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073U -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073U
KR19990013073U KR2019970026273U KR19970026273U KR19990013073U KR 19990013073 U KR19990013073 U KR 19990013073U KR 2019970026273 U KR2019970026273 U KR 2019970026273U KR 19970026273 U KR19970026273 U KR 19970026273U KR 19990013073 U KR19990013073 U KR 199900130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ing pipe
heat conduction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7621Y1 (ko
Inventor
김선국
Original Assignee
유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은주 filed Critical 유은주
Priority to KR2019970026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621Y1/ko
Publication of KR199900130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0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6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5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liquid type, e.g. filled with water or g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6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fluid-like particles, e.g. filled with b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1. 본 고안은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대프레임의 상판으로서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가 구비되고, 발열파이프와의 접촉 표면적이 최대로 되도록 된 세라믹 분말이 구비되고, 상기 발열파이프는 열원 발열파이프와, 이 열원 발열파이프의 열의 열전도 속도가 극대화 되도록 된 열전도 발열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2. 종래에는, 침대의 사용을 위하여 발열을 시작할 때 원적외선 방사가 제대로 이루어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며, 열효율이 낮아, 기대치의 발열과 원적외선 방사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전기소비량 또는 온수소비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3. 본 고안은 침대프레임의 상팜으로서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가 구비되고, 발열파이프와의 접촉 표면적이 최대로 되도록 되며 아울러 액체 및 기체 투과가 가능하도록 된 세라믹 분말이 구비되고, 상기 발열파이프는, 열원 발열파이프와 열전도 발열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이 열전도 발열파이프는, 이 열전도 발열파이프의 전체에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의 열이 극대화된 열전도 속도로 전도되어, 발열되게,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의 중공부에는 하부에 열전도 속도가 극대화되도록 된 열전도매체가 내재되고 이 중공부에서 이 열전도매체가 차지한 공간 이외의 공간은, 이 열전도매체가 가열되기 전에는, 진공 내지 진공에 가까운 기압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가 발열할 때 상기 열전도매체가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의 발열에 따라 가열되도록 이 열전도 발열파이프의 일단부가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에 체결된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4. 본 고안에 의하면, 발열파이프의 발열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발열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를 극대화할 수 있어, 전기소비량 또는 온소소비량을 최소화하며, 인체에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을 극소화하며, 침대에 흘러내리는 인체로 부터의 땀이 흡수되어 증발가능하므로 쾌적하게 침대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
본 고안은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대프레임의 상판으로서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가 구비되고, 발열파이프와의 접촉 표면적이 최대로 되도록 되며 아울러 액체 및 기체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된 세라믹 분말이 구비되고, 상기 발열파이프는, 열원 발열파이프와, 이 열원 발열파이프의 열의 열전도 속도가 극대화되도록 된 열전도 발열파이프로 이루어져;
본 고안에 따른 침대의 사용을 위하여 발열을 시작함에 있어 이 발열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발열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를 극대화할 수 있고, 인체에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을 극소화하며, 침대에 흘러내리는 인체로 부터의 땀이 흡수되어 증발가능하므로 쾌적하게 침대를 사용할 수 있도로 된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에 있어서는, 침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원적외선 방사용인 판상의 천연석과, 동 판상의 천연석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히터 또는 탄소발열체층 또는 온수파이프 등으로 된 발열부재와, 기저부에 설치된 단열재층을 기본적 구성요소로서 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침대의 사용을 위하여 발열을 시작할 때 이 발열에 의하여 상기 천연석이 가열되어 가열된 천연석으로부터의 원적외선 방사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며, 발열부재의 상방에 위치한 판상의 천연석은 발열부재의 상방의 열에 의하여서만 원적외선을 방사하게 되므로 열효율이 낮고, 더욱이 발열부재와 판상의 천연석과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지 아니하여 열효율이 낮아, 기대치의 발열과 원적외선 방사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전기사용량 또는 온수사용량이 많아져 전기료 등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발열부재인 전기히터 또는 탄소발열체층이 침대의 거의 모든 수평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구성이며 상기와 같이 많은 전기사용량의 필요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의 사용자에게 많은 전자파 영향을 주게 되어 전자파 차단장치가 또한 필요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판상의 천연석을 원적외선 방사용 부재로서 사용하는 구성임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의 사용시, 인체의 땀의 흘러내림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와 인체 사이에 땀이 배어 쾌적한 기분을 유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침대프레임의 상판으로서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가 구비되고, 발열파이프와의 접촉 표면적이 최대로 되도록 되며 아울러 액체 및 기체 투과가 가능하도록 된 세라믹 분말이 구비되고, 상기 발열파이프는, 열원 발열파이프와 열전도 발열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이 열전도 발열파이프는, 이 열전도 발열파이프의 전체에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의 열이 극대화된 열전도 속도로 전도되어, 발열되게,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의 중공부에는 하부에 열전도 속도가 극대화되도록 된 열전도매체가 내재되고 이 중공부에서 이 열전도매체가 차지한 공간 이외의 공간은, 이 열전도매체가 가열되기 전에는, 진공 내지 전공에 가까운 기압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가 발열할 때 상기 열전도매체가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의 발열에 따라 가열되도록 이 열전도 발열파이프의 일단부가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본 고안에 따른 침대의 사용을 위하여 발열을 시작함에 있어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의 발열에 따라 극대화된 열전도 속도로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에 열전도되어 이 열전도 발열파이프가 발열하므로, 발열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아울러 발열파이프와 원적외선 방사용 세라믹 분말의 접촉면적이 극대화하여 발열파이프의 발열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를 극대화할 수 있어 전기나 온수 소비를 극소화할 수 있고, 전기를 사용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전기의 사용량이 작아 인체에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을 극소화하며;
침대에 흘러내리는 인체로부터의 땀이 흡수되어 증발가능하므로 쾌적하게 침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일부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 중 열원 발열파이프와 열전도 발열파이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의 M의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을 보인, 도 4에서의 M의 확대도
도 7은 종래의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의 개략적 우성을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10 : 세라믹재
11 : 세라믹 분말20 : 발열부재
21 : 열원 발열파이프22 : 열전도 발열파이프
22-1 : 파이프22-1a : 파이프의 일단부
22-1b : 파이프의 타단부22-1k : 파이프의 내부
22-2 : 연결파이프22-2k : 연결파이프의 내부
30 : 열전도매체40 : 단열재층
100 : 침대프레임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 실시예에 따라 그 구성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발열부재(20)에 의하여 가열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도록 된 세라믹재(10)와, 침대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라믹재(10)를 가열하도록 된 발열부재(20)와, 침대프레임(100)의 기저부에 설치된 단열재층(40)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프레임(100)의 상판으로서, 액체 및 기체의 투과가 가능하며 아울러 침대프레임(100)의 내부에 충전되는 세라믹 분말(11)을 덮어 보존하도록 하며 아울러 교체가능하도록 된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1)가 구비된다.
상기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1)는 한지(韓紙) 또는 헝겊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재(10)는, 침대프레임(100)의 내부에 충전되며 아울러 열원 발열파이프(21)와 열전도 발열파이프(22)를 모두 방향에서 둘러싸며 접하여 상기 열원 발열 파이프(21)와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에 대한 접촉 표면적이 최대한으로 되도록 되며 아울러 상기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1)를 투과하여 들어온 액체가 흡수되어 가열시 기체로 증발되어 이 기체가 상기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1)로 투과하여 나갈 수 있도록 된 세라믹 분말(11)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열부재(20)는 열원 발열파이프(熱源 發熱 pipe)(21)와 열전도 발열파이프(熱傳導 發熱 pipe)(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는, 발열하여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를 가열하며 아울러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에 접하는 상기 세라믹 분말(11)을 가열하도록, 내부(21a)에 통상의 전기히터(그 도시는 생략함) 또는 온수(溫水) 파이프(그 도시는 생략함)가 설치된다.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는,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의 발열시 그 열이 열전도 발열파이프(22)의 전체에, 극대화된 열전도 속도로, 열전도 되어, 발열하여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에 접하는 상기 세라믹 분말(11)을 가열하도록;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는, 내부(22-1k)가 중공부(中空部)로 형성된 여러개의 파이프(22-1)와, 이 여러 개의 파이프(22-1)의 각각의 내부(22-1k)인 중공부(中空部)가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중공부(中空部)가 되도록 내부(22-2k)가 중공부(中空部)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여러 개의 파이프(22-1)의 각각의 타단부(22-1b)에 체결되도록 된 연결파이프(2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러개의 파이프(22-1)의 내부(22-1k)인 중공부(中空部)의 하부에 충전된 열전도매체(30)가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에 접하여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의 발열에 따라 상기 열전도매체(30)가 가열되도록, 상기 여러 개의 파이프(22-1)의 각각의 일단부(22-1a)는 상기 여러 개의 파이프(22-1)의 각각의 타단부(22-1b)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각도로 상기 여러 개의 파이프(22-1)의 각각의 일단부(22-1a)가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에 체결되고;
상기 내부(22-1k)인 중공부는 이 중공부의 하부에 열전도매체(30)가 충전되며,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가 발열되지 아니하여 상기 열전도매체(30)가 가열되지 아니한 때에는, 상기 내부(22-1k)인 중공부 중 상기 열전도매체(30)가 차지한 공간을 제외한 부분과 상기 내부(22-2k)인 중공부(이하, 상기 내부(22-1k)인 중공부 중 상기 열전도매체(30)가 차지한 공간을 제외한 부분과 상기 내부(22-2k)인 중공부를 진공 중공부라고 함)가 진공상태 내지 진공에 가까운 기압상태의 공간이다.
상기 열전도매체(30)는 물(H2O)과, 수용성이며 아울러 휘발성인 액체(이하, 수용성 휘발성 액체라고 함) 바람직하게는 아세톤(acetone)(CH3COCH3)과, 상기 물과 상기 수용성 휘발성 액체에 용해된 기체 바람직하게는 아세틸렌(acetylene)(C2H2)과, 수용성 금속염(水溶性 金屬鹽) 바람직하게는 질산은(AgNO3)과, 금속산화물 분말 바람직하게는 산화동(酸化銅) 분말과, 세라믹(ceramics) 분말 바람직하게는 일라이트(illite) 분말과, 실리콘수지 분말로 조성된다.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가 상기 전기히터 또는 상기 온수파이프에 의하여 발열하는 때에는,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의 발열에 따라 이 열원 발열파이프(21)의 열이 상기 열전도매체(30)에 전도되어 이 열전도매체(30)가 가열되고, 이에 따라 상기 물과 상기 수용성 휘발성 액체에 용해된 상기 기체가 상기 진공 중공부로 확산되고, 상기 수용성 휘발성 액체와 상기 물이 상기 진공 중공부로 증발 및 확산되어,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의 열이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의 전체로 전도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열전도매체(30)에 있어서, 상기 물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60 중량% 내지 70 중량%이고, 상기 아세톤(acetone)(CH3COCH3)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0.5 중량% 내지 1 중량%이고, 상기 아세틸렌(acetylene)(C2H2)은 상온 즉 15℃에서 상기 물과 상기 아세톤(acetone)(CH3COCH3)에 거의 포화상태로 용해된 정도의 양으로서 그 중량%는 미량 중량%이고, 상기 질산은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0.1 중량% 내지 0.5 중량%이고, 상기 산화동 분말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5 중량% 내지 10 중량%이고, 상기 일라이트(illite) 분말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15 중량% 내지 25 중량%이고, 상기 실리콘수지 분말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5 중량%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되기전 상태에서의 상기 열전도매체(30)의 부피는 상기 내부(22-1k)인 중공부(22b)의 부피의 5%~15%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와 강기 여러 개의 파이프(22-1)의 연결 제작상과 상기 여러 개의 파이프(22-1)와 상기 연결 파이프(22-2)의 연결 제작상에 발생할 수 있는 미공(微孔)은 비스무트(bismuth)에 의한 용접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와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는 동(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는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의 비가열시에는 상기 진공상태 내지 진공에 가까운 기압상태를,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의 가열시에는 상기 열전도매체(30)로부터의 증기압을, 견딜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와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는, 발열시, 40℃ 내지 70℃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히터 또는 상기 온수 파이프의 밸브와 전기제어장치(50)와 온도센서(60)는 서로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된다.
도면에서의 부호 중 미설명부호로서, 29는 진공용 공기배출부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은 아래와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대프레임(100)의 상판으로서, 액체 및 기체의 투과가 가능하며 아울러 침대프레임(100)의 내부에 충전되는 세라믹 분말(11)을 덮어 보존하도록 하며 아울러 교체가능하도록 된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1)가 구비되고, 동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11)가 바람직하게는 한지 또는 헝겊임에 따라;
인체로부터의 땀이 상기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1)에 흡수 및 투과되며 아울러 상기 세라믹 분말(11)에 흡수되고, 이렇게 흡수된 땀은 가열된 상기 세라믹 분말(11)의 열에 의하여 증발되어 수증기의 형태로서 상기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1)를 투과하여 공기 중으로 확산되므로, 상기와 같이 침대의 가열시 인체와 침대의 상판 사이에서 땀으로 인하여 습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쾌적한 상태로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1)는, 변질 또는 변색된 경우 등 필요시에는, 쉽게 교체가 가능하며, 특히 한지 또는 헝겊은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게 쉽게 교체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라믹 분말(11)은, 침대프레임(100)의 내부에 충전되며 아울러 상기 발열부재(20)인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와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를 모든 방향에서 접하여 접촉 표면적이 최대한으로 되도록 된 구성이므로,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와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에 대한 상기 세라믹 분말(11)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어,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와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로부터 상기 세라믹 분말(11)로의 열공급 및 열흡수가 극대화되어,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와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의 발열을 위한 소비전력이나 온수의 공급량을 극소화하며, 아울러 상기 세라믹 분말(11)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를 극대화하게 된다.
상기 발열부재(20)인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와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에서,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는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를 가열하며 아울러 접하는 상기 세라믹 분말(11)을 가열하도록 내부(21a)에 설치된 통상의 전기히터 또는 온수파이프에 의하여 가열된다.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는, 내부(22-1k)가 중공부로 형성된 상기 여러 개의 파이프(22-1)와, 이 여러 개의 파이프(22-1)의 각각의 내부(22-2k)인 중공부가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중공부를 이루며, 아울러 상기 여러 개의 파이프(22-1)의 각각의 일단부(22-1a)는 상기 여러 개의 파이프(22-1)의 각각의 타단부(22-1b) 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각도로, 즉 열전도 발열파이프(22)가 전체적으로 경사가 완만한 V자(字)형으로서, 상기 여러 개의 파이프(22-1)의 각각의 일단부(22-1a)가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에 체결되어 상기 열전도매체(30)가 중력에 의하여 상기 여러 개의 파이프(22-1)의 내부(22-1k)인 중공부의 하부에 충전되므로, 상기 전체적으로 서로 연결된 하나의 중공부에서의, 하기와 같은 열전도매체(30)의 작용에 의한 열전도 작용에 의하여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는,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의 발열시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의 열이 열전도 발열파이프(22)의 전체에 전도되는 시간을 극소화하게 되어, 상기 세라믹 분말(11)이 신속히 가열된다. 즉,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가 발열되지 아니한 때에는, 상기 내부(22-1k)인 중공부 중 상기 하부가 열전도매체(30)로 충전되어 있고, 상기 진공 중공부는 진공상태 내지 진공에 가까운 기압상태의 공간이므로;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가 발열되는 때에는 이 발열에 따라, 상기 열전도매체(30) 중 수용성 휘발성 액체 바람직하게는 아세톤과, 물에 용해되는 상기 수용성 금속염 바람직하게는 질산은과, 상기 물과 상기 수용성 휘발성 액체에 섞인 금속산화물 분말 바람직하게는 산화동 분말과, 세라믹 분말 바람직하게는 일라이트(illite) 분말과 실리콘수지 분말의 각각의 비열은 물의 비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이러한 낮은 비열의 물질이 용해되고 섞인 상태의 상기 열전도매체(30)는, 순수한 물에 비하여 비열이 낮아지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열에 의하여도 쉽게 가열된다.
더욱이, 상기 열전도매체(30)가 가열됨에 있어서, 물과 상기 수용성 휘발성 액체의 대류에 어울려, 일반적으로 비수용성(非水溶性)이거나 미량 물에 녹는 금속산화물 분말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화동 분말과, 비수용성인 상기 세라믹 분말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라이트(illite) 분말과, 비수용성인 상기 실리콘수지 분말의 대류가 이루어져, 상기 열전도매체(30)의 액체성분 전체에 빠른 속도로 열전도가 이루어져 상기 열전도매체(30)의 가열속도가 극대화된다.
또한, 도 6의 화살표 E 표시와 같이, 상기 진공 중공부로서 상기 진공상태 내지 진공에 가까운 기압 상태인 공간의 존재로 인하여, 우선 상기 열전도매체(30) 중의 액체성분인 물과 상기 수용성 휘발성 액체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세톤에 용해된 상기 기체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세틸렌은 액체성분으로부터의 이탈이 촉진되며, 또한 상기 수용성 휘발성 액체의 증발로 촉진되고, 이어서 상기 물도 그 증발이 촉진된다. 즉;
상기와 같이 가열된 열전도매체(30)로부터, 상기 물과 수용성 휘발성 액체에 용해된 기체,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세틸렌은 가열된 상태로 가장 빨리 상기 진공 중공부인, 상기 진공상태 내지 진공에 가까운 기입 상태의 공간쪽으로 확산하며, 아울러 상기 수용성 휘발성 액체,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세톤이 가열된 상태로 상기 진공 중공부인, 진공상태 내지 진공에 가까운 기압 상태의 공간으로 휘발성에 따라 쉽게 증발하며, 이어서 비열이 상대적으로 큰 상기 물은 가장 늦게 가열된 상태로 수증기로서 상기 진공 중공부인, 상기 진공상태 내지 진공에 가까운 상태의 공간으로 증발하여;
상기 진공 중공부의 전체에, 상기 물과 수용성 휘발성 액체에 용해된 기체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세틸렌이, 가열된 상태로 확산되고, 이어서 상기 수용성 휘발성 액체 바람직하게는 아세톤의 증기가 휘발성에 따라 가열된 상태로 용이하게 증발 및 확산되고, 이어서 상기 물로부터 수증기가 가열된 상태로 증발 및 확산되어,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는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의 발열시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의 열이 열전도 발열파이프(22)의 전체에 극대화된 열전도의 속도로서 전도되어, 열이 전도되는 시간을 극소화하게 된다.
상기 열전도매체(30)가 가열되어 상기와 같이 증발 및 확산이 계속 이루어진 동안, 상기열전도매체(30) 중 상기 물에 용해되었던 상기 수용성 금속염은 대부분 용해된 상태로서 유지되며(다만, 상기 수용성 금속염은 상기 물의 증발에 따라 일부 고체화 할 수 있음);
아울러 원래부터 고체 상태인 상기 금속산화물 분말과 상기 세라믹 분말과 상기 실리콘수지 분말은 분말 상태인 고체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상기 세라믹 분말(11)은,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와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를 모든 방향에서 접하도록 침대프레임(100) 내부에 충전되므로,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와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에 대한 접촉면적이 극대화되어, 용이하게 가열되어 원적외선 방사를 극대화한다.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의 발열이 중단되면, 상기와 같이 증발되었던 증기는 응결되어 액체상태로 되고, 물과 수용성 휘발성 액체에 용해되는 상기 기체는 물과 수용성 휘발성 액체에 용해되어 상기 열전도매체(30)로서 상기 내부(22-1k)인 중공부의 하부에 원위치하여 충전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여 열효율이 극대화하며 열 소모가 극소화되므로, 전기소비량 또는 온수소비량이 극소화된다.
상기 비스무트는 용융점이 낮아,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의 연결에서의 미공을 용접하여 봉하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도매체(30)에 있어서, 상기 물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60 중량% 내지 70 중량%이고, 상기 아세톤(acetone)(CH3COCH3)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0.5 중량% 내지 1 중량%이고, 상기 아세틸렌(acetylene)(C2H2)은 상온 즉 15℃에서 상기 물과 상기 아세톤(acetone)(CH3COCH3)에 거의 포화상태로 용해되는 정도의 양으로서 그 중량은 미량 중량%이고, 상기 질산은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0.1 중량% 내지 0.5 중량%이고, 상기 산화동 분말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5 중량% 내지 10 중량%이고, 상기 일라이트 분말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15 중량% 내지 25 중량%이고, 상기 실리콘수지 분말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5 중량%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상기 가열속도와 열전도속도의 극대화에 가장 바람직하다.
가열되기전 상태에서의 상기 열전도매체(30)의 부피는 상기 내부(22-1k)인 중공부의 부피의 5%~15% 정도인 구성에 의하여, 상기 열전도매체(30)의 가열시 열전도 발열파이프(22)의 내부(22-1k)(22-2k)에서의 적절한 압력이 유지되며 아울러 상기 열전도매체(30)가 최소의 열량으로 극대의 열효과로 가열되며 아울러 그 가열속도가 극대화되므로, 가열된 상기 열전도매체(30)의 상기 증발 및 확산에 의하여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로부터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의 전체로의 열전도 속도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아울러 열소모를 극소화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는 상기 열전도매체(30)로부터의 증기압을 견딜 수 있도록 이루어지므로, 상기와 같이 가열된 증기압을 견딜 수 있다.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와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는, 발열시, 40℃ 내지 70℃로 유지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와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가 동(銅)인 경우, 내구성이 강하고, 열전도 효과가 크고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다.
상기 구성 및 작용에 의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을 위하여 발열을 시작할 때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의 발열과 거의 동시적으로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가 전도가열되어 상기 발열파이프 전체가 신속히 발열하므로 상기 발열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발열파이프와 원적외선 방사용 세라믹 분말의 접촉면적이 극대화하여 발열파이프의 발열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를 극대화할 수 있어 전기 소비량이나 온수 소비량을 극소화할 수 있고, 전기를 사용하는 구조가 간단하고 전기의 사용량이 작아 인체에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을 극소화하며;
침대에 흘러내리는 인체로부터의 땀이 흡수되어 증발가능하므로 쾌적하게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침대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발열부재(20)에 의하여 가열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도록 된 세라믹재(10)와, 침대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라믹재(10)를 가열하도록 된 발열부재(20)와, 침대프레임(100)의 기저부에 설치된 단열재층(40)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프레임(100)의 상판으로서, 액체 및 기체의 투과가 가능하며 아울러 침대프레임(100)의 내부에 충전되는 세라믹 분말(11)을 덮어 보존하도록 하며 아울러 교체가능하도록 된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1)가 구비되고,
    상기 세라믹재(10)는, 침대프레임(100)의 내부에 충전되며 아울러 열원 발열파이프(21)와 열전도 발열파이프(22)를 모두 방향에서 둘러싸며 접하여 상기 열원 발열 파이프(21)와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에 대한 접촉 표면적이 최대한으로 되도록 되며 아울러 상기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1)를 투과하여 들어온 액체가 흡수되어 가열시 기체로 증발되어 이 기체가 상기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1)로 투과하여 나갈 수 있도록 된 세라믹 분말(11)이며,
    상기 발열부재(20)는 열원 발열파이프(熱源 發熱 pipe)(21)와 열전도 발열파이프(熱傳導 發熱 pipe)(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는,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의 발열시 그 열이 열전도 발열파이프(22)의 전체에 열전도되어, 발열하여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에 접하는 상기 세라믹 분말(11)을 가열하도록,
    상기 열전도 발열파이프(22)는, 내부(22-1k)가 중공부(中空部)로 형성된 여러개의 파이프(22-1)와, 이 여러 개의 파이프(22-1)의 각각의 내부(22-1k)인 중공부(中空部)가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중공부(中空部)가 되도록 내부(22-2k)가 중공부(中空部)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여러 개의 파이프(22-1)의 각각의 타단부(22-1b)에 체결되도록 된 연결파이프(2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여러개의 파이프(22-1)의 내부(22-1k)인 중공부(中空部)의 하부에 충전된 열전도매체(30)가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에 접하여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의 발열에 따라 상기 열전도매체(30)가 가열되도록, 상기 여러 개의 파이프(22-1)의 각각의 일단부(22-1a)는 상기 여러 개의 파이프(22-1)의 각각의 타단부(22-1b)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각도로 상기 여러 개의 파이프(22-1)의 각각의 일단부(22-1a)가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에 체결되고,
    상기 내부(22-1k)인 중공부는 이 중공부의 하부에 열전도매체(30)가 충전되며, 상기 열원 발열파이프(21)가 발열되지 아니하여 상기 열전도매체(30)가 가열되지 아니한 때에는, 상기 내부(22-1k)인 중공부 중 상기 열전도매체(30)가 차지한 공간을 제외한 부분과 상기 내부(22-2k)인 중공부가 진공상태 내지 진공에 가까운 기압상태의 공간이며,
    상기 열전도매체(30)는 물(H2O)과, 수용성이며 아울러 휘발성인 액체(이하, 수용성 휘발성 액체라고 함) 와, 상기 물과 상기 수용성 휘발성 액체에 용해된 기체 와, 수용성 금속염(水溶性 金屬鹽)과, 금속산화물 분말과, 세라믹(ceramics) 분말과, 실리콘수지 분말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기체 투과 덮개부(1)는 한지(韓紙) 또는 헝겊이며,
    상기 열전도매체(30)는 상기 수용성 휘발성 액체가 아세톤(acetone)(CH3COCH3)이고, 상기 물과 상기 수용성 휘발성 액체에 용해된 기체가 아세틸렌(acetylene)(C2H2)이고, 상기 수용성 금속염이 질산은(AgNO3)이고, 상기 금속산화물 분말이 산화동(酸化銅) 분말이고, 상기 세라믹 분말이 일라이트(illite) 분말이고,
    상기 열전도매체(30)에서, 상기 물(H2O)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60 중량% 내지 70 중량%이고, 상기 아세톤(acetone)(CH3COCH3)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0.5 중량% 내지 1 중량%이고, 상기 아세틸렌(acetylene)(C2H2)은 상온에서 상기 물과 상기 아세톤(acetone)(CH3COCH3)에 거의 포화상태로 용해된 정도의 양으로서 그 중량%는 미량 중량%이고, 상기 질산은(AgNO3)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0.1 중량% 내지 0.5 중량%이고, 상기 산화동(酸化銅) 분말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5 중량% 내지 10 중량%이고, 상기 일라이트(illite) 분말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15중량% 내지 25 중량%이고, 상기 실리콘수지 분말은 상기 열전도매체(30)의 5 중량%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
KR2019970026273U 1997-09-20 1997-09-20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 KR200157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273U KR200157621Y1 (ko) 1997-09-20 1997-09-20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273U KR200157621Y1 (ko) 1997-09-20 1997-09-20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073U true KR19990013073U (ko) 1999-04-15
KR200157621Y1 KR200157621Y1 (ko) 1999-10-01

Family

ID=1951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273U KR200157621Y1 (ko) 1997-09-20 1997-09-20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6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437B1 (ko) * 2000-02-25 2002-11-23 박광수 원적외선 방사 보온 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437B1 (ko) * 2000-02-25 2002-11-23 박광수 원적외선 방사 보온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7621Y1 (ko) 199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9888B1 (en) Portable heat generating device
SE0000574D0 (sv) Anordning för homogen värmning av ett objekt
CA2462970A1 (en) Membrane catalytic heater
ES444828A1 (es) Perfeccionamientos en rizadores electricos.
JPWO2007037408A1 (ja) 携帯式熱伝達装置
KR200157621Y1 (ko) 원적외선 방사용 침대
KR200157622Y1 (ko) 침대용 발열파이프
KR100657548B1 (ko) 수소를 열원으로 하는 보일러 시스템
GB1325675A (en) Heat treatment of fluids
KR100727624B1 (ko) 비연소 및 무소음 방식의 촉매히터
ATE278476T1 (de) Vorrichtung zum verdampfen und/oder vernebeln einer flüssigkeit
KR200295756Y1 (ko) 고온용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스토브
Figus et al.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a porous evaporator for a capillary pump loop
TW200417414A (en) Jet heat-transfer device
KR20040094005A (ko) 4 층 구조를 갖는 온도조절형 발열투습방수원단
SU947614A1 (ru) Газорегулируема теплова труба
KR960005131Y1 (ko) 원적외선바이오세라믹 침대매트
JP2659824B2 (ja) 水蒸気電解装置
JP2852035B1 (ja) 遠赤外線温熱帯
Wormald Flash boilers for flow calorimetric experiments
JPS61252443A (ja) 蒸気発生装置
JPS6241736B2 (ko)
KR100529155B1 (ko) 다공성 필터를 이용한 촉매 히터
JPS6210617Y2 (ko)
JPH0391659A (ja) 無電源冷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