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0644U -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 - Google Patents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0644U
KR19990010644U KR2019970024019U KR19970024019U KR19990010644U KR 19990010644 U KR19990010644 U KR 19990010644U KR 2019970024019 U KR2019970024019 U KR 2019970024019U KR 19970024019 U KR19970024019 U KR 19970024019U KR 19990010644 U KR19990010644 U KR 199900106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plate
air conditioner
sides
window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봉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4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0644U/ko
Publication of KR199900106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644U/ko

Links

Landscapes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창문형 에어콘의 내부로 설치되는 컨트럴 박스에 있어서, 양측면 일단에 체결돌기(12)가 형성되고 일면 양측으로 체결홈(14)이 형성되어 수용부(15)가 형성된 제 1플레이트(10)와, 양측에 체결공(22)이 형성되고 일단 양측으로 삽입돌기(24)가 형성된 제 2플레이트(20)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를 제공하므로서,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를 프레스 작업시에 두개의 플레이트로 제작하여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A/S시에도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A control box of window type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를 프레스 작업시에 두개의 플레이트로 제작하여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A/S시에도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창문형 에어콘(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100)와, 압축기(100)에서 이송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방열시켜 점차적으로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200)와, 응축기(200)에서 액체상태로 상변화되어 이송된 냉매를 저온의 액체 및 기체상태로 감압하는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와, 팽창밸브에서 이송된 저온의 액체 및 기체상태의 냉매를 통과시키면서 증발되어 주변열을 빼앗아 외부온도를 낮은 온도로 유지시키는 동시에 증발된 냉매가스를 다시 압축기(100)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증발기(300)로 냉매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창문형 에어콘의 조립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베이스판(50) 위에 조립되는 실내·외측 차단벽체(60)(70)와, 실내·외측 차단벽체(60)(70)의 사이에 위치되게 베이스판(50)에 조립된 모터브라켓(80)으로 고정되는 구동모터(82)와, 구동모터(82)의 구동축(83)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조립되어 실내·외측 차단벽체(60)(70)에 설치되는 송풍팬(62) 및 냉각팬(72)과, 실내측 차단벽체(60)의 전면 측단부로 조립되어 냉매사이클을 컨트럴하는 컨트럴박스(도 3참조)와, 실내측 차단벽체(60)의 전방에 위치되게 조립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냉기를 배출시키는 그릴부(90)와, 각 구성품을 은폐시키기 위하여 베이스판(50)에 조립되는 상부케이스(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측 차단벽체(60)는 실내·외측의 열교환을 차단하도록 함과 동시에 구조물의 기둥역할을 하도록 베이스판(50)에 조립되는 바리어와, 베이스판(50) 및 바리어에 일체로 조립되어 송풍팬(62)의 흡입력에 의하여 증발기(300)를 통과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실내로 순환하도록 안내함과 동시에 증발기(300)에서 증발된 응축수를 받아서 외부로 배수시키는 응축수받이(도시되지 않음)가 별도로 형성된 스크롤과, 이 스크롤에 조립되어 스크롤의 안내를 받아 순환되는 공기를 실내로 배기되도록 일정한 압력과 방향으로 모아주는 증발기커버(65)와, 실내·외측 차단벽체(60)(7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상호 연결고정되도록 실외측 차단벽체(70)와 바리어에 조립되는 브라켓(도시되지 않음)과, 증발기(300)의 전방에 위치되어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온도감지센서를 고정하도록 스크롤의 전방 하단에 조립되는 고정대(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상기 실외측 차단벽체(70)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상부를 덮는 커버로 구성되어 일체의 구조물로 베이스판(50)에 조립되어 냉각팬(72)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되는 실외의 공기를 상기 지지판을 거쳐 응축기(200)를 통과한 뒤 상부케이스의 배기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실외로 다시 배기되도록 안내하여 실내와 열교환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창문형 에어콘(1)의 컨트럴 박스(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강판을 프레스 작업하여 양측면 일단에 걸림돌기(42)가 형성된 수용부(45)가 형성되는 제 1플레이트(46)와, 상기 걸림돌기(42)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게 양측으로 삽입공(47)이 형성된 제 2플레이트(48)가 다수개의 연결리이브(49)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컨트럴 박스(40)의 조립은 수용부(45)가 형성된 제 1플레이트(46)와 연결리이브(49)로 연결되어 있는 제 2플레이트(48)를 연결리이브(49) 부위를 절곡하여 제 1플레이트(46)의 걸림돌기(42)에 제 2플레이트(48)의 삽입공(47)을 삽입하여 체결한 후, 삽입공(47)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2)를 절곡하여 조립을 완료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종래의 컨트럴 박스(40)는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즉, 연결리이브(49) 부위를 절곡하는 과정에서 연결리이브(49)가 절단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제 1플레이트(46)와 제 2플레이트(48)가 맞닿는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수용부(45)에 설치되는 여러 부품등이 컨트럴 박스(40)의 외부로 돌출되어 이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어 었다.
또한, 컨트럴 박스(40) 내에 설치된 부품에 이상이 발생하여 A/S시에도 상기 제 2플레이트(48)의 삽입공(47)으로 삽입되어 절곡된 제 1플레이트(46)의 걸림돌기(42)를 다시 펴서 제 2플레이트(48)를 이탈시켜 작업해야 하는 번거러운 문제점과, 이때, 상기 걸림돌기(42)가 펴지는 과정에서 걸림돌기(42)가 절단되어 다시 수리후에 제 2플레이트(48)를 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를 프레스 작업시에 두개의 플레이트로 제작하여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A/S시에도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창문형 에어콘의 내부로 설치되는 컨트럴 박스에 있어서, 양측면 일단에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일면 양측으로 체결홈이 형성되어 수용부가 형성된 제 1플레이트와, 양측으로 체결공이 형성되고 일단 양측에 삽입돌기가 형성된 제 2플레이트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창문형 에어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3은 종래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46 : 제 1플레이트 12 : 체결돌기
14 : 체결홈 15,45 : 수용부
20,48 : 제 2플레이트 22 : 체결공
24 : 삽입돌기 30,40 : 컨트럴 박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로서, 하나의 금형에서 프레스 작업에 의해 양측면 일단에 체결돌기(12)가 형성되고 일면 양측으로 체결홈(14)이 형성되어 수용부(15)가 형성된 제 1플레이트(10)와, 양측으로 체결공(22)이 형성되고 일단 양측에 삽입돌기(24)가 형성된 제 2플레이트(20)가 결합되게 구성된 컨트럴 박스(3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의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나의 금형이 설치된 프레스에 일정 크기의 강판을 삽입하여 작동시키면 양측면 일단에 체결돌기(12)가 형성되고 일면 양측으로 체결홈(14)이 형성되어 수용부(15)가 형성된 제 1플레이트(10)와, 양측으로 체결공(22)이 형성되고 일단 양측에 삽입돌기(24)가 형성된 제 2플레이트(20)가 분리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분리되어 형성된 제 1플레이트(10)와 제 2플레이트(20)는 제 1플레이트(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체결돌기(12)로 제 2플레이트(20)의 체결공(22)을 삽입함과 동시에 제 1플레이트(10)의 일면으로 형성된 체결홈(14)으로 제 2플레이트(20)의 삽입돌기(24)를 삽입시키면 제 1플레이트(10)와 제 2플레이트(20)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제 2플레이트(20)에는 필요에 따라 작동스위치나 조절스위치등을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컨트럴 박스(30)의 조립이 완료되면 컨트럴 박스(30)의 수용부(15)에 필요한 부품등을 설치한 후에 도 2에 도시된 실내측 차단벽체(60)의 전면 하측 측단부로 조립시켜 사용한다.
상기에서 컨트럴 박스(30)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등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제 1플레이트(10)의 체결돌기(12)와 체결홈(14)으로 체결되어 있는 제 2플레이트(20)의 체결공(22)과 삽입돌기(24)를 조립시의 반대 방향으로 이탈시키면 제 1플레이트(10)에서 제 2플레이트(20)가 간단하게 분리되어 이상이 발생된 부품등을 손쉽게 수리하나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럴 박스를 프레스 작업시에 두개의 플레이트로 제작하여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컨트럴 박스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컨트럴 박스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의 이상으로 A/S시에도 컨트럴 박스를 손쉽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수리작업을 할 수 있는 바람직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창문형 에어콘의 내부로 설치되는 컨트럴 박스에 있어서, 양측면 일단에 체결돌기(12)가 형성되고 일면 양측으로 체결홈(14)이 형성되어 수용부(15)가 형성된 제 1플레이트(10)와, 양측에 체결공(22)이 형성되고 일단 양측으로 삽입돌기(24)가 형성된 제 2플레이트(20)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
KR2019970024019U 1997-08-29 1997-08-29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 KR199900106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019U KR19990010644U (ko) 1997-08-29 1997-08-29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019U KR19990010644U (ko) 1997-08-29 1997-08-29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644U true KR19990010644U (ko) 1999-03-15

Family

ID=6967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019U KR19990010644U (ko) 1997-08-29 1997-08-29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064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776A1 (ko) * 2019-01-24 2020-07-30 신영산 조립식 공기 청정기 및 그 조립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776A1 (ko) * 2019-01-24 2020-07-30 신영산 조립식 공기 청정기 및 그 조립 방법
KR20200092170A (ko) * 2019-01-24 2020-08-03 신영산 조립식 공기 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7118B1 (ko) 창문형 에어콘의 실내측 차단벽체
KR19990010644U (ko) 창문형 에어콘의 컨트럴 박스
US20070044495A1 (en) Monolithic air conditioner
KR10053135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고정장치
KR100795606B1 (ko) 공조기기
KR200282154Y1 (ko) 실외기의 서비스 밸브 조립구조
KR100247802B1 (ko) 스크롤과 증발기커버가 일체로 형성되는 창문형 에어콘
KR200340245Y1 (ko) 패캐지에어컨실내기의베이스결합장치
KR200181350Y1 (ko) 에어컨의 패널 조립체
KR200213719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KR100423605B1 (ko) 에어컨 실외기의 응축기 고정구조
KR0130397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브래이스조립구조
KR100239331B1 (ko) 창문형 에어콘의 팬모터 고정장치
KR200155555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실내.외측 차단벽체
KR0128730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콘트롤박스 구조
KR100247801B1 (ko) 창문형 에어콘
KR200178183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실내.외측 차단벽체
KR200246227Y1 (ko) 평행흐름식콘덴서의헤더결합구조
KR200282155Y1 (ko) 실외기의 서비스 밸브 조립구조
KR200379794Y1 (ko) 실내기용 컨트롤박스의 결합구조
KR200184560Y1 (ko) 에어컨디셔너의 프런트패널 결합구조
KR19990039658A (ko) 창문형 에어콘의 바리어벽과 오리피스 커버
KR200246228Y1 (ko) 평행흐름식콘덴서의헤더결합구조
KR200180841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판넬구조
KR200171916Y1 (ko) 공조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