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200U - 수전 취결구 - Google Patents

수전 취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200U
KR19990009200U KR2019970022386U KR19970022386U KR19990009200U KR 19990009200 U KR19990009200 U KR 19990009200U KR 2019970022386 U KR2019970022386 U KR 2019970022386U KR 19970022386 U KR19970022386 U KR 19970022386U KR 19990009200 U KR19990009200 U KR 199900092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cold
faucet
plate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9974Y1 (ko
Inventor
이세준
Original Assignee
이세준
주식회사 케이 비 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준, 주식회사 케이 비 엠 filed Critical 이세준
Priority to KR2019970022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97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2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9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99009200
본 고안은 냉수 파이프와 온수 파이프 사이의 간격 및 높낮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냉·온수 일체형 수전 취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냉·온수 수전구가 설치되는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한쌍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고정편이 내향절곡되며 전면에는 요입홈과 지지공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공에 삽입되는 지지볼트와, 상기 삽입공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볼트로 고정되고 양측에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플렌지가 형성된 아답터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수전 취결구
본 고안은 냉·온수 일체형 수전 취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온수 파이프 사이의 간격 및 높낮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전 취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수와 온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냉수용 파이프와 온수용 파이프를 동시에 설치하고 있는 바, 상기 각 파이프의 끝단에 별도의 밸브를 설치하는 수전 취결작업시에 별도의 공구(스패너, 렌치 등)를 이용하여 설치하므로, 상기 냉수 파이프 및 온수 파이프사이의 간격 및 높낮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함은 물론 상기 각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벽면(1)에 냉수 파이프 및 온수 파이프를 설치할 때에 작업자가 소정의 위치까지 각각 파이프를 배관하고 상기 파이프를 벽면(1)에 고정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냉수 파이프 및 온수 파이프 사이의 간격은 물론 각 파이프의 높낮이가 일정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와 결합되는 밸브의 연결구와 냉·온수 수전의 간격과 높낮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파이프를 재 시공하거나 별도의 연결구(도면 미도시)를 사용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 파이프 및 온수 파이프의 고정력이 약하여 밸브를 설치할 때 상기 냉수 파이프 및 온수 파이프가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숙련도에 따라 냉수 파이프와 온수 파이프 사이의 간격 및 높낮이가 일정하지 못하게 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시공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냉수 파이프와 온수 파이프의 간격 및 높낮이가 일치되도록 간편하고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는 취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냉·온수 일체형 수전 취결구는 냉·온수파이프와 냉·온스 수전을 결합시키는 취결구에 있어서, 냉·온수 수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한쌍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고정편이 내향절곡되며 전면에는 다수의 요입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공에 삽입되는 지지볼트와, 상기 삽입공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볼트로 고정되고 양측에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플렌지가 형성된 아답터로 구성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전 취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전 취결구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전 취결구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수전 취결구10 : 플레이트
11 : 삽입공12 : 고정편
13 : 요입홈14 : 지지공
20 : 아답터21, 22 : 연결부
21a : 암나사22a : 수나사
23 : 플렌지30 : 고정볼트
40 : 지지볼트
이하 본 고안을 도시한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전 취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전 취결구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전취결구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수전 취결구(A)는 벽면(1)의 내부에 매립되는 플레이트(10)에 냉·온수 수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쌍의 삽입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10)의 상·하부에는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고정편(12)이 내향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10)의 전면에는 다수의 요입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볼트(40)가 삽입되는 지지공(1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0)의 각 삽입공(11)에 삽입되는 아답터(20)의 양측에는 연결부(21)(22)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1)(22)에는 수나사(21a) 및 암나사(22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연결부(21)(22)의 한쪽에만 나사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아답터(20)의 중앙에는 플렌지(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렌지(23)에는 다수의 결합공(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23a)에는 플레이트(10)에 결합되는 고정볼트(30)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안된 본 고안은 소정의 위치까지 배관된 냉수 파이프와 온수 파이프의 끝단을 플레이트(10)에 고정된 아답터(20)의 일측 연결부(21)에 결합하고 상기 플레이트(10)가 지지되도록 지지공(14)에 지지볼트(40)를 삽입하여 상기 수전 취결구(A)가 유동되지 않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매립되도록 벽면(1)을 시공하면 상기 냉수 파이프와 온수 파이프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아답터의 전면에 결합되는 냉·온수 수전도 간편, 신속하고 정확하게 설치될 수가 있다.
그리고, 이때 에어콘(상표명) 수전 엘보 또는 티를 사용하면 Push-lock방식에 의하여 One touch로 냉·온수파이프와 수전 취결구를 쉽게 결합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0)에 형성된 고정편(12)은 벽면(1)의 내부에 매립되어 플레이트(1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플레이트(10)의 전면에 형성된 다수의 요입홈(13)에는 벽면(1)을 이루는 몰탈이 유입되므로 상기 플레이트(10)의 고정력을 더욱 강화시키게 된다.
또는 상기 냉수 파이프(2) 및 온수 파이프(3)의 끝단을 통상의 수전엘보나 티로 연결할 때에는 아답터(20)의 연결부에 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아답터를 플레이트(10)에 고정시킨 후 상술한 바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면 냉수 파이프(2) 및 온수 파이프(3)와 수전 취결구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벽면에 설치되는 냉수 파이프(2) 및 온수 파이프(3)의 끝단에 수전 취결구(A)를 설치하는 경우 간편한 작업으로 냉·온수 파이프의 간격 및 높낮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냉·온수 수전의 설치가 간편하고 정확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하게 됨과 동시에 플레이트(10)에 형성된 고정편(11) 및 요입홈(13)에 의해서 고정력이 강화되어 냉수 파이프(2) 및 온수 파이프(3)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냉·온수 수전이 설치되는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한쌍의 삽입공(11)과 지지공(14)이 형성된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가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지지공(4)에 삽입되는 지지볼트(40)와,
    상기 삽입공(11)에 삽입되어 고정볼트(30)로 고정되고 양측에는 연결부(21, 22)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플렌지(23)가 형성된 아답터(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취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10)의 상하부에 고정편(12)이 내향절곡되고, 요입홈(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취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아답터(20)의 연결부에 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취결구.
KR2019970022386U 1997-08-19 1997-08-19 수전 취결구 KR200169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386U KR200169974Y1 (ko) 1997-08-19 1997-08-19 수전 취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386U KR200169974Y1 (ko) 1997-08-19 1997-08-19 수전 취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200U true KR19990009200U (ko) 1999-03-15
KR200169974Y1 KR200169974Y1 (ko) 2000-02-01

Family

ID=1950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386U KR200169974Y1 (ko) 1997-08-19 1997-08-19 수전 취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9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974Y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8510C (en) Plumbing fixture supply assembly
JP4664758B2 (ja) 裏配管具の取付構造
RU2549991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узел установки крана
US20120042963A1 (en) In-wall water service housing
KR19990009200U (ko) 수전 취결구
KR101153412B1 (ko) 공기 조화기용 서비스밸브
US6732758B2 (en) Fluid shock absorber assembly
US7043777B2 (en) Single control faucet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058117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KR100779702B1 (ko) 길이 조정가능한 배관 연결장치
KR200348065Y1 (ko)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KR102574742B1 (ko) 수전용 플러그의 설치 구조
US6119563A (en) Inline ball valve shutoff tool
KR200236524Y1 (ko) 콘센트박스
KR200399666Y1 (ko) 급수배관용 엘보우
KR200224121Y1 (ko) 싱크수전의 배관고정수단을 갖는 분배기
KR200497620Y1 (ko) 급수호스 클램핑장치
KR100265092B1 (ko) 정유량 자동바란싱 밸브
CN217441086U (zh) 一种硬性排水管道连接装置
KR100644746B1 (ko) 정수기 시공방법과 시공을 위한 태핑용 천공드릴 및시공용 연결부싱
KR910005173Y1 (ko) 수도미터 접속장치
US20060049633A1 (en) Faucet anchor for interconnecting a faucet to the water supply
KR100786701B1 (ko) 자동차용 파이프 결합구조
KR200275592Y1 (ko) 배관 핏팅용 플러깅 머신
JPH071589Y2 (ja) 湯水供給用分配金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