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386A -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 - Google Patents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386A
KR19990017386A KR1019970040300A KR19970040300A KR19990017386A KR 19990017386 A KR19990017386 A KR 19990017386A KR 1019970040300 A KR1019970040300 A KR 1019970040300A KR 19970040300 A KR19970040300 A KR 19970040300A KR 19990017386 A KR19990017386 A KR 19990017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voltage
gas
microcomputer
stroke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경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40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386A/ko
Publication of KR1999001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386A/ko

Links

Landscapes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 단일범위로 설정되었던 염전압감지범위를 가스소비량에 따라서 다수의 염전압범위로 설정함으로서 저가스소비영역에서 발생되던 순간적인 교란현상에 의한 보일러의 오작동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은, 전체 행정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26)과,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10)와, 버너(28)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밸브(4)와 버너(28)에서의 착화상태를 감지하는 염전압감지부(12)를 포함하는 가스보일러에 있어서, 연소행정이 수행되는 가를 마이컴(26)에서 인식하는 제1단계; 연소행정이 수행되면 현재의 연소상태가 가스압조정을 위한 최소연소상태인가를 마이컴(26)에서 감지하는 제2단계; 최소연소상태이면 염전압재설정을 중지하고 정상연소를 수행하고 최소연소상태가 아니면 가스소비량에 따른 염전압을 마이컴(26)에서 재설정하는 제3단계; 및 재설정된 염전압을 사용하여 염전압감지행정을 수행하는 제4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
본 발명은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 단일범위로 설정되었던 염전압감지범위를 가스소비량에 따라서 다수의 염전압범위로 설정함으로서 저가스소비영역에서 발생되던 순간적인 교란현상에 의한 보일러의 오작동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스보일러는 청정연료인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공해발생물질이 감소하여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취급이 용이하기 때문에 점차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 사용되는 가스보일러의 개략적인 구성도와 블록회로도로서 통상적으로 실내난방을 수행하는 난방모드와 욕실이나 싱크대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모드를 가지고 있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여 작동상태를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보일러는 가스밸브(4)를 제어하여 버너(28)에 소정량의 가스를 공급하면서 버너(28)에서 착화,연소시키고 이 때 발생되는 고온의 열기를 이용하는 장치이다. 버너(28)에서의 착화는 가스가 공급된 후에 이그나이터(22)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이때 발생되는 불꽃에 의하여 가스에 착화시킨다. 착화에 의하여 발생된 고온의 열기는 상승하면서 버너(28)의 상부측에 설치된 열교환기(30)를 가열한다. 착화상태의 감지는 염전압감지부(12)에서 감지하여 마이컴(26)에 착화상태데이타를 전송하여 감지한다. 열교환기(30) 내부에는 난방수와 직수가 각각 흐르고 있다. 직수는 직수공급관(2a)을 통하여 유입된 후에 열교환기(30)를 통과하면서 난방수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수온이 승온된 후에 직수공급관(2a)의 타단부를 통하여 토출된다.
한편, 난방수는 공급관(38)을 통과하여 실내에 설치된 배관(미도시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삼방변(36)에 의하여 물탱크(34)나 순환펌프(20)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된다. 실내에 설치된 난방배관을 통과하면서 열을 빼앗기고 온도가 하강된 난방수는 물탱크(34)로 유입된다. 물탱크(34)는 난방환수의 임시저장소이며 또한 부족한 난방수를 보충하기 위한 자동보충수밸브(18)와 연결되어 있다. 자동보충수밸브(18)는 직수공급관(2a)과 연결되어서 물탱크(34)에 물이 부족한 경우에 물을 보충한다. 물탱크(34)에 유입된 난방수는 다시 삼방변(36)-순환펌프(20)-환수관(40)을 통과한 후에 열교환기(30)로 유입되어서 승온된 후에 공급관(38)을 통하여 순환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일러에서는 버너(28)에서의 착화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버너(28)의 일측면에 불꽃의 연소상태에 따라서 변화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연소상태를 판단하는 염전압감지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염전압감지부(12)는 불꽃에 직접 접촉되는 로드형이거나 또는 불꽃의 색상을 감지하여 상태를 판단하는 적외선센서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염전압감지부(12)에서는 정상연소상태의 감지범위가 0.3∼4.7V까지로 매우 넓게 설정되어 있으며 이영역에 염전압이 존재하면 무조건 정상적인 동작상태로 인식하고 이 영역을 벗어나면 오동작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역풍이나 순풍에 의한 배기폐쇄동작이 불필요한 경우에도 소화행정이 발생되어서 보일러의 작동상태가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가스소비량이 적은 저가스소비영역에서의 염전압은 통상 4.5V 이상인데 이 때 외부에서 약간의 역풍이 유입되어도 염전압이 소화염전압인 4.7V를 초과하기 때문에 보일러가 소화된다. 이렇게 보일러가 소화되면 사용자에 의하여 다시 점화되기 까지는 난방이 안되기 때문에 불편을 초래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단일범위로 설정되었던 염전압감지범위를 가스소비량에 따라서 다수의 염전압범위로 설정함으로서 저가스소비영역에서 발생되던 순간적인 교란현상에 의한 보일러의 오작동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은, 전체 행정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26)과,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10)와, 버너(28)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밸브(4)와 버너(28)에서의 착화상태를 감지하는 염전압감지부(12)를 포함하는 가스보일러에 있어서, 연소행정이 수행되는 가를 마이컴(26)에서 인식하는 제1단계; 연소행정이 수행되면 현재의 연소상태가 가스압조정을 위한 최소연소상태인가를 마이컴(26)에서 감지하는 제2단계; 최소연소상태이면 염전압재설정을 중지하고 정상연소를 수행하고 최소연소상태가 아니면 가스소비량에 따른 염전압을 마이컴(26)에서 재설정하는 제3단계; 및 재설정된 염전압을 사용하여 염전압감지행정을 수행하는 제4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가스보일러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가스보일러의 개략적인 블록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플로우스위치, 4 : 가스밸브,
6 : 팬회전수감지부, 8 : 수위감지부,
10: 온도감지부, 12: 염전압감지부,
14: 배기팬, 16: 전원공급부,
18: 자동보충수밸브, 20: 순환펌프,
22: 이그나이터, 24: 룸콘,
26: 마이컴, 28: 버너,
30: 열교환기, 32: 배기후드,
34: 물탱크, 36: 삼방변,
38: 환수관, 40: 공급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방법은 가스보일러 버너에서의 연소상태를 파악하여 배기폐쇄를 수행하는 염전압을 가스소비량에 따라서 재설정함으로서 낮은 가스소비영역에서 자주 발생되던 보일러의 오동작을 감소시켜 원활하게 보일러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 : 연소행정이 수행되는 가를 마이컴(26)에서 인식하는 제1단계; 연소행정이 수행되면 현재의 연소상태가 가스압조정을 위한 최소연소상태인가를 마이컴(26)에서 감지하는 제2단계; 최소연소상태이면 염전압재설정을 중지하고 정상연소를 수행하고 최소연소상태가 아니면 가스소비량에 따른 염전압을 마이컴(26)에서 재설정하는 제3단계; 및 재설정된 염전압을 사용하여 염전압감지행정을 수행하는 제4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특히 가스압조정을 위한 최소연소상태에서는 할당되지 않고 연소행정에서만 적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연소행정이 수행되는 상태에서 적용된다. 마이컴(26)에서는 연소행정이 수행되면 현재 가스소비량을 감지한다. 이것은 가스밸브(4)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읽음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즉 가스보일러에서는 가스밸브(4)에 인가되는 전류값에 따라서 가스밸브(4)의 개방정도가 결정되고 이것에 의하여 버너(28)에 공급되는 가스량이 결정되므로 마이컴(26)에서 가스밸브(4)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판독하면 현재 버너(28)에 공급되어서 연소되는 가스소비량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가스소비량이 감지되며 마이컴(26)에서는 현재의 연소상태가 가스압조정을 위한 최소연소상태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게 된다. 이것은 즉 최소연소상태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최소연소상태이면 마이컴(26)은 염전압재설정을 중지하고 정상적인 염전압상태를 감지한다. 가스압조정을 위한 최소연소상태는 보일러의 작동상태가 정상적인가를 검사하기 위한 행정으로서 실제 설치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염전압을 재설정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가스압조정을 위한 최소연소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컴(26)에서는 가스소비량에 따른 염전압을 재설정한다. 재설정은 다음과 같은 방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가스보일러의 가스소비량을 최소값에서 최대값까지 특정부분으로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각각의 영역에 따라서 배기폐쇄작동이 수행되는 염전압값을 할당하고 이것을 데이터로서 마이컴(26)의 메모리소자에 저장시키는 것이다. 이것이 하기의 표 1에 표시되어 있다.
가스소비량 할당염전압 측정시간
80∼100% 3.0 V 3 초
70∼80% 3.5 V 3 초
60∼70% 4.0 V 3 초
50∼60% 4.3 V 3 초
40∼50% 4.5 V 3 초
35∼ 4.7 V 3 초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스소비량이 최대값(MAX)에서 80% 까지는 새로 할당된 염전압이 2V 임을 알 수 있다. 즉 가스소비량이 80∼100%인 경우에는 염전압이 2V에 도달한 상태에서 3초 이상 지속되면 이상상태로 감지하고 소화행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것은 다른 가스소비량의 범위내에서 각각 할당된 염전압값에 도달하면 동일하게 작용한다. 물론 상기 가스소비량에 따른 할당염전압과 측정시간은 보일러설계시에 실험에 의하여 또는 이론적으로 측정하여 미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다.
상기와 같이 염전압이 재설정된 상태에서 버너(28)에서의 염전압이 염전압감지부(12)를 통하여 측정되면 마이컴(26)에서는 새로 할당된 염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배기폐쇄상태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염전압재설정은 보일러가 오프되면 해제되며 보일러가 작동되면 재설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단일범위로 설정되었던 염전압감지범위를 가스소비량에 따라서 다수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서 저가스소비영역에서 발생되던 순간적인 교란현상에 의한 보일러의 오작동상태를 방지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특허청구의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3)

  1. 전체 행정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26)과, 난방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부(10)와, 버너(28)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밸브(4)와 버너(28)에서의 착화상태를 감지하는 염전압감지부(12)를 포함하는 가스보일러에 있어서, 연소행정이 수행되는 가를 마이컴(26)에서 인식하는 제1단계; 연소행정이 수행되면 현재의 연소상태가 가스압조정을 위한 최소연소상태인가를 마이컴(26)에서 감지하는 제2단계; 최소연소상태이면 염전압재설정을 중지하고 정상연소를 수행하고 최소연소상태가 아니면 가스소비량에 따른 염전압을 마이컴(26)에서 재설정하는 제3단계; 및 재설정된 염전압을 사용하여 염전압감지행정을 수행하는 제4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전압측정시간이 적어도 3초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전압이 가스소비량이 최대화력의 80∼100%일 때 3V, 최대화력의 70∼80%일 때 3.5V, 최대화력의 60∼70%일 때 4V, 최대화력의 50∼60%일 때 4.3V, 최대화력의 40∼50%일 때 4.5V, 그리고 최대화력의 35%이하일 때 4.7V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
KR1019970040300A 1997-08-22 1997-08-22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 KR19990017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300A KR19990017386A (ko) 1997-08-22 1997-08-22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300A KR19990017386A (ko) 1997-08-22 1997-08-22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386A true KR19990017386A (ko) 1999-03-15

Family

ID=6604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300A KR19990017386A (ko) 1997-08-22 1997-08-22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3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388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경동전자 화염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기, 그 연소기기에서 점화감지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388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경동전자 화염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기, 그 연소기기에서 점화감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3303B1 (ko) 적외선센서를 이용한 가스보일러의 정상연소방법
KR19990017386A (ko) 가스보일러의 염전압 영역설정방법
KR100245420B1 (ko) 가스보일러의 온수과열방지방법
KR100245421B1 (ko) 가스보일러의 착화방법
KR100207840B1 (ko) 가스보일러의 온수온도제어방법
KR100259707B1 (ko) 역풍발생시 가스보일러 제어방법
KR19980076190A (ko) 적외선센서를 이용한 순풍대응방법
KR19990017392A (ko) 가스보일러 온수온도 제어방법
KR100254801B1 (ko) 가스보일러의 팬회전수 제어방법
KR100212513B1 (ko) 가스보일러의 난방제어방법
KR19990027505A (ko) 가스보일러의 착화염전압 재설정방법
KR0169234B1 (ko) 강제배기식 가스보일러의 점화방법
KR19990027493A (ko) 가스보일러의 난방제어방법
KR100212514B1 (ko) 가스보일러의 난방제어방법
KR19990002327A (ko) 온수유량에 따른 온수온도제어방법
KR0181018B1 (ko) 신속한 온수공급을 위한 가스보일러 제어방법
KR0169885B1 (ko) 가스보일러의 재운전 제어방법
KR19990038880A (ko) 플로트스위치 고장감지방법
KR19990038871A (ko) 난방환수온도에 의한 비례제어방법
KR19980017336A (ko) 가스보일러의 저출력영역에서의 역풍대응방법
KR19990017381A (ko) 가스보일러의 비등감지시 제어방법
KR19990017387A (ko) 가스보일러의 난방제어방법
KR19980017334A (ko) 가스보일러의 역풍시 연소 제어방법
KR19990017377A (ko) 가스보일러의 동파방지연소방법
KR19980054861A (ko) 역풍시 연소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