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689U -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 - Google Patents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689U
KR19990014689U KR2019970027887U KR19970027887U KR19990014689U KR 19990014689 U KR19990014689 U KR 19990014689U KR 2019970027887 U KR2019970027887 U KR 2019970027887U KR 19970027887 U KR19970027887 U KR 19970027887U KR 19990014689 U KR19990014689 U KR 199900146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er
lock
pedal
unlock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8846Y1 (ko
Inventor
손덕수
Original Assignee
손덕수
경창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덕수, 경창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덕수
Priority to KR2019970027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846Y1/ko
Publication of KR199900146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6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8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12Cost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스터의 바퀴에 강하게 조여지고 간단하게 그 조임상태를 해제하는 이른바 페달식 로크/언로크장치를 가진 것으로, 캐스터에 하물을 적재하거나 적하할 때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로서,
적어도 캐스터 본체에 부착되기 위한 받침판과, 이 받침판 저부에 고정 보울트를 이용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캐스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보울트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바퀴의 중심축에 설치된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는 중간부에 로크페달 유지턱이 형성되고, 가동대의 회전범위를 규제하기 위하여 중간부 양측에 규제홈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고 타단은 언로크페달을 유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로크페달과, 일단은 상기 로크페달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타단은 고정대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대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언로크페달과, 상기 가동대의 타단은 규제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바퀴에 접하여 바퀴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회전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부품들이 상호 유동가능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관계로 배치된 제 1, 제 2, 제 3, 제 4 유동핀과, 상기 제 2 유동핀 상에 설치된 탄성수단과, 상기 가동대의 중간부에 형성된 오목부과, 이 오목부에 접촉/비접촉하여 로크/언로크 작용을 하도록 상기 제 3 유동핀에 형성된 라운드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바퀴를 고정하는 고정 보울트와 동축적으로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탈/부착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특히 간단한 로크페달과 언로크페달의 조작으로 대형 캐스터를 지면상에 고정하거나 용이하게 그 사태를 해제할 수 있어, 캐스터 작업환경을 크게 개선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구조도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고 내구성이 큰 캐스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
본 고안은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캐스터에 있어서 바퀴에 강하게 조여지고 간단하게 그 조임상태를 해제하는 이른바 페달식 로크/언로크장치를 채택하여 캐스터에 하물을 적재하거나 적하할 때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스터(caster)란, 대차, 이동대, 의자 등의 다리에 붙인 바퀴를 말한다. 이러한 캐스터는 병원 등지에서 수술장비 이동대나 환자용 급식대로 사용되며 공장 내에서는 각종 공정라인 중간에 반가공품 또는 가공품의 이동에 활용하고 있으며 그 적용분야는 전산업분야에서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이러한 캐스터의 기본구조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캐스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캐스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대략 사각형상으로 되고 각 모서리부 근방에 고정구멍(12)을 가지는 받침판(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받침판(10)은 캐스터가 적용될 본체(도시하지 않음)의 저부에 부착된다. 이러한 부착에는 통상 나사결합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받침판(10)의 하부 양측에는 지지대(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대(20)의 하부 끝단에는 작동대(일반적으로 '브라케트'라 함)(30)를 유동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이 부착은 끝단에 나사가 형성된 중심축(22)을 이용하여 나사조임하고 있다. 또 상기 지지대(20)의 중간부위로부터 가로방향으로 2개의 연결편(42)과 일체로 된 스프링 받이체(40)를 연장형성하고 있다.
이 스프링 받이체(40) 상에는 탄발수단으로서의 단면이 각형(角形)인 탄발수단(50)을 탄력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 탄발수단(50)은 중앙의 구멍부위를 관통하는 스프링 고정축(52)을 포함하며 그 하단은 상기 작동대(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탄발수단(50)은 상기 스프링 받이체(40)를 항상 작동대(30) 측으로 밀어내고 있다.
상기 탄발수단(50)의 압축정도는 캐스터의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 설정하중을 넘는 하중이 상기 받침판(10)에 작용될 때에 상기 탄발수단(50)은 압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탄발수단(50)은 통상 사용 중에 탄성을 가지면서 작동하므로 완충작용을 하여 주행중의 원활성을 부여한다.
부호 60은 바퀴이다. 이 바퀴(60)는 경질성 고무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끄럼성을 높이기 위하여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부호 62는 상기 바퀴(60)를 고정하기 위한 중심봉으로서의 고정 보울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캐스터는, 캐스터에 실린 하물을 내리거나 캐스터에 하물(荷物)을 적재할 때에 바퀴(60)가 임의로 회전하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캐스터의 바퀴(60) 앞뒤에 별도로 구비된 쐐기형의 미끄럼 방지구를 설치하여 캐스터의 이동을 저지하거나 사용자 1인이 캐스터를 붙잡고 있을 때 다른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종래의 캐스터는,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 미끄럼 방지구가 자주 분실되거나 보관상의 불편함으로 그 효과는 미미하였으며 또 작업자 1인은 단순히 캐스터를 붙잡고 있어야 하는 일을 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인력운용에 문제가 있었다.
또 미끄럼 저지구를 이용하여 바퀴(60)를 고정하는 방식에 있어서, 하물을 싣고 내릴 때에 캐스터에 조금씩 충격이 가해지면 바퀴(60)와 미끄럼 저지구 사이가 점점 벌어져서 그 후에 캐스터에 약간의 충격이 가해지면 일시에 바퀴(60)가 미끄럼 저지구를 타고 넘어 짐을 실은 캐스터는 경사진 방향으로 슬슬 이동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캐스터에 있어서의 바퀴 회전을 저지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캐스터에 있어서 바퀴에 강하게 조여지고 간단하게 그 조임상태를 해제하는 이른바 페달식 로크/언로크장치를 채택하여 캐스터에 하물을 적재하거나 적하할 때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캐스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캐스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의 언로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의 언로크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의 로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의 언로크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의 언로크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의 로크/언로크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판 12 : 고정구멍
20 : 지지대 22 : 중심축
30 : 작동대 40 : 스프링 받이체
42 : 연결편 50 : 탄발수단
52 : 고정축 60 : 바퀴
62 : 고정 보울트 70 : 고정대
72 : 로크페달 유지턱 74 : 규제홈
80 : 로크페달 80 : 로크페달
82 : 코일스프링 84 : 라운드부
90 : 언로크페달 100 : 가동대
102 : 규제돌기 110 : 오목부
120 : 회전저지부 a : 제 1 유동핀
b : 제 2 유동핀 c : 제 3 유동핀
d : 제 4 유동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는, 적어도 캐스터 본체에 부착되기 위한 받침판과, 이 받침판 저부에 고정 보울트를 이용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캐스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보울트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바퀴의 중심축에 설치된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는 중간부에 로크페달 유지턱이 형성되고, 가동대의 회전범위를 규제하기 위하여 중간부 양측에 규제홈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고 타단은 언로크페달을 유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로크페달과, 일단은 상기 로크페달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타단은 고정대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대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언로크페달과, 상기 가동대의 타단은 규제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바퀴에 접하여 바퀴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회전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부품들이 상호 유동가능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관계로 배치된 제 1, 제 2, 제 3, 제 4 유동핀과, 상기 제 2 유동핀 상에 설치된 탄성수단과, 상기 가동대의 중간부에 형성된 오목부과, 이 오목부에 접촉/비접촉하여 로크/언로크 작용을 하도록 상기 제 3 유동핀에 형성된 라운드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는, 바퀴를 고정하는 고정 보울트와 동축적으로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탈/부착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특히 간단한 로크페달과 언로크페달의 조작으로 대형 캐스터를 지면상에 고정하거나 용이하게 그 사태를 해제할 수 있어, 캐스터 작업환경을 크게 개선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구조도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고 내구성이 큰 캐스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상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종래 설명과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의 언로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의 언로크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의 로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의 언로크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의 언로크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내지 도 7에서 부호 70은 대략 "⊂"형으로 된 고정대이다. 이 고정대(70)는 고정보울트(62)에 의하여 바퀴(60) 축상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대(70)의 설치, 즉 상기 고정 보울트(62)를 이용하여 바퀴(60)의 중심축에 설치한 것은 본 고안의 온/오프 방식의 로크페달과 언로크페달이 캐스터 본체에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일면으로, 이것은 사용자들이 캐스터의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옵숀 품목으로서 구입할 수 있도록 하여 굳이 로크/언로크 장치가 필요 없는 캐스터 사용자들에게는 부담을 없게 하는 배려도 하고 있다.
상기 고정대(70)의 중간부에는 로크페달(80)을 유동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구멍을 가지는 로크페달 유지턱(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크페달(80)의 일단은 상기 고정대(70)에 설치되고 타단은 언로크페달(90)을 유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언로크페달(90)의 일단은 상기 로크페달(80)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타단은 고정대(70)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대(100)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부호 a,b,c,d는 상기 각 부품들이 상호 유동가능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제 2, 제 3, 제 4 유동핀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가동대(100)의 타단은 규제돌기(102)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대(70)의 중간부 양측에 규제홈(7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규제돌기(102)는 규제홈(74) 내에서 제 1 유동핀(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가동대(100)의 회전범위를 규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유동핀(b) 상에는 탄성수단으로서, 예를들면 코일스프링(82)이 감겨져 있고 그 일단은 제 3 유동핀(c)에 타단은 고정대(70) 상에 걸려져 있다. 따라서 언로크 상태에서는, 상기 로크페달(80)은 상기 코일스프링(82)에 의하여 항상 상방으로 탄발된 상태이며 이 로크페달(80)에 연결된 언로크페달(90)도 로크페달(80)에 이끌려 상방에 위치한 상태이지만, 이러한 코일스프링(82)의 탄발작용에 의한 로크페달(80) 및 언로크페달(90)의 이동가능범위는 규제돌기(102)에 의하여 일정범위로 제한된다. 도 3의 상태는 언로크 상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동대(100)의 중간부에는 오목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로크페달(80)의 제 3 유동핀(c) 부위는 라운드부(84)로 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110)와 라운드부(84)는 상호 접촉하여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의 작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 도 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가동대(100)의 하부는 바퀴(60)에 접하도록 회전저지부(120)를 형성하고 있다. 이 회전저지부(120)의 중간부위는 바퀴(60) 측을 향하여 약간 볼록하게 돌출형성되어 있고 또 마찰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전체에 걸쳐서 작은 미세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의 로크/언로크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로서, 도 8은 언로크상태를, 도 9는 로크상태이다.
먼저, 도 8의 언로크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대(100)의 하부에 형성한 회전저지부(120)는 바퀴(60)와 비접촉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본 고안이 적용된 캐스터는 이동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 즉 도 3 및 도 4, 도 6 및 도 8의 상태에서 로크페달(80)을 발로 밟으면 이 로크페달(80)은 상기 제 2 유동핀(b)을 중심으로 아랫방향으로 회전운동 하여 내려간다. 물론 이러한 하향은 작업자가 발로 누르는 힘에 의한 것이고 이 힘은 상기 코일스프링(82)의 탄발력보다는 큰 것임은 자명하다.
상기 로크페달(80)이 제 2 유동핀(b)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로크페달(80)에 제 3 유동핀(c)으로 연결된 언로크페달(90)도 하향하고 이 언로크페달(90)에 제 4 유동핀(d)에 의하여 연결된 가동대(100)도 상기 제 1 유동핀(a)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2 유동핀(b)과 제 4 유동핀(d)을 잇는 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제 3 유동핀(c)은, 도 8에서 보아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로크페달(80)을 더 밟아주면 제 2 유동핀(b)과 제 3 유동핀(c) 및 제 4 유동핀(d)은 일직선 상태가 되고 이 때 상기 가동대(100)의 회전저지부(120)는 바퀴(60)에 완전히 밀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바퀴(60)는 약간의 탄성을 가지는 경질 고무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회전저지부(120)는 바퀴(60)의 최대 직경 외주면 내로 파고들어 바퀴(60)를 고정하게 된다. 즉, 이 회전저지부(120)가 바퀴(60)와 접촉하는 부분은 약간 찌부러들면서 견고하게 양자가 접촉되게 된다.
이어서 로크페달(80)을 더 밟게 되면 로크페달(80)의 라운드부(84)가 가동대(100)의 상기 오목부(110) 내로 진입하여 들어가면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규제돌기(102)도 일정폭으로 형성된 규제홈(74)에 걸리어 더 이상의 회전작동은 하지 않게 된다. 이 때의 상기 코일스프링(82)은 반대로 그 탄발력을 작용하여, 상기 제 3 유동핀(c)이 도면에서 보아 상기 제 2 유동핀(b)과 제 4 유동핀(d)을 잇는 직선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제 3 유동핀(c)이 도면에서 보아 상기 제 2 유동핀(b)과 제 4 유동핀(d)을 잇는 직선의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코일스프링(82)의 최대 탄발력 발휘 상태인 일직선 상태일 때가 코일스프링(82)의 최대 탄발력이 작용하는 시점이며, 그 일직선을 넘는 순간부터 탄발력은 약화됨과 동시에 그 탄발력은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이동하여 작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로크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3 유동핀(c)이 도면에서 보아 상기 제 2 유동핀(b)과 제 4 유동핀(d)을 잇는 직선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언로크페달(90)을 눌러주면(물론 이 때에도 상기 코일스프링(82)의 탄발력보다 큰 힘으로 눌러준다) 상기 제 4 유동핀(d)이 제 1 유동핀(a)을 중심으로 약간 회전하고 오목부(110)로부터 라운드부(84)가 서서히 빠져나오기 시작하면서 상기 규제돌기(102)도 규제홈(74)의 다른 쪽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상기 로크 상태와는 역의 순서대로 상기 제 3 유동핀(c)이 도면에서 보아 상기 제 2 유동핀(b)과 제 4 유동핀(d)을 잇는 직선의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코일스프링(82)의 최대 탄발력 발휘 상태인 일직선 상태를 상회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82)의 힘은 약화되고 그 탄발력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작용한다.
따라서 회전저지부(120)는 바퀴(60)를 물고 있던 것을 풀고 원래의 상태로 돌아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에 의하면, 바퀴를 고정하는 고정 보울트와 동축적으로 본 고안의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탈/부착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특히 간단한 로크페달과 언로크페달의 조작으로 대형 캐스터를 지면상에 고정하거나 용이하게 그 사태를 해제할 수 있어, 캐스터 작업환경을 크게 개선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구조도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고 내구성이 큰 캐스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적어도 캐스터 본체에 부착되기 위한 받침판과, 이 받침판 저부에 고정 보울트를 이용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캐스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보울트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바퀴의 중심축에 설치된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는 중간부에 로크페달 유지턱이 형성되고, 가동대의 회전범위를 규제하기 위하여 중간부 양측에 규제홈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고 타단은 언로크페달을 유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로크페달과,
    일단은 상기 로크페달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타단은 고정대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대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언로크페달과,
    상기 가동대의 타단은 규제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바퀴에 접하여 바퀴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회전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부품들이 상호 유동가능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관계로 배치된 제 1, 제 2, 제 3, 제 4 유동핀과,
    상기 제 2 유동핀 상에 설치된 탄성수단과,
    상기 가동대의 중간부에 형성된 오목부과, 이 오목부(110)에 접촉/비접촉하여 로크/언로크 작용을 하도록 상기 제 3 유동핀에 형성된 라운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
KR2019970027887U 1997-10-08 1997-10-08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 KR200158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887U KR200158846Y1 (ko) 1997-10-08 1997-10-08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887U KR200158846Y1 (ko) 1997-10-08 1997-10-08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689U true KR19990014689U (ko) 1999-05-06
KR200158846Y1 KR200158846Y1 (ko) 1999-10-15

Family

ID=19511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887U KR200158846Y1 (ko) 1997-10-08 1997-10-08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8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552A (ko) * 2005-03-02 2006-09-13 광 섭 정 캐스터의 브레이크 장치
KR20160074311A (ko) * 2014-12-18 2016-06-28 주식회사 성도캐스터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운반용 캐스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381B1 (ko) * 2015-12-28 2018-02-21 주식회사 성도캐스터 제동장치를 갖는 운반용 캐스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552A (ko) * 2005-03-02 2006-09-13 광 섭 정 캐스터의 브레이크 장치
KR20160074311A (ko) * 2014-12-18 2016-06-28 주식회사 성도캐스터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운반용 캐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8846Y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9187B1 (en) Brake system for a cart
US7305737B2 (en) Roller/foot device castor
US8511693B2 (en) Mobile base for a table saw
US4503943A (en) Caster with a stopper
US99933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locking caster
US6662404B1 (en) High load bearing central-braking caster
SE9001474D0 (sv) Ergonomisk sittmoebel
US2709828A (en) Caster and cooperating brake
KR200158846Y1 (ko) 페달식 로크/언로크 캐스터
US6505804B1 (en) Ergonomic base and chair providing constrained lateral movement there between
US2572548A (en) Brake structure for platform type casters or the like
US6453508B1 (en) Wedging brake for a caster
CA2588210C (en) Table with urging member for a displaceable multi-foot support
GB2127287A (en) Caster
US8480096B2 (en) Structure of inline skates
KR100760192B1 (ko) 캐스터 브레이크 장치
US4790049A (en) Rope locking device
PE20000886A1 (es) Pie nivelador-deslizante para gabinete de electrodomesticos y otros muebles
JP2008036414A (ja) インラインスケート靴
KR20230094374A (ko) 스토퍼 기능을 구비한 가구용 바퀴
KR200162621Y1 (ko) 캐스터의 멈춤구조
KR20140067456A (ko) 의자 캐스터
EP1545908B1 (en) Roller/foot device castor
CN110652113A (zh) 一种移动鞋柜
US6115882A (en) Caster with a shaped 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