to prevent waste of forming a display scale separately in a rice cooker.

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주걱은 주걱의 몸체에 조리의 종류나 쌀의 종류, 그리고 원하는 밥의 상태에 따라 물의 양을 계량할 수 있는 표시눈금을 형성하였으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정확한 물의 양을 계량할 수 있게 되어 숙련된 사람이 아니라도 원하는 상태의 밥과 조리를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spatu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in the right, has formed a marking scale on the body of the spatula to measure the amount of water according to the type of cooking, the type of rice, and the desired state of rice. Being able to measure the amount of water, even if you are not an experienced person can cook and cook the desired state.

Claims (1)

밥이 퍼올려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와, 상기 몸체의 표면에 형성되어 재료의 종류에 따라 조리용 물의 양을 계량할 수 있도록 된 표시눈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용 주걱.Body to which rice is spread, a handle which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to be held by the user, and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to measure the amount of cooking water according to the type of material A spatula for a coo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rked indication scale.
KR2019970032043U 1997-11-14 1997-11-14 Cooker Spatula KR1999001875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043U KR19990018753U (en) 1997-11-14 1997-11-14 Cooker Spatul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043U KR19990018753U (en) 1997-11-14 1997-11-14 Cooker Spatul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753U true KR19990018753U (en) 1999-06-05

Family

ID=6969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043U KR19990018753U (en) 1997-11-14 1997-11-14 Cooker Spatul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753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6365A (en) Temperature indicator
US20070095215A1 (en) Pan with temperature displaying
KR19990018753U (en) Cooker Spatula
KR100235430B1 (en) Measuring cup in the rice cooker
JP5517581B2 (en) Rice cooker with inner pot of rice cooker and inner pot of this rice cooker
JPH10267728A (en) Rice measuring cup
AU2018100479A4 (en) Pan with measuring marks
KR20010086429A (en) Fryfan using discoloration paints
CN205923708U (en) Interior pot and culinary art device that has it
KR200290716Y1 (en) Time indicator of convenience food vessel
CN207768075U (en) Interior pot and cooker with it
JP2001095689A (en) Rice-cooking assisting utensil
JPH079215U (en) Rice cooker, pan water meter
KR200206824Y1 (en) Indicator apparatus of mixing material for cooker
KR200409246Y1 (en) Ruler of electrical pressure cooker
KR200165203Y1 (en) Noodle cooking pot
KR200257757Y1 (en) Kitchen utensil for weighing
KR19990001247U (en) Inner container for electric rice cooker
KR200348570Y1 (en) Cooking instrument having water level indicator
JP5904871B2 (en) Electric cooker and pot for cooking pot used in the electric cooker
KR20020059272A (en) An improved noodle pack to adjust a necessary amount of water in cooking noodle
CN213371353U (en) Glass inner container and steam rice cooker
JP2011106865A (en) Measuring cup and rice cooker
JPH0434429Y2 (en)
CN209826251U (en) Pan and cook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