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0948A - Improved Acrylonitrile Recovery Method - Google Patents

Improved Acrylonitrile Recovery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0948A
KR19990010948A KR1019970033844A KR19970033844A KR19990010948A KR 19990010948 A KR19990010948 A KR 19990010948A KR 1019970033844 A KR1019970033844 A KR 1019970033844A KR 19970033844 A KR19970033844 A KR 19970033844A KR 19990010948 A KR19990010948 A KR 19990010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very
column
acrylonitrile
reactor
methacrylonitr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8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87744B1 (en
Inventor
폴 트리그 와치텐돌프
샌제이 파루쇼탐 고드볼
제프리 얼 링커
Original Assignee
운테너 데이브드. 존
더 스탠다드 오일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운테너 데이브드. 존, 더 스탠다드 오일 캄파니 filed Critical 운테너 데이브드. 존
Priority to KR101997003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744B1/en
Publication of KR1999001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9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744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3/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3/3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253/34Separation; 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01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5/06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and un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255/07Mononitriles
    • C07C255/08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 0.25 ∼ 5 psi 로 기계적 수단에 의해 회수 컬럼 상부 압력을 증가시켜 회수 및 스트리퍼 컬럼의 수용량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개선이 이루어지는, 반응기 방출물을 흡수 컬럼 및 회수 컬럼 및 스트리퍼 컬럼을 통해 통과시키므로서 프로필렌 또는 이소부틸렌의 암목시화 반응의 반응기 방출물로 부터 수득된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의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eactor discharge to pass through the absorption column and recovery column and stripper column, which is improved by increasing the recovery column top pressure by mechanical means to about 0.25 to 5 psi to enhance the recovery and stripper column capac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the recovery of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obtained from the reactor effluent of the darkening reaction of propylene or isobutylene.

Description

개선된 아크릴로니트릴 회수방법Improved Acrylonitrile Recovery Method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의 제조를 위한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의 제조중에 사용되는 회수 방법에 있어서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ment in the recovery method used during the production of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상업적 규모로 프로필렌 또는 이소부틸렌의 암목시화에 의해 생성된 아크릴로니트릴/메타크릴로니트릴의 회수는 반응기 방출물을 물로 급냉시킨 다음 이어서 급냉으로 부터 생성된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를 함유하는 기체성 기류를 흡수기에 통과시키므로서 수행되는데, 물과 기체들이 역류와 접촉되어 실질적으로 모든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을 제거하고, 실질적으로 모든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을 함유하는 기체성 기류는 이어서 일련의 증류 컬럼을 통과하여 생성물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의 분리 정제를 위한 디켄터와 연결되어 있다.The recovery of acrylonitrile / methacrylonitrile produced by the agglomeration of propylene or isobutylene on a commercial scale involves quenching the reactor discharge with water followed by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resulting from the quenching. It is carried out by passing a gaseous stream through the absorber, where water and gase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untercurrent to remove substantially all of the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and to substantially contain all of the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The gas stream is then passed through a series of distillation columns and connected with a decanter for the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product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의 제조중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회수 및 정제 시스템은 본 발명의 양도인에 의해 양도받은 U.S. 특허 제 4,234,510 호 및 제 3,885,928 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는 여기에서 참고되어진다.Typical recovery and purification systems used during the production of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are U.S. Patents 4,234,510 and 3,885,928,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발명의 일차 목적은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의 제조를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의 제조중에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회수 및 정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oved recovery and purification process for use during the preparation of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성된 최종 생성물중 유기 불순물의 양을 감소시키므로서 폐기가스를 감소시키고 생성물 생산고, 회수 효율 및 생성물의 질을 증진시키는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의 제조를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pare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which reduces waste gas and improves product yield, recovery efficiency and product quality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organic impurities in the resulting final product. It is to provide an improved method.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 잇점 및 새로운 특징은 일부는 하기의 명세서에 기재될 것이고, 일부는 하기의 조사에 따라 당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해지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행에 의해서 습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 및 잇점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특히 지적된 기기들 및 조합에 의해서 달성되고 수득될 수 있다.Additional objects,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invention will be set forth in part in the description which follows, and in part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examination of the following or may be learned by practice of the inven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can be achieved and ob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여기에서 구현되고 폭넓게 기재된 바와 같이 선행된 다른 목적 및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필렌 또는 이소부틸렌의 암목시화중에 수득된 반응기 방출물을 급냉 컬럼으로 수송하여 고온의 방출 기체를 수성 스프레이와 접촉시켜 냉각시키고, 냉각된 반응기 방출물을 이어서 흡수 컬럼 위로 통과시켜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을 수중에 흡수시키고,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이어서 회수 증류 컬럼 및 스트리퍼 증류 컬럼을 통과시켜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을 회수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개선은 약 0.1 ∼ 5 psi 의 기계적 수단에 의해서 회수 증류 컬럼 상부 압력을 증가시켜 회수 및 스트리퍼 컬럼의 수용량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플랜트의 회수 및 정제 부분에서 전형적인 회수 컬럼 상부 압력은 약 1 내지 5 psig 이하로 작동하도로 고안된다. 본 발명은 기계적으로, 예를 들어 압력 밸브의 첨가에 의해서, 0.1 ∼ 5 psi, 바람직하게는 0.25-0.5 ∼ 0.5,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5.0 psi 인 상기 고안된 압력으로 회수 컬럼의 상부 압력을 증가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carry out the other objectives and also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the reactor effluent obtained during the darkening of propylene or isobutylene to a quench column to The effluent gas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n aqueous spray to cool and the cooled reactor discharge is then passed over an absorption column to absorb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in water and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is added. This is followed by recovery of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by passing through a recovery distillation column and a stripper distillation column, which improvement is achieved by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recovery distillation column by mechanical means of about 0.1-5 psi to recover and stripper.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column The. For example, in the recovery and purification portion of the acrylonitrile plant, typical recovery column overhead pressures are designed to operate at about 1 to 5 psig or less. The present invention mechanically increases the upper pressure of the recovery column to the above designed pressure of 0.1 to 5 psi, preferably 0.25 to 0.5 to 0.5, particularly preferably 1.0 to 5.0 psi, by addition of a pressure valve. It's about making things happen.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회수 컬럼 상부 압력은 5 ∼ 10 psig, 바람직하게는 5 이상 ∼ 10 psig,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 7.5 psig 로 유지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recovery column top pressure is maintained at 5-10 psig, preferably at least 5-10 psig, particularly preferably 5.5-7.5 ps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방법은 아크릴로니트릴을 생성하기 위한 프로필렌, 암모니아 및 산소의 암목시화로 부터 수득된 반응기 방출물로 수행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rocess is carried out with reactor discharges obtained from the darkening of propylene, ammonia and oxygen to produce acrylonitrile.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반응기 방출물은 유동층 반응기에서 프로필렌, 암모니아 및 공기의 반응에 의해 수득되며 유동층 촉매와 접촉된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reactor discharge is obtained by the reaction of propylene, ammonia and air in a fluidized bed reactor and is contacted with the fluidized bed catalyst.

통상적인 유동층 암목시화 촉매는 본 발명의 실행에 있어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참고되고 있는, U.S. 특허 제 3,642,920 호 및 제 5,093,299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동층 촉매는 본 발명의 실행에 있어서 이용될 수 있다.Conventional fluidized bed darkening catalysts can be used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U.S. Pat. Fluid bed catalysts may be used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patents 3,642,920 and 5,093,299.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의 회수를 위한 통상적인 회수 정제 방법에 있어서, 회수 및 스트리퍼 컬럼에서 제트 플라딩이 흡수기, 회수 및 스트리퍼 컬럼을 통해 순환될 수 있는 편향수 (lean water) 의 최대량을 전형적으로 결정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증가된 압력에서 회수 및 스트리퍼 컬럼을 작동시키므로서, 제트 플라딩이 발생하는 생산고를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 반응기 작동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흡수기 오프 (off)-기체 손실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는 전체 회수 방법이 임의 공정 효율을 손실시키기 않는 놀랄만한 발견과 함께 회수 및 스트리퍼 컬럼으로 부터 흡수기로의 편향수의 유동을 증가시키므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행은 높은 반응 생성율을 가능케 하면서 편향수에 관한 생성물의 비율 (적어도 11:1) 에 대해 최소 필요량을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실행은 흡수 컬럼에서 편향수에 대한 생성물의 비율이 12:1 내지 11:1 로 수행하는 회수 및 정제 컬럼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 매우 유익하다.In a conventional recovery purification method for recovery of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the maximum amount of lean water that jet plading can be circulated through the absorber, recovery and stripper columns in the recovery and stripper columns. It was found to determine typically. By operating the recovery and stripper columns at increased pressur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output from which jet plading occurs, thereby increasing the rate of reactor operation and lowering absorber off-gas losses. have. This is accomplished by increasing the flow of deflection water from the recovery and stripper columns to the absorber, with the surprising finding that the overall recovery method does not lose any process efficienc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minimum requirement for the ratio of product to deflection water (at least 11: 1) while allowing for a high rate of reaction productio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advantageous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recovery and purification columns in which the ratio of product to deflection water in the absorption column is performed from 12: 1 to 11: 1.

본 발명은 이제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유동층 반응기내에 기체를 함유하는 프로필렌 또는 이소부틸렌, 암모니아 및 산소를 암목시화시키면서 유동층 암목시화 촉매와의 접촉에 의해서 수득된 반응기 방출물을 급냉 컬럼으로 수송하여 고온의 방출 기체들을 물 스프레이와 접촉시켜 냉각시킨다. 전형적으로, 방출물에 함유된 임의 과량의 암모니아는 급냉시 황산과 접촉하여 중화되므로써 황산암노늄과 같이 암모니아를 제거한다. 목적 생성물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HCN) 을 함유하는 냉각된 방출 기체는 이어서 흡수 컬럼의 바닥을 통과하고, 이때 생성물은 상부로 부터 컬럼에 도입된 물에 흡수된다. 흡수되지 않은 기체들은 흡수기의 상부에 위치한 파이프를 통해 흡수기를 통과한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수성 기류는 이어서 흡수기 바닥으로 부터 한층 생성물의 정제를 위한 일차 증류 컬럼 (회수 컬럼) 의 상부로 통과한다. 회수 컬럼의 상부로 부터 회수된 생성물을 이어서 더욱더 정제하고 생성물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의 회수를 위한 이차 증류 컬럼으로 보낸다. 회수 컬럼으로 부터 수득된 바닥 기류를 스트리퍼 컬럼으로 보내어 가치있는 공생성물인 조 아세토니트릴을 회수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The reactor effluent obtained by contact with the fluidized bed ammonization catalyst while implicitly gasifying propylene or isobutylene, ammonia and oxygen containing gas in the fluidized bed reactor was transported to a quench column to bring hot discharge gases into contact with a water spray. Cool. Typically, any excess ammonia contained in the emissions is neutralized in contact with sulfuric acid upon quenching to remove ammonia, such as ammonium sulfate. The cooled off gas containing the desired product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and HCN) is then passed through the bottom of the absorption column, where the product is absorbed by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column from the top. Unabsorbed gases pass through the absorber through a pipe located on top of the absorber. The aqueous air stream containing the desired product is then passed from the bottom of the absorber to the top of the primary distillation column (recovery column) for purification of the further product. The product recovered from the top of the recovery column is then further purified and sent to a secondary distillation column for recovery of product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The bottoms air stream obtained from the recovery column is sent to a stripper column to recover the crude coproduct, crude acetonitrile.

본 발명의 실행에 있어서, 원자 압력 조절 밸브를 회수 컬럼의 오버해드 라인에 설치하여 회수 컬럼의 상부 압력을 상기 고안된 상부 회수 컬럼 압력인 약 0.1 ∼ 5 psi 에 의해 증가시킬 수 있다. 전형적으로, 회수 컬럼 상부 압력은 1 ∼ 5 psig 이하, 보통 4 ∼ 4.5 psig 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행에 있어서, 회수 컬럼 상부 압력은 5 psig ∼ 약 10 psig, 바람직하게는 5.5 ∼ 7.5 psig 로 다양할 수 있는 일정 압력으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개선은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의 회수를 위한 회수 및 스트리퍼 타워 디자인 뿐만 아니라 집적된 회수/스트리퍼 타워 디자인을 분리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단 타워 수경성은 제트 플라딩에 의해 제한된다. 사용된 압력 조절 밸브는 임의 조절 밸브 제조사로 부터 수득될 수 있다. 이는 자동으로 작동하거나 손으로 조절될 수 있다.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tomic pressure control valve can be installed in the overhead line of the recovery column to increase the upper pressure of the recovery column by about 0.1-5 psi, the above designed upper recovery column pressure. Typically, the recovery column top pressure is 1-5 psig or less, usually 4-4.5 psig. In a preferred implementation of the invention, the recovery column overhead pressure is operated at a constant pressure which can vary from 5 psig to about 10 psig, preferably 5.5 to 7.5 psig. Improv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separate the recovery and stripper tower designs for recovery of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as well as the integrated recovery / stripper tower designs, provided that tower hydraulicity is limited by jet plading. do. The pressure regulating valve used can be obtained from any regulating valve manufacturer. It can operate automatically or can be adjusted by hand.

바람직하게는, 수송라인과 같은 반응기의 다른 형태가 생각된다해도 암목시화 반응은 유동층 반응기내에서 수행된다. 아크릴로니트릴의 제조를 위한 유동층 반응기는 선행 기술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참고되고 있는 U.S. 특허 제 3,230,246 호에 기재되어 있는 반응기 도안이 적합하다.Preferably, the darkening reaction is carried out in a fluidized bed reactor even if other forms of reactor such as transport lines are contemplated. Fluidized bed reactors for the production of acrylonitrile are already known in the prior art. For example, U.S. Reactor designs described in patent 3,230,246 are suitable.

암목시화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은 또한, 참고되고 있는 U.S.특허 제 5,093,299 호; 제 4,863,891 호; 제 4,767,878 호 및 제 4,503,001 호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암목시화 방법은 상승 온도에서 암모니아 및 산소의 존재하에 프로필렌 또는 이소프로필렌을 유동층 촉매와 접촉시키므로서 수행되어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을 생성한다. 임의 산소원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공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에 있어서 올레핀에 대한 산소의 전형적인 몰비는 0.5:1 ∼ 4:1, 바람직하게는 1:1 ∼ 3:1 의 범위이어야 한다. 반응중 도입에 있어서 올레핀에 대한 암모니아의 몰비는 0.5:1 ∼ 5:1 로 다양할 수 있다. 실제로 암모니아-올레핀 비에 대한 상한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5:1 의 비를 초과해야할 이유는 없다.Conditions for carrying out the darkening reaction can also be found in U.S. Patent Nos. 5,093,299; No. 4,863,891; It is already known in the prior art as evidenced by 4,767,878 and 4,503,001. Typically, the darkening process is performed by contacting propylene or isopropylene with a fluidized bed catalyst in the presence of ammonia and oxygen at elevated temperatures to produce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Any oxygen source can be used. However, it is desirable to use air for economic reasons. Typical molar ratios of oxygen to olefins in the injection should range from 0.5: 1 to 4: 1, preferably from 1: 1 to 3: 1. The molar ratio of ammonia to olefin in the introduction during the reaction can vary from 0.5: 1 to 5: 1. There is practically no upper limit to the ammonia-olefin ratio, but generally there is no reason to exceed the 5: 1 ratio for economic reasons.

반응은 약 260 ∼ 600 ℃ 의 범위인 온도에서 수행되지만, 바람직한 범위는 310 ∼ 500 ℃ 이고, 특히 350 ∼ 480 ℃ 가 바람직하다. 중요하지는 않다해도, 접촉 시간은 일반적으로 0.1 ∼ 50 초의 범위이고, 1 ∼ 15 초의 접촉시간이 바람직하다.The reaction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about 260 to 600 ° C., but the preferred range is 310 to 500 ° C., particularly 350 to 480 ° C. Although not critical, the contact time is generally in the range of 0.1 to 50 seconds, with a contact time of 1 to 15 seconds being preferred.

U.S.특허 제 3,642,930 호의 촉매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실행을 위해 적합한 다른 촉매들이 참고되고 있는 U.S.특허 제 5,093,299 호에 기재되어 있다.In addition to the catalyst of U.S. Patent No. 3,642,930, other catalysts suitable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U.S. Patent No. 5,093,299.

흡수 컬럼, 회수 컬럼 및 스트리퍼 컬럼이 유지되는 조건은 각각 5 ∼ 7 psig (80℉ ∼ 110℉), 1 ∼ 4.5 psig (155℉ ∼ 170℉), 및 7 ∼ 13 psig (170℉ ∼ 210℉) 의 범위이다.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absorption column, recovery column and stripper column are maintained are 5-7 psig (80 ° F-110 ° F), 1-4.5 psig (155 ° F-170 ° F), and 7-13 psig (170 ° F-210 ° F), respectively. Range.

본 발명의 개선은 아크릴로니트릴/메타크릴로니트릴의 제조를 위한 암목시화 방법의 실행중에 상기 정상적인 목적 압력인 압력에서 기계적인 조절에 의해서 회수 컬럼을 작동시키므로서 선행기술과는 구별된다. 통상적인 방법들은 5 psig 이하의 회수 컬럼 상부 압력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행에 있어서, 회수 컬럼 상부 압력은 전형적으로 5 ∼ 10 psig, 바람직하게는 5.5 ∼ 7.0 psig 의 범위인 압력에서 작동한다.The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tinguished from the prior art by operating the recovery column by mechanical control at the pressure, which is the normal desired pressur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darkenin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crylonitrile / methacrylonitrile. Conventional methods use a recovery column overhead pressure of 5 psig or less. In a preferred implementation of the invention, the recovery column overhead pressure is typically operated at a pressure in the range of 5 to 10 psig, preferably 5.5 to 7.0 psig.

본 발명의 회수 및 정제 방법의 수행은 주요 지출을 포함하는 회수 및 정제 시스템에 어떠한 변형도 시키지 않으면서 반응기를 통해 높은 생산고율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생산율에 있어서 예상치못한 증진을 가져왔을 뿐 아니라 회수 및 정제 부분에서 사용된 타워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않고 상기 증진을 달성하였다. 또한, 생산율에 있어서 부수물 증가는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의 회수중 흡수 컬럼의 성능에 있어서 어떠한 관찰되는 저하도 가져오지 않는다. 본 발명은 주요 지출의 필요없이 작동의 증진된 효율, 증진된 생산고, 증가된 생산성을 나타낸다.The performance of the recovery and purific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o achieve high production rates through the reactor without making any modifications to the recovery and purification system, including major expenses.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brought about an unexpected increase in production rate but also achieved this increase without increasing the size of the tower used in the recovery and purification portion. In addition, an increase in by-products in the production rate does not result in any observed degradation in the performance of the absorption column during recovery of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improved efficiency of operation, increased production, and increased productivity without the need for major expenses.

당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종 변형은 개시의 의도 및 범위와 동떨어지지 않거나 또는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선행 개시의 관점에서 되어졌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invention may be made or carried out in light of the preceding disclosur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disclosure or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8)

약 0.1 ∼ 5 psi 로 기계적 수단에 의해 회수 컬럼 상부 압력을 증가시켜 회수 및 스트리퍼 컬럼의 수용량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반응기 방출물을 흡수 컬럼 및 회수 컬럼 및 스트리퍼 컬럼을 통해 통과시키므로서 프로필렌 또는 이소부틸렌의 암목시화 반응의 반응기 방출물로 부터 수득된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의 회수 방법.The reactor discharge is passed through the absorption column and the recovery column and the stripper column, characterized by improvement by increasing the recovery column overhead pressure by mechanical means to about 0.1-5 psi to enhance the recovery and stripper column capacity. A process for the recovery of acrylonitrile or methacrylonitrile obtained from the reactor effluent of the darkening reaction of propylene or isobutylene.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기 방출물이 유동층 암목시화 촉매와의 접촉되면서 프로필렌, 암모니아 및 유동층 반응기내에서 기체를 함유하는 산소의 반응으로 부터 수득되는 방법.The process of claim 1 wherein the reactor discharge is obtained from the reaction of propylene, ammonia and oxygen containing gas in a fluidized bed reactor in contact with a fluidized bed darkening catalyst. 제 1 항에 있어서, 반응기 방출물이 유동층 암목시화 촉매와 접촉되면서 이소부틸렌, 암모니아 및 유동층 반응기내에 가스를 함유하는 산소의 반응으로 부터 수득되는 방법.The process of claim 1 wherein the reactor discharge is obtained from the reaction of isobutylene, ammonia and oxygen containing gas in the fluidized bed reactor while in contact with the fluidized bed darkening catalyst. 제 1 항에 있어서, 회수 컬럼이 약 5 ∼ 약 10 psig 의 상부 압력으로 유지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overy column is maintained at a top pressure of about 5 to about 10 psig. 제 1 항에 있어서, 회수 컬럼 상부 압력이 약 5.5 ∼ 약 7.0 psig 로 유지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overy column overhead pressure is maintained at about 5.5 to about 7.0 psig. 제 1 항에 있어서, 회수 컬럼 상부 압력이 약 0.25 ∼ 약 5 psi 로 증가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overy column top pressure is increased to about 0.25 to about 5 psi. 제 1 항에 있어서, 회수 컬럼 상부 압력이 약 0.5 ∼ 약 5 psi 로 증가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overy column top pressure is increased to about 0.5 to about 5 psi. 제 1 항에 있어서, 회수 컬럼 상부 압력이 약 1.0 ∼ 약 5 psi 로 증가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overy column top pressure is increased to about 1.0 to about 5 psi.
KR1019970033844A 1997-07-19 1997-07-19 Improved Acrylonitrile Recovery Method KR1005877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844A KR100587744B1 (en) 1997-07-19 1997-07-19 Improved Acrylonitrile Recover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844A KR100587744B1 (en) 1997-07-19 1997-07-19 Improved Acrylonitrile Recovery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948A true KR19990010948A (en) 1999-02-18
KR100587744B1 KR100587744B1 (en) 2006-10-11

Family

ID=4926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844A KR100587744B1 (en) 1997-07-19 1997-07-19 Improved Acrylonitrile Recovery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744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9667A (en) * 1979-08-02 1981-05-26 Standard Oil Company Acrylonitrile purification by extractive distil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7744B1 (en)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8812B1 (en) Improved process for the recovery of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JP2007297399A (en) Improved method for recovering acrylonitrile
JP2009102398A (en) Waste minimization and product recovery process
EP1093389B1 (en) Process for recovery of acrylonitirle
US6793776B2 (en) Operation of heads column
US6860971B2 (en) Process for recovery of olefinically unsaturated nitriles
KR100587744B1 (en) Improved Acrylonitrile Recovery Method
US5703268A (en) Acrylonitrile recovery process
JP4275754B2 (en) Improved acrylonitrile recovery process
EP0891967B1 (en) Improved acrylonitrile recovery process
RU2196766C2 (en) Method of extraction of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MXPA97006000A (en) Improved process for the recovery of acrilonitr
JP2008189680A (en) Improved recovery process for acrylonitrile
MXPA97000631A (en) Improved acrilonitr recovery process
BG63535B1 (en) Method for acrylonitrile regeneration
MXPA00012649A (en) Process for recovery of olefinically unsaturated nitriles
MXPA98007379A (en) Process of minimization of residues and recovery of prod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