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336A -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 Google Patents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336A
KR19990011336A KR1019970034403A KR19970034403A KR19990011336A KR 19990011336 A KR19990011336 A KR 19990011336A KR 1019970034403 A KR1019970034403 A KR 1019970034403A KR 19970034403 A KR19970034403 A KR 19970034403A KR 19990011336 A KR19990011336 A KR 19990011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
golf ball
platform
drive moto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4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완제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34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336A/en
Publication of KR19990011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336A/en

Links

Landscapes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라인을 따라 이동된 골프공(1)을 자동으로 하나씩 고무티(Tee)(51)에 올려주는 자동티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평 및 수직상으로 소정형상의 틀을 형성하는 기저판(10) 및 지지판(20)과, 상기 지지판(20)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구동모우터(30)와, 이 구동모우터(30)의 구동축(31)에 연결되어 일정궤적을 승강회전하는 승강작동부(40)와, 상기 기저판(10)에 형성된 출입공(11)을 통해 고무티(51)가 출몰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승강안내봉(52)과, 이 승강안내봉(52)을 따라 상기 승강작동부(40)의 작동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티업승강대(5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별도의 티높이 조정기구가 불필요하여 경량화되고 전체 용적이 대폭으로 소형화된 구조를 가지므로, 작은 매설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이미 축조된 다층식 실내외 골프연습장에도 매설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82)를 받치고 있는 데크플레이트(81)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 자체의 안전성이 유지되고, 이에 따른 공사비가 현저히 절감되므로써 실제 시공시에 적용성이 매우 높은 골프공 자동티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ee-up device that automatically puts golf balls (1) moved along the supply line to the rubber tee (51) one by one, the base plate to form a frame of a predetermined shap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 10) and the support plate 20, the drive motor 30 is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plate 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rive shaft 31 of the drive motor 30 is lifted and rotated a predetermined trajectory Lifting operation unit 40 and the lifting guide bar 52 for guiding the rubber tee 51 to wander through the entrance hole 11 formed in the base plate 10 and the lifting guide bar 52 As it consists of the tee up and down platform 50 to move up and down along with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40, because a separate te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is unnecessary and lightweight, and the overall volume has a significantly small structure, When it is buried in a multi-storey indoor and outdoor golf practice ground Not only the ball is easy, but also the damage of the deck plate 81 supporting the concrete 82 can be minimized, thereby maintaining the safety of the structure itself, and thus significantl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so that golf is highly applicable at the time of construction. It relates to a ball automatic tee-up device.

Description

골프공 자동티업장치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본 발명은 공급라인을 따라 이동된 골프공을 자동으로 하나씩 고무티(Tee)에 올려주는 골프공 자동티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무티에 골프공이 없을 경우에 이를 스스로 인식한 후 골프공 공급박스로부터 골프공을 하나씩 공급받아 고무티 상단부에 자동으로 놓이도록 해주는 골프공 자동티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that automatically puts the golf balls moved along the supply line on the rubber tee (one), in particular, if there is no golf ball on the rubber tee to recognize itself from the golf ball supply box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that receives golf balls one by one and automatically places them on the upper end of the rubber tee.

오늘날 골프는 대중 스포츠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그 저변 인구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최근에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첨단 자동화 시설을 갖춘 실내외 골프연습장의 건설이 확산되고 있다.Today, golf is in the limelight as popular sports, and its population is growing at a rapid pace. In response to this trend, the construction of indoor and outdoor golf practice ranges with advanced automation facilities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users has recently been spreading.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자동화 시설이라할 수 있는 것이 바로 골프공 티업장치(Tee-Up Machine)이다. 상기의 골프공 티업장치는 이미 여러가지 형태로 연구를 거듭하여 실용화되어 있으며, 현재 실내외 골프연습장에 보급되어 있는 대표적인 자동티업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Among them, the most representative automation facility is the golf ball tee-up machine. The golf ball tee-up device has already been studied and put into practical use in various forms, a typical automatic tee-up device currently being distributed in indoor and outdoor golf practice range is as shown in FIG.

상기의 자동티업장치는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안내레일(101)을 형성하고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슈트(102)를 형성한 지지판(100)과, 이 지지판(100)의 외측에 장착된 구동모우터(110)와, 이 구동모우터(110)의 구동축(111)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래칫형의 골프공 이송드럼(120)과 원반형의 정지위치검출기구(130) 및 크랭크(140)와, 상부에 고무티(151)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레일(101) 상에 설치되는 티업승강대(150)와, 상기 안내레일(101)의 반대쪽 일측에 위치하여 체인(161)에 의해 구동되는 티높이 조정기구(160)와, 일단이 상기 체인(161)의 스프라킷(162)과 연결된 링크플레이트(163)에 힌지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티업승강대(150)에 힌지결합되며 그 중앙부가 상기 크랭크(140)에 힌지결합되는 지렛대형의 크랭크바아(170)로 구성되어 있다.The automatic tee-up apparatus includes a support plate 100 having a guide rail 101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and a chute 102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n upper side thereof, and a driving motor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plate 100. (110), the ratchet-type golf ball transfer drum (120) and disc-shaped stop position detection mechanism (130) and the crank (140) which are coupled to the drive shaft (111) of the drive motor (110) and rotate together; Rubber tee 151 is provided at the top and the tee height lifting platform 150 is installed on the guide rail 101, the tee height adjustment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rail 101 driven by the chain 161 The mechanism 160, one end is hinged to the link plate 163 connected to the sprocket 162 of the chain 161,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tee-up platform 150, the center portion of the crank ( It consists of a large crank bar 170 hinged to the 140.

상기 티높이 조정기구(160)에는 체인(161)을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모우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골프공 이송드럼(120)의 선단부에는 슈트(102)를 타고 이동된 골프공(1)을 하나씩 이송시켜주기 위한 드럼스프링(121)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정지위치검출기구(130)는 원반 가장자리에 홈(131)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판(100)의 일측에 정지위치검출센서(132)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140)와 링크플레이트(163)의 핀(164)이 각각 힌지결합되는 상기 크랭크바아(170)의 결합부는 상기 크랭크(140)와 체인(161)의 회전구동시에 작동 가능하도록 장공(17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te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16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drive mo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chain 161, and the tip portion of the golf ball transfer drum 120 is moved by the chute 102 A drum spring 121 for transporting the golf balls 1 one by one is attached, and the stop position detecting mechanism 130 has a groove 131 formed at a disc edge and a stop position at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100. Detecting sensor 132 is attache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rank bar 170 hinged to the crank 140 and the pin 164 of the link plate 163, respectively, the crank 140 and the chain 161 Long holes 171 are formed to be operable at the time of rotational driving.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티업장치는 티업승강대(150)에 구비된 센서(미도시)에 의해 골프공(1)이 없음을 감지하게 되면 구동모우터(110)가 작동되고, 그 구동축(111)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골프공 이송드럼(120)과 정지위치검출기구(130) 및 크랭크(140)를 연동시키게 된다. 상기 크랭크(140)는 티높이 조정기구(160)쪽의 핀(164)을 중심으로 하여 크랭크바아(170)를 회전시키게 되므로써 상기 크랭크(140)의 핀(164)이 하사점에 이를 때까지 상기 티업승강대(150)의 선단은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골프공 이송드럼(120)도 회전이 이루어지므로써 슈트(102) 내에 진입한 최선단의 골프공(1)을 드럼스프링(121)으로 채어서 고무티(151)의 상단에 놓여지게 하는 것이다.When the conventional automatic tee-up device detects the absence of the golf ball 1 by a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tee-up platform 150, the driving motor 110 is operated, and the driving shaft 111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by the golf ball transfer drum 120 and the stop position detection mechanism 130 and the crank 140 to interlock. The crank 140 rotates the crank bar 170 around the pin 164 on the te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160 until the pin 164 of the crank 140 reaches the bottom dead center. The tip of the tee lift platform 150 is lowered, and at the same time, the golf ball transfer drum 120 is also rotated to hold the golf ball 1 of the uppermost end that has entered the chute 102 with the drum spring 121. Then it is to be placed on the top of the rubber tee 151.

이때, 상기 정지위치검출센서(132)는 상기 홈(131)을 감지하여 구동모우터(110)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In this case, the stop position detection sensor 132 detects the groove 131 to stop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110.

또한, 상기 고무티(151)가 상사점에 이르렀을 때의 티높이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장치의 외부에 마련된 티높이 조정스위치(미도시)를 누르게 되면, 상기 티높이조정기구(160)의 체인(161)이 구동되어 스프라킷(162)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프라킷(162)과 연결된 링크플레이트(163)가 크랭크바아(170)를 움직여 이 크랭크바아(170)의 스트로크를 변화시키므로써 상기 고무티(151)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티높이에 이르렀을 때 상기 티높이 조정스위치를 놓으면 설정된 상태가 유지되며, 통상적으로 약 35mm 정도의 스트로크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rubber tee 151 reaches the top dead center, the tee he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at is, when the tee height adjustment switch (not shown)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device is pressed, the chain 161 of the te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160 is driven to rotate the sprocket 162, the sprocket The link plate 163 connected to the 162 moves the crank bar 170 to change the stroke of the crank bar 170 so that the height of the rubber tee 151 can be adjusted. When the user reaches the desired tee height, the set state is maintained by releasing the tee height adjustment switch, and is typically configured to have a stroke of about 35 mm.

한편, 하나의 골프공(1)이 슈트(102)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면 골프공 카운터센서(미도시)에 의해 골프공(1)이 없음을 감지하게 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골프공 공급박스(60)로부터 하나의 골프공(1)이 이송된다. 상기에서 제시한 모든 센서들은 조작스탠드의 제어반(미도시)에서 제어된다.On the other hand, if one golf ball (1) exits from the chute 102, the golf ball counter sensor (not shown) to detect the absence of the golf ball 1, supplying a golf ball as shown in FIG. One golf ball 1 is transferred from the box 60. All the sensors presented above are controlled by a control panel (not shown) of the operation stand.

그러나, 종래의 골프공 자동티업장치는 고무티(151)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모우터(110) 이외에도 티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모우터가 필요하고, 티높이 조정기구(160)의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장치 자체가 대형 중량체이므로 다층 실내외 골프연습장의 콘크리트 바닥에 매설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고, 이에 따른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requires a separate drive motor for adjusting the tee height in addition to the drive motor 110 for lifting the rubber tee 151, the structure of the te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160 Not only is very complicated, but the device itself is a large weight body is not suitable for laying on the concrete floor of the multi-layer indoor and outdoor golf practice rang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xcessive construction cost accordingly.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체 용적이 소형화되어 다층으로 설계된 실내외 골프연습장에도 매설 시공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공사비가 현저히 절감되므로써 실제 시공시에 적용성이 높은 골프공 자동티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easy to bury the construction of indoor and outdoor golf practice designed in a multi-layered mini-volume,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by high applicability in actual construc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자동티업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golf ball automatic tee-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자동티업장치의 고무티가 상승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으로,Figure 2a to 2c is a step showing a rubber tee rise of the golf ball automatic tee-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골프공이 놓여져 있지 않음을 감지한 후 고무티가 하강하여 하한점에 위치하였을 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when the rubber tee is lowered and positioned at the lower limit after detecting that the golf ball is not placed,

도 2b는 구동모우터에 의해 승강작동부가 90°회전하였을 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2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when the lifting lowering operation portion is rotated 90 degrees by the drive motor;

도 2c는 구동모우터에 의해 승강작동부가 180°상향 회전하여 고무티가 상한점까지 도달하였을 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 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when the lifting activator rotates 180 ° upward by the driving motor to reach the upper limit point of the rubber te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자동티업장치의 사용상태도,Figure 3 is a state of use of the golf ball automatic tee-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자동티업장치의 매설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Figure 4 is an installation state showing a buried state of the golf ball automatic tee-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골프공 자동티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olf ball automatic tee-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T ; 골프공 자동티업장치 1 ; 골프공T; Golf ball automatic tee up device 1; Golf ball

10 ; 기저판 11 ; 출입공10; Base plate 11; Entrance

20 ; 기저판 30 ; 구동모우터20; Base plate 30; Driving motor

31 ; 구동축 40 ; 승강작동부31; Drive shaft 40; Lifting operation part

41 ; 크랭크 42 ; 내측홈41; Crank 42; Inner groove

43 ; 안내레일 44 ; 베어링43; Guide rail 44; bearing

45 ; 감지판 46 ; 위치제어센서45; Sensing plate 46; Position sensor

50 ; 티업승강대 51 ; 고무티50; Tee lift platform 51; Rubber tee

52 ; 승강안내봉 53 ; 티홀더52; Lifting bar 53; Tea holder

54 ; 감지센서 60 ; 골프공 공급박스54; Detection sensor 60; Golf Ball Supply Box

61 ; 슈트 62 ; 이송레일61; Chute 62; Feed rail

63 ; 배출구 64 ; 업 스위치63; Outlet 64; Up switch

65 ; 다운 스위치 66 ; 인조잔디매트65; Down switch 66; Artificial grass mat

70 ; 케이스 80 ; 에이치빔70; Case 80; H Beam

81 ; 데크플레이트 82 ; 콘크리트81; Deck plate 82; concrete

83 ; 콘크리트 바닥판83; Concrete dec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자동티업장치는 수평 및 수직상으로 소정형상의 틀을 형성하는 기저판 및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구동모우터와, 이 구동모우터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일정궤적을 승강회전하는 승강작동부와, 상기 기저판에 형성된 출입공을 통해 고무티가 출몰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승강안내봉과, 이 승강안내봉을 따라 상기 승강작동부의 작동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티업승강대로 구성된 것이다.Golf ball automatic tee-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se plate and a support plate to form a predetermined shape of the fram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 drive motor mou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plate, A lift operation part connected to a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to lift and rotate a predetermined trajectory, a lift guide bar for guiding the rubber tee to wander through an entrance hole formed in the base plate, and the lift operation along the lift guide bar. It is composed of a tee-up platform that moves up and down with the operation of wealth.

상기 승강작동부는 상기 구동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크랭크와, 상기 티업승강대의 일측에 고정된 안내레일과, 상기 크랭크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레일의 내측홈을 따라 이동하는 베어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vating operation part comprises a crank fix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a guide rail fixed to one side of the tee-up platform and a bearing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crank to move along the inner groove of the guide rail. It is done.

또한, 상기 티업승강대의 저면에는 고무티의 상단부에 골프공이 놓여져 있는가의 여부를 감지한 후 골프공이 없는 경우에 상기 구동모우터의 작동에 의한 티업승강대의 하강이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fter detecting whether the golf ball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rubber tee on the bottom of the tee-up platform, if there is no golf ball detection sensor for controlling to start the moving down of the tee-up platform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또한, 상기 지지판의 하단부에는 안내레일의 일측에 형성된 감지판의 광차단여부에 의해 상기 티업승강대의 하한위치를 감지한 후 상기 구동모우터의 작동에 의한 티업승강대의 상승이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위치제어센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to detect the lower limit position of the tee-up platform by the light blocking whether the sensing plate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rail to control to start the movement of the tee-up platform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Position control sens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ed.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자동티업장치는 수평 및 수직상으로 소정형상의 틀을 형성하는 기저판(10) 및 지지판(20)과, 상기 지지판(20)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구동모우터(30)와, 이 구동모우터(30)의 구동축(31)에 연결되어 일정궤적을 승강회전하는 승강작동부(40)와, 상기 기저판(10)에 형성된 출입공(11)을 통해 고무티(51)가 출몰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승강안내봉(52)과, 이 승강안내봉(52)을 따라 상기 승강작동부(40)의 작동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티업승강대(50)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1 and 2a, golf ball automatic tee-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plate 10 and the support plate 20 to form a predetermined shape of the fram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the support plate of the A drive motor 30 mou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utside, a lift operation part 40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31 of the drive motor 30 to lift and rotate a predetermined trajectory, and the base plate 10. Lifting guide bar 52 for guiding the rubber tee 51 to wander through the formed entrance hole 11, and along with the lifting guide bar 52 up and down with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40 It consists of the tee-up platform 50 which moves.

상기 기저판(10)은 수평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20)은 상.하단부를 절곡하여 상기 기저판(10)의 저면에 상기 지지판(20)의 상부 절곡면이 맞닿게 한 후, 용착한 것이다. 상기 지지판(20)의 외벽면 상에는 이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구동모우터(30)가 체결되고, 그 구동축(31)은 상기 지지판(20)을 관통하여 내측면 쪽으로 돌출되게 설치한다.The base plate 10 is arranged horizontally, and the support plate 20 is welded after bending the upper and lower ends to bring the upper bent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0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 The drive motor 30 is faste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wall of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drive shaft 31 penetrates the support plate 20 to protrude toward the inner side.

상기의 구동모우터(30)로는 입력펄스신호에 따라 각도, 위상 및 속도제어가 가능한 스테핑모우터(Stepping Motor)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driving motor 30, it is preferable to use a stepping motor or the like capable of controlling the angle, phase, and speed according to the input pulse signal.

상기 승강작동부(40)는 구동축(3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사각 막대형상의 크랭크(41)의 일단이 상기 구동축(31) 상에 끼워 맞춰지고, 상기 티업승강대(50)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내측홈(42)을 형성하는 안내레일(43)이 용착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41)의 선단부에는 베어링(44)이 축결합되어 이 베어링(44)의 외주면이 상기 안내레일(43)의 내측홈(42) 상.하면에 접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또는,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베어링(44)에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크랭크(41)의 선단에 축핀을 형성하고, 이 축핀에 로울러를 힌지결합할 수도 있다.One end of the rectangular rod-shaped crank 41 is fitted on the driving shaft 31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riving shaft 31, and the lifting operation part 40 has a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tee-up lifting platform 50. The guide rail 43 for forming the inner groove 42 is welded, and the bearing 44 is axial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crank 41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aring 44 is formed of the guide rail 43. The inner groove 42 is assembled to contac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s a means to replace the bearing 44, a shaft pin may be formed at the tip of the crank 41, and the roller may be hinged to the shaft pin.

또한, 상기 티업승강대(50)는 지지판(20)의 상.하 절곡면 간에 고정된 승강안내봉(52) 상에 조립하여 이 승강안내봉(5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상면에는 나사식으로 조립되는 티홀더(53)에 의해 교체 가능하도록 고무티(51)를 조립한 것이며, 상기 고무티(51)의 중공부를 통해 그 상단부에 골프공(1)이 놓여져 있는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티업승강대(50)의 저면에는 감지센서(54)가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ee up platform 50 is assembled on the lifting guide bar 52 fix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ending surfaces of the support plate 20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lifting guide bar 52, The rubber tee 51 is assembled to the upper surface so that it can be replaced by the tee holder 53 which is screw-assembled, and whether the golf ball 1 is put in the upper end through the hollow part of the rubber tee 51, or not. A detection sensor 54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ee lift platform 50 so as to detect the movement.

또한, 안내레일(43)의 일측에는 감지판(4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20)의 측벽면 일측하단부에는 상기 감지판(45)의 광차단여부에 의해 티업승강대(50)의 하한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위치제어센서(46)가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a sensing plate 4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guide rail 43, and a lower limit of the tee lift platform 50 is provided at one lower end of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20 by light blocking of the sensing plate 45. Position control sensor 46 is attached to detect the posi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골프공 자동티업장치에 의한 연속적인 자동티업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continuous automatic tee-up process by the golf ball automatic tee-up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도 2a는 골프공(1)이 놓여져 있지 않음을 감지한 후 고무티(51)가 하강하여 하한점에 위치하였을 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구동모우터(30)에 의해 승강작동부(40)가 90°회전하였을 때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c는 구동모우터(30)에 의해 승강작동부(40)가 180°상향 회전하여 고무티(51)가 상한점까지 도달하였을 때의 작동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Figure 2a shows the operating state when the rubber tee 51 is lowered and positioned at the lower limit after detecting that the golf ball 1 is not placed, Figure 2b is lifted by the drive motor 30 The operating state when the operating part 40 is rotated by 90 degrees is shown, and FIG. 2C shows that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part 40 is rotated 180 degrees upward by the driving motor 30 so that the rubber tee 51 is the upper limit point. It shows the operating state when it reaches to each.

사용자가 상사점에 위치한 고무티(51) 상에 놓여 있는 골프공(1)을 스윙한 후 상기 고무티(51)에 골프공(1)이 없음을 감지센서(54)에 의해 인식하게 되면, 이 감지센서(54)와 연결된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우터(30)가 정방향으로 작동되어 상기 티업승강대(50)의 하강이동을 시작하게 된다. 도 2a는 하강이동이 계속 진행되면서 안내레일(43)의 감지판(45)이 상기 위치제어센서(46)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개입되어 빛을 차단하므로써 하사점까지 하강 완료됨과 동시에 역방향으로 상기 구동모우터(30)가 회전하기 위해 정지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 경우에는 하향 회전한 크랭크(41)의 베어링(44)이 안내레일(43)의 정중앙에 위치하여 크랭크(41)와 안내레일(43)이 직교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골프공(1)이 골프공 공급박스(60)를 빠져 나와 슈트(61)를 타고 기저판(10)의 출입공(11) 속으로 공급되며, 한 개의 골프공(1)이 고무티(51)의 상단에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티업승강대(50) 전체가 도 2b 및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구동모우터(3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크랭크(41)가 회전할 때, 상기 베어링(44)은 상기 안내레일(43)의 내측홈(42)을 따라 미끄럼 회전하여 상기 티업승강대(50)가 승강안내봉(52)을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When the user swings the golf ball 1 lying on the rubber tee 51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and recognizes that the golf ball 1 is not present in the rubber tee 51 by the sensor 54, The drive motor 30 is oper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connected to the detection sensor 54 to star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tee-up platform 50. FIG. 2A shows that the detection plate 45 of the guide rail 43 is inter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of the position control sensor 46 to block the light while the descending movement is continued, and at the same time, descending to the bottom dead center is completed an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drive motor 30 is shown to be stopped to rotate. In this case, the bearing 44 of the crank 41 rotated downward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guide rail 43 so that the crank 41 and the guide rail 43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one golf ball 1 exits the golf ball supply box 60 and is supplied into the entrance hole 11 of the base plate 10 by the chute 61. Two golf balls 1 are maintained on the top of the rubber tee 51 and the tee-up platform 50 ascends continuously as shown in FIGS. 2B and 2C. When the crank 41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30, the bearing 44 is slid along the inner groove 42 of the guide rail 43, so that the tee lift platform 50 is rotated. It is operated to ascend along the lifting guide bar (52).

상기 고무티(51)의 위치가 상사점에 이르렀을 때, 구동모우터(30)의 회전이 정지되며, 상기 고무티(51)의 상단에 골프공(1)이 놓여 있는 동안에는 티업승강대(50) 저면에 부착된 감지센서(54)에 의해 골프공(1)이 놓여 있음을 감지하게 되어 이러한 정지상태가 계속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1)을 타격하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54)는 골프공(1)이 없음을 감지하여 상기의 도 2a와 같은 상태로 다시 하강을 시작하여 또 하나의 골프공(1)을 수용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며, 이러한 승강운동이 계속 반복되므로써 연속적으로 골프공(1)을 자동 티업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position of the rubber tee 51 reaches the top dead center,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30 is stopped, and the tee-up platform 50 while the golf ball 1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rubber tee 51. The stop of the golf ball 1 is detected by the sensor 54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However, when the user hits the golf ball 1, the detection sensor 54 detects the absence of the golf ball 1 and starts the descent again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 is converted into a state capable of accommodating, and the golf ball 1 is continuously teeed up continuously as the lifting movement is repeated repeatedly.

한편, 사용자의 습성에 따라 고무티(51)의 티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계별로 설정된 외부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모우터(30)의 입력펄스신호를 변환하여 회전각도를 제어하므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티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wants to adjust the tee height of the rubber tee 51 according to the user's habit by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 by converting the input pulse signal of the drive motor 30 by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switch is set in stages Can maintain the desired tee height.

상기 도면에서는 180°범위 내에서 구동모우터(30)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므로 고무티(51)의 높이가 최대인 경우에 해당하며, 회전각이 이보다 작게 제어되도록 하면 고무티(51)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In the drawing, since the driving motor 30 rotates within a 180 ° range, the height of the rubber tee 51 corresponds to the maximum, and if the rotation angle is controlled to be smaller than this, the rubber tee 51 The height of the will be lower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자동티업장치(T)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골프공 자동티업장치(T)는 인조잔디매트(66) 밑에 매설되는데, 골프공 공급박스(60)에 저장된 골프공(1)이 이송레일(62)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후, 배출구(63)를 통해 하나씩 배출되어 슈트(Chute)(61)를 따라 기저판(10)의 출입공(11) 쪽으로 굴러 내려오게 되는 골프공 공급부에 간단히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64 및 65는 사용자의 습성에 맞도록 고무티(51)의 티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업/다운 스위치를 나타낸다.Figure 3 shows the state of use of the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olf ball automatic tee up device (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uried under the artificial grass mat 66, after the golf balls 1 stored in the golf ball supply box 60 is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transfer rail 62, I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golf ball supply portion that is discharged one by one through the outlet (63) to roll down toward the entrance hole 11 of the base plate 10 along the chute (Chute) (61). Here, reference numerals 64 and 65 denote up / down switches for adjusting the tee height of the rubber tee 51 to suit the user's habi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자동티업장치(T)를 다층식 실내외 골프연습장의 콘크리트 바닥면(83)에 매설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일반적인 다층식 실내외 골프연습장의 바닥구조는 소정간격으로 수평 배치된 에이치빔(H-Beam)(80) 위에 규칙적으로 절곡된 데크플레이트(Deck Plate)(81)를 올려 놓은 후, 그 위에 소정높이로 콘크리트(82)를 타설하여서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의 골프공 자동티업장치(T)를 원하는 위치에 매설하기 위한 공간부를 마련하여 케이스(70)를 삽입 고정한 후, 이 케이스(70) 속으로 상기의 장치(T)를 설치하고, 그 위로 인조잔디매트(66)가 덮이도록 하면 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ried in the concrete floor 83 of the multi-layer indoor and outdoor golf practice range. The floor structure of a general multi-layer indoor and outdoor golf practice range is placed on the H-Beam (80) arranged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deck plate (81) bent regularly, and then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reon It is formed by pouring concrete (82). At this time, by providing a space portion for embedding the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T) in a desired position and inserting and fixing the case 70, the device (70) is installed into the case 70, and The artificial turf mat 66 is covered up.

상기와 같은 구성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expected by the configuration and ac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자동티업장치는 별도의 티높이 조정기구가 불필요하여 경량화되고 전체 용적이 대폭으로 소형화된 구조를 가지므로, 작은 매설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이미 축조된 다층식 실내외 골프연습장에도 매설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82)를 받치고 있는 데크플레이트(81)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 자체의 안전성이 유지되고, 이에 따른 공사비가 현저히 절감되므로써 실제 시공시에 적용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a separate te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is light weight and has a structure greatly reduced in total volume, occupies a small buried space, and is also embedded in a multi-layer indoor and outdoor golf practice ground already built In addition to easy construction, damage to the deck plate 81 supporting the concrete 82 can be minimized, thereby maintaining the safety of the structure itself, and significantl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There is an advantage.

Claims (4)

수평 및 수직상으로 소정형상의 틀을 형성하는 기저판 및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구동모우터와, 이 구동모우터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일정궤적을 승강회전하는 승강작동부와, 상기 기저판에 형성된 출입공을 통해 고무티가 출몰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승강안내봉과, 이 승강안내봉을 따라 상기 승강작동부의 작동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티업승강대로 구성된 골프공 자동티업장치.A base plate and a support plate forming a frame of a predetermined shap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 drive motor mounted horizontally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plate, and a lift op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drive motor to lift and rotate a predetermined trajectory; And a lifting guide bar for guiding the rubber tee to wander through the entrance hole formed in the base plate, and a tee lifting platform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with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operation unit along the lifting guide b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동부는 상기 구동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크랭크와, 상기 티업승강대의 일측에 고정된 안내레일과, 상기 크랭크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레일의 내측홈을 따라 이동하는 베어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자동티업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operation unit is coupled to the crank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the guide rail fixed to one side of the tee-up platform, and the front end of the crank is moved along the inner groove of the guide rail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ea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업승강대의 저면에는 고무티의 상단부에 골프공이 놓여져 있는가의 여부를 감지한 후 골프공이 없는 경우에 상기 구동모우터의 작동에 의한 티업승강대의 하강이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자동티업장치.According to claim 1, On the bottom of the tee-up platform is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golf ball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rubber tee and control to start the moving down of the tee-up platform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in the absence of a golf ball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installed f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하단부에는 안내레일의 일측에 형성된 감지판의 광차단여부에 의해 상기 티업승강대의 하한위치를 감지한 후 상기 구동모우터의 작동에 의한 티업승강대의 상승이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기 위한 위치제어센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자동티업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late detects the lower limit position of the tee-up platform by light blocking whether the sensing plate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rail to start the movement of the tee-up platform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to the position control sensor for controlling so that.
KR1019970034403A 1997-07-23 1997-07-23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KR199900113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403A KR19990011336A (en) 1997-07-23 1997-07-23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403A KR19990011336A (en) 1997-07-23 1997-07-23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336A true KR19990011336A (en) 1999-02-18

Family

ID=6604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403A KR19990011336A (en) 1997-07-23 1997-07-23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336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939B1 (en) * 2006-06-20 2007-02-27 (주)운창메카텍 Apparatus for suppling a golf ball
KR100700107B1 (en) * 2006-06-20 2007-03-28 (주)운창메카텍 Apparatus for adjusting a height of tee
KR100748577B1 (en) * 2006-08-28 2007-08-16 최인호 Automatic tee up apparatus for golf ball
KR100909387B1 (en) * 2008-10-21 2009-07-24 박종환 A regulation box for golf ball position
KR101317488B1 (en) * 2011-10-06 2013-10-11 김창윤 Rubber tee height control device and golf ball automatic supply Device with built in rubber tee height control device
KR101335022B1 (en) * 2012-11-09 2013-11-29 주식회사 라온레벌루션 Automatic tee-up device for golf ball
KR20200009981A (en) * 2018-07-20 2020-01-30 이종찬 Golf ball tie-up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939B1 (en) * 2006-06-20 2007-02-27 (주)운창메카텍 Apparatus for suppling a golf ball
KR100700107B1 (en) * 2006-06-20 2007-03-28 (주)운창메카텍 Apparatus for adjusting a height of tee
KR100748577B1 (en) * 2006-08-28 2007-08-16 최인호 Automatic tee up apparatus for golf ball
KR100909387B1 (en) * 2008-10-21 2009-07-24 박종환 A regulation box for golf ball position
KR101317488B1 (en) * 2011-10-06 2013-10-11 김창윤 Rubber tee height control device and golf ball automatic supply Device with built in rubber tee height control device
KR101335022B1 (en) * 2012-11-09 2013-11-29 주식회사 라온레벌루션 Automatic tee-up device for golf ball
KR20200009981A (en) * 2018-07-20 2020-01-30 이종찬 Golf ball tie-up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052B1 (en) Automatic Tee-Up Device for Golf Ball
KR200480032Y1 (en) Automatically tee-up apparatus for golf ball
US5133557A (en) Golf practicing apparatus
KR19990011336A (en)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KR101751239B1 (en) High speed type golf ball auto tee-up device
US5351964A (en) Golf ball teeing device
JPH0956865A (en) Tee-up device
KR19990026016A (en) Golf ball automatic tee-up device
US5718638A (en) Automatic golf ball teeing up device
KR101335022B1 (en) Automatic tee-up device for golf ball
KR100506155B1 (en) Supply device of golf ball
KR100507244B1 (en) Tee of golf ball tee up machine
KR100473103B1 (en) Golf exercise machine having goll ball supply equipment of hight control method
KR19980084441A (en) Golf Ball Tee Up Device
JPH1033739A (en) Automatic teeing up device for golf ball
KR20100056166A (en) Apparatus for providing golf ball
JPH0671005A (en) Practicing device for golf
KR100235342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golf balls
JP2595585Y2 (en) Golf practice equipment
KR19990025656A (en) Golf ball continuous feeding device
KR200158706Y1 (en) Ascent and descent equipment of ball installing tool for golf practice
JP2620104B2 (en) Tee lifting control mechanism in automatic tee-up device
KR200244768Y1 (en) Switch device for supplying a ball of a golf tee
KR101317488B1 (en) Rubber tee height control device and golf ball automatic supply Device with built in rubber tee height control device
KR100641888B1 (en) Supply device of golf b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