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647A -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647A
KR19990011647A KR1019970034828A KR19970034828A KR19990011647A KR 19990011647 A KR19990011647 A KR 19990011647A KR 1019970034828 A KR1019970034828 A KR 1019970034828A KR 19970034828 A KR19970034828 A KR 19970034828A KR 19990011647 A KR19990011647 A KR 19990011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filter
vortex guide
thumb
d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0782B1 (ko
Inventor
홍경섭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34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782B1/ko
Publication of KR19990011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8Arrangements to prevent clogging of the filters, e.g. self-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세척시와 배수시 펌프 유입 유로가 하나로 동일하기 때문에 세척시 필터 내부에 모인 오염을 밖으로 배출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세척후 필터를 꺼내어 내부에 모인 오물을 처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는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수를 담아놓는 썸프(sump)와, 이 썸프에 장착되어 유입된 세척수에 회전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중심에서부터 곡률 반경이 커지는 나선형의 와류 가이드와, 이 와류 가이드 내 부착되어 세척공정시 와류 가이드에 의한 회전 유동에 따라 세척수의 오물을 거르는 다수개의 필터로 구성됨으로써, 세척시에는 오물을 저장하여 세척물에 재비산 시키지 않으면서 배수시에는 오물을 배출할 수 있게 하고, 유로내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시에는 오물을 저장하여 세척물에 재비산 시키지 않으면서 배수시에는 오물을 배출할 수 있게 한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11)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수를 담아놓는 썸프(sump)(3)와, 상기 썸프(3)로부터 세척수를 흡입하는 흡입유로(4)와, 이 흡입유로(4)를 통해 흡입된 세척수가 세척공정과 배수공정을 수행하도록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배수 일체형 펌프(1)와, 이 펌프(1)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흘려보내는 세척 토출구(9)와, 이 세척 토출구(9)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급수하는 세척암(arm)(5)과, 식기(11)를 세척하는 공간이 되는 터브(tub)(6)와, 상기 식기(11)를 수납하는 랙(10)과, 세척 공정을 마친 세척수가 배수되는 배수 토출구(7)로 구성된다.
상기 썸프(3)에는 오물을 거르는 필터(2)가 장착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8은 세척수를 데우기 위해 설치되는 히터(heater)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척중 썸프(3)에 모인 세척수는 펌프(1)의 압력이 높아지면 필터(2)를 거쳐 세척 토출구(9)로 토출되고, 세척암(5)을 통해 터브(6) 내로 분사되고, 터브(6)내에 수납되어 있는 식기(11)를 세척한다.
이때, 터브(6) 내에 설치된 히터(8)에 의해 세척수가 가열되며 이 가열된 세척수는 다시 썸프(3)내에 모이게 된다.
배수시에는 세척을 모두 끝낸 세척수가 썸프(3)내에 모이게 되고 이 오염된 세척수는 세척시와 마찬가지로 상기 펌프(1)의 압력이 높아지면 썸프(3) 내 필터(2)를 거쳐 배수 토출구(7)를 지나 식기 세척기 밖으로 배수된다.
일반적으로 세척공정과 배수공정을 위한 펌프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필터(2) 내부에 모인 오물을 배수시 다른 유로를 통해서 배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급배수 일체형 펌프를 사용한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세척시와 배수시 펌프(1)로의 흡입 유로(4)가 하나로 동일하기 때문에 세척시 필터(2) 내부에 모인 오염을 밖으로 배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척후 필터(2)를 꺼내어 내부에 모인 오물을 처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썸프(3)에 모이는 세척수는 펌프(1)로의 유입시 급격한 단면 변화로 인하여 난류성 유동이 커지기 때문에 유동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바, 이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세척시에는 오물을 저장하여 세척물에 재비산 시키지 않으면서 배수시에는 오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펌프로의 유입시 급격한 단면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로내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와류 가이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썸프(sump) 30; 와류 가이드
40; 필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수를 담아놓는 썸프(sump)와, 이 썸프내에 장착되어 상기 썸프내로 유입된 세척수에 회전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중심에서부터 곡률 반경이 커지는 나선형의 와류 가이드와, 이 와류 가이드 내 부착되어 세척중심에서부터 공정시 상기 와류 가이드에 의한 회전 유동에 따라 세척수의 오물을 거르는 다수개의 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상기 썸프의 하단면은 상기 필터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세척수가 흐를 수 있도록 굴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류 가이드는 상기 썸프 내에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는 오물을 거르기 용이하도록 상기 와류 가이드의 곡률 중심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장착된다.
상기 필터는 각각의 메쉬(mesh) 크기를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수를 담아놓는 썸프(sump)(20)에 상기 썸프(20)내로 유입된 세척수에 회전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중심에서부터 곡률 반경이 커지는 나선형의 와류 가이드(30)가 장착되고, 세척공정시 상기 와류 가이드(30)에 의한 회전 유동에 따라 세척수의 오물을 거르도록 다수개의 필터(40)가 이 와류 가이드(30) 내에 부착되어 있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 가이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상기 필터(40)는 와류 가이드(30)의 최외측 내면에 부착된 것으로 각 유로 단면의 일부만을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터(40)는 오물을 거르기 용이하도록 상기 와류 가이드(30)의 곡률 중심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장착된다.
첨부한 도 3은 도 2에서의 A-A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썸프(20)의 하단면은 상기 필터(4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세척수가 흐를 수 있도록 굴곡형성된다.
상기 필터(40)들은 부착되는 부위가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메쉬(mesh) 크기를 미세하게 하여 큰 원심력을 받은 작은 오물을 거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척 행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썸프(20)에 세척수가 유입되면 상기 급배수 일체형 펌프(1)에 의해 흡입된다.
상기 펌프(1)는 그 내부에 일방향으로 굴곡된 회전차(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세척시와 배수시 상기 회전차의 회전방향이 반대가 되어 세척시의 흡입력과 배수시의 흡입력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를 펌프(1) 입구에서의 유속으로 비교하면 세척시의 유속이 배수시의 유속에 비해 약 4배 이상 높게 된다.
따라서, 세척시 썸프(20) 내로 유입된 세척수는 상기 펌프(1) 내부에 설치된 회전차의 회전에 의한 흡입력으로 내부의 와류 가이드(30)를 빠른 속도로 통과하면서 회전유동을 발생하고 이에 따라 세척수에 포함된 오물은 원심력을 받게 된다.
원심력을 받은 오물은 와류 가이드(3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몰리게 되고, 상기 와류 가이드(30)의 최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40)들에 의해 걸러지게 되며 이 과정이 반복적으로 행해지면서 깨끗한 세척수 만이 유로를 순환하게 된다.
또한, 와류 가이드(30)에 의해 세척수는 서서히 층류 유동을 형성하면서 펌프(1)로 유입되기 때문에 유동 소음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세척을 마치면 배수를 하게 되는데 이때 펌프(1)의 흡입 유속이 세척시보다 크게 떨어지므로 와류 가이드(30)를 통과하는 세척수는 원심력을 받지 않고 내부에 떠 다니는 오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썸프(20) 내에 수위가 낮아지면 오물은 굴곡형성된 썸프(20)의 하단면에 모이게 되어 세척수와 함께 쉽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에 의하면 급배수 일체형 펌프를 사용하는 식기 세척기에서 세척시 오물이 재비산되지 않도록 필터에 오물을 모으고, 모인 오물을 배수시 배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세척후 필터를 꺼내어 내부에 모인 오물을 처리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아울러 유동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수를 담아놓는 썸프(sump)와, 이 썸프내에 장착되어 상기 썸프내로 유입된 세척수에 회전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중심에서부터 곡률 반경이 커지는 나선형의 와류 가이드와, 이 와류 가이드 내 부착되어 세척중심에서부터 공정시 상기 와류 가이드에 의한 회전 유동에 따라 세척수의 오물을 거르는 다수개의 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썸프의 하단면은 상기 필터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세척수가 흐를 수 있도록 굴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가이드는 상기 썸프 내에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오물을 거르기 용이하도록 상기 와류 가이드의 곡률 중심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각각의 메쉬(mesh) 크기를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
KR1019970034828A 1997-07-25 1997-07-25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 KR100230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828A KR100230782B1 (ko) 1997-07-25 1997-07-25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828A KR100230782B1 (ko) 1997-07-25 1997-07-25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647A true KR19990011647A (ko) 1999-02-18
KR100230782B1 KR100230782B1 (ko) 1999-11-15

Family

ID=1951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828A KR100230782B1 (ko) 1997-07-25 1997-07-25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07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2925A1 (ko) *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프라임 식기 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2925A1 (ko) *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프라임 식기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0782B1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312439B2 (en) Sump of dish washer
KR101016311B1 (ko) 식기 세척기
KR100606823B1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장치
JP4740247B2 (ja) 食器洗い機
KR100772223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구조
US20060118148A1 (en) Soil jam preventing structure of dish washer
US20150129511A1 (en) Dishwashe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n appliance
KR100230782B1 (ko) 식기 세척기의 여과장치
KR100223413B1 (ko) 세탁기용 이물걸름장치의 커버 결합구조
KR100457597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0457596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0457595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940006841Y1 (ko) 식기세척기의 여과장치
KR100511967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200156824Y1 (ko) 식기세척기의 여과장치
KR100269467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JPS5910837B2 (ja) 洗濯機
KR0186118B1 (ko) 식기세척기의 오물수집장치
KR100246388B1 (ko) 식기 세척기의 오물 처리장치
KR100269468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유로구조
KR100282144B1 (ko) 식기세척기의구조
KR100269472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
KR950009587Y1 (ko) 세탁기 보푸라기 걸름장치
KR20060011279A (ko) 식기 세척기의 보조 오물 걸름 구조
KR20060043892A (ko) 식기 세척기 섬프의 유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