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928A - Fax drive - Google Patents

Fax dri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928A
KR19990009928A KR1019970032508A KR19970032508A KR19990009928A KR 19990009928 A KR19990009928 A KR 19990009928A KR 1019970032508 A KR1019970032508 A KR 1019970032508A KR 19970032508 A KR19970032508 A KR 19970032508A KR 19990009928 A KR19990009928 A KR 19990009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oupled
facsimile
cam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5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60637B1 (en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32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637B1/en
Publication of KR19990009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9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637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로 송신, 수신 혹은 복사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팩시밀리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나의 스텝모터로서 팩시밀리의 독취장치와 출력장치를 모두 동작시킬 수 있는 팩시밀리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팩시밀리속에 내장된 마이콤회로에 의해 감지된 신호 혹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신호 혹은 송신측에서 전송되어지는 신호에 따라 모터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캠에 의해 출력 및 독취용 모드전환기어중 어느 하나 혹은 모두가 선택적으로 출력 및 독취용 기어군에 혹은 모두 맞물리도록 하여 초기화 모드를 수행하고 후속적으로 마이콤의 제어에 의해 모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태양기어의 동력이 출력 및 독취용 모드전환기어 중 어느 하나 혹은 모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모터로서 송신, 수신 혹은 복사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simile drive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receiving or copying a single mo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simile drive device capable of operating both a facsimile reading device and an output device as one step motor. The purpose is to prov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tor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a signal sensed by a microcomputer circuit embedded in a facsimile, a sig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tting side, and a mode switching gear for output and reading by a cam. Initialization mode is performed by allowing one or both to selectively engage the output and read gear group or both, and subsequently, when the motor rotates clockwise by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the power of the sun gear switches to the output and read mode. By selectively connecting to one or both of the gears, it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transmit, receive or copy as one motor.

Description

팩시밀리 구동장치Fax drive

본 발명은 팩시밀리의 CIS(Contact Imige Sensor)로울러와 TPH(Thermal Print Head)로울러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로 수신, 송신, 카피(copy)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 할 수 있는 팩시밀리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a facsimile contact sensor (CIS) roller and a thermal print head (TPH) roller, and more particularly, selectively receives, transmits, and copies a single motor. It relates to a drive of the facsimile that can be.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는 크게 원고 독취장치와 수신데이터 출력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독취장치에는 원고의 내용을 독취하기 위한 접촉이미지 센서(Contact Image Sensor, CIS)이고, 출력장치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감열지로 출력시키는 감열기록방식(Thermal Print Head)과 드럼에 토너를 대전시켜 일반용지로 출력하는 방식이 있다. CIS에는 원고를 이송시키는 CIS로울러가 한 조로 설치되고, TPH에는 기록지를 이송시키는 TPH로울러가 한 조로 설치된다.In general, a facsimile machine includes a document reading device and a reception data output device. The reading device includes a contact image sensor (CIS) for reading the contents of the document, and the output device charges the toner to the drum and a thermal print head which outputs a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to a thermal paper. There is a way to output to plain paper. In the CIS, a set of CIS rollers for transferring the originals is installed, and in the TPH, a set of TPH rollers for transferring the recording paper is installed.

원고를 송신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고를 팩시밀리의 재치대에 올려놓고 송신을 개시하면 구동모터에 의해 자동문서급지(Auto Document Feeding, ADF) 로울러와 CIS로울러가 함께 회전하면서 원고를 CIS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송시킴으로서 CIS에 의해 원고의 내용이 스캐닝된다. 아울러, 수신시에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가 회전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출력장치를 통해 기록지 혹은 일반용지 표면에 해당내용을 인쇄해준다.If you want to send originals, place the originals on the facsimile table and start sending them. When the document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the Auto Document Feeding (ADF) roller and the CIS roller are rotated together, keeping the originals in close contact with the CIS surface. The content of the original is scanned by the CIS by transferring it to the. In addition, during reception, the driving motor is rotated by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recording paper or general paper through the output device as described above.

한편 팩시밀리의 복사(Copy)모드시에는 CIS용 구동모터와 출력용 구동모터가 동시에 구동되면서 재치대에 놓여진 원고의 내용이 CIS에 의해 읽혀짐과 동시에 출력장치에 의해 기록지 혹은 일반용지로 인쇄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대부분의 팩시밀리는 독취장치와 출력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py mode of the facsimile, the CIS drive motor and the output drive motor are driven at the same time, and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placed on the mounting table are read by the CIS and printed out on the recording paper or general paper by the output device. Discharge. Most conventional facsimile machines such as these are provided with driving motors for driving the reading device and the output device, respectively.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독취장치와 출력장치용 구동모터를 갖는 종래의 팩시밀리는 부피가 큰 고가의 모터들을 중복 설치되어야 함으로 팩시밀리 내부의 활용 공간이 좁아져 구성 및 배치 설계에 제약이 따르고, 제품의 부피가 커지며, 아울러 제품의 생산 단가가 상승되는 폐단이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he conventional facsimile machine having the drive motor for each reading device and the output device has to be installed with bulky and expensive motors so that the utilization space inside the facsimile becomes narrow, which constrains the configuration and layout design. As a result, the volume of the product increased, and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increas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으로 하나의 구동모터를 통해 독취장치와 출력장치를 모두 동작시킬 수 있는 팩시밀리가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그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1-10765호(팩시밀리의 화상 송수신 구동장치, 공개번호 93-1664)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In an effort to solve such a problem, a facsimile that can operate both a reading device and an output device through a single drive motor has been developed. For example, it is disclosed in detail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91-10765 (Facsimile im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Publication No. 93-1664).

그러나, 위 선원에 따른 하나의 모터를 이용한 독취 및 출력장치를 작동시키는 팩시밀리 구동장치는 송신, 수신, 복사모드 등 설정모드로 변환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 사용자가 기다리는 시간이 많아 실제로 채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는 하나의 이송로울러의 표면에 서로 대칭되게 독취장치와 출력장치를 설치하여 동력을 이송로울러의 구동력으로 원고를 스캐닝하거나 혹은 기록지에 감열인쇄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드변환에 따른 전환시간이 길기 때문이다.However, the facsimile driving device that operates the read and output device using one motor according to the above source takes a long time to convert to a setting mode such as a transmission, reception, and copy mode, so that the user waits a lot of time, so it is difficult to actually employ it. There is this. This is because the reading time and the output device are installed symmetrically on the surface of one feed roller so that the power can be scann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eed roller, or the thermal printing on the recording paper takes a long time. .

그러므로, 전술한 문제점을 개량하기 위해 하나의 구동모터를 통해 독취장치와 출력장치를 모두 동작시킬 수 있는 개량된 팩시밀리 구동장치는일본국 특허평4-179214(출원일;92. 6. 11)와 일본국 특허평5-30088(출원일;93. 2. 19)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an improved facsimile drive device capable of operating both the reading device and the output device through one drive moto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4-179214 (filed June 6, 1992) and Japan. It is disclosed in detail in Korean Patent No. 5-30088 (filed date Feb. 19, 1993).

그러나 위 선원에 따른 기술적 구성을 보면 송신, 수신, 복사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솔레노이드밸브 및 스윙기어를 이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채용된 구성요소들이 많아 하나의 모터로 팩시밀리의 기능 즉, 송신, 수신, 복사기능을 구현되도록 설계되었으나 그 부피와 무게를 줄이는데에는 실효성이 거의 없다. 결국, 팩시밀리의 기능을 두 개의 모터를 하나의 모터로 동작되도록 개발하는 과정에 그에 수반하는 다른 부품들이 추가되어 공간적인 설계제약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 추가적인 부품의 사용으로 인해 생산비용이 상승하는 등 그 실효성이 저조하다.However,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above source, it adopts the method using solenoid valve and swing gear to selectively switch the transmission, reception, and copying modes. It is designed to implement the facsimile functions, namely transmit, receive and copy functions, but there is little effectiveness in reducing its volume and weight. As a resul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functions of the facsimile two motors to operate as one motor, other components accompanying them have not been overcome to overcome the spatial design constraint, and the production cost increases due to the use of additional components. Its effectiveness is low.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하나의 모터로 송신, 수신 및 카피(Copy)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에 있어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모드전환이 매우 신속한 팩시밀리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ally simple in selectively performing transmission, reception and copy functions with one motor, and mode switching is easy. To provide a very fast facsimile dri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팩시밀리 내부공간을 보다 더 넓게 확보함으로써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볍고, 가격이 보다 저렴한 팩시밀리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csimile that is smaller in size, lighter in weight, and less expensive by securing a wider space inside the facsimi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모터를 통해 출력장치 및 독취장치를 구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팩시밀리의 요부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facsimile showing a state of driving an output device and a reading device through on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분해 사시도,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power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평면도Figure 2b is a plan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tor is coupl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전환기어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스롯을 예시하는 요부 측면도,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a slot for guiding a movement path of a mode shift g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구동장치의 채용예를 보여주는 팩시밀리의 요부 단면도,Figure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facsimile showing an example of adoption of the facsimile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팩시밀리의 구동장치에 따른 송신모드전환 상태를 예시하는 팩시밀리의 요부 측면도,5A is a side view of a main part of a fax illustrating a transmission mode switching s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device of the fax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의 팩시밀리의 구동장치에 따른 송신모드 상태를 예시하는 팩시밀리의 요부 측면도,Fig. 5B is a side view of a main part of a fax illustrating a transmission mode state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fax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의 팩시밀리의 구동장치에 따른 수신모드전환 상태를 예시하는 팩시밀리의 요부 측면도,6A is a sid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fax illustrating a reception mode switching state according to a driving device of the fax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발명의 팩시밀리의 구동장치에 따른 수신모드 상태를 예시하는 팩시밀리의 요부 측면도,6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fax illustrating a reception mode state according to a driving device of the fax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발명의 팩시밀리의 구동장치에 따른 복사모드전환 상태를 예시하는 팩시밀리의 요부 측면도 및7A is a side view of a main part of a facsimile illustrating a copy mode switching state according to a drive of the facsimi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본 발명의 팩시밀리의 구동장치에 따른 복사모드 상태를 예시하는 팩시밀리의 요부 측면도이다.Fig. 7B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facsimile illustrating the copy mode state according to the drive of the facsimil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프레임 2:소직경 스롯1: frame 2: small diameter slot

3:대직경 스롯 5:통공3: large diameter slot 5: through-hole

7:축받이공 9:커버7: bearing ball 9: cover

10:독취장치 11:CIS10: Reading device 11: CIS

13:CIS로울러 20:출력장치13: CIS roller 20: Output device

21:TPH 23:TPH로울러21: TPH 23: TPH

31∼37:독취장치용 기어군 41∼46:출력장치용 기어군31 to 37: gear group for reading device 41 to 46: gear group for output device

50:동력분배수단 60, 70:모드전환기어50: power distribution means 60, 70: mode shift gear

61, 71:모드전환레버 80:캠61, 71: mode switching lever 80: cam

80a:돌기 81:연장축80a: protrusion 81: extension shaft

83a:제1 마찰클러치 스프링 83b:제 2 마찰 클러치 스프링83a: first friction clutch spring 83b: second friction clutch spring

84:풀리 M:스텝 모터84: pulley M: step motor

M1:태양기어 CS:인장스프링M1: Sun Gear CS: Tensile Spring

SS1∼SS4:마이크로 스위치SS1 to SS4: Micro Switch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수단은, 팩시밀리에 있어서, 부품들을 지지하는 내부 프레임과,The construc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facsimile, the inner frame for supporting the parts,

상기 프레임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출력장치 및 독취장치와,An output device and a reading devic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송신, 수신 및 복사 모드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장치 및 독취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출력용 기어군 및 독취용 기어군과,An output gear group and a read gear group rotatably coupled to a side of the frame to drive the output device and the read device according to selection signals of transmission, reception and copy modes;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송신, 수신 혹은 복사모드중 어떤 모드도 선택되어지지 않았을 때 상기한 모드들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 상태로 위치되고, 송신, 수신 및 복사모드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회로적인 로직에 따라 작동되는 마이콤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출력용 기어군 및 독취용 기어군중 어느 하나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혹은 모두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분배수단으로 달성되어 질 수 있다.Fixed to the frame, placed in a ready state to perform the above modes when none of the transmit, receive or copy modes are selected, and when any of the transmit, receive and copy modes is selected, Driven by a microcomputer operating according to the circuit logic can be achieved as a power distribution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to either or both of the output gear group and the reading gear group.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팩시밀리의 기능 즉, 송신기능과 수신기능 및 복사기능으로 전환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모드로의 전환이 신속하여 모드전환에 따른 기다림이 거의 없어 신속한 팩시밀리의 사용을 가능하게 해준다. 아울러, 종래의 원모터 구동 팩시밀리에 비해 구조적으로 매우 간소화되어 설계공간을 보다 더 많이 확보할 수 있으며, 제품의 경량화 및 소형화가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required for switching the facsimile function, that is, the transmission function, the reception function, and the copy fun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is very short,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switch to the specific mode selected by the user and wait for the mode change. There is very little, which allows for faster use of the facsimile. In addition, the structure is much simplifi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motor drive facsimile it is possible to secure more design space, and to provide the effect that the weight and size of the product can be more easily implemen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의 요부 즉, 팩시밀리의 내부에 설치되는 독취장치 및 출력장치의 구동을 위한 기어군들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FIG. 1 exemplarily illustrates a gear group for driving a reading device and an output device installed in the facsimile of the facsimile, ie, the facsim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팩시밀리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어지는 내부 프레임이고, 10은 팩시밀리의 송신동작시 원고의 내용을 스캐닝하는 독취장치(CIS)이고, 20은 팩시밀리의 수신동작시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출력장치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한 출력장치(20)는 감열기록지에 열을 가하여 인쇄하는 감열기록방식(TPH)을 채용한 팩시밀리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 is an internal frame to which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acsimile is mounted, 10 is a reading device (CIS) which scans the contents of the document during the transmission operation of the facsimile, and 20 is a transmission from the counterpart during the reception operation of the fax. Output device to output the data.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utput device 20 exemplifies and illustrates a facsimile employing a thermosensitive recording method (TPH) for printing by applying heat to a thermosensitive recording pap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구동장치는 크게 프레임과(1), 독취장치(10), 출력장치(20), 독취장치용 기어군(31∼36), 출력장치용 기어군및 모드상태에 따라 동력을 독취장치용 기어군(31∼36) 혹은 출력장치용 기어군(41∼46)에 동력을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동력분배수단(50)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acsimile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 a reading device 10, an output device 20, a gear group 31 to 36 for a reading device, and a gear group for the output device. And a power distribution means 50 for selectively distributing the power to the reading device gear groups 31 to 36 or the output device gear groups 41 to 46 according to the mode state.

독취장치(1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재치대상에 놓여진 원고의 내용을 읽어 들이는 장치로서, 원고가 원고재치대에 놓여져 있는 지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SS1)와, 원고의 내용을 스캐닝하는 CIS(11) 및 CIS로울러(13), ADF로울러(15)를 의미한다. 물론, 사용자가 조작패널(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음)상에 배열된 송신버튼의 조작에 의해 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1 and 4 is a device for reading the contents of the document placed on the document placement target, as shown in Figs. 1 and 4, the micro switch (SS1) for detecting whether the document is placed on the document holder, and the document The CIS 11 and the CIS roller 13 and the ADF roller 15 for scanning the contents of the mean. Of course, the user performs the above operation by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button arranged on the operation panel (not shown).

출력장치(20)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기록지에 인쇄하여 출력시키는 장치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팩시밀리에 보편적으로 채용된 TPH(21)와 TPH로울러(23)를 의미한다. 출력장치(20)는 팩시밀리가 수신신호에 의해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회로적으로 프로그램화된 로직에 의해 자체적으로 동작되어진다.The output device 20 is a device for printing and outputting data received from a counterpart on a recording shee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utput device 20 refers to a TPH 21 and a TPH roller 23 which are commonly used in a facsimile. The output device 20 is itself operated by logic in which the facsimile is programmatically programmed into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by the received signal.

상기 독취장치(10)용 기어군(31∼36)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스텝 모터(M)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술한 CIS로울러(13), ADF로울러(15)를 동작시키는 기어군들이다. 상기 기어군들은 상기한 프레임(1)의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다. 독취장치(10)용 기어군의 배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gear groups 31 to 36 for the reading apparatus 10 are gear groups for operating the above-described CIS roller 13 and the ADF roller 15 while being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p motor M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The gear group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frame 1. Looking at the arrangement of the gear group for the reading device 10 is as follows.

독취장치(10)용 기어군(31∼36)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평기어로 구성되며, 프레임(1)의 벽면에 회전가능하게 축받이되어 있다. 이들 평기어는 그 지름이 서로 차이를 갖는데, 이는 최종적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CIS로울러(13)와 ADF로울러(15)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고려한 것으로, 그 갯수에는 큰 의미를 갖지 않는다. 독취장치(10)용 기어군(31∼36)은 그 기어군(31∼36)중 참조번호 35에서 최초로 동력을 받아 CIS로울러(13)의 단부에 결합된 기어로 전달되어져 CIS로울러(13)와 ADF로울러(15)를 회전시킨다. 물론 CIS로울러(13)가 회전하면 원고는 CIS(11)의 표면을 통과하면서 원고의 내용을 CIS(11)가 읽어 들인다. 상기한 평기어는 후술하는 동력분배수단(50)과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동력이 전달되어지거나 동력이 차단되도록 독취용 모드전환기어(60, 70)중 어느 하나 혹은 모두와 맞물리거나 분리되어진다.The gear groups 31 to 36 for the reading device 10 ar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spur gears as shown in Figs. 1 and 4, and are rotatably support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frame 1. These spur gears have different diameters, which take into account the rotational speed and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CIS roller 13 and the ADF roller 15 to which power is finally transmitted, and the number does not have a significant meaning. The gear groups 31 to 36 for the reading device 10 are first powered by the reference numeral 35 among the gear groups 31 to 36 and are transmitted to the gears coupled to the ends of the CIS rollers 13 so that the CIS rollers 13 And rotate the ADF roller 15. Of course, when the CIS roller 13 rotates, the document is read by the CIS 11 while the document passes through the surface of the CIS 11. The spur gear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power distribution means 5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any one or both of the read mode switching gears 60 and 70 so that the power is transmitted or the power is cut off.

출력장치(20)용 기어군(41∼46)은 상기한 스텝모터(M)의 회전력에 의해 역시 회전되고 그 동력을 출력장치(20)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 기어군(41∼46)들은 상기한 프레임(1)의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축받이 결합되어 있다. 출력장치(20)용 기어군(41∼46)의 배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gear groups 41 to 46 for the output device 20 are also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tep motor M described above, and serve to transmit the power to the output device 20. These gear groups 41 to 46 are pivotally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frame 1 as described above. Looking at the arrangement of the gear group 41 to 46 for the output device 20 is as follows.

출력장치(20)용 기어군(41∼4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시 다수개의 평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평기어는 프레임(1)의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축받이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장치(20)용 기어군들은 최종적으로 동력이 도달하는 TPH로울러(23)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으로, 역시 그 갯수에는 큰 의미가 없다. 출력장치(20)용 기어군(41∼46)은 그 기어들 중 참조번호 46에서 최초로 동력을 받아 TPH로울러의 단부에 결합된 기어로 전달되어져 TPH로울러를 회전시킨다. 상기한 평기어는 후술하는 동력분배수단(50)과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동력이 전달되어지거나 동력이 차단되도록 출력용 모드전환기어(60, 70)중 어느 하나 혹은 모두와 맞물리거나 분리되어진다. 아울러, 상술한 독취장치(10)용 기어군(31∼36)과 출력장치(20)용 기어군(41∼46)들은 프레임(1)의 벽면에 서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다른 공간상에 이격되게 설치되어져 있다.The gear groups 41 to 46 for the output device 20 are also composed of a plurality of spur gears, as shown in FIG. 4, which sprocket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frame 1.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gear groups for the output device 20 ar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TPH roller 23 at which power is finally reached, and the number thereof is also not significant. The gear groups 41 to 46 for the output device 20 are first powered by the reference numeral 46 of the gears and are transmitted to the gear coupled to the end of the TPH roller to rotate the TPH roller. The spur gear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power distribution means 5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any one or all of the mode switching gears 60 and 70 for output so that the power is transmitted or the power is cut off.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gear group 31 to 36 for the reading device 10 and the gear group 41 to 46 for the output device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pace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on the wall surface of the frame 1. It is installed.

동력분배수단(50)은 동력을 상기한 독취장치(10)용 기어군(31∼36) 혹은 출력장치(20)용 기어군(41∼46)에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독취장치(10) 혹은 출력장치(20)를 동작시키거나 혹은 독취장치(10) 및 출력장치(20) 모두를 동시에 동작시킨다. 또한 동력분배수단(50)은 송신, 수신 및 복사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도 수행하지 않을 경우, 혹은 위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한 경우 후속적으로 수행되어질 기능을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 초기화 모드를 수행한다.The power distribution means 50 selectively supplies rotational force to the gear groups 31 to 36 for the reading device 10 or the gear groups 41 to 46 for the output device 20 to read the power 10. Alternatively, the output device 20 may be operated or both the reading device 10 and the output device 20 may be operated simultaneously. In addition, the power distribution unit 50 is initialized to promptly process a function to be subsequently performed when one of the above functions is not performed, or when one of the above functions is not performed. Perform the mode.

동력분배수단(50)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으로서는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는 일정거리 이격되게 한 쌍의 소직경 스롯(2) 및 그 스롯(2)사이에 통공(5)이 형성된 상기 프레임(1)과;As shown in FIG. 2B and FIG. 3,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distribution means 50 includes a hole 5 between the pair of small diameter slots 2 and the slots 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ll surface. A frame (1) formed thereon;

상기 프레임(1)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부착되며, 한 쌍의 대직경 스롯(3)과 그 대직경 스롯(3)사이에 축받이공(7)이 형성된 커버(9)와;A cover 9 attached to the frame 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a bearing hole 7 formed between the pair of large diameter slots 3 and the large diameter slots 3;

상기 통공(5)속으로 삽입되는 소직경 축과 대직경 축으로 이루어진 로터를 지니고, 마이콤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스텝모터(M)와;A step motor (M) having a rotor composed of a small diameter shaft and a large diameter shaf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 and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상기 로터의 단부에 결합되며, 일면에 돌기를 구비하고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축(81)을 구비하는 캠(80)과;A cam (80) coupled to an end of the rotor and having an extension shaft (81) extending in an axial direction with protrusions on one surface thereof;

상기 소직경축 로터가 관통되며, 일측단부는 상기 대직경 로터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캠(80)의 연장축(81)에 결합되는 제 1마찰 클러치 스프링(83a)과;A first friction clutch spring (83a) through which the small diameter shaft rotor penetrate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large diameter roto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extension shaft (81) of the cam (80);

일측단부는 상기 캠(80)의 연장축(81)을 관통하는 소직경 로터에 결합되는 풀리에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축받이공(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태양기어(M1)와 결합되는 제 2마찰 클러치 스프링(83b)과;One end is coupled to a pulley coupled to a small diameter rotor passing through the extension shaft 81 of the cam 80,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un gear (M1) rotatably coupled to the bearing hole (7) A second friction clutch spring 83b;

일측단부는 상기 소직경 스롯(2)에 삽입되고, 타측단부는 대직경 스롯(3)에 유격가능하게 결합되며, 원주면에 상기 태양기어(M1)와 출력장치(20)용 기어군(31∼36) 및 독취장치(10)용 기어군(41∼46) 사이에 각각 이웃하게 배치되는 출력 및 독취용 모드전환용 기어(60, 70)를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모드전환레버(61, 71)와:One end is inserted into the small diameter slot (2), the other end is freely coupled to the large diameter slot (3), the gear group 31 for the sun gear (M1) and the output device 20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 pair of mode switching levers 61, each of which has outputs and reading mode switching gears 60, 70 disposed adjacently between the gear groups 41 to 46 and the reading device 10, respectively. 71) and:

프레임(1)상에 결합되고, 상기 캠(80)의 회전시 돌기(80a)와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온·오프신호를 마이컴으로 전달하여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상기 스텝모터(M)의 구동을 제어하는 센서와A sensor coupled to the frame 1 and connected to the projection 80a when the cam 80 rotates to electrically transmit an on / off signal to the microcomputer to control driving of the step motor M from the microcomputer. Wow

상기 한 쌍의 출력 및 독취용 모드전환용 기어(60, 70)들이 상기 태양기어(M1)쪽으로 복귀되도록 유지시키는 탄성수단으로 구현되어진다.The pair of output and read mode switching gears (60, 70) is implemented as an elastic means for maintaining the return to the sun gear (M1).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는 플레임의 측면에 부착되어 지게 되는데 모터에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로터가 소직경 및 대직경 로터(R1, R2)로 구성되어 있다. 소직경 로터(R1)는 소정의 길이를 지니며 함께 대직경 로터(R2)와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As shown in FIGS. 2A and 3, the motor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flame, and the rotor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is composed of small diameter and large diameter rotors R1 and R2. The small diameter rotor R1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large diameter rotor R2.

제 1 마찰 클러치 스프링(83a)은 일측단이 대직경 로터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캠(80)의 연장축(81)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제 1마찰 클러치 스프링(83a)은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캠(80)을 회전시키거나 회전시키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제 1마찰 클러치 스프링(83a)의 직경이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캠(80)이 회전되게 되고, 그반대의 경우에는 캠(80)이 회전되지 않는다.참고로 상기한 소직경 로터는 상기 캠의 연장축속으로 관통되게 조립되어 지고, 돌출된 단부에는 풀리(84)가 결합되어 진다. 이 경우 캠(80)과 풀리(84)가 접하는 면은 슬라이딩되어 진다.One end of the first friction clutch spring 83a is coupled to the large diameter rotor,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friction clutch spring 83a is coupled to the extension shaft 81 of the cam 80. The first friction clutch spring 83a does not rotate or rotate the cam 8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In other words, when the diameter of the first friction clutch spring 83a is rotated in the tightening direction, the cam 80 is rotated, and in the opposite case, the cam 80 is not rotated. The cam is assembled to penetrate into the extended shaft, and the pulley 84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end. In this case, the surface where the cam 80 and the pulley 84 contact is slid.

상기 풀리(84)에는 제 2마찰 클러치 스프링(83b)이 결합되는데, 제 2마찰 클러치 스프링(83b)의 타측은 커버(9)의 축받이공(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태양기어의 연장축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제 2마찰 클러치 스프링(83b)는 소직경로터(R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태양기어(M1)를 회전시키거나 회전시키지 않은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서 스텝모터(M)가 구동되기 시작하면 로터(R1, R2)의 회전방향에 따라 캠(80) 혹은 태양기어(M1)중 어느 하나만이 회전되게 된다.A second friction clutch spring 83b is coupled to the pulley 84,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riction clutch spring 83b is an extension shaft of the sun gear rotatably coupled to the bearing hole 7 of the cover 9. Combined with The second friction clutch spring 83b functions to rotate or not rotate the sun gear M1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mall diameter rotor R1. In other words, when the step motor M starts to be driven, only one of the cam 80 or the sun gear M1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rotors R1 and R2.

태양기어(M)의 주위에는 한 쌍의 모드전환용 기어(60, 70)들은 프레임(1)과 커버(9)상에 대칭되게 각각 형성된 스롯(2, 3)에 유격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소직경 스롯(2)은 프레임에 유격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드전환레버(61, 71)의 유동범위가 대직경 스롯(3)에 비해 작은 범위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이는 캠(80)에 의해 이동되어질 때, 태양기어(M1)와 맞물려지는 모드전환기어(60, 70)의 유격을 보다 크게 해줌으로써 동력의 전달과 차단을 보다 확실히 해 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대직경 스롯(3)은 프레임(1)상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출력 및 독취용 평기어(36, 46)의 원주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다. 따라서, 캠(80)의 회전에 의해 모드전환레버(61, 71)의 원주면이 스롯(3)상에서 이동되어질 때 모드전환기어(60, 70)는 출력 및 독취용 평기어(35, 46)와 항시 맞물린 상태로 이동되고, 캠(80)에 의해 태양기어(M1)와 분리가 가능해진다. 도 1 내지 도 7b도에서 SS1∼SS4은 센서 즉, 마이크로 스위치로서, SS1는 송신용 원고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SS2는 독취 및 출력장치를 구동시키는 태양기어의 초기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SS3는 원고가 배출되는 과정에 원고가 팩시밀리내부에 걸려져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SS4는 원고가 배출된 장수를 카운트하는 센서이다.Around the sun gear M, a pair of mode switching gears 60, 70 are arranged to be freely arranged in the slots 2, 3 formed symmetrically on the frame 1 and the cover 9, respectively. The small diameter slot (2) has a flow range of the mode switching lever (61, 71) coupled to the frame so as to be smaller than the large diameter slot (3). This is to increase the clearance between the mode switching gears 60, 70 meshed with the sun gear M1 when the cam 80 is moved by the cam 80,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ore reliably transmit and block power. In addition, the large diameter slot 3 has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as the curvature radius of the circumference of the output and reading spur gears 36 and 46 disposed adjacent to the frame 1. Accordingly, wh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mode switching levers 61 and 71 are moved on the slots 3 by the rotation of the cam 80, the mode switching gears 60 and 70 output and read spur gears 35 and 46. It is always moved in mesh with each other, and the cam 80 makes it possible to separate from the sun gear M1. In FIGS. 1 to 7b, SS1 to SS4 are sensors, that is, micro switches, SS1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document for transmission, and SS2 is a sensor for detecting an initial state of a sun gear driving a read and output device. SS3 is a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document is jammed inside the facsimile during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document, and SS4 is a sensor that counts the number of sheets of the document discharged.

아울러, 상기한 탄성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CS)으로서, 인장스프링(CS)은 양측단부는 상기한 한 쌍의 모드전환레버(61, 71)의 축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ans is a tension spring (CS), as shown in Figure 1, both ends of the tension spring (CS) is coupled to the axis of the pair of mode switching lever (61, 71) described above, respectively.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구동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관계를 모드별로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facsimile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sequence for each mode.

먼저, 팩시밀리에 전원이 인가되면, 팩시밀리는 마이콤에 의해 각종 센서 즉, 원고재치대에 원고가 놓여있는지 유무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SS1)의 동작관계, 원고 배출경로상에 용지 유무를 확인하는 마이크로 스위치(SS2)의 동작관계, 혹은 수신신호의 접수여부 및 복사기능선택여부 등을 체크하여 마이콤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후속적인 동작을 수행한다.First,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facsimile machine, the facsimile machine checks whether the paper is placed on the document discharge path by operating the micro switch (SS1)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various sensors, that is, whether the document is placed on the document table. The operation relation of the switch SS2, the reception of the reception signal, the selection of the copy function, and the like are checked to perform subsequent operations according to the program set in the microcomputer.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콤으로 전달되는 신호들이 아무 것도 없는 경우 마이콤은 캠(80)의 위치상태만을 최종적으로 감지하여 만일, 캠(80)의 위치가 정위치에 도달되어 있지 않을 경우, 즉 캠(80)에 부설된 돌기(80a)가 마이크로 스위치(SS2)와 이격되어 마이크로 스위치(SS2)가 오프된 상태일 경우 마이콤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텝모터(M) 구동부를 통해 스텝모터(M)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킨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re are no signals transmitted to the microcomputer, the microcomputer finally senses only the position state of the cam 80. If the position of the cam 80 is not reached at the correct position, that is, the cam When the projection 80a installed at 80 is spaced apart from the micro switch SS2 and the micro switch SS2 is turned off, the microcomputer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the step motor M is driven through the step motor M driving unit. Is driven counterclockwise.

따라서, 스텝모터(M)가 회전하면, 도 2b 및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모터(M)의 로터에 결합된 캠(8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제 2마찰클러치 스프링(83a)의 내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1 마찰 클러치 스프링의 내경은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 동력은 태양기어(M1)쪽으로 전달되지 않고 캠(80)만 회전시킨다. 물론 스텝모터의 회전방향이 반대로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마찰 클러치 스프링(83a)의 내경이 오므라들고, 제 1 마찰 클러치 스프링의 내경은 확장됨으로 동력은 캠으로는 전달되지 않고 태양기어(M1)쪽으로만 전달되어 태양기어만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캠(80)은 상기 돌기(80a)가 마이크로 스위치(SS2)를 터치할 때까지 회전되고, 돌기(80a)가 마이크로 스위치(SS2)를 터치하면 마이크로 스위치(SS1)는 그 전기적인 신호를 마이콤으로 전달하여 즉시 스텝모터 구동부를 통해 상기 스텝모터(M)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 캠(80)이 회전하는 동안에 캠면에 의해 모드전환레버(61, 71)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 모드전환레버에 결합된 모드전환기어(61, 70)들은 출력 및 독취용 평기어(35, 46)와 맞물린 상태로 스롯(3)을 따라 이동하여 모드전환기어(60, 70)가 태양기어(M1)로부터 모두 분리된다.Accordingly, when the step motor M rotates, the cam 80 coupled to the rotor of the step motor M rotates counterclockwise as shown in FIGS. 2B and 5A and 5B. 2, the inner diameter of the friction clutch spring 83a is rotat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friction clutch spring is rotated in the retracting direction, so that power is not transmitted to the sun gear M1, and only the cam 80 is rotated. Of course, if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tep motor is reversed, that is, clockwise rota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friction clutch spring 83a is retracted,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friction clutch spring is expanded, so that power is not transmitted to the cam and the sun gear ( It is transmitted only to M1) to rotate the sun gear only. In this way, the cam 80 rotat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s rotated until the protrusion 80a touches the micro switch SS2. When the protrusion 80a touches the micro switch SS2, the micro switch SS1 is rotated. The electronic signal is transferred to the microcomputer to immediately stop the step motor M through the step motor driver. In this case, while the cam 80 rotates, the mode switching levers 61 and 71 are moved outward by the cam surface, so that the mode switching gears 61 and 70 coupled to the mode switching lever are output and read spur gears. 35 and 46 move along the slot 3 in engagemen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ode switching gears 60 and 70 are all separated from the sun gear M1.

이와 같은 상태는 팩시밀리가 수행하는 송신기능, 수신기능, 복사기능을 신속히 수행하기 위한 준비상태에 놓여지게 된다.Such a state is placed in a ready state for quickly performing a transmission function, a reception function, and a copy function performed by the fax.

둘째로, 팩시밀리의 송신모드를 살펴보면, 먼저 송신하고자 하는 원고를 원고재치대에 삽입하면 마이크로 스위치(SS1)가 작동하여 마이콤에 원고가 놓여져 송신모드로 전환해야 한다는 사실을 전기적인 신호로 알려주게 된다. 이 경우 마이콤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모터 제어부를 통해 스텝모터(M)를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캠면이 모드전환레버(61, 71)의 축 즉, 출력용 기어(35, 46)와 연결되는 모드전환레버(61, 71)의 축을 태양기어(M1)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이동시켜 태양기어(M1)와 모드전환기어(46)가 분리되도록 한다. 이때, 모드전환기어(70)는 프레임(1)과 커버(9)상에 형성된 스롯(3)을 따라 인장스프링(CS)의 인장력을 극복하면서 이동하게 된다.Secondly, in the transmission mode of the facsimile, when the original to be transmitted is inserted into the document holder, the micro switch (SS1) is activated to indicate that the original is placed in the microcomputer and sent to the transmission mode by an electric signal. .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microcomputer rotates the step motor M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rough the step motor controller so that the cam surface is the axis of the mode switching levers 61 and 71, that is, the output gear. The shafts of the mode switching levers 61 and 71 connected to the 35 and 46 are moved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un gear M1 so that the sun gear M1 and the mode switching gear 46 are separated. At this time, the mode switching gear 70 moves while overcoming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on spring CS along the slot 3 formed on the frame 1 and the cover 9.

이와 같이 모드전환기어(70)가 태양기어(M1)와 분리되고 모드전환기어(60)가 태양기어(M1)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대방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뒤 착신음이 발생된 뒤 사용자가 송신개시버튼을 누르면 송신개시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그전기적인 신호가 마이콤으로 전달되면서 프로그램화된 로직에 따라 스텝모터 구동부를 통해 다시 상기 스텝모터(M)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mode switching gear 70 is separated from the sun gear M1 and the mode switching gear 60 is engaged with the sun gear M1. Pressing and transmitting the electric signal to the microcomputer at the same time as pressing the transmission start button to rotate the step motor (M) clockwise again through the step motor driver according to the programmed logic.

따라서, 스텝모터(M)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동력이 제 1 마찰 클러치 스프링(83a)에 의해 캠으로 전달되지 않고, 제 2 마찰 클러치 스프링(83b)에 의해 태양기어로 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소직경 로터(R1)과 함께 태양기어(M1)가 회전하면서 모드전환기어(6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경우, 풀리(84)와 태양기어(M1)는 그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마찰 클러치 스프링(83b)의 내경이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스텝모터(M)가 회전함으로 제 2 마찰 클러치 스프링(83b)이 태양기어(M1)의 연장축과 캠(80)의 연장축을 더욱 세게 조여줌으로써 태양기어(M1)와 소직경 로터(R1)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결국, 모드전환기어(60)는 평기어(35)로 동력을 전달하여 CIS로울러(13)와 ADF로울러(15)를 동시에 구동시켜 ADF로울러에 의해 원고가 CIS쪽으로 급지되면서 원고의 내용을 CIS를 통해 읽어 들인다.Therefore, when the step motor M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power is not transmitted to the cam by the first friction clutch spring 83a, but power is transmitted to the sun gear by the second friction clutch spring 83b. Accordingly, the sun gear M1 rotates together with the small diameter rotor R1 to rotate the mode change gear 60. In this case, the pulley 84 and the sun gear M1 have a second friction clutch spring 83b as the step motor M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friction clutch spring 83b connecting between them is retracted. By tightening the extension shaft of the sun gear M1 and the extension shaft of the cam 80 more strongly, the sun gear M1 and the small diameter rotor R1 rotate together. As a result, the mode shift gear 60 transmits power to the spur gear 35 to simultaneously drive the CIS roller 13 and the ADF roller 15 to feed the CIS to the CIS by the ADF roller. Read through

이와 같이 송신모드가 완료되면, 마이크로 스위치(SS1)가 재치대에 원고의 셋팅유무를 감지하여 원고가 없는 경우 스텝모터(M)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마이크로 스위치(SS2)가 캠(80)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마이콤으로 전달한다. 만일 돌기(80a)가 마이크로 스위치(SS1)에 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마이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모터(M)를 시계방향으로 캠(80)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마찰 클러치 스프링(83a)를 통해 캠을 회전시켜 초기화 모드를 수행한다. 물론 이 경우 제 1 마찰 클러치 스프링(83a)는 캠(80)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제 2 마찰 클러치 스프링(83b)는 태양기어(M1)로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When the transmission mode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micro switch SS1 detects whether or not the original is set on the mounting table, and if there is no original, the step motor M is stopped and the micro switch SS2 is positioned at the cam 80. Detects and delivers the signal to the microcomputer. If the projection 80a is not touched by the micro switch SS1, the microcomputer rotates the step motor M clockwise only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first fric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m is rotated through the clutch spring 83a to perform the initialization mode. Of course, in this case, the first friction clutch spring 83a transmits power to the cam 80 and the second friction clutch spring 83b does not transmit power to the sun gear M1.

셋째로, 팩시밀리가 수신모드상태인 경우,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자체적으로 마이콤은 수신모드로 전환하도록 스텝모터 구동부를 통해 스텝모터(M)를 반시계방향으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시킨다. 스텝모터(M)가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면 캠면이 모드전환레버(61)의 축을 태양기어(M1)의 방사방향 외측으로 이동시켜 태양기어(M1)와 모드전환기어(60)가 분리되도록 한다.Thirdly, when the facsimile is in the reception mode, the microcomputer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reception mode by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so that the step motor M is counterclockwise as shown in FIGS. 7A and 7B. Operate as When the step motor M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a certain angle, the cam surface moves the axis of the mode shift lever 61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un gear M1 so that the sun gear M1 and the mode shift gear 60 are rotated. To be separated.

이와 같이 모드전환기어(60)가 태양기어(M1)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대방으로부터 기기로부터 전송되어진 신호에 따라 마이콤내에 프로그램화된 로직에 따라 스텝모터 구동부를 통해 상기 스텝모터(M)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step motor M is clockwise rotated through the step motor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logic programmed in the microcomputer accor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evice from the counterpart while the mode shift gear 60 is separated from the sun gear M1. Rotate

따라서, 스텝모터(M)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소직경 로터(R1)에 의해 제 2 마찰 클러치 스프링(83b)과 함께 태양기어(M1)가 회전하면서 모드전환기어(70)를 회전시키고, 이 모드전환기어(70)는 평기어(46)을 회전시켜 TPH로울러(23)를 회전시킨다. 결국, 수신된 메시지 내용은 회로적인 장치인 처리부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TPH(21)를 통해 TPH(21)와 TPH로울러(23)사이에 개재된 감열기록지 표면에 수신메시지 내용을 인쇄하여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step motor M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small diameter rotor R1 rotates the mode switching gear 70 while the sun gear M1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friction clutch spring 83b. The mode change gear 70 rotates the spur gear 46 to rotate the TPH roller 23. Eventually, the received message content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a processing unit which is a circuit device, and the received message content is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thermal recording paper interposed between the TPH 21 and the TPH roller 23 through the TPH 21. Will be discharged.

넷째로, 팩시밀리를 통해 복사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복사하고자 하는 원고를 원고재치대에 셋팅하고 조작패널상에 배열된 복사기능선택버튼을 누르면수신자 번호를 다이얼링 하지 않을 것을 신호로 마이콤에서는 이 신호에 의해 스텝모터 제어부를 통해 스텝모터(M)를 도 8a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캠면이 양 모드전환기어(60, 70)의 축이 태양기어(M1)와 맞물려지도록 한다. 이 경우 인장 스프링(CS)에 의해 양 모드전환기어(60, 70)는 태양기어(M1)와 맞물짐과 동시에 마이콤이 스텝모터 구동부를 통해 스텝모터(M)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Fourthly, if you want to perform the copy function via facsimile, set the original to be copied on the document holder and press the copy function selection button arranged on the control panel.This signal signals that the recipient number will not be dialed. By rotating the step motor (M) by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an angle as shown in Figure 8a to 8b through the step motor control unit by the cam surface is the axis of the two mode switching gear (60, 70) of the sun gear (M1) To interlock with. In this case, both of the mode switching gears 60 and 70 are engaged with the sun gear M1 by the tension spring CS, and at the same time, the microcomputer rotates the step motor M through the step motor driver.

따라서, 스텝모터(M)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캠(80)과 함께 태양기어(M1)가 회전하면서 양 모드전환기어(60, 70)를 회전시키게 됨으로 모드전환기어(60, 70)는 독취용 기어군(31∼36)과 출력용 기어군(41∼46)에 동력을 전달하여 CIS로울러(11)와 ADF로울러(15) 및 TPH로울러(23)를 동시에 구동시켜 CIS(21)에 의해 판독되는 데이터를 데이터처리부를 통해 TPH(21)를 통해 기록지 표면에 순차적으로 인쇄하여 기록지를 배출시키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tep motor (M)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sun gear (M1) with the cam 80 rotates to rotate both mode switching gear (60, 70) mode switching gear (60, 70) is a dock Power is supplied to the gear groups 31 to 36 and the gear groups 41 to 46 for output to drive the CIS roller 11, the ADF roller 15, and the TPH roller 23 at the same time for reading by the CIS 21. The data is sequentially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recording paper through the TPH 21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to discharge the recording paper.

이와 같이 복사모드는 재치대에 원고가 없을 때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원고 재치대에 원고가 없는 경우 마이크로 스위치(SS1)에 의해 원고가 없음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마이콤으로 전달하고, 마이콤은 자체의 프로그램에 따라 스텝모터 구동부를 통해 스텝모터(M)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캠(80)이 원위치로 복귀되었는지를 마이크로 스위치(SS2)를 통해 확인한다. 만일 캠(80)의 위치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마이콤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텝모터(M)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캠(80)만 회전시켜 초기화 모드를 수행한다.In this way, the copy mode continues until there are no originals on the mounting table. Therefore, if there is no original on the document holder, the micro switch (SS1) detects that there is no origi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microcomputer, and the microcomputer stops the step motor (M) through the step motor driver according to its own program. At the same time, it is checked through the micro switch SS2 whether the cam 8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If the position of the cam 80 is not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s described above by the microcomputer, the step motor M is rotated clockwise to rotate only the cam 80 to perform the initialization mode.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구동장치는 모드의 변환이 캠의 일회전에 의해 모드전환이 이루어짐으로 모드변환이 매우 신속하여 사용자가 팩시밀리의 사용할 때 모드변환동안 기다리는 불편함이 거의 없어 팩시밀리의 사용을 보다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he facsimile dr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ode change is very quick because the mode change is made by one rotation of the cam, so that the user has little inconvenience of waiting during the mode change when using the facsimile. This makes facsimile use easier.

또한, 송신, 수신 및 복사기능을 수행하는 동력전달관계가 매우 간소화되어 팩시밀리의 부피를 더욱 축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량화 및 소형화된 팩시밀리의 제작에 매우 유익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power transmission relationship for transmitting, receiving, and copying functions is greatly simplified and the volume of the facsimile can be further reduced, it will be very advantageous for the manufacture of a lighter and smaller facsimile.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의 구동장치는 오직 예시적인 목적으로 설명한 것일 뿐 당해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를 기초로 다양한 변형예와 응용예를 실시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변형예나 응용예들은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 및 이하에서 규정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밝혀 둔다.The drive device of the facsim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true meaning intended by the inventors and the claims defined below.

Claims (4)

팩시밀리에 있어서,In facsimile, 부품들을 지지하는 내부 프레임(1)과,An inner frame 1 supporting the parts, 상기 프레임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출력장치(20) 및 독취장치(10)와,An output device 20 and a reading device 10 rotatably installed on the frame; 상기 프레임(1)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송신, 수신 및 복사 모드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장치(20) 및 독취장치(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출력용 기어군(31∼36) 및 독취용 기어군(41∼46)과,Output gear groups 31 to 36 and docks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frame 1 for driving the output device 20 and the read device 10 in accordance with selection signals of the transmission, reception and copy modes. Take-up gear group 41-46, 상기 프레임(1)에 고정되고, 송신, 수신 및 복사모드중 어느 모드도 선택되지 않았을 때 상기한 모드들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 상태로 위치되고, 송신, 수신 및 복사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회로적인 로직에 따라 작동되는 마이콤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출력용 기어군(31∼36) 및 독취용 기어군(41∼46)중 어느 하나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혹은 모두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분배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구동장치.Fixed to the frame 1, placed in a ready state to perform the above modes when none of the transmit, receive and copy modes have been selected, and any of the transmit, receive and copy modes may have been selected. At this time, the power is driven by a microcomputer operated according to the circuit logic to transfer power to one or both of the output gear groups 31 to 36 and the read gear groups 41 to 46, or both. A drive of the facsimi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distribution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동력분배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distribution means, 벽면에는 일정거리 이격되게 한 쌍의 소직경 스롯(2) 및 그 스롯(2)사이에 통공(5)이 형성된 상기 프레임(1)과,The frame 1 having a pair of small diameter slots 2 and a through hole 5 formed between the slots 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ll surface; 상기 프레임(1)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부착되며, 한 쌍의 대직경 스롯(3)과 그 대직경 스롯(3)사이에 축받이공(7)이 형성된 커버(9)와,A cover 9 attached to the frame 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a bearing hole 7 formed between the pair of large diameter slots 3 and the large diameter slots 3; 상기 통공(5)속으로 삽입되는 소직경 축과 대직경 축으로 이루어진 로터를 지니고, 마이콤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스텝모터(M)와,A step motor (M) having a rotor composed of a small diameter shaft and a large diameter shaf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 and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상기 로터의 단부에 결합되며, 일면에 돌기를 구비하고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축(81)을 구비하는 캠(80)과,A cam 80 coupled to an end of the rotor, the cam 80 having an extension shaft 81 extending in an axial direction and having protrusions on one surface thereof; 상기 소직경축 로터가 관통되며, 일측단부는 상기 대직경 로터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캠(80)의 연장축(81)에 결합되는 제 1마찰 클러치 스프링(83a)과,The small diameter shaft rotor is penetrated, one side end is coupled to the large diameter rotor,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first friction clutch spring (83a) coupled to the extension shaft 81 of the cam 80, 일측단부는 상기 캠(80)의 연장축(81)을 관통하는 소직경 로터에 결합되는 풀리에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축받이공(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태양기어(M1)와 결합되는 제 2마찰 클러치 스프링(83b)과,One end is coupled to a pulley coupled to a small diameter rotor passing through the extension shaft 81 of the cam 80,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un gear (M1) rotatably coupled to the bearing hole (7) The second friction clutch spring 83b, 일측단부는 상기 소직경 스롯(2)에 삽입되고, 타측단부는 대직경 스롯(3)에 유격가능하게 결합되며, 원주면에 상기 태양기어(M1)와 출력장치(20)용 기어군(31∼36) 및 독취장치(10)용 기어군(41∼46) 사이에 각각 이웃하게 배치되는 출력 및 독취용 모드전환용 기어(60, 70)를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모드전환레버(61, 71)와,One end is inserted into the small diameter slot (2), the other end is freely coupled to the large diameter slot (3), the gear group 31 for the sun gear (M1) and the output device 20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 pair of mode switching levers 61, each of which has outputs and reading mode switching gears 60, 70 disposed adjacently between the gear groups 41 to 46 and the reading device 10, respectively. 71), 프레임(1)상에 결합되고, 상기 캠(80)의 회전시 돌기(80a)와 접속되어 전기적으로 온·오프신호를 마이컴으로 전달하여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상기 스텝모터(M)의 구동을 제어하는 센서와,A sensor coupled to the frame 1 and connected to the projection 80a when the cam 80 rotates to electrically transmit an on / off signal to the microcomputer to control driving of the step motor M from the microcomputer. Wow, 상기 한 쌍의 출력 및 독취용 모드전환용 기어(60, 70)들이 상기 태양기어(M1)쪽으로 복귀되도록 유지시키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구동장치.The drive device of the facsim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output and read mode switching gears (60, 70) is composed of an elastic means for maintaining the return to the sun gear (M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양단부가 상기 모드전환기어(60, 70)의 축에 각각 결합된 인장스프링(C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구동장치.The drive device of a facsimile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elastic means is a tension spring (CS) whose both end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an axis of said mode switching gear (60, 7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스롯(3)이 이웃하게 배치된 출력용 평기어(35)와 독취용 평기어(46)의 원주면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모드전환레버(61, 71)가 스롯(3)을 따라 이동할 때, 양 모드전환기어(60, 70)가 출력용 평기어(36)와 독취용 평기어(46)와 맞물린 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구동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large diameter slot (3) is formed to have a radius of curvature equal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output spur gear 35 and the read spur gear 46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hen the 61 and 71 move along the slot 3, the two mode switching gears 60 and 70 are moved in engagement with the output spur gear 36 and the read spur gear 46. Drive system.
KR1019970032508A 1997-07-12 1997-07-12 Facsimile driving apparatus KR1002606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508A KR100260637B1 (en) 1997-07-12 1997-07-12 Facsimile driv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508A KR100260637B1 (en) 1997-07-12 1997-07-12 Facsimile driv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928A true KR19990009928A (en) 1999-02-05
KR100260637B1 KR100260637B1 (en) 2000-07-01

Family

ID=19514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508A KR100260637B1 (en) 1997-07-12 1997-07-12 Facsimile driv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6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052B1 (en) * 2001-01-29 200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Sheet conveying appratus for a image information process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183A (en) * 1993-11-08 1995-06-17 이헌조 Facsimile Transceiver Drive
JPH0832747A (en) * 1994-07-21 1996-02-02 Ricoh Co Ltd Facsimile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0637B1 (en)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1129B1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260637B1 (en) Facsimile driving apparatus
US5867283A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reception/duplication positions in facsimile system
KR0135429Y1 (en) Sheet supplying apparatus for a printer
JPH11282224A (en) Gear type power transmission device in image forming device
US6246493B1 (en) Facsimile apparatus
US5390906A (en) Paper supplying device
AU743178B2 (en) Paper-feeding apparatus
KR100244718B1 (en) Facsimile equipment
KR200363253Y1 (en) Apparatus for delivery power multifunctional machine
JP3322753B2 (en) Duplex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48216B1 (en) Printer having a function of portable scanner
KR200153202Y1 (en) Paper pick-up and feeding device
KR960008007Y1 (en) Driving apparatus of facsimile
KR200150345Y1 (en) Power exchanging apparatus for facsimile
KR100269659B1 (en) Driving system of facsimile
KR100229764B1 (en) Facsimile device
KR100475655B1 (en) Facsimile Driving Aparatus using one motor
KR100189156B1 (en) Copying method for multifunction printer and method thereof
KR0172150B1 (en) Paper transferring apparatus for facsimile
KR0120922Y1 (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for a fax
KR100269658B1 (en) Driving system of facsimile
KR200265787Y1 (en) Apparatus for driving multi functional machine
JP3750266B2 (en) Document feeding device
KR0153383B1 (en) One motor driver for facsim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