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431U - 회전브러쉬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구조 - Google Patents

회전브러쉬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431U
KR19990013431U KR2019970026718U KR19970026718U KR19990013431U KR 19990013431 U KR19990013431 U KR 19990013431U KR 2019970026718 U KR2019970026718 U KR 2019970026718U KR 19970026718 U KR19970026718 U KR 19970026718U KR 19990013431 U KR19990013431 U KR 199900134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support
suction port
rotary brush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경호
Original Assignee
배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경호 filed Critical 배경호
Priority to KR2019970026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3431U/ko
Publication of KR199900134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431U/ko

Link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의 휀을 돌려 청소기 본체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외부의 이물질을 필터로 흡입시키기 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구의 내부에 별도의 작동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회전 브러쉬를 설치시킴으로써 청소면에서의 이물질 분리 및 제거기능을 증대시켜 청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브러쉬의 수명연장과 회전 브러쉬의 세정이 용이하도록 하여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회전 브러쉬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구조.
본 고안은 모터의 휀을 돌려 청소기 본체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외부의 이물질을 필터로 흡입시키기 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구의 내부에 별도의 작동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회전 브러쉬를 설치시킴으로써 청소면에서의 이물질 분리 및 제거기능을 증대시켜 청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브러쉬의 수명연장과 회전 브러쉬의 세정이 용이하도록 하여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에 알려지고 있는 진공청소기에 적용되는 흡입구의 구조는 연장관과 결합되기 위한 지지관을 흡입구의 후단에 두고 흡입구의 내부에는 개방된 저면을 통해 지지관으로 이물질을 흡입 유도하기 위한 흡입통로를 구비하며,
흡입구의 저면에는 흡입공기에 의해 제거가 곤란한 바닥이나 소파 등에 부착된 이물질을 문질러 털어내어 이물질의 분리,제거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막대상의 브러쉬가 흡입구의 요홈에 접착,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나,
⊙ 이는 자체 회전기능이 없이 단순히 흡입구에 고정부착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이물질에 강력한 마찰력을 부여할 수 없어 이물질의 분리효과가 저하되는 것이며,
⊙ 항시 일정부위만이 청소면에 접하는 상태이므로 브러쉬의 모(毛)가 쉽사리 굽어져 수명이 조기 단축되는 것으로 내구성의 저하를 유발하는 것이며,
⊙ 브러쉬가 착탈이 불가능하게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기 부착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의 제거가 까다로워 위생적으로 불결하고 타 물품으로 이물질을 전이하는 경우가 허다하여 역효과를 유발 할 수 있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흡입구의 내부에 별도의 작동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회전 브러쉬를 설치시킴으로써 청소면에서의 이물질 분리 및 제거기능을 증대시켜 청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브러쉬의 수명연장과 회전 브러쉬의 세정이 용이하도록 하여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적용상태를 보이는 흡입구의 저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인 브러쉬 착탈구조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요부 절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흡입구 2:지지관 3:흡입통로
4:연장관 10,20:브러쉬지지구조 11,21:지지축
12,22:탄발 스프링 13,23:소켓 30:구동구조
31:피동기어 32:원동기어 33:구동모터
40:회전 브러쉬 41:고정축 42:양단의 사각 체결부
43:식모부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흡입구(1)의 후단에 연장관(4)과 결합되기 위한 지지관(2)을 두고 흡입구(1)의 내부에는 개방된 저면을 통해 지지관(2)으로 이물질을 흡입 유도하기 위한 흡입통로(3)를 구비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1)의 저면 양측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축(11)(21)과, 이 지지축(11)(21)에 탄발 스프링(12)(22)에 의해 자체회동이 불가능하고 축방향의 수평 이동만이 가능하게 탄발 설치되는 소켓(13)(23)으로 구성되는 한 조의 브러쉬지지구조(10)(20)와;
상기 브러쉬지지구조(20)의 지지축(21)에 일체로 설치되는 피동기어(31)와, 이 피동기어(31)에 치합되며 원동기어(32)와, 이 원동기어(32)에 결합되어 피동기어(31)에 회전력을 전동시켜 주기위한 구동모터(33)로 구성되는 구동구조(30)와;
상기 브러쉬지지구조(10)(20)의 소켓(13)(23)에 고정축(41) 양단의 사각 체결부(4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며 고정축(41)상에 원형의 식모부(43)를 갖는 회전 브러쉬(40)를 각각 결합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2에서와 같이 흡입구(1)의 내부에 회전 브러쉬(40)를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회전 브러쉬(40)의 고정축(41) 양단의 사각 체결부(42)는 역시 사각으로 구성되는 소켓(13)(23)에 끼워져 있으며 소켓(13)(23)은 탄발 스프링(12)(22)에 의해 고정축(41)의 방향으로 탄발되어 무단으로 고정축(4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손잡이(미도시함)에 설치된 별도의 작동 스위치(미도시함)를 온 시키면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모터(33)가 회전되어 원동기어(32)와 이에 치합된 피동기어(31) 및 지지축(21)을 회전시키면 이에 따라 지지축(21)에 자체회동이 불가능하게 결합된 소켓(23)과 이에 끼워진 고정축(41)이 회전되어 회전브러쉬(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타측의 지지축(11)은 고정축(41)에 의해 공회전하는 것으로 단순히 회전 브러쉬(40)를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회전 브러쉬(40)의 회전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이와같이 도 4에서와 같이 회전 브러쉬(40)가 회전되면 식모부(43)가 흡입력으로 잘 제거되지 않는 청소면에 부착된 각종 이물질에 마찰을 주어 떨어지게 하므로써 손쉽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회전 브러쉬(40)는 회전하면서 식모부(43)의 전 부위가 고르게 청소면에 접촉되는 것이므로 식모부(43)의 변형이 예방되므로 수명이 연장될 수 있게되며 소켓(13)(23)을 외향으로 밀면 탄발 스프링(12)(22)이 수축되면서 소켓(13)(23)이 이동되는 것이므로 손쉽게 회전 브러쉬(40)의 고정축(41)을 분리시켜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회전 브러쉬(40)에 부착된 이물질을 매우 손쉽게 세정시킬 수 있어 타부위로의 이물질 전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회전 브러쉬에 회전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흡입력으로 제거되지 않는 이물질에 강력한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어 이물질의 분리효과 뛰어나게 되므로 청소효과가 우수한 것이며 식모부의 전부위를 고르게 사용할 수 있으며 착탈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브러쉬의 수명연장과 회전 브러쉬의 세정이 용이하도록 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흡입구(1)의 후단에 연장관(4)과 결합되기 위한 지지관(2)을 두고 흡입구(1)의 내부에는 개방된 저면을 통해 지지관(2)으로 이물질을 흡입 유도하기 위한 흡입통로(3)를 구비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1)의 저면 양측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축(11)(21)과, 이 지지축(11)(21)에 탄발 스프링(12)(22)에 의해 자체회동이 불가능하고 축방향의 수평 이동만이 가능하게 탄발 설치되는 소켓(13)(23)으로 구성되는 한 조의 브러쉬지지구조(10)(20)와;
    상기 브러쉬지지구조(20)의 지지축(21)에 일체로 설치되는 피동기어(31)와, 이 피동기어(31)에 치합되며 원동기어(32)와, 이 원동기어(32)에 결합되어 피동기어(31)에 회전력을 전동시켜 주기위한 구동모터(33)로 구성되는 구동구조(30)와;
    상기 브러쉬지지구조(10)(20)의 소켓(13)(23)에 고정축(41) 양단의 사각 체결부(4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 지지되며 고정축(41)상에 원형의 식모부(43)를 갖는 회전 브러쉬(40)를 각각 결합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브러쉬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구조.
KR2019970026718U 1997-09-26 1997-09-26 회전브러쉬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구조 KR199900134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718U KR19990013431U (ko) 1997-09-26 1997-09-26 회전브러쉬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718U KR19990013431U (ko) 1997-09-26 1997-09-26 회전브러쉬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431U true KR19990013431U (ko) 1999-04-15

Family

ID=6967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718U KR19990013431U (ko) 1997-09-26 1997-09-26 회전브러쉬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43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607B1 (ko) * 2001-08-27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워브러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607B1 (ko) * 2001-08-27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워브러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2478C2 (ru) Двустороннее всасывающее сопло для пылесоса
US7146682B2 (en) Powered edge cleaner
KR100470557B1 (ko) 먼지 털이용 회전롤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시조립체
EP2016882A2 (en) Suction brush for vacuum cleaner
PT2449937T (pt) Aspirador para pavimentos sem revestimento
WO2002080749A2 (en) Agitator drive system with bare floor shifter
JP2005000643A (ja) タービンブラシ
KR20200038981A (ko) 진공 청소기용 표면 청소 헤드
KR19990013431U (ko) 회전브러쉬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구조
JP3610213B2 (ja) 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
KR100676767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0222922B1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의 회전솔
KR100208136B1 (ko) 업라이트청소기
KR100207236B1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KR200306319Y1 (ko) 브러쉬가 내장된 진공청소기용 흡입헤드
KR100499358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시
KR200159657Y1 (ko) 업라이트청소기의 더스트커버설치구조
KR100531825B1 (ko) 착,탈식 브러쉬를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KR100194383B1 (ko) 진공청소기
KR200364055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0148057Y1 (ko) 진공청소기
KR20180027229A (ko) 회전 타격 브러쉬
KR20050006569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KR19980066975U (ko) 진공청소기
KR940003324Y1 (ko) 진공 청소기의 걸레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