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551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551A
KR19990011551A KR1019970034688A KR19970034688A KR19990011551A KR 19990011551 A KR19990011551 A KR 19990011551A KR 1019970034688 A KR1019970034688 A KR 1019970034688A KR 19970034688 A KR19970034688 A KR 19970034688A KR 19990011551 A KR19990011551 A KR 19990011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ir
room
heat exchanger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문
주정원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34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551A/ko
Publication of KR1999001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551A/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의 흡입 및 토출구조를 달리하여 상기 토출공기에 의한 실내의 냉방이 구석진 곳까지 골고루 행하여 지도록 함에 따라 냉방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11)와, 상기 본체 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힌지결합되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도록 된 한쌍의 송풍팬(12)과, 상기 각 송풍팬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모터(13)와, 상기 본체(11)의 양측면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부착되어 송풍팬(12)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실내의 더운공기를 본체(11) 내로 흡입시켜 주는 흡입그릴(14)과, 상기 본체(11) 내의 송풍팬(12) 후방에 설치되어 송풍팬의 회전에 따라 흡입그릴(14)을 통해 흡입된 더운공기를 찬공기로 바꾸어 주는 열교환기(15)와, 상기 본체(11) 내의 각 송풍팬(12) 사이에 고정되어 열교환기(15)에 의해 차가워진 공기를 분리하여 서로 섞이지 않도록하여 주는 격판(16)과, 상기 각 송풍팬(12) 사이에 위치되도록 본체(11)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부착되어 격판에 의해 분리된 찬공기를 실내로 토출시켜 주는 토출그릴(17)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의 흡입 및 토출구조를 달리하여 상기 토출공기에 의한 실내의 냉방이 전부분 골고루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공기를 열교환에 의해 찬공기로 바꾸어 줌에 따라 상기 실내를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뜨려 냉방시켜 주는 기기로서, 종래에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된 송풍팬(2)과,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켜 주는 모터(3)와, 상기 본체(1)의 전면 하부에 부착되어 송풍팬(2)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실내의 더운공기를 본체(1) 내부로 흡입시켜 주는 흡입그릴(4)과, 상기 본체(1) 내의 송풍팬(2) 하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송풍팬의 회전에 따라 흡입그릴(4)을 통해 본체(1) 내로 흡입된 더운공기를 찬공기로 바꾸어 주는 열교환기(5)와, 상기 본체(1)의 전면 상부에 부착되어 열교환기(5)에 의해 바꾸어진 찬공기를 실내로 토출시켜 주는 토출그릴(6)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냉방운전모드를 선택하면 별도의 수단에 의해 압축되어 응축된 냉매가 본체(1) 내의 열교환기(5)로 들어가므로 상기 열교환기가 증발작용을 일으킴과 동시에 본체(1)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힌지결합된 송풍팬(2)이 모터(3)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되는데, 이때 실내의 더운공기가 상기 송풍팬(2)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을 받으므로 본체(1)의 전면 하부에 부착된 흡입그릴(4)을 통해 본체(1) 내부로 흡입되고, 이 흡입된 더운공기는 열교환기(5)를 통과하면서 상기 열교환기의 증발작용에 의해 찬공기로 바꾸어 진다.
이와같이 하여 열교환기(5)에 의해 바꾸어진 찬공기는 계속적인 송풍팬(2)의 회전에 따라 본체(1)의 전면 상부에 부착된 토출그릴(6)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므로 상기 실내의 온도가 적정온도대로 떨어지면서 냉방이 된다.
그러나 종래 이와같은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공기가 본체의 하부로 흡입되어 상부로 토출되는 구조이므로 실내의 어느 특정부위에만 냉각기류가 국부적으로 형성되고, 이에따라 특히 구석진 곳 및 아랫부분의 냉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냉방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공기의 흡입 및 토출구조를 달리하여 상기 토출공기에 의한 실내의 냉방이 어느 특정부위에 국부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전부분 골고루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냉방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힌지결합되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도록 된 한쌍의 송풍팬과, 상기 각 송풍팬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모터와, 상기 본체의 양측면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부착되어 송풍팬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실내의 더운공기를 본체 내로 흡입시켜 주는 흡입그릴과, 상기 본체 내의 송풍팬 후방에 설치되어 송풍팬의 회전에 따라 흡입그릴을 통해 흡입된 더운공기를 찬공기로 바꾸어 주는 열교환기와, 상기 본체 내의 각 송풍팬 사이에 고정되어 열교환기에 의해 차가워진 공기를 분리하여 서로 섞이지 않도록하여 주는 격판과, 상기 각 송풍팬 사이에 위치되도록 본체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부착되어 격판에 의해 분리된 찬공기를 실내로 토출시켜 주는 토출그릴로 구성하여서 된 공기조화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본체 12. 송풍팬
13. 모터 14. 흡입그릴
15. 열교환기 16. 격판
17. 토출그릴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횡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본체(11)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길게 한쌍의 송풍팬(12)(12a)을 힌지결합하여 상기 각 송풍팬이 회전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각 송풍팬(12)(12a)의 하부힌지축에 연결되게 모터(13)(13a)를 설치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각 송풍팬(12)(12a)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11)의 양측면 후방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흡입그릴(14)을 부착하여 각 송풍팬(12)(12a )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실내의 더운공기가 상기 흡입그릴(14)을 통해 본체(11) 내로 흡입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11) 내의 송풍팬(12) 후방에는 V자형으로 절곡된 열교환기(15)를 설치하여 각 송풍팬(12)(12a)의 회전에 따라 흡입그릴(14)을 통해 흡입된 더운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5)에 의해 열교환되어 찬공기로 바꿔지도록 하며, 상기 본체(11) 내의 각 송풍팬(12)(12a) 사이에는 격판(16)을 고정하여 열교환기(15)에 의해 차가워진 공기가 상기 격판(16)에 의해 서로 섞이지 않고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11)의 전면에는 각 송풍팬(12)(12a) 사이에 위치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길게 토출그릴(17)을 부착하여 격판(16)에 의해 분리된 찬공기가 상기 토출그릴(17)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냉방운전모드를 선택하면 별도의 수단에 의해 압축되어 응축된 냉매가 본체(11) 내의 열교환기(15)로 들어가므로 상기 열교환기가 증발작용을 일으킴과 동시에 본체(11)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힌지결합된 한쌍의 송풍팬(12)(12a)중 도면상 오른쪽의 송풍팬(12)은 모터(13)의 역구동력을 받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도면상 왼쪽의 송풍팬(12a)은 모터(13a)의 정구동력을 받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실내의 더운공기가 상기 각 송풍팬(12)(12a)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을 받으므로 본체(11)의 양측면 후방에 부착된 흡입그릴(14)을 통해 상기 본체(11) 내부로 흡입되고, 이 흡입된 더운공기는 열교환기(15)를 통과하면서 상기 열교환기의 증발작용에 의해 찬공기로 바꾸어 진다.
상기에서 열교환기(15)는 V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는데, 이는 넓은 면적에서 증발작용이 일어나게 하여 공기의 냉각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같이 하여 열교환기(15)에 의해 바꾸어진 찬공기는 계속적인 송풍팬(12)(12a)의 회전에 따라 본체(11)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한쌍의 송풍팬(12)(12a) 사이에 위치된 토출그릴(17)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므로 상기 실내의 온도가 적정온도대로 떨어지면서 냉방이 되는데, 상기 본체(11) 내부의 각 송풍팬(12)(12a) 사이에는 격판(16)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냉각된 공기가 토출그릴(17)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기 전까지는 상기 격판(16)에 부딪힘에 따라 서로 섞이지 않게되어 찬공기가 실내로 토출될 때 토출력 손실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실내의 더운공기가 본체의 양측면을 통해 흡입되어 찬공기로 바뀐 다음 상기 본체의 중심부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구조이므로 실내의 어느 특정부위에만 냉각기류가 국부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전부분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특히 구석진 곳 및 아랫부분의 냉방이 원활히 이루어짐에 따라 냉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힌지결합되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도록 된 한쌍의 송풍팬과,
    상기 각 송풍팬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는 모터와,
    상기 본체의 양측면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부착되어 송풍팬의 회전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실내의 더운공기를 본체 내로 흡입시켜 주는 흡입그릴과,
    상기 본체 내의 송풍팬 후방에 설치되어 송풍팬의 회전에 따라 흡입그릴을 통해 흡입된 더운공기를 찬공기로 바꾸어 주는 열교환기와,
    상기 본체 내의 각 송풍팬 사이에 고정되어 열교환기에 의해 차가워진 공기를 분리하여 서로 섞이지 않도록하여 주는 격판과,
    상기 각 송풍팬 사이에 위치되도록 본체의 전면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부착되어 격판에 의해 분리된 찬공기를 실내로 토출시켜 주는 토출그릴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열교환기가 V자형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19970034688A 1997-07-24 1997-07-24 공기조화기 KR19990011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688A KR19990011551A (ko) 1997-07-24 1997-07-24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688A KR19990011551A (ko) 1997-07-24 1997-07-24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551A true KR19990011551A (ko) 1999-02-18

Family

ID=66040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688A KR19990011551A (ko) 1997-07-24 1997-07-24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5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682B1 (ko) * 2004-08-20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콘의 실내기
KR100728352B1 (ko) * 2006-09-05 2007-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기 토출방향 가변 장치를 갖는 에어컨
WO2015178733A1 (ko) * 2014-05-22 2015-11-26 하성우 응축기의 방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682B1 (ko) * 2004-08-20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콘의 실내기
KR100728352B1 (ko) * 2006-09-05 2007-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기 토출방향 가변 장치를 갖는 에어컨
WO2015178733A1 (ko) * 2014-05-22 2015-11-26 하성우 응축기의 방열장치
CN106537066A (zh) * 2014-05-22 2017-03-22 河成又 冷凝器的散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5064B1 (ko)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KR100474051B1 (ko) 공기조화기
KR19990011551A (ko) 공기조화기
JP2001182965A (ja) 空気調和機
KR100360869B1 (ko) 중앙설치형팩케이지에어콘디셔너
JPH11287474A (ja) 窓型エアコンのファンケ―シング
KR0120746Y1 (ko) 공기조화기
KR19990011550A (ko) 공기조화기
KR20000055582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안내장치
KR100294337B1 (ko) 분리형공조기기의실내기
JPH04225734A (ja) 空気調和機
KR0175527B1 (ko) 보조송풍팬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KR0122716Y1 (ko) 공기조화기의 국부냉기 토출장치
KR100443930B1 (ko) 공기흐름 개선구조의 에어컨 실내기
KR100244319B1 (ko) 공기조화기의송풍장치
KR100311860B1 (ko) 공기조화기
KR200159470Y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히터 및 오리피스 장착장치
KR19980026933U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0027866A (ko) 천정모서리 설치형 공기조화기
KR0115186Y1 (ko) 공기 조화기의 공기흡입장치
KR200260176Y1 (ko) 일체형 에어컨의 증발팬 구조
KR200266888Y1 (ko) 에어콘의 냉기 순환구조
KR10021504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0136045Y1 (ko) 공기조화기의 풍향날개
JPH0682059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