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474A -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474A
KR19990016474A KR1019970039038A KR19970039038A KR19990016474A KR 19990016474 A KR19990016474 A KR 19990016474A KR 1019970039038 A KR1019970039038 A KR 1019970039038A KR 19970039038 A KR19970039038 A KR 19970039038A KR 19990016474 A KR19990016474 A KR 19990016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dehydration tank
filter
filter case
wat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3564B1 (ko
Inventor
신정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1760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1647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9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564B1/ko
Priority to TW087213812U priority patent/TW363627U/zh
Priority to IDP980169A priority patent/ID20694A/id
Priority to JP10040771A priority patent/JP2954139B2/ja
Priority to US09/028,523 priority patent/US5863423A/en
Priority to MYPI98000775A priority patent/MY116718A/en
Priority to CN98100491A priority patent/CN1083908C/zh
Publication of KR19990016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145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물을 수납하여 탈수조의 내측벽에 방사상형태로 필터케이스가 설치되고, 필터케이스에는 상기 세탁물의 세탁행정시 생성되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프론트커버 및 이에 결합된 리어커버가 전방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프론트커버에는 상기 탈수조와 이에 설치된 필터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상승된 수류를 폭포수류로 전환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류전환수단이 마련됨으로써, 세탁물의 세탁행정시 세탁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확실하게 제거되므로 세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본 발명은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만들어진 수류를 탈수조내에 폭포수류로 배출시켜 세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동 세탁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이의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외조(12) 및 외조(12)의 바닥면에 장착되어 구동모터(14)의 구동력을 벨트(16)로 매개로 하여 전달받는 동력전달장치(18)로 구성된다.
외조(12) 내부에는 동력전달장치(18)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조(20)가 마련되며, 이의 상부에는 세탁물의 탈수시 탈수조(20)의 수평을 유지시키기 위한 밸런서(22)가 설치되어 있고, 탈수조(20)내의 바닥면에는 급수구(24)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특수한 수류로 만들기 위하여 동력전달장치(18)에 결합된 펄세이터(pulsator)(26)가 회전 가능하게 내설된다.
또한, 외조(12)의 하부 일측에는 세탁 및 헹굼 과정에서 오염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구(28)가 내설되며, 탈수조(20) 내측벽에는 펄세이터(26)의 회전에 따른 상승수류에 의해 유동된 세탁물의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이물걸름장치가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상기의 이물걸름장치는 탈수조(20) 내측벽에 고정 설치되는 필터케이스(30)와 이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32)로 구성되며, 필터(32)는 상부측으로 손잡이부(34a)를 갖는 프론트커버(34) 및 이에 힌지결합되는 리어커버(36)로 이루어지고, 프론트 및 리어커버(34)(36) 일면에는 세탁수를 탈수조(20) 내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이물을 거르기 위해 걸름망(38)(40)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프론트 및 리어커버(34)(36) 사이에는 채집된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크밸브(42)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체크밸브(42)는 세탁수의 배수시 필터(32)내에 채집된 이물질의 배출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42a)와 역류방지부(42a) 일단측에 구비되어 리어커버(36)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공(36a)에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부(42b) 및 이의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고정부(42b)를 슬릿공(36a)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내판(42c)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동 세탁기는 본체(10) 상부에 마련된 도어(도시되지않음)를 오픈시킨 다음 탈수조(20)내에 세탁물 및 세제를 넣은 다음 급수구(24)를 통하여 일정량의 세탁수를 급수한 상태에서 구동모터(14)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14)의 구동력이 벨트(16)에 의해 동력전달장치(18)로 전달되고, 이와 동시에 동력전달장치(18)에서는 회전력을 감속시킨 후 펄세이터(26)를 회전시켜 탈수조(20)내에 수류를 만든다.
즉, 펄세이터(26)의 회전에 따라 탈수조(20)내에 급수된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상하수류를 만들어 세탁행정을 수행한다. 이때, 수류는 탈수조(20) 내측벽으로 밀림과 동시에 필터케이스(30)의 유입구를 따라 상승되면서 프론트 및 리어커버(34)(36)에 부착된 걸름망(38)(40)과 필터케이스(30)의 유출공(30a)을 통하여 탈수조(20) 측으로 배출되고, 프론트 및 리어커버(34)(36) 내부에 채집된 이물질은 상부로 밀어 올려져 필터(32)의 상부로부터 하부쪽으로 채집상태가 진행된다.
그 후, 세탁종료 후 배수시에는 필터(32)의 유입구를 통해 역으로 배출되는 세탁수의 분출압에 의해 리어커버(36) 내주면에 일단부가 접촉되도록 휘어진 체크밸브(42)의 역류방지부(42a)가 초기상태로 복귀되면서 이물질이 탈수조(20)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이물질이 차례로 적층되고, 오염된 세탁수는 배수구(28)를 통해 배수된다.
그리고, 배수가 완료되면 다시 급수구(24)를 통해 헹굼용 세탁수가 헹굼에 필요한 수위까지 급수되어 전술한 세탁행정과 같이 동력전달장치(18)의 구동력에 의해 펄세이터(26)가 시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반복하면서 세탁물에 스며 있는 오염물 및 세제를 헹구어 낸다.
이와같이 헹굼행정을 다수회 반복하여 최종 헹굼행정이 종료되면, 외조(12) 및 탈수조(20)내에 저장된 세탁수는 배수구(28)를 통하여 배수되고, 다시 동력전달장치(18)가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하면서 세탁물에 스며있는 세탁수를 탈수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필터케이스의 유입구를 따라 상승되는 수류가 필터로 유입됨과 동시에 프론트 및 리어커버 전,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걸름망을 통해 탈수조 측으로 배출되었기 때문에 탈수조로 배출되는 수류의 압력이 약함에 따라 세탁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없어 세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탈수조와 이에 설치된 필터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상승되는 수류를 폭포수류로 전환시켜 탈수조 내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프론트커버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세탁물의 세탁행정시 세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세탁기에 적용되는 이물걸름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물걸름장치를 결합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걸름장치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필터케이스 60a : 사각공
60b : 유입공 60c : 삽입공
62 : 필터 64,66 : 걸름망
68,70 : 프론트 및 리어커버 68a : 힌지공
68b : 배출공 70a : 수용홈
72 : 힌지돌기 74 : 록킹부
76 : 이탈방지돌기 78 : 체크밸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세탁물을 수납하는 탈수조의 내측벽에 방사상형태로 필터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케이스에는 상기 세탁물의 세탁행정시 생성되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프론트커버 및 이에 결합된 리어커버가 전방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프론트커버에는 상기 탈수조와 이에 설치된 필터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상승된 수류를 폭포수류로 전환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류전환수단이 마련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류전환수단은 상기 프론트커버에 대해 일정크기를 갖는 배출공으로 구비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걸름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탈수조(20)를 포함한 외조(12)의 바닥면에는 구동모터(14)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특수한 수류를 만들어 세탁을 행하도록 펄세이터(26)가 내설되고, 탈수조(20) 내측벽에는 세탁행정시 세탁물에서 생성된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이물걸름장치가 방사상형태로 설치된다.
이물걸름장치는 직사각형상의 사각공(60a)이 형성된 필터케이스(60)와 사각공(60a)에 대해 전방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물질을 채집하기 위한 포켓형상의 필터(62)로 구성되며, 필터케이스(60)의 사각공(60a) 바닥면에는 펄세이터(26)에 의해 만들어진 수류가 통과되도록 유입공(60b)이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케이스(60)의 전면 상부에는 필터(62)를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해 사각공(60a)과 연통되는 삽입공(60c)이 형성된다.
필터(62)는 유입공(60b)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를 탈수조(20) 내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세탁물에서 생성된 이물질을 채집하기 위하여 전,후면에 걸름망(64)(66)이 각각 부착된 프론트커버(68) 및 이에 힌지수단에 결합되는 리어커버(70)로 이루어지고, 힌지수단은 리어커버(70)의 하부 양측면에 돌출되는 힌지돌기(72)와 리어커버(70)를 회전 가능하게 개폐시키기 위해 힌지돌기(72)가 삽입되도록 프론트커버(60)에 마련되는 힌지공(68a)으로 구비된다.
프론트커버(68) 상측부에는 필터케이스(60)에 필터(62)를 록킹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록킹부(74)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록킹부(74) 하부에는 필터케이스(60)를 탈수조 (20) 내측벽에 설치할 때 형성되는 유로(P)를 따라 상승되는 수류를 폭포수류로 전환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류전환수단이 마련된다.
수류전환수단은 프론트커버(68)에 대해 일정크기를 갖는 배출공(68b)으로 구비되고, 이 배출공(68b)은 이물질이 탈수조(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배출공으로 구비하거나 또는 프론트 및 리어커버(68)(70)에 부착된 걸름망(64)(66)과 동일한 걸름망을 부착함이 바람직하다.
리어커버(70)의 내측 하부에는 수용홈(70a)이 형성되고, 수용홈(70a)의 바닥과 벽면에는 이탈방지돌기(76)가 일체로 성형되며, 수용홈(70a)에는 배수행정시 필터(62)내에 채집된 이물질이 탈수조(20)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고무재질로 제작된 체크밸브(78)가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에 대한 작용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탈수조(20) 내측벽에 복수개의 필터케이스(60)를 고정부재로 고정 설치한 다음 필터케이스(60)내에 필터(62)를 장착한다. 즉, 프론트커버(68)의 힌지공(68a)에 힌지돌기(72)를 삽입시키면서 리어커버(70)를 결합하여 필터케이스(60)의 사각공(60a)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한다.
그 후, 구동모터(14)를 작동시키면 이의 구동력이 동력전달장치(18)로 전달됨에 따라 탈수조(20) 바닥면에 내설된 펄세이터(26)를 회전시켜 수류를 만들면서 세탁행정을 개시한다. 즉, 펄세이터(26)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만들어진 수류는 탈수조(20) 내측벽으로 밀리면서 필터케이스(60)의 유입공(60b)을 따라 상승되어 프론트 및 리어커버(68)(70)에 부착된 걸름망(64)(66)을 통해 탈수조(20)측으로 배출되고, 이와 동시에 탈수조(20)와 필터케이스(60) 사이에 형성된 유로(P)를 따라 상승된 수류는 프론트커버(68)에 마련된 배출공(68b)을 통과하면서 폭포수류로 전환되어 세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리어커버(70)의 수용홈(70a)에 끼워진 체크밸브(78)는 수류의 상승압에 의해 리어커버(70) 내면으로 휘어지게 되어 세탁물에서 생성된 이물질을 채집하는 것이다.
그리고, 세탁행정이 종료되어 세탁수를 배수하면 필터(62)의 유입구를 통해 역으로 배출되는 세탁수의 분출압에 의해 리어커버(70) 내주면에 접촉된 체크밸브(78)가 초기상태로 복귀되면서 이물질이 탈수조(20) 내부로 다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배수가 완료되면 급수구(24)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한 후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세탁수를 탈수한다.
또한, 탈수행정 후 필터(62)내에 채집된 이물질을 제거할 때에는 필터케이스(60)의 삽입공(60c)으로 손가락을 넣은 다음 가압하면 프론트커버(68)의 록킹부(74)가 하방향으로 밀리면서 록킹이 해제되어 필터케이스(60)에 대해 전방으로 필터(62)를 쉽게 분리할 수 있고, 프론트커버(68)에 결합된 리어커버(70)를 열어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에 의하면, 탈수조와 이에 설치된 필터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상승되는 수류를 폭포수류로 전환시켜 탈수조 내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프론트커버의 구조를 변경하여 세탁물의 세탁행정시 세탁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확실하게 제거되므로 세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세탁물을 수납하는 탈수조의 내측벽에 방사상형태로 필터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필터케이스에는 상기 세탁물의 세탁행정시 생성되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프론트커버 및 이에 결합된 리어커버가 전방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프론트커버에는 상기 탈수조와 이에 설치된 필터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유로를 따라 상승된 수류를 폭포수류로 전환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수류전환수단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전환수단은 상기 프론트커버에 대해 일정크기를 갖는 배출공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상기 탈수조 내부로 세탁물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배출공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에는 상기 세탁물의 이물질이 탈수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름망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1019970039038A 1997-08-16 1997-08-16 세탁기의 이물 걸름장치 KR100263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038A KR100263564B1 (ko) 1997-08-16 1997-08-16 세탁기의 이물 걸름장치
TW087213812U TW363627U (en) 1997-08-16 1998-02-04 Filter for a washing machine
IDP980169A ID20694A (id) 1997-08-16 1998-02-10 Filter untuk mesin cuci
JP10040771A JP2954139B2 (ja) 1997-08-16 1998-02-23 洗濯機用フィルタ
US09/028,523 US5863423A (en) 1997-08-16 1998-02-24 Filter for a washing machine
MYPI98000775A MY116718A (en) 1997-08-16 1998-02-24 Filter for a washing machine
CN98100491A CN1083908C (zh) 1997-08-16 1998-03-11 洗衣机用过滤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038A KR100263564B1 (ko) 1997-08-16 1997-08-16 세탁기의 이물 걸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474A true KR19990016474A (ko) 1999-03-05
KR100263564B1 KR100263564B1 (ko) 2000-08-01

Family

ID=19517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038A KR100263564B1 (ko) 1997-08-16 1997-08-16 세탁기의 이물 걸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5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0056A (zh) * 2018-12-20 2020-06-3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过滤装置及洗衣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28058B1 (en) * 2012-05-03 2017-12-27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Filter device of wash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0056A (zh) * 2018-12-20 2020-06-3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过滤装置及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3564B1 (ko)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3415B1 (ko)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역류차단구조
KR101332286B1 (ko) 세탁기
KR100223411B1 (ko) 세탁기용필터
KR100223413B1 (ko)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커버 결합구조
KR100263564B1 (ko) 세탁기의 이물 걸름장치
KR100223416B1 (ko)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필터 오픈구조
KR100223414B1 (ko)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록킹구조
JPH1147489A (ja) 洗濯機用フィルタ
KR100353027B1 (ko)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장치
KR100220744B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200157114Y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100220745B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200159028Y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100220743B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100244322B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200189779Y1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필터
KR100220747B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100220746B1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100223417B1 (ko)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장치
KR19990005838U (ko) 세탁기의 이물걸름장치
KR100565537B1 (ko) 순환분사식 세탁기
KR20030012679A (ko) 세탁기의 이물 걸름장치
KR100268270B1 (ko) 세탁기의 이물 채집구조
KR200153697Y1 (ko) 세탁기의 이물질 거름장치
KR0186118B1 (ko) 식기세척기의 오물수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